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912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912B1
KR100434912B1 KR10-2002-0004078A KR20020004078A KR100434912B1 KR 100434912 B1 KR100434912 B1 KR 100434912B1 KR 20020004078 A KR20020004078 A KR 20020004078A KR 100434912 B1 KR100434912 B1 KR 100434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ock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780A (ko
Inventor
김용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4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912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배터리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급작스런 전원 차단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 회로가 손상되는 것이 차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어 단말기 본체와 결합되는 배터리의 록크홈에 탈착되면서 배터리를 고정하는 록크와, 단말기 본체에 배터리가 결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공급 신호가 전달되면 록크를 록킹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차단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록크의 록킹을 계속 유지하는 록크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Locker of battery using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에 결합된 배터리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동안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시간과 장소에 제약없이 음성통화와 무선 데이터송수신이 가능하여 근래들어 폭발적인 가입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시간과 장소에 제약이 없는 대신 동작을 위해 별도의 전원공급원이 필요하다.
전원공급원으로는 대개 반복적인 충전과 방전이 가능하도록 니켈-카드뮴으로 된 2차 전지인 배터리를 사용하며, 배터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에 고정장치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를 고정하는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 본체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는 단말기 본체(1)의 배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록크(lock)로서,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어 도면상에서 상측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배터리(3)의 전원공급 패드가 단말기 본체의 배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전원 단자핀과 밀착되게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에 결합시킨 다음, 놓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록크의 선단부가 배터리의 록크 고정홈(4)에 끼워져 배터리를 고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는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에서 쉽게 분리시킬 수 있을 정도로 고정하고 있다.
즉,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는 록크에 내장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록크가 이동하면서 배터리의 록크 고정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떨어뜨리는 경우와 강제적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배터리가 쉽게 분리된다.
따라서, 배터리로부터 단말기에 제공되는 전원의 공급이 갑작스럽게 차단되고, 이에 의해 단말기의 구동 회로가 손상을 입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은 배터리로부터 단말기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배터리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단말기의 구동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어 단말기 본체와 결합되는 배터리의 록크홈에 탈착되면서 배터리를 고정하는 록크와, 단말기 본체에 배터리가 결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공급 신호가 전달되면 록크를 록킹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차단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록크의 록킹을 계속 유지하는 록크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고정장치를 구성한다.
도 1 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 단말기 본체 2,12 : 록크
3,13 : 배터리 4,14 : 록크 고정홈
16 : 콘트롤러 20 : 구동모터
22 : 보조 록크 24 : 보조 록크홈
30 : 솔레노이드 32 : 구동봉
34 : 삽입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 배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11)에 형성되어 단말기 본체와 결합되는 배터리(13)의 록크 고정홈(14)에 탈착되면서 배터리를 고정하는 록크(12)와, 단말기 본체에 배터리가 결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공급 신호가 전달되면 록크를 록킹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차단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록크의 록킹을 계속 유지하는 록크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록크(12)는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어 상측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배터리(13)의 전원공급 패드가 단말기 본체(11)의 배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전원 단자핀과 밀착되게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에 결합시킨 다음, 놓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록크의 선단부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배터리의 록크 고정홈(14)에 끼워져 배터리를 고정한다.
록크 록킹수단은 록크(12)의 선단부가 배터리의 록크 고정홈(14)에 끼워져 배터리(13)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전원 공급신호가 전달되면 록크를 록킹하되,전원 차단신호가 전달되기 전까지 록크의 록킹을 계속 유지한다.
여기서, 전원 공급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중 전원 공급 키값을 발생시키는 특정 키패드가 눌려지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트롤러(16)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말하고, 전원 차단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중 전원 차단 키값을 발생시키는 특정 키패드가 눌려지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트롤러(16)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말한다.
이러한 록크 록킹수단은 단말기 본체(11)에 내장되어 전원공급 신호에 의해 정방향 구동하고, 전원차단 신호에 의해 역방향 구동하는 제1 및 제2 구동모터(20a,20b)와, 제1 및 제2 구동모터의 구동축(21)에 축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하면서 단말기 본체의 록크 장착홈(15)측벽으로 입출되는 제1 및 제2 보조 록크(22a,22b)와, 제1 및 제2 보조 록크가 정방향 회전하면 제1 및 제2 보조 록크의 일부가 내부에 위치되고, 제1 및 제2 보조 록크가 역방향 회전하면 내부에 위치된 제1 및 제2 보조 록크의 일부가 빠져 나가도록 록크(12)에 형성된 제1 및 제2 보조 록크홈(24a,2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및 제2 구동모터(20a,20b)는 스텝핑 모터 또는 서보 모터를 사용하여 전원공급 신호 또는 전원차단 신호에 의해 정속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에서 배터리의 고정과 해체를 설명한다.
먼저 배터리(13)의 고정은 록크(12)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배터리의 전원공급 패드가 단말기 본체(11)의 배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전원 단자핀과 밀착되게 배터리를단말기 본체에 결합시킨 다음, 놓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록크의 선단부가 배터리의 록크 고정홈(14)에 끼워져 배터리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중 전원 공급 키값을 발생시키는 특정 키패드가 눌려지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트롤러(16)에서 전원공급 신호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구동모터(20a,20b)는 정방향 회전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구동모터가 정방향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 보조 록크(22a,22b)가 정방향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보조 록크홈(24a,24b)내부로 일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일부와 제1 및 제2 보조 록크홈의 내벽면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록크(12)가 뒤로 잡아당겨져 이동되지 않도록 록킹한다.
반대로 배터리(13)의 해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중 전원 차단 키값을 발생시키는 특정 키패드가 눌려지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트롤러(16)에서 전원차단 신호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구동모터(20a,20b)는 역방향 회전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구동모터가 역방향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 보조 록크(22a,22b)가 역방향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보조 록크홈(24a,24b)내부에 삽입된 일부가 이탈되어 록크(12)가 뒤로 잡아당겨져 이동될 수 있도록 언록킹한다.
그리고, 록크를 뒤로 밀어 록크의 선단부가 배터리의 록킹홈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배터리를 해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공급 신호가 전달되면 록크(12)를 록킹하고, 전원차단 신호가 전달될 때에만 록크가 언록킹됨으로써 배터리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고있는 상태에서 록크의 언록킹이 차단된다.
따라서, 배터리(13)가 강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11)에 해체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는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11)에 내장된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30a,30b)와,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의 자장변화에 따라 록크 장착홈(15)의 측벽으로 입출되는 제1 및 제2 구동봉(32a,32b)과, 록크 장착홈의 측벽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구동봉이 끼워지도록 록크의 측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삽입공(34a,34b)으로 또다른 록크 록킹수단을 구성하여도 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30a,30b)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트롤러(16)에서 전원공급 신호가 발생되면 제1 및 제2 구동봉(32a,32b)을 돌출시켜 제1 및 제2 삽입공(34a,34b)에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선단부가 배터리의 록크 고정홈(14)에 삽입된 록크(12)가 뒤로 잡아당겨지지 않도록 록크를 록킹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30a,30b)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트롤러(16)에서 전원차단 신호가 발생되면 제1 및 제2 삽입공에서 제1 및 제2 구동봉이 빠져나오도록 한다.
따라서, 선단부가 배터리의 록크 고정홈(14)에 삽입된 록크가 뒤로 잡아당겨져 록크를 언록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는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떨어뜨리는 경우와 강제적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배터리가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전원차단 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만 배터리가 분리된다.
따라서, 배터리로부터 단말기에 제공되는 전원의 공급이 갑작스럽게 차단되어 발생되는 구동 회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와 결합되는 배터리의 록크홈에 탈착되면서 상기 배터리를 고정하는 록크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상기 배터리가 결합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공급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록크를 록킹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차단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록크의 록킹을 계속 유지하는 록크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 록킹수단은 상기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전원공급 신호에 의해 정방향 구동하고, 상기 전원차단 신호에 의해 역방향 구동하는 제1 및 제2 구동모터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축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하는 제1 및 제2 보조 록크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록크가 정방향 회전하면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록크의 일부가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록크가 역방향 회전하면 내부에 위치된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록크의 일부가 빠져나가도록 상기 록크에 형성된 제1 및 제2 보조 록크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 록킹수단은 상기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전원공급 신호 또는 전원차단 신호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되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와;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가 정방향 구동되면 전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가 역방향 구동되면 후진하는 제1 및 제2 구동봉과;
    전진된 상기 제1 및 제2 구동봉이 끼워지도록 상기 록크에 형성된 제1 및 제2 삽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KR10-2002-0004078A 2002-01-24 2002-01-24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KR100434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078A KR100434912B1 (ko) 2002-01-24 2002-01-24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078A KR100434912B1 (ko) 2002-01-24 2002-01-24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780A KR20030063780A (ko) 2003-07-31
KR100434912B1 true KR100434912B1 (ko) 2004-06-09

Family

ID=3221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078A KR100434912B1 (ko) 2002-01-24 2002-01-24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9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333B1 (ko) * 2016-07-26 201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613U (ko) * 1996-12-28 1998-09-25 김영환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베터리팩 사이드 록킹장치
KR19990005705U (ko) * 1997-07-19 1999-02-18 박기복 이동전화기의 핸드셋 밧데리팩 고정장치
KR19990032610U (ko) * 1997-12-31 1999-07-26 서평원 휴대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KR20000004869U (ko) * 1998-08-14 2000-03-15 서평원 휴대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KR20010097682A (ko) * 2000-04-25 2001-11-08 이가형 휴대폰의 전원자동차단장치
KR20030025049A (ko) * 2001-09-19 2003-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팩 착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613U (ko) * 1996-12-28 1998-09-25 김영환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베터리팩 사이드 록킹장치
KR19990005705U (ko) * 1997-07-19 1999-02-18 박기복 이동전화기의 핸드셋 밧데리팩 고정장치
KR19990032610U (ko) * 1997-12-31 1999-07-26 서평원 휴대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KR20000004869U (ko) * 1998-08-14 2000-03-15 서평원 휴대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KR20010097682A (ko) * 2000-04-25 2001-11-08 이가형 휴대폰의 전원자동차단장치
KR20030025049A (ko) * 2001-09-19 2003-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팩 착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333B1 (ko) * 2016-07-26 201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780A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9100A (en) Charging connector for electric vehicle
CN100414737C (zh) 移动式电子设备以及用于该设备的电池安装装置
US8056378B2 (en) Rekeyable lock cylinder and rekeying method thereof
KR19980026751A (ko) 인쇄회로기판 탈장착기에 의한 플러그인 유니트 전원스위치의 온/오프 메카니즘(Power Switch On/Off Mechanism of Plug-in Unit Driven by In/Ejector in a Printed Circuit Board)
KR20080020611A (ko) 전자기식 잠금 장치
KR1004349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US20090045819A1 (en) Testing device
JP3921896B2 (ja) 情報処理装置
KR200382646Y1 (ko) 무선방식의 전자식 잠금장치
TW201807300A (zh) 門鎖控制裝置
CN104124571A (zh) 子母机的弹出机构以及应用该弹出机构的母机和子母机
CN108360923B (zh) 用于电子锁的离合装置及电子锁
CN116533275A (zh) 机器人手部快换装置及机器人
CN207813287U (zh) 锁具和自行车
CN211115238U (zh) 一种电子锁组件及电子锁
JP2007065986A (ja) Icカードリーダライタインターロック機構
KR20070010336A (ko) 자석을 이용한 배터리 락킹노브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JPH0720971A (ja) 携帯型電子機器と機能拡張用ボックスとの着脱構造
KR20060016988A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거치식 충전기
KR200341525Y1 (ko) 자동차 도난 방지 콤비네이션 로크
CN220667235U (zh) 一种可找回密码的密码锁
JP2008025145A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JP2003024555A (ja) 遊技機用入賞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遊技機
KR100558621B1 (ko) 차량용 시동키 장치
KR100327447B1 (ko)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