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992B1 -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992B1
KR100434992B1 KR10-2002-0048193A KR20020048193A KR100434992B1 KR 100434992 B1 KR100434992 B1 KR 100434992B1 KR 20020048193 A KR20020048193 A KR 20020048193A KR 100434992 B1 KR100434992 B1 KR 100434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ring
suppl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007A (ko
Inventor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주)아이피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피엔 filed Critical (주)아이피엔
Priority to KR10-2002-0048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9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8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individually gripped or guided for transfer 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5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07Feed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21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applying plugs or threadless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4Adding more than one type of material or article to the sam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의 용기내에 입자상 제습제, 종이필터, 필터고정용 링, 센서 스트립과, 용기밀폐용 캡이 공급되어 조립되고 포장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 수개의 돌출선(14)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환상돌기(16)가 형성된 용기(12)에 제습제(18)를 용입하고 종이필터(20)와 이를 고정하기 위한 링(22)을 삽입하며 제습이 요구되는 센서 스트립을 용입한 후 캡(24)으로 밀폐되는 캔(10)을 자동포장하여 조립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주연에 다수의 용기홈( 44)이 형성된 턴테이블(26)에 용기(12)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용기공급단(28), 용기(12)가 턴테이블(26)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용기(12)에 정량의 제습제(18)를 공급하기 위한 제습제정량공급단(30), 용기(12)에 종이필터(20)를 공급하는 필터공급단 (32), 용기(12)에 링(22)을 공급하는 링공급단(34), 센서 스트립 공급단(36), 밀폐될 캡(24)을 공급하는 캡공급단(38), 캡(24)이 용기(12)에 완전히 결합되어 완성된 캔(10)을 배출하기 위한 캔배출단(4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SENSOR STRIP CAN}
본 발명은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통형의 용기내에 입자상 제습제, 용기내에서 제습제의 수용공간을 한정하면서 습기의 통과가 허용될 수 있도록 하는 종이재질의 필터, 이러한 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링, 용기내에 수용보관되는 센서 스트립과 같은 제품과, 최종적으로 용기에 결합되는 캡이 공급되어 조립되고 포장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혈당측정기에 사용되는 센서 스트립은 습기에 민감하므로 제습환경하에 밀폐보관되어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 이러한 센서 스트립을 그 전용 용기인 캔에 포장하기 위하여서는 먼저 용기내에 실리카 겔과 같은 입자상의 제습제를 정량 용입하고 제습제상에 종이필터를 삽입하며 다시 종이필터상에 이를 용기내에서 고정하기 위한 링을 삽입한 다음 밀폐포장이 요구되는 센서 스트립과 같은 제품을 용입한 후 캡으로 밀폐한다. 그러나, 종래의 작업은 자동화되지 않고 거의 수동으로 이루어져 생산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원통형의 용기내에 입자상 제습제, 종이필터, 필터고정용 링, 센서 스트립과, 용기밀폐용 캡이 공급되어 조립되고 포장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련의 자동화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생산성을 높이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조립포장되는 센서 스트립 캔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조립포장된 센서 스트립 캔의 단면도.
도 3은 센서 스트립 캔의 조립포장단계를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전체 개략 평면도.
도 5는 필터로딩시스템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은 링로딩시스템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7은 캡로딩시스템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8은 필터로딩시스템의 가스킷 흡착판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링로딩시스템의 가스킷 흡착판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10-도 12는 필터로딩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 측단면도.
도 13은 링로딩시스템의 부분 측단면도.
도 14는 캡로딩시스템의 부분 측단면도.
도 15는 필터 및 링이 로딩된 후 이들을 캔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필터 및
링을 가압하는 가압구조를 보인 부분 측단면도.
도 16은 캡이 로딩된 후 이를 캔에 결합고정시키기 위하여 캡을 가압하는 가
압구조를 보인 부분 측단면도.
도 17은 조립포장된 캔을 장치로부터 방출하는 이젝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18은 동 부분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캔 12... 용기
18... 제습제 20... 종이필터
22... 링 24... 캡
26... 턴테이블 28... 용기공급단
30... 제습제정량공급단 32... 필터공급단
34... 링공급단 36... 센서 스트립 공급단
38... 캡공급단 40... 캡배출단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내부에 수개의 돌출선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환상돌기가 형성된 용기에 제습제를 용입하고 종이필터와 이를 고정하기 위한 링을 삽입하며 제습이 요구되는 센서 스트립을 용입한 후 캡으로 밀폐되는 캔을 자동포장하여 조립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주연에 다수의 용기홈이 형성된 턴테이블에 용기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용기공급단, 용기가 턴테이블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용기에 정량의 제습제를 공급하기 위한 제습제정량공급단, 용기의 이송방향에서 보았을 때 하류측에 배치되는 용기에 종이필터를 공급하는 필터공급단, 용기에 링을 공급하는 링공급단, 용기에 공급된 종이필터와 링을 용기의 돌출선과 환상돌기사이로 삽입하기 위하여 종이필터와 링을 가압하는 링가압장치, 센서 스트립 공급단, 센서 스트립 공급단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용기에 밀폐될 캡을 공급하는 캡공급단, 캡공급단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용기에 공급된 캡을 용기의 상부내에 완전히 삽입토록 캡을 가압하는 캡가압장치와, 캡이 용기에 완전히 결합되어 완성된 캔을 배출하기 위한 캔배출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하여 조립포장되는 센서 스트립 캔(10)의 구성요소를 보인 것이다. 캔(10)은 폐기가능한 플라스텍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저면이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용기(12)로 구성된다. 이 용기(12)의 내부에는 하부의 내면벽에 용기(12)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수개의 돌출선(14)이 형성되어 이 돌출선(14)의 상단부는 이후 설명되는 종이필터가 얹히는 턱을 형성한다. 용기(12)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선(14)의 상측에는 이들의 상단부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환상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12)내에는 돌출선(14)의 높이에 이르는 분량으로 실리카 겔과 같은 입자상의 제습제(18)가 용입된다. 이후에 종이필터(20)가 용기(12)내에 삽입되고 이어서 이 종이필터(20)를 고정하기 위한 링(22)이 삽입된다. 이들 종이필터(20)와 링(22)의 주연부는 용기(12)내의 돌출선(14)의상단부와 환상돌기(16)사이에 삽입되어 링(22)이 종이필터(20)를 고정하는 상태가 되어 종이필터(20)의 하측에서 용기(12)내에 수용된 제습제(18)가 한정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에 종이필터(20)를 통하여 용기(12)의 다른 공간의 습기를 흡수하도록 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용기(12)에 캡(24)이 결합된다. 물론 캡(24)이 결합되기 이전에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습이 요구되는 제품, 예를 들어 센서 스트립과 같은 제품은 용기(12)내에서 종이필터(20)의 상부공간에 보관된다.
도 3은 용기(12)에 제습제(18), 종이필터(20), 링(22) 및 캡(24)이 공급되어 종이필터(20)와 링(22)이 고정됨으로서 제습제(18)가 한정된 공간에 수용되고 캡( 24)이 밀폐되는 일련의 과정을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 센서 스트립은 캡(24)이 결합되기 이전의 단계에서 공급되어 종이필터(20)의 상부공간에 수용된다. 도 3의 단계(a-f)는 본 발명에 따라서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전체 개략 평면도를 보인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장치를 기능면으로 나누어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이다.
도 4에서, 본 발명 장치는 원형의 턴테이블(26)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의 9시 방향으로부터 시작하여, 용기(12)를 공급하는 용기공급단(28)과 제습제(18)를 용기에 정량공급하는 제습제정량공급단(30)이 배치된다. 그리고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종이필터(20)를 공급하는 필터공급단(32), 링(22)을 공급하는 링공급단 (34), 센서 스트립을 공급하는 센서 스트립 공급단(36), 캡(24)을 공급하는 캡공급단(38), 조립포장된 캔(10)을 배출하는 캔배출단(40)이 배치된다.
턴테이블(26)
이 턴테이블(26)은 지지대(42)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주연에 용기(12)가 세워진 상태로 공급되어 각 기능단으로 옮겨질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용기홈(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공급단(28)을 지난 위치로부터 캔배출단(40)에 이르기 직전까지 턴테이블(26)의 주연측에 용기(12)가 용기홈( 4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가이드(46)가 지지대(42)상에 착설되어 있다. 이러한 턴테이블(26)은 통상적인 형태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용기공급단(28)
이 용기공급단(28)은 다수의 용기(12)가 무질서하게 공급된 것을 진동과 적당한 경사로를 이용하여 개방된 상부가 상측으로 향하여 정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용기정렬공급기(48)와 이로부터 턴테이블(26)측으로 연장된 용기공급로(50)로 구성된다. 이러한 용기정렬공급기(48)와 그 주변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않기로 한다. 용기공급로(50)의 선단부는 이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되는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에 순차적으로 용기(12)를 공급한다. 용기홈(44)에 공급된 용기(12)는 턴테이블(26)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서 다음 단으로 이송된다.
제습제정량공급단(30)
제습제정량공급단(30)은 용기정렬공급기(48)로부터 턴테이블(26)측으로 연장된 용기공급로(50)의 중간에 배치된다. 제습제정량공급단(30)은 제습제공급구(52)를 통하여 용기(12)에 정량의 제습제(18)를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제습제(18)는 예를 들어 에어실린더를 이용한 정량공급장치에 의하여 정량이 공급될 수 있다. 이 제습제정량공급단(30) 역시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이다.
필터공급단(32)
필터공급단(32)은 도 4와 함께 도 5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필터공급단(32)은 용기정렬공급기(48)과 유사한 작동기능을 갖는 공지의 필터정렬공급기(54)로 구성된다. 이 필터정렬공급기(54)로부터 역"Y"자형의 필터공급로(56)가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공급로(56)는 턴테이블(26)에 인접하여 두개의 공급지로(58)(58')로 나누어진다. 이를 통하여 이에 대응하는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에 공급되어 이송되는 두개의 용기(12)에 종이필터(20)를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서, 필터공급로(56)에 인접하여 그 상측에는 필터로딩시스템(60)이 배치되어 있다. 이 필터로딩시스템(60)은 위치가 장치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았음)에 고정되는 수평프레임(62)을 기초로 하여 구성된다. 이 수평프레임(62)의 선단에 수직고정판(64)이 입설되고 이에 피스턴(66)이 전방으로 연장되는 에어실린더(68)가 수평으로 착설되고 에어실린더(68)의 양측으로 가이드봉(70)(70')이 활동가능하게 연장된다. 이 에어실린더(68)의 피스턴(66)은 X축 방향으로 작동한다.
에어실린더(68)의 피스턴(66)과 각 가이드봉(70)(70')의 선단에는 수직부(72 )와 수평부(74)로 구성된 "L"자형의 가동프레임(76)이 그 수직부(72)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가동프레임(76)의 수평부(74)에는 수직으로 에어실린더(78)가 착설되고 그 피스턴(80)이 양측의 가이드봉(82)(82')과 함께 수평부(74)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에어실린더(78)의 피스턴(80)과 양측 가이드봉(82)(82')의 단부에는 연장판(84)이 착설되며 필터공급로(56)의 두 공급지로(58)(58')의 단부의 상측에 놓이는 부분에 하측으로 하단에 흡착판(86)(86')을 갖는 흡착구(88)(88')가 착설된다. 에어실린더(78)의 작동으로 연장판(84)의 흡착구(88)(88')는 Y축방향으로 작동한다.
흡착구(88)(88')의 상세한 구조는 도 8에서 설명된다. 도 8에서, 연장판(84)에 흡착구(88)가 고정되고 그 하단에 탄성재질의 흡착판(86)이 배치되며 흡착구(88 )로부터 흡착판(86)으로 내부에 진공공급로(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외부의 진공원(도시하지 않았음)에 연결된다.
링공급단(34)
링공급단(34)은 도 4와 함께 도 6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링공급단(34)은 필터정렬공급기(54)와 유사한 링정렬공급기(92)로 구성된다. 이 링정렬공급기(92)로부터 역"Y"자형의 링공급로(94)가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링공급로(94)는 턴테이블 (26)에 인접하여 두개의 공급지로(96)(96')로 나누어진다. 이를 통하여 이에 대응하는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에 삽입되어 있는 용기(12)로 링(22)을 이송하여 필터공급단(32)에서 종이필터(12)가 공급된 두개의 용기(12)에 종이필터(12)를 고정하기 위한 링(22)을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서, 링공급로(94)에 인접하여 그 상측에는 링로딩시스템(98)이 배치되어 있다. 이 링로딩시스템(98)은 기본적으로 필터공급단(32)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응하는 각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서는 접미부호 "a"를 표시하였으며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흡착구(88a)(88a')의 구조에서,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링(22)을 흡착하여 운반하여야 하기 때문에 진공공급로(90a)의 단부가 흡착판(86a)(86a')의 주연단부측으로 분포된 것만이 상이하다.
이러한 링로딩시스템(98)에 인접하여 용기(12)의 진행방향에서 하류측에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기(12)의 내부에 중력의 작용하에 자연낙하방식으로 공급된 종이필터(20)와 링(22)을 용기(12)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선(14)의 상단과 환상돌기(16)사이에 탄력적으로 결합시켜 링(22)으로 종이필터(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용기(12)에 공급된 종이필터(20)와 링(22)을 가압하여 돌출선(14)의 상단과 환상돌기(16)사이에 삽입되도록 하는 링가압장치(10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링가압장치(100)는 고정프레임(102)에 수직으로 에어실린더(104)(104')가 착설되고 그 피스턴(106)(106')의 하단에 링(22)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판(108)(108')이 착설된 구조이며 가압판(108)(108')의 위치는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에 실리어 이송되는 용기(12)의 직상부 위치에 일치한다.
센서 스트립 공급단(36)
이 센서 스트립 공급단(36)은 링로딩시스템(98)에 인접하여 용기(12)의 진행방향에서 하류측에 배치된다. 이는 용기(12)에 공급되어 링(22)으로 고정된 종이필터(20)상에 센서 스트립(도시하지 않았음)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 스트립 공급기(110)와 이로부터 용기(12)에 센서 스트립을 공급하기 위한 센서 스트립 공급구(112)로 구성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통상적인 지식으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잘 알려진 구조일 수 있다.
캡공급단(38)
이는 센서 스트립 공급단(36)에 인접하여 용기(12)의 진행방향에서 하류측에 배치된다. 캡공급단(38)은 도 4와 함께 도 7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캡공급단(38)은 필터정렬공급기(54)와 유사한 캡정렬공급기(114)로 구성된다. 이 링정렬공급기(114 )로부터 역"Y"자형의 캡공급로(116)가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캡공급로(116)는 턴테이블(26)에 인접하여 두개의 공급지로(118)(118')로 나누어진다. 이를 통하여 이에 대응하는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측으로 공급되어 이송되며 센서 스트립 공급단(36)에서 센서 스트립이 공급된 두개의 용기(12)에 이를 밀폐하기 위한 캡(24)을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서, 캡공급로(116)에 인접하여 그 상측에는 캡로딩시스템(12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캡로딩시스템(120)은 기본적으로 필터공급단(32)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응하는 각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서는 접미부호 "b"를 표시하였으며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러한 캡로딩시스템(120)에 인접하여 용기(12)의 진행방향에서 하류측에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기(12)의 상부에 중력의 작용하에 자연낙하방식으로 공급된 캡(24)을 가압하여 용기(12)의 상부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캡가압장치(12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캡가압장치(122)는 상기 언급된 링가압장치(100)와 동일한 구조이다. 따라서 캡가압장치(122)의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링가압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부호에 접미부호 "s"를 붙여 표시하고 상세한 설명은 않기로 한다.
캔배출단(40)
이는 캡공급단(38)에 인접하여 용기(12)의 진행방향에서 하류측에 배치되며 본 발명 장치의 최종기능단이다. 이는 선단이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의 하나에 대응하여 일치되게 배치되는 캔배출로(124)로 구성되며 이 캔배출로(124)는 캔수집통(126)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캔배출로(124)의 선단측 전방에는 조립포장이 완성된 캔(10)을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으로부터 캔배출로(124)측으로 방출하기 위한 판상의 이젝터(128)가 배치된다. 이 이젝터(128)는 턴테이블(26)의 회전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장치의 외부 프레임(도시하지 않았음)으로부터 연장된 브라킷트(130)에 착설된 회전축(132)에 일측변이 착설되어 있으며 회전축(132)에는 외부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어 이젝터(128)를 간헐적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반복회전시켜 캔(10)을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으로부터 캔배출로(124)측으로 방출토록 한다(도 17 및 도 18 참조). 이젝터(128)에는 조립포장이 완성된 캔(10)의 수를 계수할 수 있는 계수기(도시하지 않았음)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는 서두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 의하여 조립포장되는 센서 스트립 캔(10)은 저면이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용기(12)로 구성되며, 이 용기(12)의 내부에는 하부의 내면벽에 용기(12)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수개의 돌출선(14)이 형성되어 이 돌출선(14)의 상단부는 종이필터( 20)가 얹히는 턱을 형성하고 용기(12)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선(14)의 상측에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환상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12)내에는 돌출선(14)의 높이까지 실리카 겔과 같은 입자상의 제습제(18)가 용입되고, 이후에 종이필터(20)와 이를 고정하기 위한 링(22)이 삽입된다. 이들 종이필터(20)와 링(22)의 주연부는 돌출선(14)의 상단부와 환상돌기(16)사이에 삽입되어 링(22)이 종이필터(20)를 고정하는 상태에서 종이필터(20)의 하측에서 용기(12)내에 수용된 제습제(18)가 한정된 공간에 수용된다. 제습이 요구되는 센서 스트립이 용기(12)내에서 종이필터(20)의 상부공간에 보관되고 최종적으로 캡(24)이 결합된다.
용기공급단계에서, 용기공급단(28)의 용기정렬공급기(48)에서 다수의 용기( 12)가 무질서하게 공급된 것을 진동과 적당한 경사로를 이용하여 개방된 상부가 상측으로 향하여 정렬되게 하고 정렬된 상태에서 용기(12)는 용기공급로(50)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며 이로부터 턴테이블(26)측으로 이송공급된다. 용기공급로(50)의 선단부는 이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되는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에 순차적으로 용기(12)를 공급한다.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에 공급된 용기(12)는 턴테이블(26)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서 다음 단으로 이송된다.
용기(12)가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에 공급되기 전에 용기공급로(50)에서 용기(12)에 제습제(18)가 제습제정량공급단(30)에 의하여 정량공급된다.
제습제(18)가 정량공급되어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에 의하여 이송되는 용기(12)는 필터공급단(32)에 이르고 여기에서 용기(12)에 종이필터(20)가 공급된다.
필터공급단(32)에서는 필터정렬공급기(54)로부터 연장된 역"Y"자형의 필터공급로(56)를 통하여 종이필터(20)가 두개의 공급지로(58)(58')까지 공급된다. 필터공급로(56)에 인접하여 배치된 필터로딩시스템(60)은 수평프레임(62)에 수평으로 배치된 에어실린더(68)가 작동하여 그 피스턴(66)이 후퇴함으로서 이에 연결된 가동프레임(76)의 수직배치형 에어실린더(78)와 이 에어실린더(78)의 피스턴(80)에 결합된 연장판(84)이 함께 후퇴하여 연장판(84)에 착설된 흡착구(88)(88')의 흡착판(86)(86')이 후퇴하여 공급지로(58)(58')의 선단에 위치하는 종이필터(20)상에 놓이게 된다(도 10). 이때에 가동프레임(76)의 수직배치형 에어실린더(78)가 작동하여 그 피스턴(80)이 신장되면 연장판(84)에 착설된 흡착구(88)(88')의 흡착판(86 )(86')이 공급지로(58)(58')의 선단에 위치하는 종이필터(20)에 접촉하여 이들을 진공흡착한다(도 11).
이후에 종이필터(20)가 흡착된 흡착판(86)(86')이 가동프레임(76)의 수직배치형 에어실린더(78)의 작동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수평프레임(62)의 에어실린더(68 )가 작동하여 종이필터(20)는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에 공급되어 이송된 용기( 12)의 상부에 이르게 된다(도 12). 그리고 흡착판(86)(86')에서 진공작용이 해제되어 종이필터(20)가 용기(12)내로 공급된다. 이때에 종이필터(12)는 용기내에서 환상돌기(16)상에 놓이게 된다.
다음으로 종이필터(20)가 공급된 용기(12)는 턴테이블(26)의 연속된 회전으로 다음의 링공급단(34)으로 이송된다.
링공급단(34)에서는 링정렬공급기(92)로부터 연장된 역"Y"자형의 링공급로( 94)를 통하여 링(20)이 두개의 공급지로(96)(96')까지 공급된다. 링공급로(94)에 인접하여 배치된 링로딩시스템(98)은 수평프레임(62a)에 수평으로 배치된 에어실린더(68a)가 작동하여 그 피스턴(66a)이 후퇴함으로서 이에 연결된 가동프레임(76a)의 수직배치형 에어실린더(78a)와 이 에어실린더(78a)의 피스턴(80a)에 결합된 연장판(84a)이 함께 후퇴하여 연장판(84a)에 착설된 흡착구(88a)(88a')의 흡착판(86a )(86a')이 후퇴하여 공급지로(96)(96')의 선단에 위치하는 링(22)상에 놓인게 된다(도 13). 이때에 가동프레임(76a)의 수직배치형 에어실린더(78a)가 작동하여 그 피스턴(80a)이 신장되면 연장판(84a)에 착설된 흡착구(88a)(88a')의 흡착판(86a )(86a')이 공급지로(96)(96')의 선단에 위치하는 링(22)에 접촉하여 이들을 진공흡착한다. 이후에 링(22)이 흡착된 흡착판(86a)(86a')이 가동프레임(76a)의 수직배치형 에어실린더(78a)의 작동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수평프레임(62a)의 에어실린더( 68a)가 작동하여 링(22)은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측으로 공급되어 이송된 용기(12)의 상부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흡착판(86a)(86a')에서 진공작용이 해제되어 링(22)이 용기(12)내로 공급된다. 이때에 링(22)은 용기내에서 종이필터(20)상에 놓이게 된다.
이어서, 종이필터(20)와 링(22)이 공급된 용기(12)는 턴테이블(26)의 연속된 회전으로 링공급단(34)인접하여 배치된 링가압장치(100)의 위치에 이른다.
여기에서는 종이필터(20)와 링(22)을 용기(12)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선(14)의 상단과 환상돌기(16)사이에 탄력적으로 결합시켜 링(22)으로 종이필터(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용기(12)에 공급된 종이필터(20)와 링(22)을 가압하여 돌출선(14)의 상단과 환상돌기(16)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공된 링가압장치(100)의 에어실린더(104)(104')가 작동하여 그 피스턴(106)(106')의 가압판(108)(108')이 종이필터(20)와 링(22)을 가압하여 돌출선(14)의 상단과 환상돌기(16)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종이필터(20)와 링(22)이 가압되어 돌출선(14)의 상단과 환상돌기(16)사이에 삽입된 용기(12)는 계속하여 턴테이블(26)에 의해 다음의 센서 스트립 공급단(36)으로 이송된다.
여기에서, 센서 스트립 공급기(110)로부터 센서 스트립 공급구(112)를 통하여 센서 스트립이 용기(12)의 종이필터(20)상에 공급된다.
센서 스트립이 공급된 용기는 다시 계속하여 턴테이블(26)에 의해 다음의 센서 캡공급단(38)으로 이송된다.
이 캡공급단(38)에서 캡(24)은 상기 언급된 종이필터(20) 또는 링(22)의 공급방시과 유사한 방식으로 용기에 공급된다.
캡공급단(38)에서는 캡정렬공급기(114)로부터 연장된 역"Y"자형의 캡공급로( 116)를 통하여 캡(24)이 두개의 공급지로(118)(118')까지 공급된다. 캡공급로(116)에 인접하여 배치된 캡로딩시스템(120)은 수평프레임(62b)에 수평으로 배치된 에어실린더(68b)가 작동하여 그 피스턴(66b)이 후퇴함으로서 이에 연결된 가동프레임( 76b)의 수직배치형 에어실린더(78b)와 이 에어실린더(78b)의 피스턴(80b)에 결합된 연장판(84b)이 함께 후퇴하여 연장판(84b)에 착설된 흡착구(88b)(88b')의 흡착판(86b)(86b')이 후퇴하여 공급지로(118)(118')의 선단에 위치하는 캡(24)상에 놓인게 된다(도 14). 이때에 가동프레임(74b)의 수직배치형 에어실린더(78b)가 작동하여 그 피스턴(80b)이 신장되면 연장판(84b)에 착설된 흡착구(88b)(88b')의 흡착판(86b)(86b')이 공급지로(118)(118')의 선단에 위치하는 캡(24)에 접촉하여 이들을 진공흡착한다. 이후에 캡(24)이 흡착된 흡착판(86b)(86b')이 가동프레임(74b)의 수직배치형 에어실린더(78b)의 작동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수평프레임(62b)의 에어실린더(68b)가 작동하여 캡(24)은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측으로 공급되어 이송된 용기(12)의 상부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흡착판(86b)(86b')에서 진공작용이 해제되어 캡(24)이 용기(12)의 상부에 얹히도록 공급된다.
이와 같이 캡(24)이 상부에 얹힌 용기(12)는 계속하여 턴테이블(26)에 의해 다음의 캡가압장치(122)측으로 이송된다.
여기에서는 캡(24)을 용기(12)의 상부에 완전히 삽입하여 용기(12)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공된 캔가압장치(122)의 에어실린더(104s)(104s')가 작동하여 그 피스턴(106s)(106s')의 가압판(108s)(108s')이 캡(24)을 가압하여 캡(24)이 용기(12)의 상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용기(12)가 밀폐포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캡(24)이 밀폐결합된 용기(12), 즉 최종제품인 캔(10)이 턴테이블(26 )에 의해 다음의 캔배출단(40)으로 이송된다.
캔배출단(40)에서 이젝터(128)가 회전축(132)에서 간헐적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반복회전되면서 캔(10)을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으로부터 캔배출로(124)측으로 방출한다. 캔(10)은 선단이 턴테이블(26)의 용기홈(44)의 하나에 대응하여 일치되게 배치되는 캔배출로(124)를 통하여 캔수집통(126)으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통형의 용기내에 입자상 제습제, 종이필터, 필터고정용 링, 센서 스트립과, 용기밀폐용 캡이 공급되어 조립되고 포장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7)

  1. 내부에 수개의 돌출선(14)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환상돌기(16)가 형성된 용기(12)에 제습제(18)를 용입하고 종이필터(20)와 이를 고정하기 위한 링(22)을 삽입하며 제습이 요구되는 센서 스트립을 용입한 후 캡(24)으로 밀폐되는 캔(10)을 자동포장하여 조립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가 주연에 다수의 용기홈(44)이 형성된 턴테이블(26)에 용기(12)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용기공급단( 28), 용기(12)가 턴테이블(26)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용기(12)에 정량의 제습제(18)를 공급하기 위한 제습제정량공급단(30), 용기(12)의 이송방향에서 보았을 때 하류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용기(12)에 종이필터(20)를 공급하는 필터공급단(32), 용기(12)에 링(22)을 공급하는 링공급단(34), 용기(12)에 공급된 종이필터(20)와 링(22)을 용기(12)의 돌출선(14)과 환상돌기(16)사이로 삽입하기 위하여 종이필터( 20)와 링(22)을 가압하는 링가압장치(100), 센서 스트립 공급단(36), 용기(12)에 밀폐될 캡(24)을 공급하는 캡공급단(38), 용기(12)에 공급된 캡(24)을 용기(12)의 상부내에 완전히 삽입토록 캡(24)을 가압하는 캡가압장치(122)와, 캡(24)이 용기( 12)에 완전히 결합되어 완성된 캔(10)을 배출하기 위한 캔배출단(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필터공급단(32)이 진동과 적당한 경사로를 이용하여 종이필터(20)를 정렬시켜 필터공급로(56)로 공급하는 필터정렬공급기(54)를 포함하고, 필터공급로(56)에 공급된 종이필터(20)를 진공흡착하여 턴테이블(26)에 의하여 이송되는 용기(12)에 공급하기 위한 필터로딩시스템(6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필터로딩시스템(60)이 종이필터(20)를 진공흡착하는 흡착판 (86)(86')을 가지며, 이 흡착판(86)(86')이 수평배치형의 에어실린더(68)와 수직배치형의 에어실린더(78)에 의하여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장판(84)에 착설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링공급단(34)이 진동과 적당한 경사로를 이용하여 링(22)을 정렬시켜 링공급로(94)로 공급하는 링정렬공급기(92)를 포함하고, 링공급로(94)에 공급된 링(22)을 진공흡착하여 턴테이블(26)에 의하여 이송되는 용기(12)에 공급하기 위한 링로딩시스템(98)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링로딩시스템(98)이 링(22)을 진공흡착하는 흡착판(86a)( 86a')을 가지며, 이 흡착판(86a)(86a')이 수평배치형의 에어실린더(68a)와 수직배치형의 에어실린더(78a)에 의하여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장판(84a)에 착설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캡공급단(38)이 진동과 적당한 경사로를 이용하여 캡(24)을 정렬시켜 캡공급로(116)로 공급하는 캡정렬공급기(114)를 포함하고, 캡공급로(116)에 공급된 캡(24)을 진공흡착하여 턴테이블(26)에 의하여 이송되는 용기(12)에 공급하기 위한 캡로딩시스템(12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캡로딩시스템(120)이 캡(24)을 진공흡착하는 흡착판(86b)( 86b')을 가지며, 이 흡착판(86b)(86b')이 수평배치형의 에어실린더(68b)와 수직배치형의 에어실린더(78b)에 의하여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장판(84b)에 착설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KR10-2002-0048193A 2002-08-14 2002-08-14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KR100434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193A KR100434992B1 (ko) 2002-08-14 2002-08-14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193A KR100434992B1 (ko) 2002-08-14 2002-08-14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007A KR20040016007A (ko) 2004-02-21
KR100434992B1 true KR100434992B1 (ko) 2004-06-07

Family

ID=3732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193A KR100434992B1 (ko) 2002-08-14 2002-08-14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9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91B1 (ko) 2006-05-09 2008-01-31 (주)지앤테크 여과기 라벨지와 캡 부착 기계장치
KR101032395B1 (ko) 2009-02-19 2011-05-03 김기헌 생수통의 캡 구조물 조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058B1 (ko) * 2012-03-21 2014-12-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채혈관 뚜껑 조립장치
KR101318995B1 (ko) * 2012-03-22 2013-10-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채혈관의 제조 방법
KR101521177B1 (ko) * 2014-04-17 2015-05-18 (주)천광 회전식 로딩장치
KR102295645B1 (ko) * 2020-12-10 2021-08-27 오종석 환판 자동 배치와 접착제 자동 도포 방식이 포함된 지관 자동 제조 장치
KR102589920B1 (ko) * 2021-12-15 2023-10-16 (주)유비테크 용기캡용 라이너 자동 삽입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6590A (en) * 1977-10-12 1979-05-07 Ube Ind Ltd Method of packing fine particles
JPS56141104U (ko) * 1980-03-24 1981-10-24
JPH0592814A (ja) * 1991-09-30 1993-04-16 Kao Corp 物品の搬送装置
JPH06144427A (ja) * 1992-11-04 1994-05-24 Nippon Boehringer Ingelheim Kk クッション材挿入装置
KR0137328B1 (ko) * 1994-09-28 1998-04-27 신현재 용기충진 및 포장 자동화 장치
JP2000079973A (ja) * 1998-09-02 2000-03-21 Masamichi Tawara 乾物食品収納用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6590A (en) * 1977-10-12 1979-05-07 Ube Ind Ltd Method of packing fine particles
JPS56141104U (ko) * 1980-03-24 1981-10-24
JPH0592814A (ja) * 1991-09-30 1993-04-16 Kao Corp 物品の搬送装置
JPH06144427A (ja) * 1992-11-04 1994-05-24 Nippon Boehringer Ingelheim Kk クッション材挿入装置
KR0137328B1 (ko) * 1994-09-28 1998-04-27 신현재 용기충진 및 포장 자동화 장치
JP2000079973A (ja) * 1998-09-02 2000-03-21 Masamichi Tawara 乾物食品収納用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91B1 (ko) 2006-05-09 2008-01-31 (주)지앤테크 여과기 라벨지와 캡 부착 기계장치
KR101032395B1 (ko) 2009-02-19 2011-05-03 김기헌 생수통의 캡 구조물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007A (ko) 200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0188B1 (ko) 미립자물질의주입방법및장치
US6199350B1 (en) Evacuation and closure device in linear construction
WO2010090067A1 (ja) 容器本体と蓋体との結合方法
KR100434992B1 (ko) 센서 스트립 캔의 자동조립포장장치
CN104816855A (zh) 用于从盘中取出容器的设备和方法
JP2006514827A (ja) 紙巻きタバコパック開封および紙巻きタバコ検査用の装置
CN215678430U (zh) 一种试剂盘包装设备
CN111114902A (zh) 包装设备
KR101782976B1 (ko) 진단키트용 포장장치
CN208342178U (zh) 一种led灯自动装配机的上泡壳装置
US66259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products from a manufacturing unit to a packaging unit
KR20070114335A (ko) 용기 밀봉장치
CN115284534A (zh) Molding上下料机
CN113275879A (zh) 一种滴管自动组装机
KR101943802B1 (ko) 겔형 방향제 제조 장치
CN211056157U (zh) 电子组件入料保持装置
CN219163359U (zh) 用于led灯珠支架供料的设备
CN216375127U (zh) 一种物料分离装置及物料自动化处理设备
CN218893049U (zh) 一种检测试纸盒的装配包装生产线
KR200344655Y1 (ko) 봉지 공급장치
CN215142322U (zh) 一种装盒机缺说明书的双冗余检测装置
CN217893381U (zh) 一种纸盒上料机构
JPH11194064A (ja) ダイアフラムの漏れ検査装置
KR102481984B1 (ko) 파우치 포장기
JP2013104769A (ja) 分析装置で用いる容器用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