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002B1 - 업무용 취반기 및 그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업무용 취반기 및 그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002B1
KR100436002B1 KR10-1998-0001755A KR19980001755A KR100436002B1 KR 100436002 B1 KR100436002 B1 KR 100436002B1 KR 19980001755 A KR19980001755 A KR 19980001755A KR 100436002 B1 KR100436002 B1 KR 100436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button
reservation
cook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674A (ko
Inventor
게이이찌 산뻬이
노부히데 야나가와
긴이찌 무라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19980070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취반 코스를 설정 가능하고 해당 코스의 시각을 예약 가능하게 한 업무용 취반기를 제공한다.
설정 버튼(설정 스위치)의 조작으로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한 후가 아니면 예약 버튼(예약 스위치)을 조작할 수 없는 전기적 인터로크 수단을 제어부에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업무용 취반기 및 그 운전 방법
본 발명은 업무용 취반기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하여 레스토랑, 초밥집, 식당 등의 다량 취반을 행하는 데 이용되는 것이다.
다량 취반을 행하는 업무용 취반기로서 특허 제2509384호 공보로 개시의 기술이 있고, 소위 「라이스로보(등록 상표)」로서 시장에서 활약하고 있는 것은 당업계에 있어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업무용 취반기는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하는설정 버튼(설정 스위치)과, 예약 시각을 설정하는예약 버튼(예약 스위치)과, 취반 개시를 설정하는개시 버튼(개시 스위치)을 표시 패널에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버튼(스위치)을 조작하는 것으로 제어부를 마이크로컴퓨터 처리하여 운전하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취반 모드(취반 코스)라함은, 쌀의 계량에서부터 밥이 완성될 때까지를 자동적으로 1회 또는 2회 행하는 자동 1회 또는 2회 모드(코스)와, 계량에서부터 취반기내에서의 불리기까지를 자동으로 행하고, 언제라도 취반할 수 있는 준비(점화 OK)를 행하는 취반 준비 모드(코스)와, 예비의 취반기 등으로 한번에 많은 밥을 취반할 때에 사용되는 계량에서부터 세미 완료까지를 자동으로 행하는 세미 모드(코스)를 말하고(이하 같음), 업자(사용자)가 구매객의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각 코스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 예약 시각을 설정한다라고 함은, 필요한 예약 시각(오늘, 내일, 모레 등 요일의 설정과 그들의 시각 설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자동 1회 모드시는 밥이 완성될 시각, 자동 2회 모드시는 1회째 운전의 밥이 완성될 시각, 취반 준비 모드시는 취반기의 점화 OK 시각, 세미 모드시는 세미 완료의 시각을 각각 설정하는 것이다(이하 같음).
상술한 종래의 업무용 취반기에서는 취반 모드의 설정(선택)이 가능함과 동시에, 예약 운전도 가능한 점으로부터 업자의 노동력 절감화, 에너지 절약화 등에 기여하고, 건전한 경영 자세가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예약 운전을 행하는 경우, 우선 전원 스위치를 켜서 본체의 시계를 확인한 후 예약 버튼(스위치)을 조작하고 나서 설정 버튼(스위치)으로 모드를 설정하는 운전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모드 설정(상기의 자동 1회, 2회, 취반 준비, 세미)에는 각각 시간차(세미<취반 준비<자동의 시간차가 있다)가 있고, 예약 준비할 때 모드 설정하는데에는 시간적 여유가 없는(예약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때에는 예약을 취소하여 다른 예약 시각을 다시 설정하는 조작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즉시 개시 운전, 예약 운전을 행하는 경우더라도, 우선,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한 후가 아니면 운전할 수 없도록 하여 조작의 번거로움(설정 도중에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조작)을 해소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1은 취반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2는 취반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3은 설정 표시부와 조작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4는 자동 취반을 설정한 공정 표시부와 조작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5는 수동 착화 공정 표시부의 정면도.
도6은 세미 준비 공정 표시부의 정면도.
도7은 예약 설정 표시부의 정면도.
도8은 예약 공정 표시부의 정면도.
도9는 관리 설정 표시부의 정면도.
도10은 관리를 설정한 공정의 정면도.
도11은 플로우 전반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플로우 후반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취반기
12 : 화면부
13 : 조작부
14 : 화면부
33 : 설정 표시부
34 : 공정 표시부
36 : 예약 버튼(스위치)
37 : 설정 버튼(스위치)
39 : 개시 버튼(스위치)
40 : 선택 버튼(스위치)
본 발명은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하는 설정 버튼(설정 스위치)과, 예약 시각을 설정하는 예약 버튼(예약 스위치)과, 취반 개시를 설정하는 개시 버튼(개시 스위치)을 표시 패널에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버튼(스위치)을 조작함으로써 제어부를 마이크로컴퓨터 처리하여 운전하는 업무용 취반기에 있어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운전 방법은 설정 버튼(설정 스위치)의 조작으로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한 후가 아니면 예약 버튼(예약 스위치) 또는 개시 버튼(개시 스위치)을 조작할 수 없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예약 운전 또는 즉시 개시 운전의 전에 반드시 코스(자동, 취반 준비, 세미)의 설정 내용을 표시(확인)하는 점으로부터 잘못된 코스 설정에 의한 예약 운전 또는 개시 운전을 하는 일이 없고, 자동 취반 완료, 취반 준비 완료, 세미 완료의 시각(일시)을 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운전 방법은 예를 버튼을 조작하여 예약 시각을 설정할때, 현재 시각에 취반 모드(취반 코스)의 작업 시간을 가산하여 예약 시각까지의시간이 짧을 때에는 예약 불능의 메세지를 행함으로써, 예약 시각을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메세지라 함은, 「예약 시간에 여유가 없습니다」라고 하는 문자 표시를 비롯하여, 소리, 빛에 의한 보고(경보)를 말하고, 이들을 겸하여 행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예약의 설정이 종료하면 개시 버튼(스위치)을 조작하여 「예약 완료」를 표시하는 것(문자 표시, 소리, 빛에 의한 표시)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업무용 취반기는 설정 버튼(설정 스위치)의 조작으로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한 후가 아니면 예약 버튼(예약 스위치) 또는 개시 버튼(개시 스위치)을 조작할 수 없는 전기적 인터로크 수단을 제어부에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상술한 운전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전기적 인터로크 수단을 조립한다 하여도 부품 비용은 그다지 높지 않고, 성능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전기적 인터로크 수단은 전기(전자를 포함한다) 회로이며 제어부(제어 회로)에 간단히 조립 가능하고, 또 설정 버튼(스위치)을 먼저 조작하였을 때에는 해당 인터로크는 기능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이상에 있어서 설정 버튼(스위치)이라 함은 코스 설정 버튼(스위치)과 코스 선택 버튼(스위치)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취반기(1)의 전체를 측면에서 보아 도시하고 있는 도1 및 정면에서 보아(앞면에서 보아) 도시하고 있는 도2에 있어서, 해당 취반기(1)는 본체 프레임(2)을 갖고, 해당 프레임(2)의 하부에 차륜, 구체적으로는 캐스터(3)가 설치되어 있어 이동 가능하고, 소정 위치에 설치했을 때에는 차륜을 로크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2)의 상부에 쌀 저장부(4), 쌀 저장부(4)의 하방에 세미부(5), 세미부(5)의 하방에 취반부(6)가 종방향으로 줄지어 구비되어 있다.
쌀 저장부(4)는 깔때기형의 쌀 저장 탱크(7)를 구비하고 있고, 해당 탱크(7)의 하부에는 계량 드럼(8)이 구비되어 있고, 해당 드럼(8)은 모터(9)에 의하여 횡축 회전으로 회전 구동되어 그 회전수에 의하여 취반량이 계량 가능하다.
쌀 저장 탱크(7)는 그 상부에 개폐 가능한 뚜껑(10)을 갖고, 이 뚜껑(10)을 열어 쌀이 보급 가능하고, 해당 탱크 내부에는 쌀의 양을 검출하는 검출기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모터(9)에는 그 회전량(수)을 검출하는 계량 검출기가 설치되어 있다.
쌀 저장부(4)는 본체 프레임(2)의 상부에서 대략 상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앞면(정면)에는 개폐 가능한 표시 패널(11)이 구비되어 있고, 이 표시 패널(11)의 앞면에 도3 내지 도8에 도시하는 평면 표면 장치에 의한 화면부(12)와 조작부(13)를 갖는 제어부(14)가 구비되어 있고, 이 제어부(14)에 대해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쌀 저장부(5)는 계량 드럼(8)으로부터 공급된 계량미를 받아 들여 씻는 깔때기형의 세미 탱크(15)를 구비하고 있고, 해당 탱크(15)의 하부에는 배미구를 갖고, 해당 배미구는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개폐 가능한 원추형으로 도시되어 있는 배미 밸브(16)를 구비하고 있다.
배미판(16)은 세미 탱크(15)의 중심(축심)상에 배치한 밸브 로드(17)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어, 해당 밸브 로드(17)을 그 상부에 구비한 모터, 캠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판 구동체(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상하 움직이는 것으로 배미 밸브(16)에 의하여 배미구를 개폐 가능하다.
밸브 로드(17)에는 중공축이 관통 삽입되어 있고, 이 중공축에는 교반봉(18)을 구비하고 있고, 모터, 베벨 기어 등의 교반 구동체(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중공축을 그 축심 주위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교반봉(18)에 의하여 세미 탱크(15) 내에서의 계량미를 세미 가능하게 하고 있다.
세미부(5)에는 탱크(15)의 상부에 급수 노즐(19)을 구비하고 있고, 이 노즐(19)은 전자 밸브(20)를 갖는 배관계(21)를 거쳐서 수도 꼭지 등의 압력수원에 접속되어 있어, 세미에 필요한 수량의 조정, 취반에 필요한 물 가감 등이 조정 가능하다.
또, 세미 탱크(15)의 하부에는 배수 커버(22)를 구비하고 있고, 이 커버(22)에는 개폐 가능한 배수판을 내장한 배수 상자(23)를 갖는 배수 장치에 접속되어 있어, 세미후의 오수 등은 기계 밖으로 방출 가능하다.
취반부(6)는 본체 프레임(2)의 하부에 있어서 전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된 가대(24)상에 적재되어 있고, 가스, 전기 등의 풍로부(25)와 외부 솥(26) 및 이 외부 솥(26)에 삽입 탈락 가능한 내부 솥(27)을 구비하고 있고, 이 내부 솥(27)에 세미부(5)에 의하여 세미되고 또 계량된 쌀을 물 가감하여 받아 들이기 가능하다.
내부 솥(27)은 뚜껑(28)에 의하여 취반증은 압력하에 보유 가능하고, 이 실시예에서는 뚜껑(28)을 취반기(1)에 남긴 채 취반부(6)를 분리 가능하게 하고 있고, 이 때문에 뚜껑(28)에는 구동 모터(29)에 의하여 개폐 가능한 커버 장치(30)를 가지고 있고, 이 커버 장치(30)를 갖는 뚜껑(28)은 개폐 레버(31)의 상하 움직임으로 링크(32)를 거쳐서 상하 움직임 가능하고, 이들은 종래예와 마찬가지이고, 풍로부(25)는 수동 착화와 자동 착화가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3 내지 도8을 참조하면 화면부(12)와 조작부(13)를 갖는 제어부(14)가 상세하게 예시되어 있고, 화면부(12)에는 도3에 도시한 자동 취반을 설정하는 설정 표시부(33)와,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자동 취반의 흐름을 표시하는 공정 표시부(34) 및 도7 및 도8에 도시한 예약 표시부(35)와 도9 및 도10에 도시한 관리 표시부(35A)로 전면 절환 가능하다.
조작부(13)는 예약 버튼(스위치)(36), 설정 버튼(스위치)(37), 취소 버튼(스위치)(38), 개시 버튼(스위치)(39)을 화면부(12)의 하방 위치에서 가로로 나란히 배치하고 있는 동시에, 선택 버튼(스위치)(40) 및 관리 버튼(스위치)(41)을 화면부(12)의 우측방 위치(좌측방 위치라도 가능)에 배치하고, 여기에 조작부(13)를 조작중에 화면부(12)가 오퍼레이터(작업자)의 팔, 손에 의하여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고, 또 조작부(13)에는 도2에서 도시하고 있는 주요 스위치(42)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하는 설정 버튼(설정 스위치)(37)과, 예약 시각을 설정하는 예약 버튼(예약 스위치)(36), 취반 개시를 설정하는 개시 버튼(개시 스위치)(39)을 표시 패널에 구비하고, 상기 각 버튼(스위치)(36 내지 39)을 조작하는 것으로 제어부(14)를 마이크로컴퓨터 처리하여 운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설정 버튼(설정 스위치)(37)의 조작으로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한 후가 아니면 예약 버튼(예약 스위치)(36) 또는 개시 버튼(개시 스위치)(39)을 조작할 수 없는 전기적 인터로크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제어부(14)에 구비하고 있다.
화면부(12)는 도면에서는 가로로 긴 장방형이고, 설정 표시부(33)는 그 상단 좌란에 「코스 설정」등의 문자 표시부(33A), 상단 우란에 「운전중인가」의 문자 표시부(33B)를 구비하고 있고, 중단 좌란에는 위에서부터 밑으로 걸쳐서 「취반량」, 「물 가감」, 「씻는 방법」, 「모드」, 「계량」, 「뜸들이기」 각 문자 표시부 (33C)를 구비하고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중단 우란에 「취반량(도면에서는 4.5되와 1.8L의 리터 표시」, 「물 가감량의 다소」, 씻는 방법은 「가볍게, 보통, 정성 들여」, 모드는 「자동 1회, 자동 2회, 준비, 세미」, 계량 및 뜸들이기는 각각 시간 표시등의 문자 표시부(33D)로 되어 있고, 하단에는 다음의 작업 지시(메세지) 표시부(도면에서는 「설정후, 개시 또는 예약을 누른다」를 지시하고 있다)(33E)가 각각 구획되어 있고, 이들 표시부는 모두 평면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 패널(PDP) 등으로 되어 있다.
선택 버튼(40)은 그 중심에 선택 주버튼(40A), 그 상하에 상하 절환 선택 버튼(40B, 40C), 그 좌우에 좌우 증감 절환 선택 버튼(40D, 40F)을 가지고 있다.
즉, 조작부(13)에 있어서의 설정 버튼(37)을 ON으로 하면, 화면부(12)는 설정 표시부(33)로 되고, 이 설정 표시부(33)에 있어서 선택 버튼(40)을 ON으로 함으로써 코스와 설정이 선택된다.
취반량을 설정하는데에는 선택 버튼(40)의 ON에 의하여 먼저 「취반량」이 표시되므로, 그 취반량을 증감할 때에는 좌우 증감 선택 버튼(40D, 40E)을 조작함으로써 희망(설정)한 취반량이 표시부(33D)의 상단에 문자 표시되고, 다음에 절환 선택 버튼(40C)을 ON으로 하면 표시부(33C)는 「물 가감」을 표시하고, 이어서 좌우 증감 절환 버튼(40D, 40E)을 조작함으로써 물 가감이 설정되고, 이하, 같은 요령으로 「씻는 방법」, 「모드」, 「계량」, 「뜸들이기」과 버튼(40C)을 조작하여 절환함과 동시에 버튼(40D, 40E)을 그 때마다 조작함으로써 취반이 희망대로 설정되어, 마지막에 메세지가 표시부(33E)에 문자 표시되는 것이다.
또, 설정을 도중에 변경할 때에는, 버튼(40B)을 조작하고, 표시부(33C)를 순차적으로 절환하여 예를 들어 「씻는 방법」 선택하고, 「가볍게」에서 「정성들여」의 버튼(40E)으로 변경하여 하단으로 진행하는 것이고, 이 표시에 있어서 문자 부분을 둘러싸 표시하거나 반전 표시하여도 좋고, 어느쪽으로 하여도 설정 코스의 각 부를 개개로 표시하는 것이다.
표시부(33E)에서 메세지가 표시되면, 개시 버튼(39) 또는 예약 버튼(36)을 ON으로 함으로써, 화면부(12)는 도2 내지 도6에 도시하는 공정 표시부(34) 또는 도7 및 도8에서 도시하는 예약 표시부(35)로 전면 절환 가능함과 동시에 관리 버튼(41)을 조작하면 관리 표시부(35A)로 전면 절환 가능하다.
도4에 도시한 공정 표시부(34)는 자동 2회로 4되를 설정한 것이고, 도5에 도시한 공정 표시부(34B)는 수동 착화를 설정한 것이고, 도6에 도시한 공정 표시부(34C)는 세미 준비를 설정한 것이고, 모든 표시부에 있어서도 화면 상단에는설정표시란(34C), 화면 중단 좌란에는 공정의 흐름 표시란(34D)과 취반기의 전체 형상을 그린 도형 표시부(34E)와 화면 상단에는 메세지 표시부(34F)를 갖고, 도형 표시부(34E)에는 각각의 공정중임을 램프 표시하는 표시부(34C)를 갖고, 이 램프 표시부(34G)는 공정의 흐름을 흑백 반전으로 표시(공정중은 흑색으로, 공정외는 백색으로 표시)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표시란(34D)의 공정 문자를 흑백 반전 표시 또는 둘러싸임 표시(문자를 둘러싸는 표시)하고, 공정의 이상은 예를 들어 점멸 표시 등을 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4에서는 공정의 흐름의 하나인 「세미」의 문자를 둘러싸는 동시에 세미 상당부를 흑색 표시하고 있는 것이고, 도5에서는 「취반」의 문자를 둘러싸는 동시에 취반 상당부를 흑색 표시하고 있는 것이고, 도6에서는 「준비 완료」의 문자를 둘러싸음과 동시에 완료 상당부를 흑색 표시하고 있는 것이다.
즉, 설정 버튼(37)을 ON으로 하여 설정 표시부(33)를 화면부(12)에 액정 등으로 나타내고, 선택 스위치(40)를 조작하여 취반 공정을 취반량 등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정하여, 개시 버튼(39)을 조작하면 도4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2회로 4되의 계량에서부터 취반 완료까지의 공정을 도시한 공정 표시부(34)로 전면 절환되고, 설정 표시부(33)에서 수동 착화를 설정하였을 때에는 도5에 도시하는 공정 표시부(34A)가, 설정 표시부(33)에서 세미 준비를 설정하였을 때에는 도6에 도시하는 공정 표시부(34B)가 각각 전면 절환으로 액정 등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설정 버튼(37)을 조작하고 나서 예약 버튼(36)을 조작하면, 화면부(12)는 도7에 도시하는 설정 표시부(35)와 전면 절환되고 이 상태에서 선택 버튼(40)을 조작하는 것으로 도7에 예시한 문자가 액정 등으로 표시되고, 도면에서는 다음날의 12시 30분에 예약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 때, 예약 시간에 여유가 없을 때에 개시 버튼(39)을 조작하면, 시분 표시부에 최단 시간을 표시함과 동시에 메세지 표시부(도7의 하단)에 「시분에 여유가 없습니다」의 문자에 의한 메세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소리, 빛에 의한 경보를 행하는 것이고, 예약 시간에 여유가 있을 때(예약 가능할 때)에 개시 버튼(39)을 조작하면 도8에 도시하는 예약 설정 표시부를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표시하는 것이고, 이 때 취소 버튼(38)을 조작하면 예약 설정 화면(도7의 화면)으로 되돌아가고, 예를 들어 10초간 표시하고, 이 사이에 선택 버튼(40)에 의하여 다시 예약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관리 버튼(41)을 조작하면 화면부(12)는 도9에 도시하는 관리 표시부(35A)에 처리하는 부분을 표시(도면에서는 잔미 처리 문자를 둘러싸고 있다)하고, 처리 종료 또는 10초간 표시하고 표시를 지움과 동시에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시각 설정 표시부(35A)로 전면 절환되고, 시각은 선택 버튼(40)으로 설정되어, 개시 버튼(39)을 조작하면 그 시각은 확정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를 갖는 취반기의 운전 방법은 우선 처음에 설정 버튼(37)을 조작하여 코스의 설정을 행하고, 즉 버튼(37)을 눌러 설정 표시부(33)를 화면부(12)에 나타내고 선택 버튼(40)에 의하여 코스를 설정한 후 예약 버튼(36)을 조작하여 도7의 표시 화면부(35)를 나타내고 선택 버튼(39)으로 예약 시간 등을 선택하여 도8에 도시하는 화면부(36)를 나타내고 나서, 개시버튼(39)을 조작하여 예약 완료함과 동시에 공정 표시부(34)로 전면 절환하여 운전하는 것이고, 이것에 의하면 작업 완료(취반 완료(자동 취반), 준비 완료(세미 준비), 세미 완료(세미)의 모드 선택으로 시간에 차가 있다)의 시간을 예약할 수 있고, 또 예약전에 코스의 설정 내용을 표시하게 되어 잘못된 코스 설정에 의한 예약을 하는 일도 없는 것이다.
즉,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하는 설정 버튼(설정 스위치)(37)과, 예약 시각을 설정하는 예약 버튼(예약 스위치)(36)과, 취반 개시를 설정하는 개시 버튼(개시 스위치)(39)을 표시 패널에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버튼(스위치)(36 내지 39)을 조작함으로써 제어부(14)를 마이크로컴퓨터 처리하여 운전하는 것으로 설정 버튼(설정 스위치)(37)의 조작으로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한 후가 아니면 예약 버튼(예약 스위치)(36)을 조작할 수 없도록 하고 있는 것이고, 또 예약 버튼(36)을 조작하여 예약 시각을 설정할 때, 현재 시각에 취반 모드(취반 코스)의 작업 시간을 가산하여 예약 시각까지의 시간이 짧을 때에는 예약 불능의 메세지를 행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메세지는 문자 표시라도, 소리, 빛으로의 경고라도 좋다.
도11을 도12를 참조하여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플로우(공정)를 설명하면, 먼저 오퍼레이터가 주스위치(42)를 켜면 제어부(14)의 마이크로컴퓨터 장치 스위치가 ON 되어 이하의 플로우로 제어된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설정 버튼(37)을 ON으로 하면 화면부(12)에는 도3에 도시한 표시부(33)가 나타나고, 선택 스위치(40)의 조작으로 먼저 코스의 설정을 행한다.
예약을 할 때에는 예약 버튼(36)을 눌러 예약 시각을 세트하고, 예약하지 않을 때에는 개시 버튼(39)을 누른다(현재 시각 세트 등은 관리 스위치(41) 등으로 별도 행한다).
개시 버튼(39)을 누르면 화면부(12)는 도4 내지 도6의 공정 표시부(34, 34B, 34C)로 전면적으로 절환되고, 선택 스위치(40)로 설정한 코스가 표시되고, 예약 버튼(36)을 누르고 있을 때에는 예약 공정으로 들어가, 소정의 설정 시각이 되면 계량 공정으로 진행하고, 예약 버튼(36)을 조작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즉각 계량 공정으로 진행하고, 설정대로의 계량을 행한다.
계량 공정에서는 선정된 취반량에 따라서, 소정량의 쌀이 쌀 저장 탱크(7)로부터 계량부(8)를 거쳐서 세미 탱크(15)로 배출된다. 계량부(8)에 있어서는 배출한 쌀의 양을 기억하고, 적산하여, 관리 스위치(41)에 의한 별도의 공정에서 취반량 표시부에 그 총취반량(1일 또는 1주일 등의 소정 기간의 총량)을 표시 가능하게 하고 있다.
계량 공정이 끝나면, 세미, 연미, 오버 플로우 공정으로 진행한다.
세미 공정은 샤워 공급관(21)으로부터 소정양의 물을 살수하면서, 교반 수단(18)에 의하여 세미 탱크(15)내의 쌀을 뒤섞고, 씻는 공정이다. 이 때 배수 장치(23)의 개폐 밸브는 열려져 있고 배수되고 있다.
연미 공정은, 급수를 멈추고 교반 수단(18)을 회전시키는 공정이다.
오버 플로우 공정은 배수기 설치(23)의 개폐 밸브를 닫고, 샤워 공급관(21)으로부터 세미 탱크(15)에 급수하면서, 교반 수단(18)으로 쌀을 뒤섞어, 오버 플로우 배수관(23A)으로부터 배수를 행하고, 마지막에 배수 장치(23)의 개폐 밸브를 열어 세미 탱크(15)내의 물을 전부 배수하는 공정이다.
상기 세미 공정과 연미 공정은 복수회 행하여지고, 오버 플로우 공정은 마지막에 1회 행하여진다. 이들 공정은 씻는 방법의 선정에 의하여 좌우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또는 소정 수량이 공급되었는지로 제어된다.
상기 공정이 종료하면, 세미 모드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즉, 선택 버튼(40)에 의하여 「세미」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계량 공정으로 진행한다.
계량 공정은, 세미 탱크(15)내에 있어서, 물을 뺀 상태에서 쌀을 소정 시간 보유하는 공정이다. 보유하는 시간은 타이머 세트 버튼에 의하여 세트된 시간이다. 계량 대기중 남은 시간이 표시부에 표시된다.
설정 표시부(33)에서 선택 버튼(40)에 의하여 「취반 준비」를 설정하고 있는 경우, 이 계량 공정에서 일단 처리가 중단되고,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어있는 내부 솥과 교환하여 주십시오'라는 메세지가 나오고, 다음의 셔터 개방 공정으로 진행하지 않는다.
「취반 자동」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는, 다음의 셔터 개방 공정으로 자동적으로 진행한다.
상기 모드가 「세미」의 경우, 상기 계량 공정을 건너뛰어 커버 열기 공정으로 진행한다.
셔터 개방 공정은 셔터(30)을 열어 뚜껑(28)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공정이다.
셔터(30)가 열리면 다음의 물 가감 공정으로 진행한다.
물 가감 공정은 선택 버튼(40)으로 선정한 제어된 물의 양이 샤워 공급관(21)으로부터 세미 탱크(15)로 급수되는 공정이다.
다음에 밸브 개방 공정으로 진행한다. 이 공정은 배미부의 배미 밸브(16)를 열어, 세미 탱크(15)내의 쌀과 물을 취반부(6)의 내부 솥(27)으로 배출하는 공정이다.
그리고 다음의 판개 공정에 의하여 배미 밸브(16)가 닫혀지고, 다음의 커버 열림 공정에 의하여 셔터(30)가 뚜껑(28)의 개구부를 밀폐한다.
세미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는 이상의 공정으로 종료가 된다.
세미 모드가 아닌 경우, 즉 취반 자동 모드의 경우는 세미 완료 공정으로 진행한다. 이 공정은 안내 부저 등을 울려 오퍼레이터에 세미 완료를 알리는 공정이다. 그리고, 다음에 담그기 공정으로 진행한다. 이 공정은 소정 시간 경과후에 안내 버저 등을 울려 오퍼레이터에게 알리는 공정이다.
자동 취반을 설정하고 있을 때에는 자동 착화의 신호로 취반 개시하고, 취반 공정, 뜸들이기 공정, 취반 완료로 되어 종료하고, 표시부(34)에는 「밥을 꺼내어 주십시오」라는 메세지를 표시한다.
한편, 수동 착화를 설정하고 있을 때에는 도5의 표시부(34A)로 되어 있어 수동 착화의 메세지(도5에서는 「취반기에 점화하여 주십시오」라는 메세지)를 내고, 점화하면 그 후에는 취반 공정, 뜸들이기 공정, 취반 완료 공정으로 진행하고, 전공정을 종료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즉시 개시 운전 또는 예약 운전을 행하는 경우라도, 우선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한 후가 아니면 운전할 수 없도록 하고 있으므로 조작의 번거로움도 없다.

Claims (3)

  1.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하는 설정 버튼(설정 스위치)과, 예약 시각을 설정하는 예약 버튼(예약 스위치)과, 취반 개시를 설정하는 개시 버튼(개시 스위치)을 표시 패널에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버튼(스위치)을 조작함으로써 제어부를 마이크로컴퓨터 처리하여 운전하는 업무용 취반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설정 버튼(설정 스위치)의 조작으로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한 후가 아니면 예약 버튼(예약 스위치) 또는 개시 버튼(개시 스위치)을 조작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취반기의 운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예약 버튼을 조작하여 예약 시각을 설정할 때, 현재 시각에 취반 모드(취반 코스)의 작업 시간을 가산하여 예약 시각까지의 시간이 짧을 때에는 예약 불능의 메세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취반기의 운전 방법.
  3.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하는 설정 버튼(설정 스위치)과, 예약 시각을 설정하는 예약 버튼(예약 스위치)과, 취반 개시를 설정하는 개시 버튼(개시 스위치)을 표시 패널에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버튼(스위치)을 조작하는 것으로 제어부를 마이크로컴퓨터 처리하여 운전하는 업무용 취반기에 있어서,
    설정 버튼(설정 스위치)의 조작으로 취반 모드(취반 코스)를 설정한 후가 아니면 예약 버튼(예약 스위치) 또는 개시 버튼(개시 스위치)을 조작할 수 없는 전기적 인터로크 수단을 제어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취반기.
KR10-1998-0001755A 1997-01-22 1998-01-21 업무용 취반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0436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9687 1997-01-22
JP00968797A JP3266822B2 (ja) 1997-01-22 1997-01-22 業務用炊飯機およびその運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674A KR19980070674A (ko) 1998-10-26
KR100436002B1 true KR100436002B1 (ko) 2004-09-08

Family

ID=1172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755A KR100436002B1 (ko) 1997-01-22 1998-01-21 업무용 취반기 및 그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66822B2 (ko)
KR (1) KR100436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4573B2 (ja) * 2000-07-14 2010-06-09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フライヤー
WO2015133115A1 (ja) * 2014-03-03 2015-09-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炊飯器および炊飯器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674A (ko) 1998-10-26
JP3266822B2 (ja) 2002-03-18
JPH10201623A (ja) 1998-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002B1 (ko) 업무용 취반기 및 그 운전 방법
JP3937857B2 (ja) 洗米炊飯機
KR100455874B1 (ko) 업무용취반기
JP3352355B2 (ja) 自動炊飯機の表示装置
JP4231979B2 (ja) 洗米炊飯機の操作表示装置
JP2000005055A (ja) 自動炊飯機の表示装置
JP3352357B2 (ja) 業務用炊飯装置
JP3234521B2 (ja) 洗米装置
JP3352356B2 (ja) 自動炊飯機の表示装置
JPH10201622A (ja) 自動炊飯機の表示装置
JP2000197564A (ja) 業務用炊飯機の表示装置
JP3525598B2 (ja) 洗米炊飯機の洗浄装置
JP3259720B2 (ja) 洗米炊飯装置
JP3536336B2 (ja) 洗米炊飯機の水加減制御装置
JP2002209738A (ja) 洗米炊飯機の運転操作装置
JP3246496B2 (ja) 洗米炊飯機における操作盤
JPH0956982A (ja) ランドリー機器の表示装置
JP3141883B2 (ja) 洗米炊飯装置
JP2001231679A (ja) 洗米炊飯装置
JPH0638875A (ja) 洗米炊飯機等の米計量装置
JP3601485B2 (ja) 洗米炊飯制御装置
JP2000135160A (ja) 洗米炊飯機における操作盤
JP2001218675A (ja) 洗米炊飯装置
JPH0646951A (ja) 自動炊飯機の残米量表示装置
JP2000135165A (ja) 洗米炊飯機における操作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