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502B1 -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 - Google Patents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502B1
KR100433502B1 KR10-2001-0062490A KR20010062490A KR100433502B1 KR 100433502 B1 KR100433502 B1 KR 100433502B1 KR 20010062490 A KR20010062490 A KR 20010062490A KR 100433502 B1 KR100433502 B1 KR 100433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outer cover
expansion
curl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750A (ko
Inventor
철 양
Original Assignee
철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철 양 filed Critical 철 양
Priority to KR10-2001-0062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502B1/ko
Publication of KR20010104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750A/ko
Priority to JP2002291941A priority patent/JP2003128038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 B65D3/12Flanged discs permanently secured, e.g. by adhesives or by heat-sealing
    • B65D3/14Discs fitting within container end and secured by bending, rolling, or fol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컵 하단의 밑굽을 외측으로 벌어지게 확장부를 형성하고, 외부커버지는 종이컵의 컬링부와 확장부 사이에 끼일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면서 외부커버지의 하단부 내경을 종이컵의 확장 개시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므로서, 종이컵의 외부에 외부커버지를 끼웠을 때 컬링부와 확장부 사이에 외부커버지가 꼭 들어 맞게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커버지의 하단부가 확장부에 걸리도록 하여 외부커버지가 확장부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여 외부커버지를 종이컵의 외부에 비접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부 외주연에 컬링부(5)가 외향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밑지(6)가 설치된 종이컵(1)의 외부 전둘레에 외부커버지(7)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1)의 하단 밑굽(2)은 외측으로 벌어지게 확장부(3)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커버지(7)의 하단부 내경을 확장부(3)의 확장개시부(4)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며, 외부커버지(7)의 길이를 종이컵(1)의 컬링부(5) 하단과 확장부(3)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외부커버지(7)를 종이컵(1)의 컬링부(5) 하단과 확장부(3)사이에 끼워 비접착식으로 삽입 설치되며, 다른실시예로써 상기 종이컵(1)의 컬링부(5) 하단 몸체(8)에는 끼움홈(9)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9)에 대응하는 외부커버지(7)에는 끼움홈(9)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0)가 형성되며, 또한 확장부(3)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Paper cup with extended edge}
본 발명은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컵 하단의 밑굽을 외측으로 벌어지게 확장부를 형성하고, 외부커버지는 종이컵의 컬링부와 확장부 사이에 끼일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면서 외부커버지의 하단부 내경을 종이컵의 확장 개시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므로서, 종이컵의 외부에 외부커버지를 끼웠을 때 컬링부와 확장부 사이에 외부커버지가 꼭 들어맞게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커버지의 하단부가 확장부에 걸리도록 하여 외부커버지가 확장부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여 외부커버지를 종이컵의 외부에 비접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종이컵의 외부 전둘레에 외부커버지를 설치하는 종래의 다중종이컵은 종이컵의 외부 전둘레에 한 겹 또는 두 겹이상의 커버지나 골판지등의 커버지를 직접 접착시킨 경우, 또는 종이컵의 외부면과 외부커버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커버지를 부착시키는 경우가 있으며, 이들 모두 종이컵의 외부면에 외부커버지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접착제를 이용하여 외부커버지를 접착시키거나, 또는 외부커버지와 종이컵의 부착면에 비닐코팅층을 도포하여 열접착에 의해 접착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종이컵의 외부면에 외부커버지를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 문제점은 접착제를 사용하므로 인하여 접착면에 접착제를 바르기 위한 설비가 구비되어야 하며, 접착면에 도포한 접착제가 접착에 적합한 정도로 응고되기 위한 응고 지연시간이 소요되어종이컵을 제작하기 위한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만 아니라, 응고되어 눌어 붙은 접착제에 의해 기계주변이 지저분해지며 접착제에 함유되어 있는 화학약품의 냄새가 발산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며, 비교적 가격이 비싼 접착제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접착제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의 문제점 외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종이컵의 외부에 외부커버지를 부착시키는 공정에서 불량이 가장 많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종이컵과 외부커버지를 접착시키기 위하여 종이컵의 외부면과 외부커버지의 내면에 비닐코팅층을 형성시켜 열접착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이컵과 외부커버지에 코팅되어 있는 비닐에 의하여 종이컵의 재활용이 곤란하며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이컵의 하단 밑굽을 외측으로벌어지게 확장부를 형성하고, 외부커버지는 종이컵의 컬링부와 확장부 사이에 끼일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면서 외부커버지의 하단부 내경을 종이컵의 확장 개시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므로서, 종이컵의 외부에 외부커버지를 끼웠을 때 컬링부와 확장부 사이에 외부커버지가 꼭 들어 맞게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커버지의 하단부가 확장부에 걸리도록 하여 외부커버지가 확장부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여 외부커버지를 종이컵의 외부에 비접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종이컵의 외부에 비접착식으로 고정된 종이컵은 끼움홈에 의하여 더욱 견고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종이컵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확장부가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부 외주연에 컬링부가 외향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밑지가 설치된 종이컵의 외부 전둘레에 외부커버지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의 하단 밑굽은 외측으로 벌어지게 확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커버지의 하단부 내경을 확장부의 확장개시부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며, 외부커버지의 길이를 종이컵의 컬링부 하단과 확장부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외부커버지를 종이컵의 컬링부 하단과 확장부사이에 끼워 비접착식으로 삽입 설치되며, 다른실시예로써 상기 종이컵의 컬링부 하단 몸체에는 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에 대응하는 외부커버지에는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또한 확장부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요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확장부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저면도.
도 4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확장부가 각기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확장부의 각종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의 (가) 내지 (마)는 확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종이컵에 삽입 설치되는 외부커버지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의 (가) 내지 (마)는 확장부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에 각종 외부커버지가 삽입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의 (가) 내지 (마)는 둥근 형상의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에 각종 외부커버지가 삽입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의 (가) 내지 (마)는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는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에 각종 외부커버지가 삽입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이컵 2 : 밑굽 3 : 확장부
4 : 확장개시부 5 : 컬링부 6 : 밑지
7 : 외부커버지 8 : 몸체 9 : 끼움홈
10 : 끼움돌기
본 발명에 의한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요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확장부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저면도이며, 도 4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확장부가 각기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확장부의 각종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의 (가) 내지 (마)는 확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종이컵에 삽입 설치되는 외부커버지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6의 (가) 내지 (마)는 확장부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에 각종 외부커버지가 삽입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의 (가) 내지 (마)는 둥근 형상의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에 각종 외부커버지가 삽입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의 (가) 내지 (마)는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는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에 각종 외부커버지가 삽입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종이컵(1)의 하단 밑굽(2)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벌어지게 확장부(3)를 형성하여 종이컵(1) 외주연의 컬링부(5)와 확장부(3) 사이에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종이컵(1)은 종이컵 몸체(8)의 상부 외주연에 컬링부(5)가 외향으로 형성되고 몸체(8)의 하단부에는 밑지(6)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8)의 하단부는 밑지(6)의 수직결합부(6a)를 감싸서 결합되며, 상기의 수직결합부(6a)를 감싸서 결합되는 두꺼운 부분을 밑굽(2)이라 칭한다.
상기 종이컵(1) 하단의 두꺼운 밑굽(2)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벌어지게 확장부(3)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되는 확장부(3) 끝부분의 외경은 확장개시부(4)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외부커버지(7)의 하단부 내경을 확장부(3)의 확장개시부(4)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며, 외부커버지(7)의 길이를 종이컵(1)의 컬링부(5) 하단과 확장부(3)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외부커버지(7)를 종이컵(1)의 컬링부(5) 하단과 확장부(3)의 확장개시부(4) 사이에 끼워 비접착식으로 삽입 설치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의 이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일실시예와 같이 종이컵(1) 하단의 밑굽(2)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벌어지게 확장부(3)를 형성하고, 종이컵(1) 외부의 컬링부(5) 하단과 확장부(3)의 사이에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되는 것은 동일하나, 일실시예와 이실시예가 서로 상이한 점은 상기 종이컵(1)의 컬링부(5) 하단의 몸체(8)에 끼움홈(9)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9)에 대응하는 외부커버지(7)에는 끼움홈(9)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서로 상이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확장부(3)의 다른실시예는 상기 확장부(3)가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4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확장부가 각기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확장부의 각종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4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확장부(3)의 일실시예는 확장부(3)가 직선형으로 절곡되게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며, 도 4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확장부(3)의 이실시예는 확장부(3)가 곡선형으로 외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겄이고, 도 4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확장부(3)의 삼실시예는 확장부(3)가 외측으로 절곡되게 각진 단턱부(3a)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5의 (가) 내지 (마)는 확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종이컵에 삽입 설치되는 외부커버지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5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종이컵에 삽입 설치되는 외부커버지(7)의 일실시예는 하단부에 컬링부(7a)가 내향으로 형성된 외부커버지(7)가 종이컵에 삽입 설치된 것으로, 외부커버지(7)의 상부 내주면이 종이컵(1)의 컬링부(5) 하단에 접촉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내향으로 형성된 하단 컬링부(7a)의 내주면은 확장개시부(4)에 접촉되게 설치되며, 종이컵(1)의 외주면과 외부커버지(7)의 내주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된다.
도 5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종이컵에 삽입 설치되는 외부커버지(7)의 이실시예는 표면에 인쇄가 잘 되는 비닐지나 비닐지가 코팅된 한겹 또는 여러겹으로 된 커버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도 5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종이컵에 삽입 설치되는 외부커버지(7)의 삼실시예는 골판지로된커버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5의 (라)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종이컵에 삽입 설치되는 외부커버지(7)의 사실시예는 종이컵(1)의 외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외부커버지(7)가 경사진 주름관형태의 주름커버지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며, 도 5의 (마)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종이컵에 삽입 설치되는 외부커버지(7)의 오실시예는 외부커버지(7)의 하단부가 확장부(3)와 면접촉식으로 접촉하게 되면서 외부커버지(7)의 내주면이 아래쪽으로 가면서 몸체(8)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외부커버지(7)의 하단부가 삼각모양으로 꺽인 삼각꺽임부(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름관형태의 주름커버지에서 주름의 형상은 도 5의 (라)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삼각주름형상외에 파형주름 및 사각주름형상의 주름으로 변형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8은 확장부(3)의 일, 이, 삼실시예의 종이컵(1)에 외부커버지(7)의 일 내지 오실시예에 모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실시예로서, 도 6의 (가) 내지 (마)는 확장부(3)가 경사지게 형성된 종이컵(1)에 각종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상태의 각종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의 (가) 내지 (마)는 확장부(3)가 둥근 형상으로 형성된 종이컵(1)에 각종의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상태의 각종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의 (가) 내지 (마)는 확장부(3)가 단턱지게 형성된 종이컵(1)에 각종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상태의 각종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컬링부(7a)가 하단부에 내향으로 형성된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이며, 도 6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비닐지나 비닐지가 코팅된 한겹 또는 여러겹으로 된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이고, 도 6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골판지로 된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실시예이며, 도 6의 (라)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경사진 주름관형태의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실시예이고, 도 6의 (마)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삼각꺽임부(7b)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실시예이다.
그리고, 도 7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컬링부(7a)가 하단부에 내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실시예이고, 도 7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비닐지나 비닐지가 코팅된 한겹 또는 여러겹으로 된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실시예이며, 도 7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골판지로 된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실시예이고, 도 7의 (라)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경사진 주름관형태의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실시예이며, 도 7의 (마)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삼각꺽임부(7b)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실시예이다.
도 8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컬링부(7a)가 하단부에 내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실시예이고, 도 8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비닐지나 비닐지가 코팅된 한겹 또는 여러겹으로 된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실시예이며, 도 8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골판지로 된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예이고, 도 8의 (라)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경사진 주름관형태의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실시예이며, 도 8의 (마)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확장부(3)가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1)에 삼각꺽임부(7b)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커버지(7)가 삽입 설치된 예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확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이컵(1)의 상단에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컬링부(5)와 밑굽(2)의 하단에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있는 확장부(3)의 사이에 외부커버지(7)가 꼭 들어맞게 끼워지므로, 종이컵(1)의 외부에 외부커버지(7)를 삽입 설치시 접착제나 열접착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도 종이컵(1)의 외부에 외부커버지(7)를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부커버지(7)는 그 하단부의 내경이 종이컵(1)의 확장개시부(4) 외경과 동일하고 확장부(3) 보다는 작으므로 종이컵(1)의 외부에 외부커버지(7)를 삽입시켰을 때 외부커버지(7)의 하단부가 확장부(3)에 걸려서 종이컵(1)의 외부에서 외부커버지(7)가 빠져나오는 현상은 전혀 발생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커버지(7)의 길이가 컬링부(5)의 하단부 부터 확장개시부(4) 까지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종이컵(1)의 외부 컬링부(5)와 확장부(3) 사이에 끼워진 외부커버지(7)가 종이컵(1)의 외부에서 절대로 빠질 수 없게 설치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경우의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은 종이컵(1)의 하단 밑굽(2)에 확장부(3)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고, 종이컵(1)의 상부 컬링부(5) 하방의 몸체(8)에는 끼움홈(9)이 형성되며 종이컵(1)의 외부에 삽입되는 외부커버지(7)에는 상기 끼움홈(9)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이컵(1)에 외부커버지(7)를 삽입 설치시 외부커버지(7)가 컬링부(5) 하단부와 확장부(3) 사이에 끼이면서 끼움돌기(10)가 끼움홈(9)에 끼워지므로 더욱더 견고하게 종이컵(1)의 외부에 외부커버지(7)가 끼워져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확장부(3)가 도 3 및 도 4의 (가)(나)(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밑굽(2)의 하단에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확장부(3)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둥글게 형성되는 경우, 단턱지게 형성되는 경우 모두가 종이컵(1)의 확장부(3)가 외부커버지(7)의 하단부 내경보다 넓으므로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여러 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부(3)에 외부커버지(7)가 모두 걸리게 되어 외부커버지(7)가 종이컵으로 부터 빠지지 않게 되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확장부(3)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경우에는 확장부(3)의 절곡시 확장부(3) 끝부분의 외경이 크지지므로 인하여 쉽게 절곡되지 않는 어려움을 방지하여 쉽게 절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여러 가지 형상의 확장부(3)를 형성한 종이컵(1)의 외부에 삽입식으로 설치되는 외부커버지(7)의 형상이 도 5의 (가) 내지 (마)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는 경우에도 그 외부커버지(7)들의 하부 내경이 확장부(3) 보다 작으므로 종이컵(1)의 외부에 삽입되는 외부커버지(7)가 상기 확장부(3)에 걸려서 아래로 빠지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을 제조할 경우에는 상광하협으로 된 테이퍼관 형태로 제작된 반제품의 상태에서 외부커버지(7)를 종이컵(1)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끼울 때, 외부커버지(7)의 하단부 내경이 확장부(3)의 하부에 걸려서 상측으로 끼워지지 못하기 때문에 확장부(3)를 형성하지 않은 종이컵(1)의 하부에서 외부커버지(7)을 상측으로 끼워 조립한 뒤에, 확장부(3)를 그 다음에 성형하여 컬링부(5)와 확장부(3)의 사이에 외부커버지(7)가 끼워져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은, 종이컵의 하단 밑굽을 외측으로 벌려서 확장부가 형성되게 하고, 외부커버지의 길이가 종이컵의 컬링부와 확장부 사이에 꼭 들어 맞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며 끼움홈과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종이컵의 외부에 외부커버지를 끼우는 동작만으로 종이컵의 외부에 외부커버지를 비접착식으로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확장부에 의하여 절곡시 확장부의 끝부분이 쉽게 절곡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이컵의 외부에 외부커버지를 비접착식으로 고정 설치하므로 인하여 종래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모든 문제점를 일소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불량율이 저하되며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등의 새로운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상단부 외주연에 컬링부(5)가 외향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밑지(6)가 설치된 종이컵(1)의 외부 전둘레에 외부커버지(7)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1)의 하단 밑굽(2)은 외측으로 벌어지게 확장부(3)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커버지(7)의 하단부 내경을 확장부(3)의 확장개시부(4)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며, 외부커버지(7)의 길이를 종이컵(1)의 컬링부(5) 하단과 확장부(3)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외부커버지(7)를 종이컵(1)의 컬링부(5) 하단과 확장부(3)사이에 끼워 비접착식으로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1)의 컬링부(5) 하단 몸체(8)에는 끼움홈(9)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9)에 대응하는 외부커버지(7)에는 끼움홈(9)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3)가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
KR10-2001-0062490A 2001-10-10 2001-10-10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 KR100433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490A KR100433502B1 (ko) 2001-10-10 2001-10-10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
JP2002291941A JP2003128038A (ja) 2001-10-10 2002-10-04 拡張部が形成された紙カッ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490A KR100433502B1 (ko) 2001-10-10 2001-10-10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842U Division KR200263796Y1 (ko) 2001-11-05 2001-11-05 확장부를 형성한 종이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750A KR20010104750A (ko) 2001-11-28
KR100433502B1 true KR100433502B1 (ko) 2004-06-07

Family

ID=1971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490A KR100433502B1 (ko) 2001-10-10 2001-10-10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3128038A (ko)
KR (1) KR100433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162B1 (ko) * 2005-12-20 2006-08-02 철 양 밑굽이 확장된 이중종이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0864A1 (de) 2006-07-17 2008-01-24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Ltd. Becher aus einem Papiermaterial
WO2008009371A1 (de) 2006-07-17 2008-01-24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bechers
DE102007024243A1 (de) * 2006-07-17 2008-01-24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Ltd. Becher aus einem Papiermaterial
DE102008005403A1 (de) 2008-01-21 2009-07-23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Ltd. Becher aus einem Papiermaterial
DE102008026984A1 (de) 2008-05-28 2009-12-03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Ltd. Außenmantel für einen doppelwandigen Bech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P2451716B1 (en) * 2009-07-06 2013-12-25 Huhtamäki Oyj Cardboard container
DE102011078479A1 (de) * 2011-06-30 2013-01-03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 Ltd. Becher aus einem Papiermateria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chers aus Papiermaterial
JP5878437B2 (ja) * 2012-08-03 2016-03-08 株式会社日本デキシー 紙製容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1840A (ja) * 1990-11-29 1992-07-22 Toppan Printing Co Ltd 断熱紙容器
US5628453A (en) * 1996-01-16 1997-05-13 Packaging Resources, Inc. Cup with thermally insulated side wall
KR19990033159U (ko) * 1999-03-15 1999-08-05 양철 일회용 종이컵
US6041952A (en) * 1998-03-12 2000-03-28 Polar Peaks, Llc Insulated container apparatus
KR20010029565A (ko) * 2000-02-17 2001-04-06 박승근 컵라면 종이용기
KR200220858Y1 (ko) * 2000-09-27 2001-04-16 박승근 보온, 단열용 2중통체 종이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92382A1 (fr) * 1980-10-22 1982-04-23 Synthelabo Derives d'imidazo (1,2-a) pyridine,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JP2001031152A (ja) * 1999-07-19 2001-02-06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容器
JP2001072037A (ja) * 1999-08-31 2001-03-21 Sekisui Plastics Co Ltd 二重容器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1840A (ja) * 1990-11-29 1992-07-22 Toppan Printing Co Ltd 断熱紙容器
US5628453A (en) * 1996-01-16 1997-05-13 Packaging Resources, Inc. Cup with thermally insulated side wall
US6041952A (en) * 1998-03-12 2000-03-28 Polar Peaks, Llc Insulated container apparatus
KR19990033159U (ko) * 1999-03-15 1999-08-05 양철 일회용 종이컵
KR20010029565A (ko) * 2000-02-17 2001-04-06 박승근 컵라면 종이용기
KR200220858Y1 (ko) * 2000-09-27 2001-04-16 박승근 보온, 단열용 2중통체 종이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162B1 (ko) * 2005-12-20 2006-08-02 철 양 밑굽이 확장된 이중종이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28038A (ja) 2003-05-08
KR20010104750A (ko)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502B1 (ko) 확장부가 형성된 종이컵
US5267667A (en) Plug adapted to be fixed by means of hot melt adhesive into an opening in a plate such as an automobile body
JP3595959B2 (ja) スリーブを有するねじ
CA1327167C (en) Metal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1061042B (zh) 阀保持装置
JPH0558999B2 (ko)
US9033856B2 (en) Folding mandre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ued sleeves
RU220916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ывания бутылки
KR850000572Y1 (ko) 스냅 파스너 요소의 부착장치
JP2010230164A (ja) 回転軸用シールに用いられる金属製の一体の支持体
KR200263796Y1 (ko) 확장부를 형성한 종이컵
US6615822B2 (en) Gas cooking appliance
JP2004524237A (ja) 流体ディスペンサ装置用の金属製の圧着キャップ
KR950005508A (ko) 지관라이닝재의 제조방법
CA2771914A1 (en) Profiled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profiled element
KR100505852B1 (ko) 종이컵의 컬링부 연결구조
US4280652A (en) Cover for containers
JP3819992B2 (ja) マンホール用足掛装置
JP2001097355A (ja) 断熱カップ
KR100834004B1 (ko) 종이컵용 옆지
ITMI941246A1 (it) Unita' di serraggio per trattenere tubi o conduttori
JP2725992B2 (ja) 液状糊用容器
JPH0415650Y2 (ko)
JPS5962435A (ja) 紙容器
JP3058954U (ja) マンホール用足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