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399B1 -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399B1
KR100437399B1 KR10-2001-0080929A KR20010080929A KR100437399B1 KR 100437399 B1 KR100437399 B1 KR 100437399B1 KR 20010080929 A KR20010080929 A KR 20010080929A KR 100437399 B1 KR100437399 B1 KR 100437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c
hook
terminal board
seat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0496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80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3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5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02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having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8Terminal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미널조립체의 골격은 터미널보드(60)가 형성하고, 상기 터미널보드(60)에는 피티씨부(70)가 장착되는 제1안착부(61)와 휴즈부(80)가 장착되는 제2안착부(6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부(61)는 터미널보드(60)의 중앙에 형성되고, 그 양단에 해당되는 부분에 걸림후크(6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후크(63)는 상기 피티씨부(70)가 상기 제1안착부(61)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그 선단에는 양단의 걸림후크(63)의 것이 마주보게 걸림턱(6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64)에는 상기 피티씨부(70)가 상기 제1안착부(61)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체결돌기(65)가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부(61)에 안착되는 피티씨부(70)에는 상기 체결돌기(65)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홈(74)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안착부(61)에 피티씨부(70)가 장착되면 상기 걸림턱(64)이 상기 피티씨부(70)의 전면(73)에 밀착되고, 상기 걸림턱(64)에 형성된 체결돌기(65)가 피티씨부(70)의 체결홈(74)에 안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상기 피티씨부(70)가 상기 제1안착부(61)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고 터미널조립체를 밀폐용기에 장착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Terminal assembly for hermetic compressor}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터미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는 냉매와 같은 작동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운동기구부와 실제로 압축을 수행하는 압축기구부로 구성된다. 상기 운동기구부는 회전자와 고정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자와 고정자에서는 전원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운동기구부에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해주어야 하는데, 외부 전원의 공급을 위한 일반적인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밀폐용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용기(10)의 외면에는 프로텍터(12)가 설치된다. 상기 프로텍터(12)는 상기 하부용기(10)에 일반적으로 스폿용접을 통해 장착된다. 상기 프로텍터(12)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조립체(20)가 장착된다. 상기 프로텍터(12)의 중앙에는 다수개의 단자(13)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13)는 상기 하부용기(10)를 관통하여 하부용기(10)의 내부에 별도의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미널조립체(20)는 상기 프로텍터(12)에 장착되는 것으로, 크게 터미널보드(21)와, 상기 터미널보드(21)에 각각 삽입되어 장착되는 피티씨부(25)와, 상기 터미널보드(21)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휴즈부(29)로 구성된다.
참고로 피티씨부(25)는 내부의 단자와 상기 단자 사이에 개재되는 피티씨(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피씨티소자의 동작여부에 따라 전류의 단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피씨티소자는 전류가 흐르게 되면 발열하면서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저항이 증가되면 단락된다. 그리고 단락된 후 온도가 내려가면 저항이 줄어들면서 소정 시점에서 다시 통전이 시작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터미널보드(21)에는 각각 상기 피티씨부(25)와 휴즈부(29)의 장착을 위한 제1장착부(22)와 제2장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장착부(22)와 제2장착부(24)는 각각 상기 터미널보드(2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일부가 관통되어 각각 상기 피티씨부(25)와 휴즈부(29)가 상기 단자(13)와 접속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장착부(22)에는 그 일측 양단에 상기 피티씨부(25)의 양단을 걸어주는 걸림후크(23)가 형성된다. 상기 양단의 걸림후크(23)에는 서로 마주보게 연장되는 걸림턱(23h)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3h)이 상기 피티씨부(15)의 일면에 밀착된다. 상기 휴즈부(29)의 고정 역시 걸림후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피티씨부(25)는 상기 제1장착부(22)의 후단 전체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제1장착부(22)에 삽입함에 의해 반대편으로 빠지지 않도록 안착되고, 피티씨부(25)의 전면부의 양단에는 상기 걸림후크(23)가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걸림후크(23)는 상기 피티씨부(25)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었다가, 삽입이 완료되면 복원되어 상기 피티씨부(25)를 고정한다. 상기 휴즈부(29)의 고정 역시 걸림후크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프로텍터(12)에 상기 터미널조립체(20)를 장착할 때, 상기 단자(13)가 상기 피티씨부(25)와 휴즈부(29)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당한 힘으로 상기 터미널보드(21)를 눌러주어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보드(21)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림후크(23)로 함께 탄성변형되어 상기 피티씨부(25)가 제1장착부(22)에서 탈거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터미널보드(21)의 양단을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주어야 프로텍터(12)에의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터미널보드(21)의 양단을 눌러주면 상기 제1장착부(22)를 중심으로 양단이 화살표 B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걸림후크(23) 사이가 벌어지고, 상기 걸림후크(23)에 의해 장착되어 있던 상기 피티씨부(25)가 제1장착부(22)에서 탈거되어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피티씨부(25)가 완전히 탈거되지 않더라도 제1장착부(22)에서약간 돌출된 상태로 장착되면, 압축기의 사용중 진동에 의해 탈거되어 압축기가 적용되는 제품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조립체의 부품이 보다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조립체를 밀폐용기에 보다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하부용기와 이에 장착되는 터미널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보드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보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걸림후크의 체결돌기가 피티씨부의 체결홈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부용기 12: 프로텍터
13: 단자 20: 터미널조립체
21: 터미널보드 22: 제1안착부
23: 걸림후크 25: 피티씨부
29: 휴즈부 60: 터미널보드
61: 제1안착부 61': 제2안착부
62: 격벽 62'; 통공부
63: 걸림후크 64: 걸림턱
65: 체결돌기 67: 걸이부
70: 피티씨부 71: 몸체하우징
73: 전면 74: 체결홈
80: 휴즈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은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밀폐용기의 외면에 장착되고 부품의 안착을 위한 다수개의 안착부를 구비하는 터미널보드와, 상기 터미널보드의 안착부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어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피티씨부와, 상기 피티씨부의 삽입방향으로 서로 끼워져 상기 피티씨부를 상기 안착부에 고정하도록 상기 터미널보드와 피티씨부에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터미널보드의 안착부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피티씨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구비하는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의 체결돌기가 상기 피티씨부의 삽입방향으로 끼워지게 상기 피티씨부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터미널보드의 안착부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피티씨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구비하는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의 체결돌기가 상기 피티씨부의 삽입방향으로 끼워지게 상기 피티씨부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티씨부가 장착되는 안착부는 상기 터미널보드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후크의 걸림턱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사이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터미널조립체를 압축기의 밀폐용기에 장착하는 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보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터미널조립체의 골격역할을 터미널보드(60)가 수행한다. 상기 터미널보드(6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피티씨부(70) 및 휴즈부(80)가 장착된다.
상기 터미널보드(60)에는 상기 피티씨부(70)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61)와 휴즈부(80)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안착부(61)와 제2안착부(61')는 상기 터미널보드(6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안착부(61)의 후단에는 격벽(62)이 형성되어 제1안착부(61) 전체가 연통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격벽(62)은 상기 제1안착부(61)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통공부(62')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공부(62')를 통해서는 밀폐용기의 외면에 있는 단자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61)는 상기 터미널보드(60)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부(61)의 양단에는 상기 터미널보드(60)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게 걸림후크(6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후크(63)에는 걸림턱(64)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턱(64)은 그 선단이 서로 마주보게 상기 터미널보드(60)의 중간부를 향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64)의 상면은 상기 제1안착부(61)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피티씨부(70)의 삽입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턱(64)에는 상기 걸림후크(63)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 즉 피티시부(7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체결돌기(65)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65)는 상기 걸림턱(64)에 상기 통공부(62')를 향하도록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은 체결돌기(65)는 상기 걸림턱(64)의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그 외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안착부(61')에는 휴즈부(80)가 안착되는데, 상기 휴즈부(80)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해 걸이부(6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67)는 상기 제2안착부(61')의 전방에 형성되어 휴즈부(80)의 전면을 안내하여 탈거되지 않게 한다. 한편, 상기 제2안착부(61')에 안착되는 휴즈부(80)가 제2안착부(61')의 후방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걸림후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터미널보드(60)의 후단에 형성된다.
피티씨부(70)는 그 외관을 몰드물인 몸체하우징(71)이 형성하고, 상기 몸체하우징(71)의 전면(73), 즉 상기 터미널보드(6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체결홈(74)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73)에 형성된 상기 체결홈(74)은 상기 체결돌기(65)가 형합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74)은 상기 체결돌기(6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것으로, 상기 피티씨부(70)가 상기 제1안착부(61)에 안착되면 상기 체결홈(74)에 상기 체결돌기(65)가 안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터미널보드(60)의 후방에서 상기 휴즈부(80)가 상기 제2안착부(61')에 삽입된다. 상기 휴즈부(80)가 상기 제2안착부(61')에 안착되면, 상기 휴즈부(80)의 선단 일측은 상기 걸이부(67)에 의해 그 안착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보드(6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걸림후크는 휴즈부(80)의 삽입과정에서 탄성변형되었다가 삽입이 완료되면 복원되면서 휴즈부(80)의 탈거를 방지한다.
한편, 상기 피티씨부(70)는 상기 터미널보드(60)의 전방에서부터 상기 제1안착부(61)에 안착된다. 다시 말해 상기 피티씨부(70)의 후단부 일측이 먼저, 상기 걸림후크(63)의 걸림턱(64) 선단을 따라 안내되면서 양단의 걸림후크(63)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게 한다.
상기 피티씨부(70)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걸림후크(63)가 계속하여 탄성변형되고 상기 피티씨부(70)가 상기 걸림턱(64)을 타고 넘으면, 피티씨부(70)는 제1안착부(61)의 내부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피티씨부(70)는 그 후단이 상기 격벽(62)에 밀착될 때까지 삽입된다.
상기 피티씨부(70)가 제1안착부(61)에 안착되는 순간에 탄성변형되었던 상기 걸림후크(63)는 원형으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후크(63)의 걸림턱(64)에 형성된 체결돌기(65)는 상기 피티씨부(70)의 체결홈(74)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65)가 상기 체결홈(74)에 안착된 상태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돌기(65)는 상기 체결홈(74)에 상기 피티씨부(70)의 삽입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홈(74)과 체결돌기(65)의 체결은 상기 걸림후크(63)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터미널조립체는 압축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밀폐용기의 외면에 장착된 프로텍터에 장착되고 상기 피티씨부(70)와 휴즈부(80)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터미널보드의 안착부에 피티씨부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후크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피티씨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안착되어 걸림후크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터미널보드에 외부에서 힘이 가해져 탄성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피티씨부가 터미널보드에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들 사이의 체결이 보다 견고하게 되고, 터미널조립체를 밀폐용기에 장착하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Claims (3)

  1. 밀폐용기의 외면에 장착되고 부품의 안착을 위한 다수개의 안착부를 구비하는 터미널보드와,
    상기 터미널보드의 안착부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어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피티씨부와,
    상기 피티씨부의 삽입방향으로 서로 끼워져 상기 피티씨부를 상기 안착부에 고정하도록 상기 터미널보드와 피티씨부에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터미널보드의 안착부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피티씨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구비하는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의 체결돌기가 상기 피티씨부의 삽입방향으로 끼워지게 상기 피티씨부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티씨부가 장착되는 안착부는 상기 터미널보드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후크의 걸림턱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10-2001-0080929A 2001-12-18 2001-12-18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KR100437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929A KR100437399B1 (ko) 2001-12-18 2001-12-18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929A KR100437399B1 (ko) 2001-12-18 2001-12-18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496A KR20030050496A (ko) 2003-06-25
KR100437399B1 true KR100437399B1 (ko) 2004-06-25

Family

ID=2957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929A KR100437399B1 (ko) 2001-12-18 2001-12-18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916B1 (ko) * 2006-12-15 201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피티씨 장착구조
KR101160018B1 (ko) * 2010-10-29 2012-06-2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우회 통기식 클러치 액츄에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2049U (ko) * 1986-06-12 1987-12-23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2049U (ko) * 1986-06-12 1987-12-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496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8698A (en) Smart connector for an electrical device
KR100227170B1 (ko) 단자위치확정장치와 결합커넥터를 위한 안내수단을 갖는 전기커넥터
CN110537294B (zh) 具有连接器的连接器装置及组装方法
JPH0955245A (ja) 大電流基板用コネクタ
US5745347A (en) Adapter for connecting airbag accelerometer to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ssembly thereof
KR10043739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조립체
JP2020198249A (ja) コネクタ
WO2001018917A1 (fr) Unite de commutation/d'entree et dispositif de divertissement
US20070297122A1 (en) Mounting Arrangement for the Starting System of a Compressor
JP2723192B2 (ja) コンセント
KR100625260B1 (ko) 전기기기의 스위치 붙임구조
JP2004251629A (ja) センサ装置
US5833489A (en) Electrical plug
KR102554860B1 (ko) 단자브라켓
US20050135076A1 (en) Power cabling assembly
CN210609960U (zh) 一种安装结构及具有安装结构的装置
WO1998038707A1 (fr) Socle d'ampoule
KR200224995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로텍터 구조
JPH10318290A (ja) 電磁クラッチ
KR200234716Y1 (ko) 압축기의피티씨블럭구조
KR200262517Y1 (ko) 두개의 상폐접점을 구성할 수 있는 스위치 유니트
JP3949816B2 (ja) ワイパスイッチユニットにおける回路基板の接続構造
JPH0445162B2 (ko)
AU7207700A (en) Connector for an electric motor
KR200407840Y1 (ko) 조인트 커넥터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