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640B1 - 피납땜부재의 온도에 근거해서 가열량이 제어되는납땜장치 및 납땜방법 - Google Patents

피납땜부재의 온도에 근거해서 가열량이 제어되는납땜장치 및 납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640B1
KR100436640B1 KR10-2001-0043987A KR20010043987A KR100436640B1 KR 100436640 B1 KR100436640 B1 KR 100436640B1 KR 20010043987 A KR20010043987 A KR 20010043987A KR 100436640 B1 KR100436640 B1 KR 100436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temperature
soldering
soldered
pre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2121A (ko
Inventor
이시다가즈타카
다카하시미츠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신 고교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신 고교 겐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신 고교 겐큐쇼
Publication of KR20020012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20Preliminary treatment of work or areas to be soldered, e.g. in respect of a galvanic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예열공정에 있어서 예열되어 온도가 상승한 피납땜부재(71,72)의 온도를 측정한다. 피납땜부재마다 보존되는 변환데이터(20)가 참조되어, 이 측정온도에 근거하여, 납땜재를 공급해야 할 타이밍에 대응하는 납땜재 공급노즐의 송출대기시간이 설정된다(S40). 가열버너(43)가 전진하면 납땜재 공급노즐의 송출대기 타이머가 카운트를 개시한다(S42).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이 대기 타이머가 타임 업하면, 납땜재 공급노즐(44)이 전진하여 와이어(46)가 공급되어 납땜이 행해진다(S43~45). 이것에 의해 납땜재 와이어가 공급되는 시점에는, 피납땜부재는 가열버너에 의해 납땜에 적절한 온도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된다.

Description

피납땜부재의 온도에 근거해서 가열량이 제어되는 납땜장치 및 납땜방법{BRAZING APPARATUS AND BRAZING METHOD THAT HEATING AMOUNT IS CONTROLLED BASED ON TEMPERATURE OF MEMBER TO BE BRAZED}
본 발명은 납땜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납땜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온도요인을 제어할 수 있는 납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종래의 자동 납땜장치의 개요를 도시하는 것으로, 가열, 납넣기(공급) 스테이션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자동납땜장치의 평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자동납땜장치는, 피접합부재를 클램핑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하기 위한 납땜지그 유닛(A)과, 예열버너 유닛(B)과, 가열 납땜넣기 유닛(C)과, 납땜재 와이어, 연소가스의 공급유닛(D)으로 이루어진다.
납땜지그 유닛(A)에는, 인덱스테이블(36)을 간헐 구동하는 구동모터(38)와, 구동모터(38)의 구동축에 접속되어 인덱스테이블(36)을 정확하게 위치결정하는 인덱스기어(37)가, 납땜장치 고정테이블(51)하부에 고착되어 있다. 지그테이블을 구성하는 인덱스테이블(36)의 중심의 상방에는, 축외주를 O링으로 실링하여 회전가능하게 하는 실링(35)을 통해서 공기관(73)이 접속되고, 지그클램프 등의 구동원에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인덱스테이블(36)상에는 접합부재(71)와 피접합부재(72)를 동시에 동축심으로 클램핑하는 지그(75)가 배치되어 있다. 예열버너유닛(B)에는, 예열용 버너(39)가 인덱스테이블(36)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열 납땜넣기 유닛(C)에 있어서는, 납땜장치 고정테이블(51)상에 고정된 구동실린더(48)와 납땜유닛 프레임(47)이 연결되고, 납땜유닛 프레임(47)은 인덱스테이블(36)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쌍의 가이드레일(76)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동프레임(50)의 인덱스테이블(36)측의 측벽부에는, 버너(42)로서 선단이 2쌍의 가스노즐(43)이 가스관(77)에 접속되어 있다. 가스노즐(43)의 선단에는, 복수쌍의 가열용 토치(69)가 각각 대향하여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납땜유닛 프레임(47)에는, 노즐구동 실린더(45)가 고정금구(59)에 경사조정가능하게 연결되고, 납땜재 공급노즐(44)이 노즐구동 실린더(45)에 부착되고, 그 선단방향은 가열용 토치(69)에 의해 가열편의 중심점에 조준을 맞추어 고정되어 있다.
납땜재, 연소가스의 공급유닛(D)에 있어서는, 노즐구동 실린더(납땜재 와이어 실린더)(45)의 구동에 의해 납땜재 공급노즐(44)이 전진하여 접합부재(71), 피접합부재(72)의 납땜넣기부분에 접근하고, 납땜재 와이어 릴(58a,58b)의 각각으로부터 와이어 공급모터(52)에 의해 납땜재 와이어는 소정량만 풀려 나온다. 연소가스는, 가연성 가스와 지연성(支燃性) 가스(산소)의 각각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공급된다.
다음에,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납땜 동작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피납땜해야 할 접합부재(71) 및 피접합부재(72)가 짜서 넣어져 지그(75)에 유지되면, 인덱스테이블(36)이 도 9에 있어서는 시계회전방향으로 90°회전하고, 예열 버너유닛(B)의 스테이지로 향한다. 그러면, 예열용 버너(39)가 전진하여, 그 선단을 접합부재(71) 및 피접합부재(72)의 주변에 위치시키고, 예열을 행한다. 예열이 종료되면 예열용 버너(39)는 후퇴하고, 인덱스테이블(36)은 다시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고, 예열된 접합부재(71) 및 피접합부재(72)는, 가열 납땜넣기 유닛(C)의 스테이지를 향한다. 그러면, 소정의 타이밍으로, 가스노즐(43)이 송출되고, 접합부재(71) 및 피접합부재(72)의 접합부분을 「강염(强炎)」상태로 가열을 개시한다.
한편, 납땜재 공급노즐(44)은 가스노즐(43)의 가열의 개시에 약간 늦게 송출된다. 더욱이 그 후의 소정의 타이밍으로 납땜재 공급노즐(44)로부터 와이어형상의 납땜재 와이어(46)가 접합부재(71) 및 피접합부재(72)의 접합부를 향해서 공급되고, 납땜이 행해진다. 그 후 가스노즐(43)로부터 화염은, 소정시간 접합부를 가열한 후 「강염」에서 「약염」상태로 변하고, 「약염」상태의 종료에 따라 버너(42)는 후퇴하여 납땜이 완료된다. 또한, 납땜재 공급노즐(44)은, 가스노즐(43)의 화염이 「강염」에서 「악염」상태로의 교체전 뒤로 후퇴한다.
납땜이 완료되면, 인덱스테이블(36)은 90°더 회전하고, 납땜제품으로서 접합부재(71) 및 피접합부재(72)가 취출된다. 이상과 같이 1조의 납땜부재는, 인덱스테이블(36)의 90°의 회전마다 짜 넣어지고, 예열, 납땜, 취출의 스테이지로 이동하고, 납땜이 행해지는데, 실제로는, 복수조의 납땜부재가 인덱스테이블(36)의 90°의 회전타이밍마다 짜 넣어지고, 순차 병행적으로 스테이지에서 납땜처리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납땜장치에서는, 투입되는 피납땜부재의 온도나 분위기온도 등이 항상 일정하다면 그다지 문제가 없지만, 이것이 예를들면 계절의 변화, 하루중 운전의 개시시, 운전중, 운전의 중단으로부터 재개시 등에 의해 변동하면, 납땜불량이 생기기 쉽다. 즉, 이들의 조건이 변화하면, 예열량 및 가열량을 일정하게 한 경우 납땜시의 피납땜부재의 온도상승이 분산되고, 납땜품질이 불안정하게 된다.
그래서, 예열량 및 가열량의 각각을 가변으로 하여 피납땜부재에 맞추어 가열했다 하더라도, 그 가열량의 근거로 되는 정확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거의 피납땜부재의 온도상승을 일정하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가령 1개의 형상, 재질의 피납땜부재에 대하여 경험적으로 가열량의 제어가 확립되어도, 다른 피납땜부재가 투입되면 상승온도가 변하기 때문에, 납땜의 품질이 저하되고 만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입되는 피납땜부재의 온도조건 등에 납땜품질이 영향을 받지않는 납땜장치 및 납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의한 납땜장치의 제어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의한 납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납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의한 납땜장치에 있어서, 테스트운전시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테스트운전시에 있어서 얻어진 피납땜부재를 소정온도까지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가열량을 산출하기 위한 변환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의한 납땜장치에 있어서 예열공정 및 납땜가열공정에 있어서 각 동작의 1 사이클타임에 있어서 타임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의한 납땜장치에 있어서, 통상운전시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종래의 납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납땜장치의 평면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의 국면에 있어서 납땜장치는, 피납땜부재의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피납땜부재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피납땜부재를 검출시의 온도에 근거해서 소정 온도까지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가열량을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가지며, 검출된 온도에 근거해서 필요한 가열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가열량에 근거해서, 가열된 피납땜부재를 소정 온도로 되도록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소정 온도로 된 피납땜부재를 납땜하는 납땜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 전의 피납땜부재의 온도에 근거해서 적절한 가열량이 산출되고, 이 가열량에 의해 가열수단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국면에 있어서 납땜장치는, 제 1의 국면에서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피납땜부재를 예열하는 예열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고, 검출수단은 예열된 피납땜부재의 온도를 검출하고, 가열수단은 예열된 피납땜부재를 가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납땜부재는 온도의 검출 및 가열 전에 예열된다.
본 발명의 제 3의 국면에 있어서 납땜장치는, 제 2의 국면에서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산출수단은, 테스트운전시에 있어서 복수의 동일형상, 동일재질의 피납땜부재를 준비하고, 예열수단에 의해 각각 상이한 온도로 예열하여 이것을 검출수단으로 검출하고, 예열된 온도로부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에 의해 소정온도로 될 때까지 요하는 가열시간을 각각 측정하고, 검출된 각각의 온도와, 이것에 대응하는 가열시간의 각각에 의해 규정되는 변환데이터를 취득하고, 변환데이터에 근거해서 통상 운전시에 검출된 피납땜부재의 온도로부터 가열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실제의 피납땜부재와 동일의 것에 의해 변환수단이 규정된다.
본 발명의 제 4의 국면에 있어서 납땜장치는, 제 3의 국면에서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변환수단은 근사식 또는 변환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효율적으로 가열량이 산출된다.
본 발명의 제 5의 국면에 있어서 납땜방법은, 피납땜부재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공정과, 피납땜부재를, 검출된 온도에 근거해서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공정과, 가열된 피납땜부재를 납땜하는 납땜공정을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열전의 피납땜부재의 온도에 근거해서 가열된다.
본 발명의 제 6의 국면에 있어서 납땜방법은, 피납땜부재를 예열하는 예열공정과, 예열된 피납땜부재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공정과, 예열된 피납땜부재를, 검출된 온도에 근거해서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공정과, 가열된 피납땜부재를 납땜하는 납땜공정을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열에 의해 상승한 가열전의 피납땜부재의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의한 납땜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 납땜장치는, 제어부(53)를 중심으로 하여 구성되고, 제어부(53)에 의해 그 각종 동작이 제어되는 납땜 동작부(54)와, 납땜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30)와, 가열에 의해 납땜 대상물이 소정 온도상태로 된 시점의 시각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55)와, 입력부(55)에 의해 입력된 시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6)와, 입력부(55)에 의한 입력타이밍의 시간경과를 측정하기위한 기준으로 되는 시계(60)와, 온도센서(30)에 의한 측정데이터나 입력부(55)에 의해 입력된 각종 데이터 등을 보존하기 위한 기억부(57)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제어부(53)는 CPU를 중심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납땜 동작부(54)는, 종래예로서 도시한 도 8 및 도 9의 납땜장치가 대응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납땜장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납땜대상으로 되는 피납땜부재인 접합부재(71) 및 피접합부재(7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0)가 부착되어 있다. 온도센서(30)의 구체예로서는 방사온도계, 접촉온도계 등을 들 수 있다. 입력부(55)는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원격조작스위치가 대응하는 것이다. 이 스위치의 조작의 타이밍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표시부(56)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패널에 의한 표시화면이 상당하고, 입력부(55)에 의한 입력타이밍이 각 피납땜부재마다 순차 확인될 수 있도록 표시가 행해진다. 기억부(57)는, 예를 들면 DRAM, 자기디스크, 하드디스크 등으로 좋지만, 데이터의 고쳐쓰기 및 유지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납땜장치의 개요를 도시하는 것으로, 가열, 납넣기 스테이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자동납땜장치의 평면도이다.
이들은 어느 것도 종래예에서 도시한 도 8 및 도 9에 대응하는 것이지만,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가열 납땜넣기 유닛(C)에 있어서 피납땜부재인 접합부재(71) 및 피접합부재(72)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30)가 부착되어 있다. 다른 구조부분에 대하여는 종래예에서 도시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의한 납땜장치를 이용하여 제어데이터의 수집을 위한 테스트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이 테스트운전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먼저 예열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투입된 피납땜부재(71,72)가 지그(75)에 클램프되면, 인덱스테이블(36)이 예열버너유닛(B)의 위치까지 회전하여 정지한다. 이 테이블의 회전정지 확인신호입력이 있으면, 스텝(S10)에 있어서 예열타이머가 설정된다. 예열타이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테스트운전시에 있어서 동일형상 및 동일재질의 피납땜부재의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스텝(S11)에 있어서 예열타이머가 개시됨과 동시에 예열이 개시된다. 예열타이머가 완료하면 예열이 종료한다(S12). 이것에 의해 예열공정이 완료한다(S13). 이 상태에서 피납땜부재는 온도가 상승하지만, 이 온도상승은 예열타이머의 설정시간이 다르므로 다른 온도상승으로 된다.
예열되어 온도가 상승한 피납땜부재인 워크(71,72)는, 인덱스테이블(36)이 회전함으로써 가열 납땜넣기 유닛(C)측으로 이동한다. 이 테이블 개전(開轉)의 정지를 확인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가열공정으로 들어가고, 먼저 스텝(S20)에 있어서 예열에 의해 온도상승한 워크의 온도가 측정된다. 이 측정된 온도는 워크마다 기억부(57)에 기억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스텝(S21)에 있어서 가열버너에 대하여 전진의 지령이 주어지고, 또한 버너는 「강염」상태로 설정된다(S21). 가열버너의 전진이 종료하면, 납땜재 와이어의 공급을 행하기 위한 납땜재 공급노즐을 대기시키는 시간을 재기 위한 납땜재 공급노즐의 송출대기 타이머의 카운트가 개시된다(S22).
다음에 스텝(S23)에 있어서, 가열버너에 의한 가열로 피납땜부재의 표면이 변화해서 납땜에 적합한 온도로 되었다고 사용자가 판단하면, 와이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한 납땜재공급노즐의 송출의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조작이 입력부(55)를 통해서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전술한 타이머가 타임업하여, 납땜재 공급노즐의 송출타이밍이 규정된다. 즉, 이 시점에서의 타이머에 의한 카운트시간이 기억부(57)에 기억된다. 그래서 납땜재 공급노즐이 전진하여 송출된다.
납땜재 공급노즐의 전진이 종료하면, 납땜재 와이어가 공급된다. 이 시점에서 와이어의 공급시간을 규정하는 타이머가 개시된다(S24). 다음에 와이어의 공급시간을 규정하는 타이머가 타임업하면, 납땜재 공급노즐이 후퇴를 개시한다. 그리고 가열버너에 대하여는 「강염」에서 「약염」으로 그 화염을 변화시킴과 동시에, 가열버너에 대하여 원래의 위치로의 복귀가 지령된다(S25).
버너가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면 버너는 점화상태로 변화하고, 이것에 의해 가열공정이 종료한다(S26).
이상과 같은 예열공정 및 가열공정에 근거한 처리를 테스트운전시에 있어서는 복수의 동일형상, 동일재질의 피납땜부재에 대하여 행한다. 이것에 의해 피납땜부재를 가열전의 온도에 근거해서 소정온도까지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가열량을 산출하기 위한 산출수단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도 5는 이 변환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횡축에는 시간축이 되고, 종축에는 온도가 된다. 예를 들면 테스트운전에 있어서 최초의 조의 피납땜부재에 대하여는, 실질적인 예열공정에 의한 예열이 행해지지 않고 온도가 t1의 상태에서 가열공정에 들어간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납땜에 적합한 온도를 t로 한다. 피납땜부재의 표면의 온도상태를 관찰하여 이 온도상태로 되었다고 사용자가 판단하면, 와이어 실린더 구동개시 스위치를 조작한다. 그리고 납땜재 공급노즐의 송출대기 타이머의 카운트개시로부터 이 스위치의 조작까지에 요한 시간을 A1으로 하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피납땜부재는 포인트(P1)의 위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2번째의 조의 피납땜부재에 대하여 예열이 행해지고 가열공정에 있어서 가열의 개시 전의 온도가 t2로 되고, 스위치의 조작까지에 요한 시간을 A2로 하면 이 피납땜부재는 포인트(P2)에 해당하는 것으로 된다. 동일하게 하여 3번째 조의 피납땜부재의 포인트를 P3, 4번째 조의 피납땜부재의 포인트를 P4, 5번째 조의 피납땜부재의 포인트를 P5로 하면, 이들의 각 점과 최종적으로 납땜에 적합한 온도를 도시하는 위치(Z)를 맺는 곡선(20)을 변환데이터로 하여 취득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취득한 곡선은, 이것과 동일한 조합의 피납땜부재와 동일형상 및 동일재질의 조의 것 모두에 대하여 적용가능한 가열량 산출수단의 변환데이터로 된다. 그리고, 취득한 곡선으로부터 근사식을 구하거나, 혹은 변환테이블 등을 구해서 이들을 기억부(57)에 기억시킨다.
동일한 수순으로 다른 형상이나 다른 재질의 피납땜부재의 조에 대하여도 이와 같은 변환데이터를 각각 구해서 기억시켜 두면 된다. 또한, 여름과 겨울의 계절의 상이에 의해 분위기온도가 크게 변하고, 동일 가열량에 의한 가열버너에 의해 가열해도 그 온도상승이 상이한 경우에는, 각각의 분위기 온도의 조건에 따라 동일한 변환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해두면, 보다 미세한 가열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납땜장치의 예열공정 및 납땜 가열공정에 있어서 각 동작의 1 사이클타임에 있어서 타임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납땜 가열공정에 있어서 납땜재 와이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한 납땜재 공급노즐의 송출대기의 기점을 T1으로 하고, 납땜재 공급노즐의 송출을 개시하는 시점을 T2로 하면, 도 4에 있어서 스텝(S23)에 있어서 스위치조작된 타이밍은 T2로 된다. 또한, 납땜재 공급노즐의 송출대기 타이머의 개시시점은 T1으로 되므로, 스텝(S23)에 있어서 기억된 타이머의 카운트시간은 도 6에 있어서 T의 시간에 대응한 것으로 된다. 또한, 납땜재 공급노즐의 송출이 개시되면, 납땜재 와이어의 공급의 타이밍(T3)까지에 요하는 시간(S)은 장치에 의해 일정의 시간이 설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간(T)을 규정함으로써, 가열버너가 강염상태로 되고 나서 납땜재 와이어가 공급되는데 까지의 시간이 실질적으로 정해지는 것으로 된다.
도 7은 테스트운전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에 근거해서 제어되는 통상 운전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예열공정에 있어서는 스텝(S30)에서 예열이 개시되고, 스텝(S31)에서 예열이 종료하여 예열공정이 완료한다(S32). 이 예열공정에 있어서는 특히 제어는 불요하고, 장치의 분위기온도 등에 관계없이 일정한 가열량의 예열버너(39)로 일정시간 예열하여 두면 좋다.
다음에 가열공정에 들어가면, 예열공정에 의해 어느정도 온도가 상승한 피납땜부재의 온도가 온도센서(30)에 의해 측정된다. 이때의 온도를 x라고 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피납땜부재의 포인트는 곡선(20)과 온도(x)의 교점(P)의 위치로 된다. 이 포인트(P)가 정해지면, 납땜에 적합한 온도(t)에 달할 때까지에 요하는 시간(X)이 이 곡선(20)에서 산출되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납땜재 공급노즐의 송출대기시간(T)이 설정된다(S40).
다음에 스텝(S41)에 있어서, 가열버너에 대하여 전진의 지령이 부여되고 화염은 「강염」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스텝(S42)에 있어서 버너가 선단까지 이동하면 납땜재 공급노즐의 송출대기 타이머가 개시된다. 스텝(S40)에서 설정된 시간(T)까지 이 타이머가 카운트하여 타임업하면, 납땜재 공급노즐이 전진을 개시한다(S43).
납땜재 공급노즐이 전단까지 이동하면 와이어가 공급되고(S44), 와이어 공급타이머가 타임업하면 납땜재 공급노즐이 후퇴를 개시하고, 또한 그 화염이 「약염」으로 설정된다(S45). 그리고 가열버너에는 원래의 위치로의 복귀의 지령이 부여되고, 스텝(S46)에 있어서 가열버너의 원래의 위치로의 복귀가 완료하면, 화염은 점화상태로 변화하고 가열공정이 종료한다.
이와 같이 각 피납땜부재의 조마다 가열전의 온도가 측정되고, 도 5의 변환데이터에 의해 납땜재 공급노즐의 송출을 개시하는 타이밍이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이것에 의해 납땜은 제어된다. 따라서 납땜재 와이어가 공급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항상 피납땜부재의 온도가 소정온도에 달하는 것으로 되고, 납땜품질을 저하시킬 염려는 없다. 더욱이 이 송출타이밍은 납땜에 적합한 온도에 도달한 시점에 대응하기 때문에, 필요이상의 가열을 하는 일은 없고, 납땜에 요하는 시간을 적절히 단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열버너의 불필요한 가열이 없기 때문에, 가열버너에 공급되는 가연성가스 등의 쓸모없는 소비를 억제하는 것으로도 된다.
또한 피납땜부재의 형상, 재질 등이 변한 경우에는, 그 피납땜부재에 대한 데이터를 기억부(57)에서 읽어내므로써 적절히 납땜 타이밍이 제어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한 곡선(20)을 얻기 위해서 피납땜부재를 5조 사용하고 있는데, 반드시 5조가 필요한 것은 아니고 곡선을 근사식으로 규정하는데 필요한 최저수의 조의 피납땜부재를 이용해도 된다. 이것에 관련하여, 더욱 많은 피납땜부재의 조를 사용하면, 보다 정밀도가 높은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예열공정을 전제로 한 납땜장치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가열전에 피납땜부재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 온도에 근거해서 가열을 제어하는 사상은, 예열공정을 가지지않는 납땜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가열버너의 가열강도를 일정하게 하여, 가열시간으로 제어하고 있는데, 이것 대신에, 가열강도를 또는 가열강도 및 가열시간을 제어하여 피납땜부재를 소정온도까지 상승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를 위해서는, 테스트운전으로 얻어진 변환데이터로부터, 피납땜부재를 소정온도까지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가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데이터를 연산하여 이것을 보존하여 두도록 하면 좋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많은 변경과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화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말 할 것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의 국면에 의한 납땜장치는, 가열전의 피납땜부재의 온도에 근거하여 적절한 가열량이 산출되고, 이 가열량에 의해 가열수단이 제어되므로, 피납땜부재에 대하여 소정온도까지의 가열이 정확하게 되고, 납땜품질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 2의 국면에 의한 납땜장치는, 제 1의 국면에 의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예열이 실행되므로 소정 온도가 될 때 까지의 가열시간이 단축된다.
본 발명의 제 3의 국면에 의한 납땜장치는, 제 2의 국면에 의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실제로 피납땜부재와 동일한 것에 의해 변환데이터가 취득되므로, 통상 운전시에 있어서도 피납땜부재를 소정온도까지 정확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전의 피납땜부재의 온도에 분산이 있어도, 납땜품질을 저하시키지않는다.
본 발명의 제 4의 국면에 의한 납땜장치는, 제 3의 국면에 의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효율적으로 가열량이 산출되므로, 납땜장치의 자동화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5의 국면에 의한 납땜방법은, 가열전의 피납땜부재의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되기 때문에, 정확한 가열이 가능하게 되고, 납땜품질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 6의 국면에 의한 납땜방법은, 예열에 의해 상승한 가열전의 피납땜부재의 온도에 근거해서 가열되기 때문에, 정확한 가열이 가능하게 되고, 납땜품질을 향상시킨다.

Claims (6)

  1. 피납땜부재의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30),
    상기 피납땜부재를 가열하는 가열수단(43),
    피납땜부재를 검출시의 온도에 근거해서 소정 온도까지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가열량을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가지며, 상기 검출된 온도에 근거해서 상기 필요한 가열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가열량에 근거해서, 상기 가열된 피납땜부재를 상기 소정 온도로 되도록 상기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3),
    상기 소정온도로 된 피납땜부재를 납땜하는 납땜수단(5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납땜부재를 예열하는 예열수단(39)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예열된 상기 피납땜부재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예열된 상기 피납땜부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은,
    테스트운전시에 있어서 복수의 동일형상, 동일재질의 피납땜부재를 준비하고, 상기 예열수단에 의해 각각 상이한 온도로 예열하여 이것을 상기 검출수단으로 검출하고, 상기 예열된 온도로부터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에 의해 상기 소정온도로 될 때까지 요하는 가열시간을 각각 측정하고, 상기 검출된 각각의 온도와,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가열시간의 각각에 의해 규정되는 변환데이터(20)를 취득하고, 상기 변환데이터에 근거해서 통상 운전시에 검출된 피납땜부재의 온도로부터 상기 가열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근사식 또는 변환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1-0043987A 2000-08-03 2001-07-21 피납땜부재의 온도에 근거해서 가열량이 제어되는납땜장치 및 납땜방법 KR100436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35467A JP3441067B2 (ja) 2000-08-03 2000-08-03 ろう付装置
JPJP-P-2000-00235467 2000-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121A KR20020012121A (ko) 2002-02-15
KR100436640B1 true KR100436640B1 (ko) 2004-06-22

Family

ID=1872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987A KR100436640B1 (ko) 2000-08-03 2001-07-21 피납땜부재의 온도에 근거해서 가열량이 제어되는납땜장치 및 납땜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91908B2 (ko)
EP (1) EP1177849B1 (ko)
JP (1) JP3441067B2 (ko)
KR (1) KR100436640B1 (ko)
CN (1) CN1197678C (ko)
DE (1) DE60133861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988A (ko) * 2017-04-05 2018-10-15 주식회사 와이디산업 온도제어 방식 복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1067B2 (ja) 2000-08-03 2003-08-25 株式会社大進工業研究所 ろう付装置
KR100802342B1 (ko) * 2006-06-16 2008-02-14 윌테크놀러지(주) 비접촉식 검사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342386B2 (en) * 2006-12-15 2013-01-01 General Electric Company Braze materials and processes therefor
JP4685992B2 (ja) * 2007-01-23 2011-05-18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はんだ付け装置及びはんだ付け方法並びにはんだ付け用プログラム
US8367962B2 (en) * 2007-10-26 2013-02-05 Ariel Andre Waitzman Automated welding of moulds and stamping tools
US9776274B2 (en) 2007-10-26 2017-10-03 Ariel Andre Waitzman Automated welding of moulds and stamping tools
US9292016B2 (en) 2007-10-26 2016-03-22 Ariel Andre Waitzman Automated welding of moulds and stamping tools
WO2012088057A1 (en) 2010-12-21 2012-06-28 Carrier Corporation Automated brazing system with first and second set of burners
EP2673111B1 (en) 2011-02-07 2019-08-21 Carrier Corporation Brazing ring
CN102581419A (zh) * 2012-03-11 2012-07-18 佛山市泓实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效铜铁自动火焰钎焊机及其焊接方法
CN103100777B (zh) * 2013-02-27 2016-03-02 嵊州新锐大进焊接设备有限公司 加热时间自动辅正式自控温与自适应送丝火焰钎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9180A (en) * 1971-11-10 1976-11-02 Electrovert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Wave soldering with supported inclined wave
GB2078585B (en) * 1980-07-01 1984-11-07 Fillon Marc Pre heating filler metal in welding or brazing
JPS6051939B2 (ja) * 1981-06-02 1985-11-16 権士 近藤 噴流式はんだ槽
GB2117690B (en) * 1982-04-02 1986-01-08 Zevatron Gmbh Apparatus for soldering workpieces
US4632291A (en) * 1983-02-28 1986-12-30 Electrovert Ltd. Automatic wave soldering machine
JPH0677807B2 (ja) 1986-09-12 1994-10-05 富士通株式会社 鑞付装置
JPH0829406B2 (ja) 1986-09-26 1996-03-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ろう付装置
US4771929A (en) * 1987-02-20 1988-09-20 Hollis Automation, Inc. Focused convection reflow soldering method and apparatus
JP2712296B2 (ja) 1988-05-27 1998-02-10 ソニー株式会社 加熱炉の温度制御装置
US5096110A (en) * 1990-12-17 1992-03-17 Ford Motor Company Control system for vacuum brazing process
JP2528754B2 (ja) * 1991-05-13 1996-08-28 関東冶金工業株式会社 連続炉によるろう接方法
US5370531A (en) * 1992-08-27 1994-12-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tmospheric oven
US5443382A (en) * 1992-08-27 1995-08-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tmospheric oven
JP3330987B2 (ja) * 1992-11-10 2002-10-07 誠 西村 金属のろう付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439160A (en) * 1993-03-31 1995-08-08 Siemens Corporate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reflow oven settings for soldering a PCB
US5271545A (en) * 1993-03-31 1993-12-21 Seco/Warwick Corporation Muffle convection brazing/annealing system
US5882720A (en) * 1996-02-01 1999-03-16 Mpm Corporation Monitoring deposited pads
JP2802748B2 (ja) * 1996-05-17 1998-09-24 株式会社大進工業研究所 ガス流量制御装置及びろう付装置
US5797539A (en) * 1996-08-22 1998-08-25 Eastman Kodak Company Circuit board reflow ovens
US5971249A (en) * 1997-02-24 1999-10-26 Quad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ime/temperature profile inside of a reflow oven
JPH1154903A (ja) * 1997-07-31 1999-02-26 Fujitsu Ltd リフローソルダリング方法及びリフロー炉
JP3348639B2 (ja) * 1997-10-20 2002-11-20 富士通株式会社 リフロー炉内のハンダバンプの温度制御方法
US6036083A (en) * 1998-01-26 2000-03-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braze flux application
US6129258A (en) * 1999-02-16 2000-10-10 Seco/Warwick Corporation Muffle convection brazing and annealing system and method
JP3441067B2 (ja) 2000-08-03 2003-08-25 株式会社大進工業研究所 ろう付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988A (ko) * 2017-04-05 2018-10-15 주식회사 와이디산업 온도제어 방식 복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KR102001579B1 (ko) * 2017-04-05 2019-10-21 주식회사 와이디산업 온도제어 방식 복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37290A (zh) 2002-02-27
EP1177849A1 (en) 2002-02-06
DE60133861D1 (de) 2008-06-19
US6691908B2 (en) 2004-02-17
CN1197678C (zh) 2005-04-20
JP2002045990A (ja) 2002-02-12
JP3441067B2 (ja) 2003-08-25
US20020084309A1 (en) 2002-07-04
KR20020012121A (ko) 2002-02-15
EP1177849B1 (en)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640B1 (ko) 피납땜부재의 온도에 근거해서 가열량이 제어되는납땜장치 및 납땜방법
RU2015154971A (ru) Внутренняя сварочная машина с лазерной измерительной системой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CN105458445A (zh) 一种激光锡焊装置及焊接方法
CN108406114A (zh) 一种圆弧t型角接双面焊接方法
CN106270899A (zh) 多种材质组成的焊接材料激光焊接装置及焊接方法
EP0812645B1 (en) Gas flow rate control device and brazing device with flow rate control for first and second gas
JP5051900B2 (ja) 半導体レーザ溶着装置
CN113275688B (zh) 红外温度及影像视觉双重探测控制的感应加热铝钎焊方法
JP3483860B2 (ja) ろう付け方法及びろう付け装置
JPH04288966A (ja) 鏝式自動半田付装置
JPH02160191A (ja) レーザ加工装置
JP2020049532A (ja) 摩擦攪拌接合装置及び摩擦攪拌接合方法
JPH0394974A (ja) ろう付方法及びその装置
JP6258545B1 (ja) 合成樹脂製管体の溶着装置
JP3765861B2 (ja) 電極非消耗式溶接ロボット及びそれによるアーク溶接方法
JP3367110B2 (ja) 部品接続方法および部品接続装置
JPH11277263A (ja) レーザ溶接装置におけるティーチング方法、レーザ溶接方法およびレーザ溶接装置
JP3605605B2 (ja) ろう付装置及びろう付方法
JP2005254263A (ja) 光加熱装置とその制御方法
CN114123690B (zh) 一种电子转子加热装置
JP2004051405A (ja) ガラスパイプ端部加工装置及びガラスパイプ端部加工制御方法
JPH10339674A (ja) ハンダコテの温度測定方法およびハンダ付け装置
JPH10685A (ja) 管材融着機
JPH0875895A (ja) 燃料棒周溶接装置
JP6913367B2 (ja) 鏝先温度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