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268B1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268B1
KR100436268B1 KR10-2002-0026240A KR20020026240A KR100436268B1 KR 100436268 B1 KR100436268 B1 KR 100436268B1 KR 20020026240 A KR20020026240 A KR 20020026240A KR 100436268 B1 KR100436268 B1 KR 100436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cket
magnetron
pocket
microwave oven
wave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580A (ko
Inventor
박종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6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268B1/ko
Priority to DE60229622T priority patent/DE60229622D1/de
Priority to EP02255409A priority patent/EP1363475B1/en
Priority to CNB021297649A priority patent/CN1202378C/zh
Priority to US10/223,473 priority patent/US6784406B2/en
Publication of KR20030088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을 도파관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의 구조를 개선하여 마그네트론의 조립에 따른 작업공수가 줄어들도록 함은 물론, 고정브래킷의 지지가 보다 안정되게 하며, 마그네트론의 냉각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고정브래킷의 하단에 마련된 포켓을 통해 마그네트론과 고정브래킷의 조립시 스크류의 체결부위가 2개소로 줄어들도록 하여 마그네트론의 조립에 따른 작업공수를 절감시켜 전체적인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포켓의 주변에는 고정브래킷 하단의 강성을 보강시키기 위한 보강부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보강부는 고정브래킷의 하단이 도파관 측으로 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고정브래킷이 마그네트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에 마련되는 상기 관통공 및 지지부는 각각 고정브래킷에 고정되는 마그네트론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키고, 도파관에 대한 고정브래킷의 지지가 보다 안정되도록 하여 전체 전자렌지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전자렌지{MICRO 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을 도파관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의 구조를 개선하여 마그네트론의 조립에 따른 작업공수가 줄어들도록 함은 물론, 고정브래킷의 지지가 보다 안정되게 하며, 마그네트론의 냉각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를 조리실 내부로 방사하여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 변환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분자들 간의 마찰열로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전자렌지는 통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 및 본체(1)의 양측면과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덮개(2)를 구비하게 되는데, 덮개(2)로 덮여지는 본체(1)의 내부공간은 직육면체상의 내부케이스(3)에 의해 내부케이스(3) 내측의조리실(4)과 내부케이스(3) 외측의 전장실(5)로 양분된다. 이중 조리실(4) 내부에는 상면에 조리될 음식물이 올려지도록 하는 조리접시(4a)가 설치되며, 전장실(5)에는 고주파를 발진시켜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실(4) 내부로 방사하기 위한 마그네트론(6)과, 마그네트론(6)에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고압트랜스(5a) 및 고압콘덴서(5b) 등이 설치된다. 또한, 전장실(5)에는 마그네트론(6)과 고압트랜스(5a) 등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팬(5c) 및 마그네트론(6)으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를 조리실(4)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도파관(7)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도파관(7)은 내부케이스(3)의 측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전장실(5)에 마련되는 마그네트론(6)은 도파관(7)에 결합되어 조리실(4) 내부로 고주파를 방사하게 되며, 도파관(7)에는 마그네트론(6)을 고정하기 위한 판상의 고정브래킷(8)이 설치된다.
도 2에는 이러한 고정브래킷(8)과 마그네트론(6)의 상세한 구조가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8)은 얇은 판상으로 마련되며 중앙부에는 후술하게 될 마그네트론(6)의 안테나(6c)가 끼워지도록 하는 안테나수용홀(8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테나수용홀(8a)과 인접되는 부위의 고정브래킷(8) 측은 내부케이스(3)에 결합된 상기 도파관(7)에 고정브래킷(8)이 용접되도록 하는 용접부(8b)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용접부(8b)의 배면이 도파관(7)의 입구 측에 용접됨에 따라 고정브래킷(8)은 도파관(7)에 고정 지지된다. 또한, 상기 용접부(8b)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와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상측연장부(8c)와 하측연장부(8d)가 마련되며, 이러한 상측 및 하측연장부(8c,8d)에는 마그네트론(6)의 체결을 위해 암나사가 형성된 한 쌍의 체결홀(8e)이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브래킷(8)에 체결되는 상기 마그네트론(6)은 몸체(6a) 및 몸체(6a)의 일면을 이루며 상기 고정브래킷(8)과 접하게 되는 결합면(6b)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면(8b)의 중앙에는 몸체(6a) 내부에서 생성된 고주파를 상기 도파관(7) 내부로 방사하도록 상기 안테나수용홀(8a)에 끼워지게 되는 안테나(6c)가 마련된다. 안테나(6c)가 형성된 상기 결합면(8b)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고정브래킷(8)에 마련된 체결홀(8e)과 스크류 체결되도록 체결공(6f)을 구비하는 한 쌍의 상부체결부(6d) 및 하부체결부(6e)가 각각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래킷(8)의 각 체결홀(8e)에 마그네트론(6)의 각 체결공(6f)이 일치되도록 마그네트론(6)을 고정브래킷(8)의 전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체결공(6f) 및 체결홀(8e)에 스크류(9)를 삽입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마그네트론(6)은 고정브래킷(8)의 전면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고정브래킷(8)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상기 고정브래킷(8)은 상측연장부(8c) 및 하측연장부(8d)에 형성된 4개의 체결홀(8e)에 마그네트론(6)의 각 체결공(6f)을 통과한 스크류(9)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론(6)을 고정 지지하게 되는데, 4개로 마련되는 상기 모든 체결홀(8e)에 각각 스크류(9)를 체결시켜야 하는 상기 고정브래킷(8)의 구조는 마그네트론(6)의 조립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여 전자렌지의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그리고 이때, 각 스크류(9)는 일정한 순서대로 하나씩 체결하게 되는데, 상기 각 스크류(9)를 체결시키기 위해서는 마그네트론(6)의 체결공(6f)과 고정브래킷(8)의 체결홀(8e)이 일치되도록 마그네트론(6)의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번거로움 역시 마그네트론(6)의 조립작업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상기 구조에서는 고정브래킷(8)에 고정되며 다소 큰 무게를 갖도록 마련된 마그네트론(6)의 자체 무게가 하측으로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고정브래킷(8)의 상단이 마그네트론(6) 무게에 의해 마그네트론(6) 측으로 기울어지며 상측연장부(8c) 측 용접부(8b)가 도파관(7)으로부터 이격될 우려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때, 도파관(7)의 하측으로 연장된 고정브래킷(6)의 하단은 마그네트론(6)에 의해 도파관(7) 측으로 밀려 휘게 되기 쉽다.
또한, 도 1을 보면, 상기 냉각팬(5c)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각 전장품으로 전달시킴으로써, 고열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6)과 고압트랜스(5a) 등이 냉각되도록 하는데, 이때, 마그네트론(6)의 결합면(6b)은 상기 고정브래킷(8)에 가려지기 때문에, 마그네트론(6)의 다른 부위에 상대적으로 덜 냉각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브래킷(8)의 구조를 통해서는 상기 마그네트론(6)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그네트론이 조립되는 고정브래킷의 구조를 개선하여 마그네트론의 조립에 따른 작업공수가 줄어들도록 함은 물론, 고정브래킷의 지지가 보다 안정되게 하며, 마그네트론의 냉각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자렌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전자렌지의 고정브래킷과 마그네트론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고정브래킷과 마그네트론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고정브래킷과 마그네트론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 고정브래킷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내부케이스 60: 마그네트론
61: 몸체 62: 결합면
63: 안테나 64: 상부체결부
65: 하부체결부 66: 체결공
70: 도파관 80: 고정브래킷
81: 안테나수용홀 82: 용접부
83: 상측연장부 84: 하측연장부
85: 체결홀 86: 포켓
87: 절개부 88: 보강부
89: 관통공 90: 스크류
100: 지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와, 내측공간은 조리실을 형성하고 외측공간은 전장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조리실로 고주파를 공급하도록 고정브래킷을 개재하여 상기 전장실에 고정되는 마그네트론을 구비하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상기 체결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포켓이 마련되되, 상기 포켓과 인접된 부위의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휨 방지를 위한 보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포켓은 상기 고정브래킷이 절개되어 일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이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함몰되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포켓의 상부 및 양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켓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포켓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측보강부와, 상기 포켓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보강부와, 상기 포켓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보강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상기 전장실 내부와 상기 고정브래킷과 접하게 되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결합면이 통하도록 하는 관통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단에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지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공간이 조리실(40)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직육면체상의 내부케이스(30)와, 내부케이스(3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고정되는 전면패널(31) 및 후면패널(32)과, 내부케이스(30)의 하측에 결합되는 지지패널(33)을 포함하는 본체(10)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0)에는 본체(10)의 양측면과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덮개(2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내부케이스(30)는 본체(10) 내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지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내부케이스(30)에 의해 덮개(20)로 덮여지는 본체(10) 내부공간은 내부케이스(30) 내측의 조리실(40)과 내부케이스(30) 외측의 전장실(50)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30)는 조리실(40)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게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내부케이스(30)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전면패널(31)의 일측에는 도어(34)가 힌지결합 되며, 도어(34) 측면의 전면패널(31)에는 다수의 조작버튼이 마련된 컨트롤박스(35)가 전장실(5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내부케이스(3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조리실(40)과 전장실(50) 중 먼저 상기 조리실(40)에는 조리될 음식물이 안착되도록 하는 회전접시(41)가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장실(50)에는 조리실(40) 내부로 고주파를 방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들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장치들은 고주파를 발진시켜 조리실(40) 내부로 방사하기 위한 마그네트론(60)과 마그네트론(60)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트랜스(51) 및 고압콘덴서(52)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장실(50)에는 마그네트론(60)과 고압트랜스(51) 등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팬(53) 및 마그네트론(60)으로부터 발생된 고주파를 조리실(40)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도파관(7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도파관(70)은 내부케이스(30)의 측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전장실(50)에 마련되는 마그네트론(60)은 도파관(70)에 결합되어 조리실(40) 내부로 고주파를 방사하게 되며, 상기 도파관(70)에는 마그네트론(60)을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고정브래킷(80)이 용접가공을 통해 설치된다.
도 4 및 도 5에는 이러한 고정브래킷(80)과 마그네트론(60)의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론(60)은 내부에서 고주파를 생성하도록 마련된 몸체(61)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브래킷(80)과 대응하는 몸체(61)의 일면은 상기 고정브래킷(80)과 접하도록 마련된 결합면(6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결합면(62)의 중앙에는 몸체(60) 내부에서 생성된 고주파를 상기 도파관(70) 내부로 방출하기 위해 안테나(6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63)가 형성된 상기 결합면(62)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며 몸체(61)의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상부체결부(64)와 하부체결부(65)가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 및 하부체결부(64,65) 내부에는 각 체결부(64,65)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체결공(66)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마그네트론(60)이 결합되는 고정브래킷(80)은 상기 마그네트론(60)의 결합면(62)을 지지하도록 얇은 판상으로 마련되며, 중앙에는마그네트론(60)의 안테나(63)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안테나수용홀(81)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안테나수용홀(81)과 인접되는 부위의 고정브래킷(80) 측은 상기 도파관(70) 측에 고정브래킷(80)이 용접되도록 하는 용접부(82)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용접부(82)의 배면이 도파관(70)의 입구 측에 용접됨에 따라 고정브래킷(80)은 도파관(70)에 고정 지지된다. 또한, 상기 용접부(82)의 상단와 하단에는 각각 상부와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상측연장부(83)와 하측연장부(84)가 마련되는데, 상기 상측연장부(83)의 상단 좌우 양측에는 마그네트론(60)의 상부체결부(64)에 형성된 체결공(66)과 대응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홀(85)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하측연장부(84)의 하단 좌우 양측에는 마그네트론(60)의 각 하부체결부(65)가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한 쌍의 포켓(86)이 형성된다.
상기 포켓(86)은 상기 하측연장부(84)의 하단 일측에 고정브래킷(8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형성되는 절개부(87)를 형성한 후, 상기 절개부(87) 하측의 하측연장부(84)를 고정브래킷(80)의 전면 측으로 돌출시켜 형성된 것으로, 마그네트론(60)의 하부체결부(65)는 상기 절개부(87)를 통해 포켓(86)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포켓(86)에 걸려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포켓(86)의 위치는 마그네트론(60)의 하부체결부(65)를 포켓(86)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80)의 체결홀(85)과 마그네트론(60)의 상부체결부(64)에 형성된 체결공(66)이 일치되도록 하는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그네트론(60)의 각 하부체결부(65)를 고정브래킷(80) 하측연장부(84)의 포켓(86)에 끼워 고정시킨 후, 마그네트론(60) 상부체결부(64)의각 체결공(66) 및 고정브래킷(80)의 각 체결홀(85)에 스크류(90)를 체결시키면 상기 마그네트론(60)은 고정브래킷(80)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포켓(86)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고정브래킷(80)은 마그네트론(60)의 조립에 따른 스크류(90) 체결부위를 2개소로 감소시켜 마그네트론(60)의 조립에 따른 작업공수가 줄어들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조에서는 마그네트론(60)의 하부체결부(65)가 고정브래킷(80)의 포켓(86)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마그네트론(60)을 고정브래킷(80) 측으로 밀착시키기만 하면, 상기 고정브래킷(80)의 체결홀(85)과 마그네트론(60) 상부체결부(64)의 체결공(66)이 일치하게 되므로, 스크류(90)를 체결시키기 위해 상기 각 체결홀(85)에 상기 각 상부체결부(64)의 체결공(66)이 일치되도록 마그네트론(60)의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스크류(90) 체결의 용이함과 상기 작업공수의 절감은 결과적으로, 전체 전자렌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고정브래킷(80)의 하측연장부(84)는 상기 도파관(70)의 입구 외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마그네트론(6)의 무게가 전달되어 상기 도파관(7) 측으로 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포켓(86)과 인접된 부위의 고정브래킷(80)에는 상기 고정브래킷(80)의 하측연장부(84) 측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88)가 마련된다.
이러한 보강부(88)는 고정브래킷(80)의 배면으로 소정깊이 함몰되도록 일종의 비드형상으로 마련된 것으로, 도 6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포켓(86)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보강부(88a) 및 상기 포켓(86) 사이에 형성되는중앙보강부(88b)와, 상기 포켓(86)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보강부(88c)가 일체로 마련된다. 따라서 각각의 포켓(86)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상기 보강부(88)는 상기 하측연장부(84) 측 고정브래킷(80)의 강성을 보강시켜 마그네트론(60)으로부터 고정브래킷(80) 하단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고정브래킷(80)의 하측연장부(84)가 도파관(70) 측으로 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때, 상기 절개부(87)는 상기 고정브래킷(8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만큼, 절개부(87)가 형성된 부위의 상기 고정브래킷(80)은 다른 부위에 비해 다소 강성이 떨어지게 되나, 이러한 절개부(87) 측 고정브래킷(80)의 강성도 상기 보강부(88)에 의해 보강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보강부(88b) 및 각 측면보강부(88c)는 상기 상측보강부(88a)로부터 각 포켓(86)의 측면으로 연장되되, 상기 절개부(87)의 위치보다 다소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고정브래킷(80)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포켓(86)을 통해 마그네트론(60)과 고정브래킷(80)의 조립시 사용되는 스크류(90)의 체결부위가 2개소로 줄어들도록 하여 마그네트론(60) 조립에 따른 작업공수가 절감되도록 함은 물론, 스크류(90)의 체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포켓(86)과 인접하도록 형성된 상기 보강부(88)는 상기 하측연장부(84)가 도파관(70) 측으로 휘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절개부(87) 측 고정브래킷(80)의 강성을 보강시키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홀(85) 하측의 고정브래킷(80) 상측연장부(83)에는 고정브래킷(80)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다수개의 관통공(89)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89)은 고정브래킷(80)에 가려지는 마그네트론(60)의 결합면(62)이 상기 전장실(50)과 통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89)에 의해 냉각팬(53)의 작용에 의해 전장실(5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마그네트론(60)의 결합면(62) 일측으로도 전달되어 마그네트론(60)의 냉각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조에서는 고정브래킷(80)에 고정되며 다소 큰 무게를 갖도록 마련된 마그네트론(60)의 자체 무게가 하측으로 작용하게 되어, 얇은 판상으로 마련되는 상기 고정브래킷(80)의 상단이 상기 마그네트론(60) 측으로 기울어게 될 우려가 생기는데, 이렇게 될 경우, 고정브래킷(80)의 상단이 마그네트론(60) 측으로 기울어지며 상측연장부(83) 측 용접부(82)가 도파관(70)으로부터 이격될 우려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고정브래킷(80) 상단에는 도파관(70)에 대한 고정브래킷(80)의 지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지지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100)는 고정브래킷(80)의 상측연장부(83) 상단으로부터 상기 내부케이스(30) 측으로 수직 연장되어 상기 내부케이스(30)의 상면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지지부(100)는 용접이나 스크류체결을 통해 내부케이스(30)의 상면에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부(100)는 고정브래킷(80)의 상단을 지지하여 마그네트론(60)의 무게로 인해 고정브래킷(80)의 상단 측이 마그네트론(60) 측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용접부(82)가 도파관(7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80)에 마련되는 상기 관통공(89) 및 지지부(100)는 각각 고정브래킷(80)에 고정되는 마그네트론(60)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키고, 고정브래킷(80)의 지지가 보다 안정되도록 하여 전체 전자렌지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고정브래킷의 하단에 마련된 포켓을 통해 마그네트론과 고정브래킷의 조립시 스크류의 체결부위가 2개소로 줄어들도록 하여 마그네트론의 조립에 따른 작업공수를 절감시켜 전체적인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포켓의 주변에는 고정브래킷 하단의 강성을 보강시키기 위한 보강부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보강부는 고정브래킷의 하단이 도파관 측으로 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고정브래킷이 마그네트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80)에 마련되는 상기 관통공(89) 및 지지부(100)는 각각 고정브래킷(80)에 고정되는 마그네트론(60)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키고, 도파관에 대한 고정브래킷(80)의 지지가 보다 안정되도록 하여 전체 전자렌지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Claims (6)

  1. 본체와, 내측공간은 조리실을 형성하고 외측공간은 전장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조리실로 고주파를 공급하도록 고정브래킷을 개재하여 상기 전장실에 고정되는 마그네트론을 구비하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상기 체결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일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포켓과, 상기 포켓의 양측면에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보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고정브래킷이 절개되어 일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상부면에 상기 포켓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포켓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측보강부와, 상기 포켓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보강부와, 상기 포켓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보강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상기 전장실 내부와 상기 고정브래킷과 접하게 되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결합면이 통하도록 하는 관통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단에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지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10-2002-0026240A 2000-05-13 2002-05-13 전자렌지 KR100436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240A KR100436268B1 (ko) 2002-05-13 2002-05-13 전자렌지
DE60229622T DE60229622D1 (de) 2002-05-13 2002-08-01 Mikrowellenofen
EP02255409A EP1363475B1 (en) 2002-05-13 2002-08-01 Microwave oven
CNB021297649A CN1202378C (zh) 2002-05-13 2002-08-13 微波炉
US10/223,473 US6784406B2 (en) 2000-05-13 2002-08-20 Microwave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240A KR100436268B1 (ko) 2002-05-13 2002-05-13 전자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580A KR20030088580A (ko) 2003-11-20
KR100436268B1 true KR100436268B1 (ko) 2004-06-16

Family

ID=2926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240A KR100436268B1 (ko) 2000-05-13 2002-05-13 전자렌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84406B2 (ko)
EP (1) EP1363475B1 (ko)
KR (1) KR100436268B1 (ko)
CN (1) CN1202378C (ko)
DE (1) DE6022962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7963A2 (ko) * 2009-09-01 201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기기
EP4099801A1 (en) * 2021-06-04 2022-12-07 Whirlpool Corporation Microwave oven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6151U (ko) * 1973-07-27 1975-04-16
JPS5362947U (ko) * 1976-10-29 1978-05-27
JPH05114478A (ja) * 1991-10-22 1993-05-07 Toshiba Corp 高周波加熱装置
KR950019914U (ko) * 1993-12-29 1995-07-24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 설치구조
KR960015068U (ko) * 1994-10-07 1996-05-17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 취부구조
KR970044122U (ko) * 1995-12-27 1997-07-31 전자렌지의 도파관 보강지지 구조
KR19990010446U (ko) * 1997-08-29 1999-03-15 전주범 전자렌지용 마그네트론의 설치구조
KR20000006477U (ko) * 1998-09-16 2000-04-15 전주범 끼움 결합구조를 갖는 전자렌지의 도파관 브라킷과 요크 브라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8790U (ko) * 1986-03-29 1987-10-08
US4701586A (en) * 1986-05-30 1987-10-20 Litton Systems, Inc. Magnetron mounting system
KR0119927Y1 (ko) * 1995-06-29 1998-08-01 김광호 컨백션 전자렌지
US5548105A (en) * 1995-07-10 1996-08-20 Fidelitone Inc. Universal magnetron assembly for microwave oven
JPH09145062A (ja) * 1995-11-22 1997-06-06 Toshiba Corp 電子レンジ
KR100218957B1 (ko) * 1997-02-10 1999-09-01 윤종용 전자렌지의 고주파 누설방지장치
KR100301902B1 (ko) 1997-11-15 2001-11-22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마그네트론 장착구조
KR19990079724A (ko) * 1998-04-08 1999-11-05 윤종용 전자렌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6151U (ko) * 1973-07-27 1975-04-16
JPS5362947U (ko) * 1976-10-29 1978-05-27
JPH05114478A (ja) * 1991-10-22 1993-05-07 Toshiba Corp 高周波加熱装置
KR950019914U (ko) * 1993-12-29 1995-07-24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 설치구조
KR960015068U (ko) * 1994-10-07 1996-05-17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 취부구조
KR970044122U (ko) * 1995-12-27 1997-07-31 전자렌지의 도파관 보강지지 구조
KR19990010446U (ko) * 1997-08-29 1999-03-15 전주범 전자렌지용 마그네트론의 설치구조
KR20000006477U (ko) * 1998-09-16 2000-04-15 전주범 끼움 결합구조를 갖는 전자렌지의 도파관 브라킷과 요크 브라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9622D1 (de) 2008-12-11
CN1459588A (zh) 2003-12-03
US6784406B2 (en) 2004-08-31
CN1202378C (zh) 2005-05-18
EP1363475A2 (en) 2003-11-19
KR20030088580A (ko) 2003-11-20
US20030209543A1 (en) 2003-11-13
EP1363475B1 (en) 2008-10-29
EP1363475A3 (en)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268B1 (ko) 전자렌지
KR100260723B1 (ko) 전자렌지
KR19980074659A (ko) 전자레인지
KR100420332B1 (ko) 전자레인지의 도파관용 용접홀 차폐구조
KR100392399B1 (ko) 전자렌지의 컨트롤 박스
KR200153351Y1 (ko) 전자렌지의 외상 조립구조
KR200183823Y1 (ko) 전자렌지
KR20030079594A (ko) 전자레인지의 도파관 장착구조
KR20050098988A (ko) 전자렌지
KR100207244B1 (ko) 전자렌지
KR0135050Y1 (ko) 전자레인지용 전원코드 조립구조
KR100265625B1 (ko) 전자렌지의 고압 콘덴서 고정구조
KR100285862B1 (ko) 전자렌지의캐비넷조립체
KR19990021538A (ko) 전자렌지의 백커버 취부구조
KR100562103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판넬 결합구조
KR200165771Y1 (ko) 전자 렌지의 스터러 커버 고정 구조
KR19980015104U (ko) 전자렌지
KR19990026284A (ko) 전자렌지의 회로기판 체결구조
JPH10294149A (ja) 電子レンジ
KR19990033685A (ko) 전자 렌지의 마그네트론 고정 구조
KR19990021453A (ko) 전자렌지
KR19990030658U (ko) 전자렌지의 콘트롤 패널 조립구조
KR19980030338U (ko) 전자렌지의 콘트롤패널 조립구조
KR19980022686U (ko) 전자렌지용 마그네트론 조립체
KR20000005832U (ko)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