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234B1 -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234B1
KR100434234B1 KR10-2001-0064444A KR20010064444A KR100434234B1 KR 100434234 B1 KR100434234 B1 KR 100434234B1 KR 20010064444 A KR20010064444 A KR 20010064444A KR 100434234 B1 KR100434234 B1 KR 100434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edge
thickness
tap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3179A (ko
Inventor
정동희
Original Assignee
정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희 filed Critical 정동희
Priority to KR10-2001-006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234B1/ko
Publication of KR2003003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접는선을 기준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접혀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연장시트와, 상기 연장시트가 포개어질 수 있도록 상기 연장시트에 대응되는 형합홈을 가진 다수매의 대지를 형성하는 단계; (b) 소정 크기를 가진 사진이 형합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테이프 접착장치에 의해 사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진 두께테이프를 상기 대지의 연장시트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각각에 접착시켜 사진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대지의 모서리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d) 프레싱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지의 모서리가 커팅된 부위에 접철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e) 앨범 대지 제본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대지의 연장시트를 접는선을 기준으로 180°접지시킨 후, 상기 연장시트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연장시트를 다른 대지의 형합홈에 접착시켜 다수의 대지를 제본하는 단계; 및 (f) 상기 각각의 대지에 접착된 두께테이프의 상면에 노출공이 마련된 테두리부재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lbum for fixing photograph}
본 발명은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대지의 가장자리에 접착되는 테이프 자체에 의해 사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자동화 공정에 의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앨범은 사진을 장기간 동안 보존하기 위해, 여러 장의 두꺼운 종이를 묶어 책처럼 만든 것으로서, 크게 다수의 대지가 책자 형태로 제본되는 책자식 앨범과, 낱 장 각각의 대지를 서로 연결하는 방식의 연결식 앨범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책자식 앨범은 다수의 대지가 각각 결합되되, 2합 방식의 대지를 반으로 접은 후, 각 대지를 근접 배열시킨 다음, 각 대지의 외면을 서로 접착시킨다. 이후, 합지된 대지의 가장자리는 만들고자 하는 앨범의 크기에 맞취 절단된다. 다음, 절단된 대지의 가장자리에 금박 또는 은박의 장식용 테이프를 접착시킴으로써 제조가 완료된다.
그런데, 종래의 책자식 앨범은 장식용 테이프를 작업자가 직접 대지의 절단면을 확인하면서 수작업으로 접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제1999-16487호의『앨범』이 개발된 바 있다.
종래의 연결식 앨범은 낱 장의 종이로 된 여러 장의 대지를 겹쳐 접착시키는 소위 1합 방식으로 제본되는 것으로서, 대지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장되어 접는선을 경계로 접혀지는 연장시트와, 연장시트가 접혀질 때 포개어질 수 있도록 연장시트에 대응되는 형상의 형합홈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대지와, 각 대지의 가장자리에 접착된 테이프 및 각 대지의 모서리에 설치된 모서리 접철부재를 구비하여 하나의 대지의 연장시트를 인접한 다른 대지의 형합홈에 각각 끼워 접착시키는 구조을 가진다. 한편, 각각의 대지 가장자리에 접착되는 테이프는 작업기계에 의해 자동 접착된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00-31978호의『앨범』이 개발된 바 있다.
종래의 또 다른 앨범은 2합 방식으로 합지된 다수의 대지가 결합되어 제본되는 것으로서, 대지는 접는선을 기준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접혀지는 연장시트를 가진 제1시트와, 연장시트를 제외한 제1시트에 합지되며 이웃하는 대지의 연장시트에 대응되도록 인입된 형합홈을 가진 제2시트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앨범은 하나의 대지의 연장시트를 이웃하는 다른 대지의 형합홈에 접착하여 각각의 대지를 서로 연결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각각의 대지 가장자리에 접착되는 테이프는 작업기계에 의해 자동 접착된다.
그런데, 종래의 앨범들은 소정 크기의 사진을 고정할 경우, 접착물질이 도포된 대지에 사진의 후면을 접착시키는 바, 장시간 경과하면 접착물질에 의한 화학작용에 의해 사진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9-302호의『앨범 및 그 앨범의 가장자리 장식테이프』가 개발된 바 있다.
종래의 앨범은 사진을 보관할 경우, 그 사진의 보관 위치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드페이퍼의 가장자리에 가장자리 장식테이프가 접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가장자리 접착테이프는 양측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된 접착부가 마련되며 사진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한 쌍의 두께테이프와, 두께테이프가 소정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두께 테이프의 일부면이 노출되도록 두께테이프에 접착되는 장식테이프와, 두께테이프의 양측면에 접착된 비접착종이와, 사진이 투과되어 보이도록 두께테이프의 상부면에 접착되는 겉지(일명 "매트지"라 칭함)를 포함하여, 장식테이프가 하드페이퍼의 가장자리에서 접혀지도록 하드페이퍼에 두께테이프의 하부면이 접착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장식테이프의 개구를 통해 사진을 끼우면 그 사진이 두께테이프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 앨범은 작업자가 일일이 비접착종이를 벗겨낸 다음, 두께테이프의 하부면을 하드페이퍼의 가장자리에 접착하고, 두께테이프의 상부면에 겉지를 부착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제본 공정이 복잡하여 대량 생산이 어렵고, 결과적으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사진을 고정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1993-18951호의『두께유지 기능을 갖는 앨범대지』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 앨범대지는 전,후 양면의 가장자리에 소정 폭을 가진 두께유지편을 접착하고, 마감테두리를 마감한 후, 그 두께유지편 위에 사진 삽입부를 가진 장식테두리를 부착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장식테두리의 사진 삽입구를 통해 사진을 끼우면 그 사진이 두께유지편에 의해 항상 견고한 상태로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 앨범은 작업자가 일일이 대지의 전,후면 가장자리에 두께유지편을 접착하고, 마감테두리를 접착한 후, 두께유지편 위에 장식테두리를 부착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제본 공정이 복잡하여 대량 생산이 어렵고, 제조 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장식 테두리를 마감테두리 상으로 돌출된 두께유지편 상에 잡착켜야 하기 때문에, 장식 테두리의 접착 면적이 제한되어 장식 테두리의 접착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착상된 것으로, 대지의 가장자리에 접착되는 테이프 자체에 의해 사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자동화 공정에 의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2a 내지 도 2m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각의 공정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대지 11... 연장시트
12... 형합홈 13... 접힘부
30... 사진 고정부재 31... 두께테이프
32... 접착부 33... 이면지
40... 보강부재 50... 접철부재
60... 테두리부재 61... 노출공
62... 양면테이프 63... 덧테이프
70... 사진 110... 두께테이프 공급유니트
120... 두께테이프 접착유니트 130... 프레싱 장치
140... 접지유니트 150... 접착제 도포유니트
160... 가압 정렬유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접는선을 기준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접혀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연장시트와, 상기 연장시트가 포개어질 수 있도록 상기 연장시트에 대응되는 형합홈을 가진 다수매의 대지를 형성하는 단계; (b) 소정 크기를 가진 사진이 형합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테이프 접착장치에 의해 사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진 두께테이프를 상기 대지의 연장시트측 가장자리를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각각에 접착시켜 사진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대지의 모서리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d) 프레싱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지의 모서리가 커팅된 부위에 접철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e) 앨범 대지 제본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대지의 연장시트를 접는선을 기준으로 180°접지시킨 후, 상기 연장시트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연장시트를 다른 대지의 형합홈에 접착시켜 다수의 대지를 제본하는 단계; 및 (f) 상기 각각의 대지에 접착된 두께테이프의 상면에 노출공이 마련된 테두리부재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두께테이프를 상기 대지의 연장시트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각각에 접착시키기 전, 상기 연장시트와 형합홈이 접착된 부분의 두께를 보완할 수 있도록 상기 대지의 가장자리단에 대응되는 테이프의 접착면에 띠형상의 비닐 또는 종이 소재의 보강부재를 접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작업에 의해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앨범을 제조하던 종래와 달리, 자동화 공정에 의해 대지의 가장자리에 접착되는 테이프 자체에 의해 사진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물량의 수급에 적극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 공정에 의한 대량 생산이 가능함에 따라 제조 원가가 절감되어 한층 더 높은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테두리부재가 편평하고 접착 면적이 넓은 두께테이프 상에 접착되므로, 테두리부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2a 내지 도 2m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각의 공정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은 연장시트와 연장시트에 대응되는 형합홈을 가진 다수매의 대지를 형성하는 단계(S11)와, 사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두께테이프의 접착면에 띠형상의 보강부재를 접착하는 단계(S12)와, 연장시트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대지의 가장자리에 두께테이프를 접착시켜 사진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단계(S13)와, 대지의 모서리 부분을 제거하고 대지의 모서리가 커팅된 부위에 접철부재를 부착하는 단계(S14)와, 각각의 대지를 제본하는 단계(S15)와, 각각의 대지에 접착된 두께테이프의 상면에 테두리부재를 접착하는 단계(S16)를 포함한다.
이들 공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우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원지를 절단하여 가장자리 외부로 연장된 연장시트(11)를 형성하고, 연장시트(11)와 대응되는 가장자리에 형합홈(12)을 형성한다.
다음, 원지의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원지의 중앙에 형성된 접힘부(13)를 중심으로 원지를 반으로 접어 합지한다.
그러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대지(10)의 연장시트(11)가 하방으로 접혀 다른 대지(20)의 형합홈(12)에 포개어질 수 있는 다수의 대지(10,20)가마련된다.
이어서,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접착장치를 이용하여 대지(10)의 연장시트(11)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 사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진 두께테이프(31)를 접착시켜 사진 고정부재(30: 도 2e)를 형성한다.
상기 테이프 접착장치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진 두께테이프(31)의 접착면에 이면지(33)가 부착된 롤테이프(111)와, 롤테이프(111)로부터 인출된 두께테이프(31)의 이면지(33)를 분리하는 분지롤러(112)와, 두께테이프(31)와 분리된 이면지(33)를 회수하는 회수롤러(113)와, 이면지(33)가 제거된 두께테이프(31)의 접착면에 접착되는 띠형상의 보강부재(40)가 감겨진 롤페이퍼(114)와, 이면지(33)가 제거된 두께테이프(31)의 접착면에 보강부재(40)를 합지시키는 합지롤러(116)를 가진 두께테이프 공급유니트(11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 접착장치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테이프 공급유니트(110)에 의해 보강부재(40)가 합지된 두께테이프(31)를 대지의 가장자리단에서 접혀지도록 절곡하기 위한 절곡부재(121)와, 절곡된 두께테이프(31)를 대지(10)의 가장자리에 접착시킬 수 있도록 대지(10)의 가장자리단 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가장자리단이 인입 가능한 인입홈(123)이 형성된 원반 형상의 접착부재(122)를 가진 두께테이프 접착유니트(120)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진 소정 색상의 두께테이프(31)의 접착면에 이면지(33)가 접착된 롤테이프(111)는분지롤러(112)를 통과하면서 두께테이프(31)와 이면지(33)가 서로 분리되고, 동시에 이면지(33)는 회수롤러(113)로 회수되며, 이면지(33)가 제거된 두께테이프(31)는 합지롤러(116)측으로 이송된다.
한편, 롤페이퍼(114)에 감겨진 보강부재(40)는 인출롤러(115)에 의해 인출되어 합지롤러(116)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보강부재(40)는 소정 폭을 가진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보강부재(40)는 비닐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어서, 두께테이프(31)와 보강부재(40)는 합지롤러(116)에 의해 합지되어 테이프 접착유니트(120)로 이송된다. 이 때, 상기 보강부재(40)는 후공정에 의해 대지(10)의 가장자리에 접착되는 두께테이프(31)의 접착면 중앙에 두께테이프(31)의 길이 방향으로 접착된다.
다음,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지(10)가 컨베이롤러와 같은 통상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도중, 보강부재(40)가 접착된 두께테이프(31)는 절곡부재(121)로 이송되고, 절곡부재(121)를 통과한 두께테이프(31)는 절곡부재(12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대지(10)의 가장자리단에 대응되는 두께테이프(31)의 중심선을 따라 절곡된다. 이 때, 두께테이프(31)의 중심선은 대지(10)의 가장자리에 접촉된다.
이어서, 상기 두께테이프(31)는 대지(10)의 가장자리측으로 이동되는 접착부재(122)에 의해 대지(10)의 가장자리 부분에 1차적으로 접착되고, 가압롤러(124)에 의해 대지(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완전히 접착된다. 즉, 상기 접착부재(122)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 대지(10)의 가장자리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대지(10)의 가장자리단에 대응되는 외주연에 두께테이프(31)가 접착되는 대지(10)의 가장자리 부분이 인입 가능한 인입홈(12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지(10)의 가장자리단에서 절곡된 두께테이프(31)의 접착면이 대지(10)의 가장자리단에 접촉되면, 접착부재(122)가 대지(10)의 가장자리단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대지(10)의 가장자리단이 인입홈(123)으로 인입됨에 따라 두께테이프(31)는 인입홈(123)에 의해 대지(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접착되는 것이다. 이 때, 두께테이프(3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공정으로 두 방향의 가로 방향측 가장자리에 동시에 접착되고, 다음으로, 나머지 세로 방향측의 가장자리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지(10) 각각의 가장자리에 보강부재(40)가 내장된 두께테이프(31)가 접착된다. 상기 보강부재(40)는 연장시트(11)가 형합홈(12)에 형합되어 접착된 부분과 최종적으로 제본된 대지(10)의 가장자리 두께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대지(10) 각각의 가장자리를 보강하여 대지(10)를 넘길 때 발생하는 펄럭임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두께테이프(31)의 접착이 완료되면,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커팅장치 또는 수작업으로 대지(10)의 모서리 부분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대지(10)의 모서리 부분을 커팅하는 이유는 후공정에 개시되는 접철부재(50: 도 2h)를 대지(10)의 모서리에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함이다.
이어서,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지(10)의 모서리 부분이 제거된 부위에 프레싱 장치(130)를 이용하여 접철부재(50)를 부착시킨다.
상기 프레싱 장치(130)는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접철부재(50)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대지(10)의 모서리에 압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으로서, 접철부재(50)를 공급하는 공급부재(131)와, 접철부재(50)를 압착하는 압착부재(132)를 구비한다. 상기 압착부재(132)는, 센서(133)가 대지(10)의 모서리 부분이 압착부재(132)의 하방에 정위치되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통상의 공압 실린더에 의해 왕복 운동하면서 접철부재(50)를 압착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대지(10)의 모서리 부분을 공급부재(131)에 의해 공급된 접철부재(50)에 위치시키게 되면, 센서(133)에 의해 대지(10)의 진입을 감지하고, 센서(133)로부터 동작신호를 제공받은 압착부재(132)는 실린더의 가동에 의해 접철부재(50)를 압착한다.
그러면,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지(10)의 모서리 부분에 접철부재(50)가 부착된다. 상기 접철부재(50)는 대지(10)의 모서리가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후공정에 의해 두께테이프(31) 상에 접착되는 테두리부재(60: 2ℓ)의 두께를 보완하여 전체적인 대지(10)의 가장자리 두께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 도 2i 및 도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앨범 대지 제본 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대지(10)의 연장시트(11)를 접는선을 기준으로 180°접지시킨 후, 연장시트(11)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그 연장시트(11)를 다른 대지(20)의 형합홈(12)에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다수매의 대지(10,20)를 제본한다.
상기 앨범 대지 제본 장치는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41)을 따라 이송되는 대지(10)의 연장시트(11)를 하방으로 90°접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접지롤러(142)와, 제1접지롤러(142)들을 통과하여 90°로 접지된 연장시트(11)를 180°로 접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2접지롤러(144)를 가진 접지유니트(14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앨범 대지 제본 장치는 도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로 접지된 연장시트(11)의 면상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연장시트(11)측으로 베이스 프레임(14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량의 접착제가 수용된 접착제통(151)과, 접착제통(151) 내에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접착제 도포롤러(152)를 가진 접착제 도포유니트(150)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대지(10)가 베이스 프레임(141)을 따라 이송되는 도중, 대지(10)의 연장시트(11)는 제1접지롤러(142)들에 의해 대지(10)의 하방으로 90°접지된 다음, 제2접지롤러(144)들에 의해 180°로 접지된다. 부연 설명하면, 대지(10)의 연장시트(11)는, 상기 제1접지롤러(142)들이 연장시트(11)의 상면에 접촉되며 대지(10)의 진행 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 각도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는 간섭부(143)를 각각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간섭부(143)에 간섭되어 대지(10)의 하방으로 90°접지된다. 또한, 90°로 접지된 상기 연장시트(11)는, 상기 제2접지롤러(144)들이 연장시트(11)의 하측에 설치되며 테이퍼 각도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면서 수직 상태에 이르는 간섭부(145)를 각각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간섭부(145)에 간섭되어 180°로 접지된다.
이어서, 도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지(10)의 연장시트(11)가 180°로 접지되면, 접착제통(151)이 상승하고, 접착제 도포롤러(152)는 연장시트(11)의 면상에 접착제를 도포시킨다. 이 때, 연장시트(11)에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상기 접착제통(151)은 다시 원래의 위치로 하강된다.
다음, 도 2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시트(11)에 접착제가 도포된 하나의 대지(10)는 그 연장시트(11)가 다른 대지(20)의 형합홈(12)에 형합되도록 다수매 적층되고, 적층된 대지는 가압 정렬 유니트(160)에 의해 가압됨과 동시에 대지의 가장자리가 정렬된다. 즉, 상기 대지(10,20)는 가압부재(161)에 의해 가압되어 연장시트(11)가 형합홈(12)에 접착되고, 정렬부재(162)에 의해 전체적인 대지(10,20)의 가장자리가 고르게 정렬된다.
이어서, 도 2ℓ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테이프(31) 상에 노출공(61)이 형성된 테두리부재(60)를 수작업으로 접착한다. 이 때, 상기 테두리부재(60)는 대지(10)의 연장시트(11)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의 두께테이프(31) 상에 접착되고, 사진(70)이 용이하게 인입 및 인출되도록 대지(10)의 연장시트(11)측 가장자리에는 접착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재(60)는 접착면이 편평하고 접착 면적이 넓은 두께테이프(31) 상에 접착되므로 종래와 달리 접착력이 보다 강화된다. 아울러, 상기 테두리부재(60)는 두께테이프(31)의 접착부(32)에 대응되는 접착부위에 통상의 양면테이프(62)가 접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면테이프(62)의 접착면에 접착된 덧테이프(63)를 벗겨냄으로써 테두리부재(60)를 두께테이프(31)의 접착부(32)에 접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테두리부재(60)는 테두리부재(60)의 접착부위에 대응되는 두께테이프(31)의 접착부(32)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할 수 있고, 반대로, 두께테이프(31)의 접착부(32)에 대응되는 테두리부재(60)의 접착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일련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 앨범은 도 2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를 가진 사진(70)을 대지(10)의 연장시트(11)측 가장자리를 통해 테두리부재(60)의 내측으로 인입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사진(70)은 두께테이프(31)의 양측단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인입되며, 사진(70)의 인입측 단부에 걸려 유동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수작업에 의해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앨범을 제조하던 종래와 달리, 자동화 공정에 의해 대지의 가장자리에 접착되는 테이프 자체에 의해 사진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물량의 수급에 적극 대응할 수 있다.
둘째, 자동화 공정에 의한 대량 생산이 가능함에 따라 제조 원가가 절감되어 한층 더 높은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종래와 달리, 테두리부재가 편평하고 접착 면적이 넓은 두께테이프 상에 접착되므로, 테두리부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삭제
  2.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접는선을 기준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접혀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연장시트와, 상기 연장시트가 포개어질 수 있도록 상기 연장시트에 대응되는 형합홈을 가진 다수매의 대지를 형성하는 단계;
    (b) 소정 크기를 가진 사진이 형합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사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진 두께테이프의 접착면의 상기 대지의 가장자리단에 대응되는 곳에 두께테이프 공급 유니트를 이용하여 띠형상의 비닐 또는 종이 소재의 보강부재를 접착시키고, 상기 보강부재가 합지된 두께테이프를 대지의 가장자리단에서 접혀지도록 절곡하기 위한 절곡부재와 절곡된 두께테이프를 대지의 가장자리에 접착시킬 수 있도록 대지의 가장자리단 측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가장자리단이 인입가능한 인입홈이 형성된 접착부재를 구비하는 테이프 접착 유니트를 이용하여 상기 대지의 연장시트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각각에 상기 두께테이프를 접착시켜 사진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대지의 모서리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d) 프레싱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지의 모서리가 커팅된 부위에 접철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e) 앨범 대지 제본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대지의 연장시트를 접는선을 기준으로 180°접지시킨 후, 상기 연장시트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연장시트를 다른 대지의 형합홈에 접착시켜 다수의 대지를 제본하는 단계; 및
    (f) 상기 각각의 대지에 접착된 두께테이프의 상면에 노출공이 마련된 테두리부재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
KR10-2001-0064444A 2001-10-18 2001-10-18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 KR100434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444A KR100434234B1 (ko) 2001-10-18 2001-10-18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444A KR100434234B1 (ko) 2001-10-18 2001-10-18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179A KR20030033179A (ko) 2003-05-01
KR100434234B1 true KR100434234B1 (ko) 2004-06-04

Family

ID=2956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444A KR100434234B1 (ko) 2001-10-18 2001-10-18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2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145Y1 (ko) * 1994-09-17 1998-04-23 허 조우 리 앨범
KR19990046250A (ko) * 1999-01-14 1999-07-05 정동희 앨범의제조방법및그앨범에채용되는가장자리장식테이프의제조방법
KR200166186Y1 (ko) * 1999-08-12 2000-02-15 정동희 앨범
KR20000030233A (ko) * 2000-02-14 2000-06-05 박문수 앨범의 속지
KR20000060751A (ko) * 1999-03-19 2000-10-16 김수현 앨범형 책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145Y1 (ko) * 1994-09-17 1998-04-23 허 조우 리 앨범
KR19990046250A (ko) * 1999-01-14 1999-07-05 정동희 앨범의제조방법및그앨범에채용되는가장자리장식테이프의제조방법
KR20000060751A (ko) * 1999-03-19 2000-10-16 김수현 앨범형 책
KR200166186Y1 (ko) * 1999-08-12 2000-02-15 정동희 앨범
KR20000030233A (ko) * 2000-02-14 2000-06-05 박문수 앨범의 속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179A (ko)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84841B (zh) 制作硬封皮书的方法和硬封皮装置
JP2001246871A (ja) 表紙内に製本ブロックまたは仮とじ本ブロックを綴じ込む方法および装置
US20120313362A1 (en) Binding Method
KR100434234B1 (ko)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
US9120346B2 (en) Method for providing a spine label pocket on a binding cover
KR100434235B1 (ko)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의 제조 방법
JP4970384B2 (ja) 無線とじ機
US20110070403A1 (en) Printing carrier consisting of at least two flat partial printing carriers assembled in a coplanar manner, partial printing carrier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0260532Y1 (ko) 사진을 고정할 수 있는 제본식 앨범
US20020129526A1 (en) Stopper aligning tab construction for divider sheets and the like
JP7467990B2 (ja) Rfタグ付き段ボールおよびrfタグ付き段ボールの製造方法
CN209685666U (zh) 板件包边件、板件包边卷材及板件包边机构
KR20190007920A (ko) 서적 표지의 제조방법
JPH11105471A (ja) 圧着はがき作成装置
KR102186323B1 (ko) 광고 기능을 극대화한 절취노트
JP2003220774A (ja) 中綴じ製本方法
JPS58177844A (ja) 紙継ぎ装置における原紙の接合方法及び装置
KR200172204Y1 (ko) 앨범
JP2551731B2 (ja) カレンダー帳の自動綴じ装置
WO2008155763A1 (en) Loose leaf pages suitable for binding
JP2013212632A (ja) 製本方法
JPS6136893A (ja) 平面状共振回路の製造方法
JP2932336B2 (ja) 小冊子の製造方法
KR200220110Y1 (ko) 앨범
JP4397281B2 (ja) 組伝票製造装置およびこれにより作製される組伝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