KR20000030506A -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 Google Patents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506A
KR20000030506A KR1020000010855A KR20000010855A KR20000030506A KR 20000030506 A KR20000030506 A KR 20000030506A KR 1020000010855 A KR1020000010855 A KR 1020000010855A KR 20000010855 A KR20000010855 A KR 20000010855A KR 20000030506 A KR20000030506 A KR 20000030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inforcing material
hollowed portion
sewer pipe
doub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이은숙
주식회사 스트롱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숙, 주식회사 스트롱케미칼 filed Critical 이은숙
Priority to KR102000001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0506A/ko
Priority to KR2020000006052U priority patent/KR200192554Y1/ko
Publication of KR20000030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50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액상의 물질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대체로 큰 직경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이중벽 구조로 된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이중벽 구조의 취약점인 누수방지를 최소화시키고 동시에 관체 자체의 강성도 함께 향상 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 구성으로서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된 중공부(2)내에 보강소재(5)를 충전시키되 상기한 보강소재(5)는 수지를 발포시켜 충전시키므로서 중공부(2)를 통해 누수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키고 동시에 중공부(2)내의 보강소재(5)에 의해 관체(1) 자체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THE DUPLICATION WALL-DRAINPIPE USING REINFORCEMENT MATERIAL}
본 발명은 각종 액상의 물질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대체로 큰 직경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이중벽 구조로 된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이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중공부로 비어있는 내부에 별도의 보강소재로서 발포재를 충전시켜 관체 자체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특히 관체의 누수발생을 최소화 시키고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그 직경이 매우 크며 지중에 매설되는 관계로 내압성과 수밀성이 좋아야 한다.
한편, 내압성과 수밀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하수관으로서는 도 3 과 같은 구구조의 하수관이 제안 사용되어 오고 있다.
즉, 그 단면이 이중벽 구조로서 관체(1)의 내부에 " □"형상의 중공부(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체(1)는 성형기로부터 마치 가래떡과 같이 성형되어 인출된 후 소정의 직경(관체의 내경을 뜻함)으로 된 드럼형상의 맨드릴 외측에 마치 코일형상으로 감겨지고 이때 이들 접속부에 접착수지가 공급되므로서 원통형상의 관체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관체(1)는 내부에 중공부(2)가 형성된 이중벽 구조로 되어 있어 지중에 매설시 이중벽 구조가 아닌 관체에 비해서는 내압성이 향상되는 이점은 있으나 수밀성에 다소 문제가 따랐던 것이다.
한편, 시공시 관체(1)를 길게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는 양 관체(1)의 접속부(3) 외측에 별도의 클램프형상의 체결부재(4)를 씌워 관체(1)간의 연결과 접속부(3)의 밀봉을 꾀하고 있는데 예로서 관체(1) 시공후 어느 한 곳의 중공부(2)내에 액체가 유입될 경우 이 액체는 중공부(2)를 따라 코일형상으로 회전하여 모든 중공부(2)내로 유입하게 되며, 이때 외피(1b)의 어느 한부분에 미세한 구멍이라도 있을 경우 액체는 외피(1b)에 뚫린 구멍을 통해 누수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누수는 양 관체(1) 접속부(3)측에 있는 중공부(2)를 통해 발생하거나 혹은 내피(1a)의 어느 일부분에 작은 구멍이라도 생겼을 경우 관체(1)내부를 흐르는 액체는 상기의 구멍을 통해 중공부(2)내로 유입되고 이어서 외피(1b)에 뚫린 구멍 혹은 외피(1b)의 취약부를 통해 누수가 발행하였던 것으로, 예로서 누수된 물질이 상수도와 같이 깨끗한 물이면 다소의 물의 손실이 있더라도 괜찮지만 오수이거나 혹은 유해물질인 경우 토양을 해치는 결과가 되어 결국 자연환경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벽 구조 하수관의 취약점인 누수의 문제점을 최소화시키고 동시에 관체자체의 강성도 향상시키므로서 수밀성과 내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관체를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도면을 토대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 하수관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2개의 관이 체결구에 의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이중벽 하수관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 은 종래 이중벽 하수관이 체결구에 의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관체 1a : 내피 1b : 외피
2 : 중공부 3 : 접속부
4 : 체결부재 5 : 보강소재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 하수관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및 그 일부의 확대단면도이며, 이하 종래 구조와 동일한 구조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체(1)는 기존하는 구성과 같이 단면이 사각형상의 중공부(2)로 구성하여 내·외피(1a)(1b)의 이중벽구조로 되며, 상기 중공부(2)내에 보강소재(5)로서 발포수지를 충전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의 이중벽구조로 된 하수관은 중공부(2)내에 보강소재(5)로서 비교적 중량이 가벼운 발포수지가 보강소재(5)로서 충전되므로 관체(1) 자체의 강성이 향상되고, 종래와 같이 중공부(2)를 통해 발생되는 액체 누수현상이 최소화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관체는 이중벽 구조의 관체에 있어서, 중공부내에 발포수지와 같은 보강소재를 충전하므로서 하수관으로서의 생명과도 같은 내압성과 수밀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간단한 구성이지만 실사용에 있어서는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단면이 사각형상의 중공부(2)로 구성하고, 내·외피(1a)(1b)의 이중벽구조로 된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한 중공부(2)내에 보강소재(5)를 발포충전하여 수밀성과 내압성을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2.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소재(5)는 관체(1)와 동일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KR1020000010855A 2000-03-04 2000-03-04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KR20000030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855A KR20000030506A (ko) 2000-03-04 2000-03-04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KR2020000006052U KR200192554Y1 (ko) 2000-03-04 2000-03-04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855A KR20000030506A (ko) 2000-03-04 2000-03-04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052U Division KR200192554Y1 (ko) 2000-03-04 2000-03-04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506A true KR20000030506A (ko) 2000-06-05

Family

ID=196522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052U KR200192554Y1 (ko) 2000-03-04 2000-03-04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KR1020000010855A KR20000030506A (ko) 2000-03-04 2000-03-04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052U KR200192554Y1 (ko) 2000-03-04 2000-03-04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255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130A (ko) * 2001-05-11 2002-11-18 박형진 가요성 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20803A (ko) * 2001-09-04 2003-03-10 민병이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KR100438387B1 (ko) * 2001-11-19 2004-07-07 박기종 사중벽관
KR100449157B1 (ko) * 2001-09-10 2004-09-16 대림산업 주식회사 하수관
KR100449158B1 (ko) * 2001-09-10 2004-09-16 대림산업 주식회사 발포 하수관
CN112356518A (zh) * 2020-10-26 2021-02-12 安徽天康特种钢管有限公司 一种环保清淤用耐高压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751B1 (ko) * 2017-01-03 2018-09-28 (주) 엠에스 수밀 유지를 위한 중공 차단형 다중벽 하수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130A (ko) * 2001-05-11 2002-11-18 박형진 가요성 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20803A (ko) * 2001-09-04 2003-03-10 민병이 합성수지제 보강 나선관
KR100449157B1 (ko) * 2001-09-10 2004-09-16 대림산업 주식회사 하수관
KR100449158B1 (ko) * 2001-09-10 2004-09-16 대림산업 주식회사 발포 하수관
KR100438387B1 (ko) * 2001-11-19 2004-07-07 박기종 사중벽관
CN112356518A (zh) * 2020-10-26 2021-02-12 安徽天康特种钢管有限公司 一种环保清淤用耐高压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554Y1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8146A (en) Method for rehabilitation of underground piping
KR970002065A (ko) 지름이 다른 관용 이음매와 지름이 다른 관의 접속방법
KR200192554Y1 (ko)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KR101059130B1 (ko)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
US6460896B1 (en) Sewer pipe coupling
US3214199A (en) Pipe coupling
KR200284871Y1 (ko) 보강부재를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KR200307453Y1 (ko)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KR200313869Y1 (ko) 하수관거 비굴착 보수용 감합기
KR200245348Y1 (ko) 손상여부의 식별이 용이한 칼라층을 갖는 관체
KR100469812B1 (ko)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KR200326803Y1 (ko)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
JPS6241063Y2 (ko)
CN219866694U (zh) 一种多肋缠绕管
JP2002048288A (ja) リブ付管用樹脂製マンホール
KR200279007Y1 (ko)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
KR100557245B1 (ko) 하수도용 내압나선관
KR200360023Y1 (ko) 보강재를 충전한 이중벽 하수관
JPH0247417A (ja) ケーシングの逆止弁装置
KR200181920Y1 (ko) 링이 형성된 플라스틱 대형 상, 하수도관
KR200304830Y1 (ko) 매설용 합성수지관
KR200266178Y1 (ko) 농업용 용수관의 연결관에 연질호스 조임구조
JP3091005U (ja) 下水道管用の分岐用可撓継手
KR960005424Y1 (ko) 배수관의 연결용 어셈블리
KR880003530Y1 (ko) 중공형 돌출조에 보강대를 형성한 합성수지 나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