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737B1 - 플러그 - Google Patents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737B1
KR100433737B1 KR10-2001-0047203A KR20010047203A KR100433737B1 KR 100433737 B1 KR100433737 B1 KR 100433737B1 KR 20010047203 A KR20010047203 A KR 20010047203A KR 100433737 B1 KR100433737 B1 KR 100433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plug
outlet
recess
fitting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384A (ko
Inventor
오에히로노부
이나바요시히사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콘센트에 대하여 기울여 꽂거나 빼더라도 파손 등 부적합한 상태를 발생시키기 어렵도록, 플러그 본체(1)의 앞면에 끼워맞춤부(2)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끼워맞춤 오목부(5)의 폭 방향에 대향하는 측벽(2c)(2c)을 개구단 근방에서 각각 바깥쪽으로 경사시킴으로써, 끼워맞춤 오목부(5)의 개구단 근방의 폭 치수가 끼워맞춤 오목부(5) 내부의 폭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콘센트(R)에 대하여 플러그(P)를 꽂거나 뺄 때 플러그(P)를 비스듬히 기울이더라도 끼워넣음 오목부(5)의 개구단 근방에서의 끼워맞춤부(2) 측벽(2c)(2c)이 콘센트(R)의 돌출부(22)와 간섭하지 않아, 끼워맞춤부(2)의 파손 등 부적합한 상태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된다.

Description

플러그{PLUG}
본 발명은, 콘센트(receptacle)에 꽂기 및 빼기가 자유롭게 접속되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플러그(P') 및 콘센트(R)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플러그(P')는, 콘센트(R)의 콘센트 본체(20) 앞면에 개구(開口)되는 오목부(21)에 꽂기 및 빼기가 자유롭게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2')와, 끼워맞춤부(2')가 앞면(前面)에 돌출 설치된 플러그 본체(1')를 구비하고, 콘센트 본체(20)의 오목부(21)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복수의 신호 포스트(post)(미도시)를 지지하는 돌출부(22)가 꽂기와 빼기가 자유롭게 삽입되는 끼워맞춤 오목부(5')가 끼워맞춤부(2')에 형성되어, 신호 포스트의 접촉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신호 콘택트(미도시)가 끼워맞춤 오목부(5') 안에 병설(竝設) 배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R)에 대하여 플러그(P')를 꽂거나 뺄 때에 플러그(P')를 비스듬히 기울이면 플러그(P')의 끼워맞춤부(2')의 측벽(2c')과 콘센트(R)의 돌출부(22)가 간섭하므로, 그대로 플러그(P')를 비집어 버리면 끼워맞춤부(2')의 측벽(2c')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에 대하여 기울여서 꽂거나 빼더라도 파손 등 부적합한 상태가 발생되기 어려운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센트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콘센트의 요부 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 플러그 본체
2... 끼워맞춤부
2c... 측벽
2d... 경사면
5... 끼워맞춤 오목부
6... 신호 콘택트
8... 확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콘센트의 콘센트 본체 앞면(前面)에 개구되는 오목부에 꽂기 및 빼기가 자유롭게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와, 끼워맞춤부가 앞면에 돌출 설치된 플러그 본체를 구비하고, 콘센트 본체의 오목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복수의 신호 포스트를 지지하는 돌출부가 꽂기 및 빼기가 자유롭게 삽입되는 끼워맞춤 오목부가 끼워맞춤부에 형성되며, 신호 포스트의 접촉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신호 콘택트가 끼워맞춤 오목부 내에 병설 배치되는 플러그에 있어서,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開口端) 근방의 폭 치수를 끼워맞춤 오목부 내부의 폭 치수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콘센트에 대하여 기울여서 꽂거나 빼어도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에서 끼워맞춤부의 측벽이 콘센트의 돌출부와 간섭하지 않아, 끼워맞춤부의 파손 등 부적합한 상태가 발생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의 안쪽 면에 바깥쪽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콘센트에 대하여 기울여 꽂거나 빼었을 때에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이 콘센트의 돌출부와 접촉하더라도, 돌출부가 경사면에 안내되어 끼워맞춤 오목부와 돌출부와의 경사가 교정되므로,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에서의 끼워맞춤부의 측벽이 콘센트의 돌출부와 간섭하지 않아, 끼워맞춤부의 파손 등 부적합한 상태를 더욱 발생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의 발명에 있어서,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에서 끼워맞춤부의 측벽을 끼워맞춤 오목부 내부에서의 측벽보다 두껍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에서의 끼워맞춤부의측벽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끼워맞춤부의 파손 등 부적합한 상태를 더 한층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실시예의 기본 구성은 종래예와 공통이므로, 공통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플러그(P)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수지에 의하여 대략 직사각형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 플러그 본체(1)를 구비하며, 플러그 본체(1)의 앞면에 끼워맞춤부(2)가 돌출 설치되는 동시에, 플러그 본체(1)의 후단부에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는 부싱(bushing)(50)이 부착되어 이 부싱(50)을 통해 신호 케이블(51)이 외부로 끌어 내어져 있다.
플러그 본체(1)는 바디(body)(1a) 및 커버(1b)의 2개 부재를 결합하며, 태핑(tapping) 나사로 이루어진 조립나사(3)(3)에 의해서 양자를 고정함으로써 조립된다. 끼워맞춤부(2)는 바디(1a) 및 커버(1b)와는 별도 부재(4)의 일부로서 설치되어 있는데, 이 부재(4)가 바디(1a)와 커버(1b) 사이에 끼워져 플러그 본체(1)와 일체로 조립됨으로써, 직사각형 평판 모양의 끼워맞춤부(2)가 플러그 본체(1)의 앞면에 돌출 설치되게 된다. 끼워맞춤부(2)에는 앞면으로 개구되는 끼워맞춤 오목부(5)가 형성되어 있어, 끼워맞춤 오목부(5)의 두께방향으로 대향하는 한쪽 측벽(2a)의 내벽면(內壁面)에는 끼워맞춤 오목부(5)의 바닥면으로부터 끼워맞춤부(2)의 앞면에 걸쳐서 가느다란 폭의 홈이 복수개 병설되어 있고, 각 홈에는 신호 콘택트(6)의 접촉부(6a)가 각각 끼워 넣어져 있다. 즉, 복수의 신호 콘택트(6)의 접촉부(6a)가 끼워맞춤 오목부(5) 내에서 한쪽 측벽(2a)에 폭 방향을 따라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어, 끼워맞춤 오목부(5) 내에 콘센트(R)의 돌출부(22)가 끼워넣어지면 돌출부(22)에 지지된 복수의 신호 포스트의 접촉부와 각각 별도로 접촉 도통하게 된다. 또, 각 신호 콘택트(6)의 후단부는 플러그 본체(1) 내에서 신호 케이블(5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 오목부(5)의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다른쪽 측벽(2b)의 외벽면에는, 콘센트 본체(20) 오목부(21)로의 꽂기 및 빼기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돌출편(7)(7)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21)의 한쪽 내벽면에 형성된 끼워맞춤 홈(21a)과 요철식으로 끼워넣어지게 되어 있다(도 2 참조). 즉, 돌출편(7)과 끼워맞춤 홈(21a)이 끼워맞춰지는 방향으로만 플러그(P)를 콘센트(R)와 접속할 수 있어, 콘센트(R)에 대한 플러그(P)의 부적합한 삽입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예에서는 끼워맞춤 오목부(5)의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벽(2c)(2c) 간의 거리, 즉 끼워맞춤 오목부(5)의 폭 치수가 깊이 방향으로 균일하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R)에 대하여 플러그(P')를 꽂거나 뺄 때에 플러그(P')를 비스듬하게 기울이게 하면, 플러그(P')의 끼워맞춤부(2')의 측벽(2c')과 콘센트(R)의 돌출부(22)가 간섭하게 되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맞춤 오목부(5)의 폭 방향에 대향하는 측벽(2c)(2c)을 개구단 근방에서 각각 바깥쪽으로 경사시킴으로써, 끼워맞춤부(5)의 개구단 근방의 폭 치수가 끼워맞춤 오목부(5) 내부의 폭 치수보다 크게 하고 있다. 더욱이, 종래예에서는 끼워맞춤부(2')의 측벽(2c')의 두께가 끼워맞춤 오목부(5)의 깊이 방향으로 균일하기 때문에, 끼워맞춤부(2')의 개구단 근방 부위의 강도가 부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각 측벽(2c)(2c)이 바깥쪽으로 경사진 개구단 근방의 부위에 끼워맞춤 오목부(5)의 폭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벌어져 나오는 확장부(8)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이 확장부(8)에 의해서 측벽(2c)의 개구단 근방의 부위를 끼워맞춤 오목부(5) 내부에서의 부위보다 두꺼워지게 함으로써 측벽(2c)의 개구단 근방 부위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R)에 대하여 플러그(P)를 꽂거나 뺄 때에 플러그(P)를 비스듬히 기울이더라도, 끼워맞춤 오목부(5)의 개구단 근방에 서 끼워맞춤부(2)의 측벽(2c)(2c)이 콘센트(R)의 돌출부(22)와 간섭하지 않아, 끼워맞춤부(2)의 파손 등 부적합한 상태가 발생되기 어렵게 된다. 더욱이, 끼워맞춤 오목부(5)의 개구단 근방의 안쪽 면에는 바깥쪽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면(2d)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사 끼워맞춤 오목부(5)의 개구단 근방이 콘센트(R)의 돌출부(22)와 접촉하더라도 돌출부(22)가 경사면(2d)으로 안내되어 끼워맞춤 오목부(5)와 돌출부(22)의 경사가 교정되게 된다. 더욱이, 확장부(8)에 의해 측벽(2c)의 개구단 근방의 부위가 두꺼워져 강도가 증가되므로, 예컨대 측벽(2c)과 돌출부(22)가 간섭하더라도 끼워맞춤부(2)(측벽(2c))는 파손되기 어려운 것이다.
또, 확장부(8)보다 후단측에서 측벽(2c)(2c)의 바깥쪽에는 콘센트(R)에 대하여 플러그(P)의 빠짐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금속편(9)이 각각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이 빠짐 방지 금속편(9)의 선단에는 콘센트(R)의 오목부(21) 내벽면에 형성된 걸림부(미도시)와 걸어 맞추는 걸림 손톱부(9a)가 돌출 설치되며, 후단측은 플러그 본체(1) 내에서 고정되어 빠짐 방지 금속편(9)의 선단부가 끼워맞춤부(2)의 폭 방향으로 요동하게 되어 있다. 플러그 본체(1)의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빠짐 방지 금속편(9)을 요동시키는 조작편(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一端部)에서 플러그 본체(1)에 지지된 조작편(10) 선단의 조작부(1Oa)를 플러그 본체(1) 쪽으로 누름 조작함으로써, 조작부(10a)가 빠짐 방지 금속편(9)을 구부려서 걸림 손톱부(9a)와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콘센트의 콘센트 본체 앞면에 개구되는 오목부에 꽂기 및 빼기가 자유롭게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와, 끼워맞춤부가 앞면에 돌출 설치된 플러그 본체를 구비하고, 콘센트 본체의 오목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복수의 신호 포스트를 지지하는 돌출부가 꽂기 및 빼기가 자유롭게 끼워지는 끼워맞춤 오목부가 끼워맞춤부에 형성되고, 신호 포스트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복수의 신호 콘택트가 끼워맞춤 오목부 내에 병설 배치되는 플러그에 있어서,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의 폭 치수가 끼워맞춤 오목부 내부의 폭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콘센트에 대하여 기울여서 꽂거나 빼어도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에서의 끼워맞춤부의 측벽이 콘센트의 돌출부와 간섭하지 않아, 끼워맞춤부의 파손 등 부적합한 상태를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의 안쪽면에 바깥쪽을 향하여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콘센트에 대하여 기울여서 꽂거나 빼었을 때에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이 콘센트의 돌출부와 접촉하더라도, 돌출부가 경사면에 안내되어 끼워맞춤 오목부와 돌출부와의 경사가 교정되므로,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에서의 끼워맞춤부의 측벽이 콘센트의 돌출부와 간섭하지 않아, 끼워맞춤부의 파손 등 부적합한 상태를 더 한층 발생시키기 어렵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의 발명에 있어서,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에서의 끼워맞춤부의 측벽을 끼워맞춤 오목부 내부에서의 측벽보다도 두껍게 하였기 때문에,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에서의 끼워맞춤부의 측벽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끼워맞춤부의 파손 등 부적합한 상태를 더 한층 발생시키기 어렵게 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콘센트의 콘센트 본체 앞면에 개구되는 오목부에 꽂기 및 빼기가 자유롭게 끼워지는 끼워맞춤부와, 끼워맞춤부가 앞면에 돌출 설치된 플러그 본체를 구비하고, 콘센트 본체의 오목부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복수의 신호 포스트를 지지하는 돌출부를 꽂기 및 빼기가 자유롭게 끼워넣는 끼워맞춤 오목부가 끼워맞춤부에 형성되며, 신호 포스트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복수의 신호 콘택트가 끼워맞춤 오목부 내에 병설 배치되는 플러그에 있어서,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의 안쪽면에 바깥쪽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의 폭 치수를 끼워맞춤 오목부 내부의 폭 치수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끼워맞춤 오목부의 개구단 근방에서의 끼워맞춤부의 측벽을 끼워맞춤 오목부내부에서의 측벽보다 두껍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KR10-2001-0047203A 2000-09-05 2001-08-06 플러그 KR100433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69083 2000-09-05
JP2000269083A JP2002075510A (ja) 2000-09-05 2000-09-05 プラ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384A KR20020019384A (ko) 2002-03-12
KR100433737B1 true KR100433737B1 (ko) 2004-06-04

Family

ID=1875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203A KR100433737B1 (ko) 2000-09-05 2001-08-06 플러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2075510A (ko)
KR (1) KR100433737B1 (ko)
CN (1) CN1264254C (ko)
HK (1) HK1043882B (ko)
TW (1) TW4985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5665B2 (ja) * 2006-08-01 2011-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接続ケーブルおよび接続コネクタ
JP4849109B2 (ja) * 2008-09-10 2012-0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807395B2 (ja) * 2008-10-08 2011-11-0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3584U (ko) * 1985-09-24 1987-04-02
JPH0590847U (ja) * 1992-05-20 1993-12-10 日立電線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部
JPH08321351A (ja) * 1995-05-24 1996-12-0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09147976A (ja) * 1995-11-22 1997-06-06 Ryosei Denso Kk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3584U (ko) * 1985-09-24 1987-04-02
JPH0590847U (ja) * 1992-05-20 1993-12-10 日立電線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部
JPH08321351A (ja) * 1995-05-24 1996-12-0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09147976A (ja) * 1995-11-22 1997-06-06 Ryosei Denso Kk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75510A (ja) 2002-03-15
HK1043882A1 (en) 2002-09-27
KR20020019384A (ko) 2002-03-12
HK1043882B (zh) 2006-11-10
CN1264254C (zh) 2006-07-12
TW498579B (en) 2002-08-11
CN1341985A (zh)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0262B1 (en) Connector
JP3301329B2 (ja) コネクタ
KR100524835B1 (ko)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커넥터
US20020025713A1 (en) Connector
US765486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H07235344A (ja) コネクタ位置保証システム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組立体
JP2005158630A (ja) 電気コネクタ
JP2001023729A (ja) コネクタ
JP2003151684A (ja) コネクタ
JP5015812B2 (ja) コネクタ用カバー
JPH09106846A (ja) コネクタ装置
KR100433737B1 (ko) 플러그
US5716232A (en) Female terminal for connector
US10374346B2 (en) Movable connector
US7419399B2 (en) Panel mount connector with integrated latch and polarizing key
KR100395021B1 (ko) 모듈러 잭
US7108550B2 (en) Connector
US7530860B2 (en) Contact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US20020106940A1 (en) Substrate connector
US5411411A (en) Bulb socket
US6000972A (en) Structure for fixing terminal to connector housing
KR100322055B1 (ko) 정상폐로스위치를가진동축케이블용커넥터
JPH1116625A (ja) コネクタの二重係止部材
KR950015857A (ko) 더블록크형 전기컨넥터
US20050100284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having stopp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