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406B1 - 화상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406B1
KR100433406B1 KR10-2002-0006569A KR20020006569A KR100433406B1 KR 100433406 B1 KR100433406 B1 KR 100433406B1 KR 20020006569 A KR20020006569 A KR 20020006569A KR 100433406 B1 KR100433406 B1 KR 100433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roller
developer layer
image forming
photosensitiv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6231A (ko
Inventor
서영욱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406B1/ko
Publication of KR2003006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36Specific type of dry developer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일치하는 화상형성 장치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공간, 표면의 전위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 감광드럼에 대향하여 회전하면서 가시 화상이 형성되도록 감광드럼에 현상제 저장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롤러, 및 현상롤러의 현상제층 형성을 제어하는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포함하며, 현상제층 규제부재는 현상롤러에 형성되는 현상제층의 형성을 최소한 2차례 이상 규제할 수 있도록 현상롤러와 최소한 2 곳 이상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현상제층 규제부재는 현상롤러에 일정한 두께의 현상제층을 1차로 형성하도록 현상롤러의 원주면에 선접촉하도록 배치된 제 1 규제부,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현상롤러에 1차 형성된 현성제층을 균일한 최종 현상제층으로 형성하도록 제 1 규제부에 관하여 현상제 이동방향 하류에 현상롤러의 원주면과 선접촉하도록 배치된 제 2 규제부를 갖는 판형부재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형성 장치는 현상롤러에 형성되는 현상제층을 최소한 2 차례에 걸쳐 규제 및 마찰 대전하도록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구성함으로써 현상제층 규제부재의 평활도 불량 및 불균일한 마찰대전으로 인한 화상 불균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등과 같은 전자사진장치에 적용되는 화상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롤러와 같은 현상제 이송체에 형성되는 현상제층을 2차에 걸쳐 규제 및 마찰 대전하도록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구성함으로써 현상제층 규제부재의 평활도 불량 및 불균일한 마찰대전으로 인한 화상 불균일 현상을 방지하게 한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갖는 화성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등과 같은 전자사진장치에 적용되는 화상형성 장치는 화상신호에 따라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감광벨트 또는 감광드럼과 같은 감광체에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laser scanning unit)와 같은 노광부와,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여 기록지에 전사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는 화상형성부를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련의 화상처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 장치의 화상형성부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화상형성 유니트(1)가 도시되어 있다.
이 화상형성 유니트(1)는 표면의 전위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3), 감광드럼(3)과 마주보며 회전하면서 가시적인 화상이 형성되도록 감광드럼(3)에 토너와 같은 현상제(13)를 부착하는 현상롤러(12), 현상롤러(12)와 맞물려 회전되고 현상제(13)를 현상롤러(12)로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롤러(15), 현상제(13)를 현상제 공급롤러(15)에 전달하는 현상제 공급바(14), 현상롤러(12)의현상제층 형성을 제어하는 현상제층 규제부재(16, 22, 23), 감광드럼(3)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감광드럼(3)의 표면에 전기적 특성을 가해주는 대전롤러(5), 감광드럼(3)이 1 주기 회전후 그 표면에 잔류된 잔류 현상제(13)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8)와 폐현상제 토출파이프(9)를 구비하는 클리닝 유니트(4), 및 이들 부분들을 고정하고 지지하는 제 1 하우징(11) 및 제 2 하우징(21)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화상형성 유니트(1)는 컴퓨터 또는 스캐너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따라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3)에 주사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도시하지 않음)의 레이저 빔 반사부(24)로부터 레이저 빔을 수용하는 투과창(6)과, 현상롤러(12)와 현상제 공급롤러(15)의 금속 샤프트(12',15') 및 현상제층 규제부재(16, 22, 23)의 규제 블레이드(doctor blade)(16)에 각각 연결되어 관련 구성부분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3개의 바이어스전압 발생장치(12", 15", 16")를 갖는다.
현상제층 규제부재(16, 22, 23)는 현상롤러(12) 표면의 한 곳에 일정 압력을 가한 상태로 선접촉되어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는 탄성체의 규제 블레이드(16), 규제 블레이드(16)를 고정하여 규제 블레이드(16)를 현상롤러(12)에 안정적으로 접촉시키는 브라켓(22), 및 제 2 하우징(21)에 취부되어 브라켓(22)을 고정시키는 홀더(2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현상롤러(12)의 하부면에는 현상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절연체의 현상제 누출방지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상형성 유니트(1)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컨트롤러에 의해 대전롤러(5)를 통하여 감광드럼(3)의 표면이 일정한 전압으로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드럼(3)이 도 1의 화살표(A)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화상신호에 따라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레이저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빔이 레이저 빔 반사부(24)에 의해 반사되어 투과창(6)을 통과한 후 감광드럼(3)에 주사됨으로써, 감광드럼(3)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 된다.
한편, 현상제는(13)는, 제 2 하우징(21) 내에서 현상제 공급바(14)를 통해 현상제 공급롤러(15)에 전해지고, 바이어스전압 발생장치(12", 15")가 현상롤러(12)와 현상제 공급롤러(15)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킴에 따라 현상롤러(12)로 이동하여 흡착된다.
현상롤러(12)의 표면에 흡착된 현상제(13)는 규제 블레이드(16)에 의해 현상롤러(12)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현상제층으로 형성된다. 이 때, 규제 블레이드(16)는 바이어스 발생장치(16")에 의해 현상롤러(12)와 마찰대전을 발생하여 현상제(13)에 대해 일정한 전하량을 부여하게 된다.
그 후, 현상롤러(12)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현상제(13)는 바이어스전압 발생장치(12")로 인해 형성되는 감광드럼(3)상의 정전잠상과 현상롤러(12)의 표면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형성된 전계에 의하여 감광드럼(3)의 표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현상롤러(12)가 도 1의 화살표(B) 방향, 즉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광드럼(3)과 닙(nip), 즉 현상영역을 형성할 때, 감광드럼(3)과 현상롤러(12) 사이에는 최소한의 갭이 존재하며, 이 때문에, 현상제(13)는 둘 사이의 전기적인 힘의 차이에 의하여 감광드럼(3)으로 이동하여 감광드럼(3)의 표면에 형성된 정점잠상에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된다.
이와 같이, 감광드럼(3)으로 이동된 현상제(13)는 감광드럼(3) 표면의 정전잠상에만 흡착되어 가시적인 화상을 형성하게 되고, 화상이 형성된 감광드럼(3)이 회전함에 따라, 감광드럼(3)과 그 하부에 배치된 전사롤러(26) 사이로 급지되는 기록지(19)에 원하는 화상이 전사된다.
이 후, 감광드럼(3)은 계속 회전하게 되고, 클리닝 블레이드(8)는 감광드럼(3)의 표면에 잔류된 현상제(13)를 제거하여 감광드럼(3)이 다시 정전잠상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화상이 전사된 기록지(19)는 화상을 고정하는 정착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록지(19)에 정착되며, 급지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기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종래의 화상형성 유니트(1)에 의하면, 현상제층의 두께는 현상롤러(12)에 대한 규제 블레이드(16)의 접촉각과 압력, 현상롤러(12)의 표면 조도와 마찰계수, 및 바이어스전압 발생장치(12", 16")에 의한 전위차 등의 조합, 특히 현상롤러(12)에 대한 규제 블레이드(16)의 접촉각과 압력에 의해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현상롤러(12)의 표면에 얇고 균일하고 일정한 전하량으로 대전된 현상제층을 만들기 위해서는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구성하는 규제 블레이드(16)가 현상롤러(12)에 정밀한 선접촉 압력을 갖도록 유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형성 장치(1)는 규제 블레이드(16)가 현상롤러(12)의 표면의 한 곳에만 선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규제 블레이드(16)가 제작 및 조립상의 오차등으로 인해 틀어짐이 발생할 경우 평활도가 나빠지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 경우, 현상롤러(12)에 가해지는 규제 블레이드(16)의 선접촉 압력 과 면적은 불균일하게 된다. 규제 블레이드(16)의 선접촉 압력과 면적이 불균일하게 되면, 현상롤러(12)에 형성되는 현상제층이 불균일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불균일한 화상이 형성 된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16)의 선접촉 압력과 면적의 불균일로 인해 현상롤러(12)에 형성된 현상제층이 규제 블레이드(16)에 의해 불충분하게 대전될 경우, 현상제(13)가 감광드럼(3)에 형성된 정전 잠상 즉, 화상영역 뿐 아니라 비화상 영역까지 이동하는 "백 그라운드(fog image)" 현상이 발생하여 화상품질을 저하시키고, 또 현상제(13)가 비산하여 화상형성 장치(1) 내부를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롤러와 같은 현상제 이송체에 형성되는 현상제층을 최소한 2차례에 걸쳐 규제 및 마찰 대전하도록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구성함으로써 현상제층 규제부재의 평활도 불량으로 인한 화상 불균일문제 발생을 방지하게 한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갖는 화성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 장치의 화상형성 유니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일치하는 화상형성 장치의 화상형성 유니트의 단면도.
도 3a, 도3b, 도 3c 및 도3d는 각각 도 2 에 도시한 화상형성 유니트의 현상제층 규제부재 및 그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화상형성 유니트 3: 감광드럼
4: 클리닝 유니트 5: 대전롤러
10: 감광드럼부 11, 21: 하우징
12: 현상롤러 12". 15", 16": 바이어스전압 발생장치
13: 현상제 14: 현상제 공급바
15: 현상제 공급롤러 16, 111: 규제 블레이드
20: 현상부 110, 120, 130, 140: 현상제층 규제부재
113, 123, 133, 143: 제 1 규제부 114, 124, 134, 144: 제 2 규제부
115, 125, 135, 145: 현상제 배출부 117: 분리벽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공간, 표면의 전위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체, 감광체와 마주보며 회전하면서 가시적인 화상이 형성되도록 감광체에 현상제 저장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제 이송체, 및 현상제 이송체의 현상제층 형성을 제어하는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층 규제부재는 현상제 이송체의 현상제층 형성을 최소한 2차례 이상 제어할 수 있도록 현상제 이송체와 최소한 2 곳이상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화상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제층 규제부재는 현상제 이송체에 일정한 두께의 현상제층을 1차로 형성하도록 현상제 이송체의 표면에 선접촉하도록 배치된 제 1 규제부, 및 제 1 규제부에 의해 현상제 이송체에 1차 형성된 현성제층을 균일한 최종 현상제층으로 형성하도록 제 1 규제부에 관하여 현상제 이동방향 하류에서 현상제 이송체의 표면에 선접촉하도록 배치된 제 2 규제부를 갖는 판형부재로 구성된다.
판형부재는 제 2 규제부에 의해 현상제 이송체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현상제가 제 1 및 2 규제부 사이에 정체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규제부 사이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부를 포함한다. 현상제 배출부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배출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형부재는 스테인레스, 베릴륨동, 인청동 등과 같은 금속재, PVC,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perfluoroalkoxy), 불소수지, 실리콘 고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수지재, 및 이들 재료에 폴리우레탄, 이소시아네이트 등과 같은 코팅재를 도포한 재료 중의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 저장공간으로부터 현상제 이송체로 새롭게 공급되는 현상제가 현상제 배출부를 통해 제 1 및 제 2 규제부사이로 바로 유입되거나 제 2 규제부에 의해 현상제 이송체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현상제가 현상제 저장공간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현상제 저정공간과 현상제 규재부재 사이에 분리벽을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일치하는 화상형성 장치를 첨부도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에 일치하는 화상형성 장치는 종래기술과 같이 감광드럼과 같은 감광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와 같은 노광부와, 일련의 화상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일치하는 화상형성 장치의 화상형성부를 구성하는 화상형성 유니트(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화상형성 유니트(100)는 감광드럼부(10)와 현상부(20)를 갖는다.
감광드럼부(10)는 표면의 전위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3), 감광드럼(3)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감광드럼(3)의 표면에 전기적 특성을 가해주는 대전롤러(5), 감광드럼(3)이 1 주기 회전후 그 표면에 잔류된 잔류 현상제를 제거시키는 클리닝 블레이드(8)와 폐현상제 토출파이프(9)를 갖는 클리닝 유니트(4), 및 이들 부분들을 고정하고 지지하는 제 1 하우징(11)으로 구성된다.
또한, 감광드럼부(10)는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3)에 주사하는 레이저 스캐닝유니트(도시하지 않음)의 레이저 빔 반사부(24)로부터 레이저 빔을 수용하는 투과창(6)을 포함한다.
현상부(20)는 감광드럼부(10)의 감광드럼(3)과 마주보며 회전하면서 가시적인 화상이 형성되도록 감광드럼(3)에 토너와 같은 현상제(13)를 부착하는 현상롤러(12), 현상 롤러(12)와 소정압력으로 접촉하면서 현상롤러(12)로 현상제(13)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롤러(15), 현상제(13)를 현상제 공급롤러(15)에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바(14), 현상롤러(12)의 현상제층 형성을 제어하는 현상제층 규제부재(110), 및 이들 부분들을 고정하고 지지하고 현상제 담지부를 구성하는 제 2 하우징(21)으로 구성된다.
또한, 현상부(20)는 현상롤러(12)의 금속 샤프트(12'), 현상제 공급롤러(15) 의 금속샤프트(15'), 및 후술하는 현상제층 규제부재(110)의 규제 블레이드(111)에 각각 연결되는 3개의 바이어스전압 발생장치(12", 15", 16")와, 현상롤러(12)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현상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절연체의 현상제 누출방지부재(17)를 갖는다.
현상제 공급롤러(15)는 현상제(13)를 현상롤러(12)로 공급하기 위하여, 현상롤러(12)와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현상제층 규제부재(110)는 현상롤러(12)에 형성되는 현상제층의 형성을 2차례에 결쳐 규제하도록 현상롤러(12)의 원주면의 2 곳에 일정 압력을 가한 상태로 선접촉 하도록 구성된 탄성체의 규제 블레이드(111), 규제 블레이드(111)를 고정하여 규제 블레이드(111)를 현상롤러(12)에 안정적으로 접촉시키는 브라켓(22), 및제 2 하우징(21)에 취부되어 브라켓(22)을 고정시키는 홀더(23)로 이루어 진다.
규제 블레이드(111)는 현상롤러(12)의 재질에 따라 금속재 또는 수지재 재질로 형성된다. 즉, 현상롤러(12)가 우레탄 고무와 같은 소프트재질로 구성될 경우에는 스테인레스, 베릴륨동, 인청동 등과 같은 금속재로 형성되고, 알루미늄과 같은 하드재질로 구성되면, PVC, PTFE, PFA, 불소수지, 폴리아미드,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수지재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들 재료에 폴리우레탄, 이소시아네이트 등과 같은 재료의 코팅층을 도포하여 규제 블레이드(111)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블레이드(111)는 현상롤러(12)에 일정한 두께의 현상제층을 1차로 형성하도록 현상롤러(12)의 원주면에 선접촉하도록 배치된 제 1 규제부(113), 및 제 1 규제부(113)에 의해 현상롤러(12)에 1차 형성된 현성제층을 균일한 최종 현상제층으로 형성하도록 제 1 규제부(113)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현상롤러 이동방향 하류에 현상롤러(12)의 원주면과 선접촉하도록 배치된 제 2 규제부(114)를 갖는 W자형 판형부재로 구성된다. 이 때, 제 1 규제부(113)가 현상롤러(12)와 접촉하는 가압력은 제 2 규제부(114)의 그것보다 더 크게하여, 제 2 규제부(114)의 가압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규제 블레이드(111)는 제작 및 조립상의 오차등으로 인해 평활도가 나빠지더라도, 제 1 및 제 2 규제부(113, 114)를 통해 현상롤러(12)의 원주면을 이중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됨으로, 현상롤러(12)에 가하는 선접촉 압력 및 면적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111)는 제 2 규제부(114)에 의해 현상롤러(12)의 원주면으로부터 분리된 현상제(13)가 제 1 및 2 규제부(113, 114) 사이에 정체되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규제부(113, 114) 사이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부(115)를 포함한다. 현상제 배출부(115)는 긴 장방향 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 유니트(100)는 제 2 하우징(21)에 의해 형성되는 현상제 저장공간과 규제 블레이드(111) 사이에 분리벽(117)을 설치하고 있다. 분리벽(117)은 현상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 2 하우징(21)으로부터 현상롤러(12)로 새롭게 공급되는 현상제(13)가 현상제 배출부(115)를 통해 제 1 및 제 2 규제부(113, 114)사이로 바로 유입되거나, 제 2 규제부(114)에 의해 현상롤러(12)의 원주면으로부터 분리된 현상제(13)가 현상제 배출부(115)를 통해 제 2 하우징(21)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b,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유니트(100)의 현상제층 규제부재(110)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b와 도 3c에 도시한 변형예의 현상제층 규제부재(120, 130)는 규제 블레이드(121, 131)의 현상제 배출부(125, 135)를 양호한 실시예의 현상제층 규제부재(110)에서와 같이 긴 장방향 구멍으로 구성하는 대신, 각각 다수의 장방형 구멍 및 다수의 원형 구멍으로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현상제층 규제부재(110)와 동일하다.
또한, 도 3d에 도시한 변형예의 현상제층 규제부재(140)는 규제블레이드(141)의 현상제 배출부(145)를 다수의 장방형 구멍으로 구성하는 것과, 현상제 배출부(145)를 갖는 제 1 규제부(143)가 제 2 규제부(144)와 별도로 구성되어 고정나사(147)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서로 고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양호한 실시예의 현상제층 규제부재(110)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상형성 유니트(100)의 작용을 도 2 및 도 3a에 도시한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상제(13)는 현상부(20)의 현상제 공급바(14)에 의해 교반되어, 아래쪽에 위치한 현상제 공급롤러(15)로 보내어 진다.
현상제 공급롤러(15)로 보내어진 현상제(13)는 도 2의 화살표(B)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롤러(12)의 표면으로 공급된다. 또한, 현상롤러(12)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하고 있는 현상제층 규제부재(110)의 규제 블레이드(111)의 제 1 규제부(113) 쪽으로 이송된다.
현상롤러(12)의 회전방향 표면에 적절한 힘으로 누름 접촉하는 규제 블레이드(111)의 제 1 규제부(113)는 현상롤러(12)에 부착되는 현상제층을 적당한 두께로 1차 형성되도록 규제한다.
현상롤러(12)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제 1 규제부(113)에 의해 1차 규제되어 현상롤러(12)에 형성된 현상제층은 다시 규제 블레이드(111)의 제 2 규제부(114)에 의해 최종적으로 균일한 박층의 현상제층으로 형성된다. 이 때, 제 2 규제부(114)는 제 1 규제부(113)와 마찬가지로 현상제층을 마찰대전 시켜 현상제층이 충분한 전하량을 갖게 한다.
또한, 이 때, 제 2 규제부(114)에 의해 현상롤러(12)의 원주면에서 분리된 현상제는 제 1 및 제 2 규제부(113, 114) 사이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부(115)를 통해 분리벽(117)을 타고 아래로 떨어져 현상제 공급롤러(15)로 유입된다. 현상제 공급롤러(15)로 유입된 분리된 현상제는 현상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 2 하우징(21)으로부터 새롭게 들어오는 현상제(13)와 섞여진 후, 다시 현상제 공급롤러(15)에 의해 현상롤러(12)에 부착된다.
현상롤러(12)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제 2 규제부(114)에 의해 최종적으로 형성된 현상제층은 감광드럼(3)과 현상롤러(12)에 의해 형성된 현상영역으로 이송된다.
한편, 대전롤러(5)를 통하여 일정한 전압으로 대전된 감광드럼(3)은 레이저 빔이 화상신호에 따라 레이저 빔 반사부(24)를 통해 반사되어 투과창(6)을 통과한 후 감광드럼(3)에 주사됨으로써, 화상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광된다. 이러한 노광에 의해 감광드럼(3)의 표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 후, 제 2 규제부(114)에 의해 현상롤러(12)에 최종 형성된 현상제층이 감광드럼(3)과 마주보는 현상영역으로 이송되어 감광드럼(3)에 형성된 정전 잠상으로 현상된다.
감광드럼(3) 표면에 현상된 현상제의 가시화상은 감광드럼(3)이 도 2의 화살표(A)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감광드럼(3) 하부로 이송된다. 감광드럼(3) 하부로 이송된 가시화상은 감광드럼(3)과 그 하부에 배치된 전사롤러(26) 사이로 급지되는 기록지(19)에 전사된다.
이 후, 감광드럼(3)은 계속 회전하게 되고, 클리닝 블레이드(8)는 감광드럼(3)의 표면에 잔류된 현상제를 제거하여 감광드럼(3)이 다시 정전잠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현상제의 화상이 전사된 기록지(19)는 화상을 고정하는 정착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록지(19)에 정착되며, 급지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기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치하는 화상형성 장치는 현상롤러에 형성되는 현상제층을 최소한 2 차례에 걸쳐 규제 및 마찰 대전하도록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제작 및 조립상의 오차로 인한 현상제층 규제부재의 평활도 불량에 의한 불균일 현상제층 형성과 불충분한 대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화상 불균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공간, 표면의 전위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체, 상기 감광체와 마주보며 회전하면서 가시적인 화상이 형성되도록 상기 감광체에 상기 현상제 저장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제 이송체, 및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현상제층 형성을 제어하는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층 규제부재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에 일정한 두께의 현상제층을 1차로 형성하도록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표면에 선접촉하도록 배치된 제 1 규제부; 및
    상기 제 1 규제부에 의해 상기 현상제 이송체에 1차 형성된 현성제층을 균일한 현상제층으로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규제부에 관하여 현상제 이동방향 하류에서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표면에 선접촉하도록 배치된 제 2 규제부를 갖는 판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는 상기 제 2 규제부에 의해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현상제가 상기 제 1 및 2 규제부 사이에 정체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부 사이에 형성된 현상제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배출부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배출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는 스테인레스, 베릴륨동, 인청동 등과 같은 금속재, PVC,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perfluoroalkoxy), 불소수지, 실리콘 고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수지재, 및 이들 재료에 폴리우레탄, 이소시아네이트 등과 같은 코팅재를 도포한 재료 중의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현상제 이송체로 새롭게 공급되는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배출부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부사이로 바로 유입되거나 상기 제 2 규제부에 의해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저장공간으로 바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현상제 저장공간과 상기 판형부재 사이에 설치된 분리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
KR10-2002-0006569A 2002-02-05 2002-02-05 화상형성 장치 KR100433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69A KR100433406B1 (ko) 2002-02-05 2002-02-05 화상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69A KR100433406B1 (ko) 2002-02-05 2002-02-05 화상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231A KR20030066231A (ko) 2003-08-09
KR100433406B1 true KR100433406B1 (ko) 2004-05-31

Family

ID=3222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569A KR100433406B1 (ko) 2002-02-05 2002-02-05 화상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2099B2 (ja) * 2014-10-20 2019-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231A (ko) 200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3005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639649A2 (en) Developing apparatus
KR20010110317A (ko) 현상제층 규제 부재, 그 현상제층 규제 부재를 이용하는1성분 현상 장치, 그 1성분 현상장치를 마련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장치
US10108108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412458A (en) Developing apparatus having leaf spring member for regulating mono-component developer layer
CN102687084B (zh) 处理盒和成像装置
US8867971B2 (en) Developer regulator,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KR100433406B1 (ko) 화상형성 장치
JP4428088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12001151B2 (en) Developing device including regulation member with different diameters of central portion and both end portions
US20240004325A1 (en) Developing device including regulation member with different diameters of central portion and both end portions
US20170176886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incorporating same
JPH10221933A (ja) 非磁性一成分現像装置
JP2011180382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620568B2 (en) Developing device having magnetic field generating member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JP2007249115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85067B1 (ko)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판 형태의 도전성 탄성부재를갖는 화상형성 장치
JP2001051497A (ja) 現像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EP0515164A2 (en) Charger having charging blad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ame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same
JP202209869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9200223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05120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88471A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40005148A (ko) 현상기의 현상갭 유지장치
JPH0830091A (ja) 一成分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