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017B1 - 온수온돌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온수온돌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017B1
KR100433017B1 KR10-2002-0002473A KR20020002473A KR100433017B1 KR 100433017 B1 KR100433017 B1 KR 100433017B1 KR 20020002473 A KR20020002473 A KR 20020002473A KR 100433017 B1 KR100433017 B1 KR 100433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t water
ondol
floo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2060A (ko
Inventor
이수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토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토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토피아
Priority to KR10-2002-0002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01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2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4Clips for fastening heating tubes on a reinforcement net or mesh, e.g. mesh for concrete reinfor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85Pipe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온돌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병원 등의 기타 건물에 대한 난방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개보수시, 합성수지 재질의 소구경 파이프와 이를 설치하기 위한 매트를 이용하여 기존의 콘크리트바닥 위에 간단하게 시공함으로써, 각종 건물에 성능개선용 온수온돌파이프의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동시에, 온돌장치의 개보수시 발생하는 기존 주철관파이프와 기타 재질 배관재의 이설 및 신설 성능개선용 온수파이프의 설치에 따른 층고의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바닥 및 거주역의 높이에 따른 실내의 온도를 이상적으로 분포시키게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는 산소피막 처리된 폴리에틸렌 재질의 파이프(110)와; 상기 파이프(110)의 하측에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유연한 재질의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살(121)로 이루어진 매트(120)와; 상기 파이프(110)와 매트(120)의 살(121)을 동시에 권선하여 파이프(110)를 매트(120)에 고정시키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130)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는 각층에 평행하게 위치한 상, 하부바닥(300a, 300b) 및 천장(200a, 200b)으로 이루어진 건물에 있어서, 산소피막 처리된 폴리에틸렌 재질의 파이프(110)와, 상기 파이프(110)의 하측에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유연한 재질의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살(121)로 이루어진 매트(120)와, 상기 파이프(110)와 매트(120)의 살(121)을 동시에 권선하여 파이프(110)를 매트(120)에 고정시키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130)로 이루어진 온수온돌파이프(100)와; 상기 하부바닥(300b)의 상측면에 상기 온수온돌파이프(100)와 함께 모르타르(410), 바닥재(430), 및 보온재(420)로 이루어진 신설바닥(400)과; 상기 신설바닥(400)의 외주연 일측에 배설되어 상기 온수온돌파이프(100)의 파이프(110) 입구와 출구가 각각 중단에 연통 체결되어 순환하도록 이루어진 급수 및 환수파이프(610, 620)와; 상기 급수파이프(610)의 입구 및 상기 환수파이프(620)의 출구가 각각 연통 체결된 보일러(5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는 각종 건물의 난방성능을 개선하거나 신축건물에 온돌장치를 시공시, 간단한 구조의 온수온돌파이프를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써, 건물의 성능개선 공사 또는 시공시 발생하는 먼지나 소음과 같은 각종 공해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환경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시공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온돌장치의 개보수시 발생하는 층고의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바닥 및 거주역의 높이에 따른 실내의 온도를 이상적으로 분포시킬 수 있어 거주공간에 대한 활용성 및 거주자의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온수온돌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Hot water pipe and floor heating system using the hot water pipe}
본 발명은 온수온돌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병원 등의 기타 건물에 대한 난방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개보수시, 합성수지 재질의소구경(직경 6∼8mm) 파이프와 이를 설치하기 위한 매트를 이용하여 기존의 콘크리트바닥 위에 간단하게 시공함으로써, 각종 건물에 성능개선용 온수온돌파이프의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동시에, 온돌장치의 개보수시 발생하는 기존 주철관파이프와 기타 재질 배관재의 이설 및 신설 성능개선용 온수파이프의 설치에 따른 층고의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및 거주역의 높이에 따른 실내의 온도를 이상적으로 분포시키게 하기 위한 장치로써, 건물의 성능개선 공사 또는 시공시 발생하는 먼지나 소음과 같은 각종 공해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환경을 향상시키게 될 뿐 아니라, 시공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온돌장치의 개보수시 발생하는 층고의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바닥 및 거주역의 높이에 따른 실내의 온도를 이상적으로 분포시킬 수 있어 거주공간에 대한 활용성 및 거주자의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건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건물은, 건물 각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평행하게 위치하여 내부에 각각 상, 하부온수온돌파이프(21a, 21b)와 상, 하부콘크리트(22a, 22b)로 이루어진 상, 하부바닥(20a, 20b)과; 상기 상, 하부바닥(20a, 20b)으로부터 일정높이 하측으로 이격 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상, 하부천장(10a, 10b)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건물은, 각층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천장(10b) 및 하부바닥(20b)과 각층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천장(10a) 및 상부바닥(20a)으로 이루어지며, 각층에 대하여 상기 하부바닥(20b)의 상측면과 상부천장(10a) 사이의 높이를 층고(H)라 하며, 상기 상, 하부바닥(20a, 20b)에는 각각 주철관 및 기타재질로 이루어진 상, 하부온수온돌파이프(21a, 21b)와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시공된 상, 하부콘크리트(22a, 22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반적인 건물에 대한 시공예는, 상, 하부온수온돌파이프(21a, 21b)를 각각 상, 하부바닥(20a, 20b)에 일정간격으로 순환하도록 배설시킨 후, 상기 상, 하부온수온돌파이프(21a, 21b)가 상기 상, 하부바닥(20a, 20b)의 두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 하부콘크리트(22a, 22b)를 상, 하부온수온돌파이프(21a, 21b)의 주위공간에 충진시킨 후 양생하게 되며, 상기 상, 하부온수온돌파이프(21a, 21b)는 전기, 가스 등 각종열원을 이용한 보일러(미도시)에 연통되어 있어, 상기 보일러는 급수된 물을 가열시킨 후 상기 상, 하부온수온돌파이프(21a, 21b)를 통하여 온수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상, 하부바닥(20a, 20b)의 온도를 높여 상기 상, 하부온수온돌파이프(21a, 21b)가 구비된 건물의 내부 난방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1970년대와 1980년대 중반에 걸쳐서 신축된 대부분의 공동주택 등 각종 건축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철 재질로 제작된 온수온돌파이프로 시공되었기 때문에, 20여년 동안의 사용과정에서 부식되어 온수온돌파이프로서의 제 기능을 상실하게되었으며, 설비자재의 노후와 부식으로 인하여 건축물에 대한 재건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에서 이러한 재건축에 따라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건축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은 물론, 국가적으로 건축자재의 낭비로 인하여 막대한 재정적 손실일 입히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쉽고 간편하게 온수온돌파이프를 대체 시공하는 공법과 자재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대체시공시에는 현재 주민이 상하층에 거주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공을 함에 따라, 시공시 발생하는 소음과 먼지 등 각종 공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하며, 시공후에는 건물의 층고를 최대한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법상의 기술이 요구되어짐에 따라, 이러한 제반도구사항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온수온돌의 기능을 다하기 위한 장치 및 시공방법이 개발되었다.
도 2는 종래의 온수온돌난방장치 시공후에 대한 건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온수온돌난방장치 시공후에 대한 건물은, 건물 각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평행하게 위치하여 내부에 각각 상, 하부온수온돌파이프(21a, 21b)와 상, 하부콘크리트(22a, 22b)로 이루어진 상, 하부바닥(20a, 20b)과; 상기 상, 하부바닥(20a, 20b)으로부터 일정높이 하측으로 이격 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상, 하부천장(10a, 10b)과; 상기 하부바닥(20b)의 상측면에 온수온돌파이프(31), 모르타르(32), 보온재(33) 및 바닥재(34)로 이루어진 신설바닥(30)이 추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시공후의 건물은, 각층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천장(10b) 및 하부바닥(20b)과 각층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천장(10a) 및 상부바닥(20a)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 하부바닥(20a, 20b)은 각각 상, 하부온수온돌파이프(21a, 21b)와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시공된 상, 하부콘크리트(22a, 22b)로 이루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건물에, 상기 하부 바닥(20b)의 상측면에는 우선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보온재(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온재(33)의 상측면에는 하부모르타르(32b)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모르타르(32b)의 위에 온수온돌파이프(31)가 순환하도록 배설한 후, 상부모르타르(32a)를 통하여 상기 온수온돌파이프(31)를 고정시키게 되며, 그 상측면에 바닥재(34)로 마감작업을 함으로써 신설바닥(30)을 기존의 건물에 추가로 구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시공후의 건물에 대한 시공예는, 상, 하부온돌파이프(21a, 21b)가 구비된 상, 하부바닥(20a, 20b)과 상, 하부천장(10a, 10b)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건물의 하부바닥(20b) 상측면에 온수온돌파이프(31)를 구비한 신설바닥(30)을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신설바닥(30)의 온수온돌파이프(31)는 전기, 가스 등 각종열원을 이용한 보일러(미도시)에 연통되어 있어, 상기 보일러가 급수된 물을 가열시킨 후 상기 온수온돌파이프(31)를 통하여 온수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신설바닥(30)의 온도를 높여 상기 온수온돌파이프(31)가 추가로 구비된 기존 건물의 내부 난방을 수행하게 되어 일반적인 건물의 난방장치를 개보수 하게된다.
그러나, 종래의 온수온돌난방장치 시공후에 대한 건물은 각종 건물의 난방성능을 개선하거나 신축건물에 온돌장치를 시공시, 주철재질로 제작된 온수온돌파이프를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관내에 부식이 발생할 뿐 아니라, 시공시 발생하는 먼지나 소음과 같은 각종 공해가 발생하게되어 시공환경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온돌장치의 개보수시 발생하는 층고의 감소에 따라 거주공간에대한 활용성 및 거주자의 쾌적성을 저하시키게 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건물의 난방성능을 개선하거나 신축건물에 온돌장치를 시공시, 간단한 구조의 온수온돌파이프를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써, 시공시 발생하는 먼지나 소음과 같은 각종 공해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환경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시공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온돌장치의 개보수시 발생하는 층고의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바닥 및 거주역의 높이에 따른 실내의 온도를 이상적으로 분포시킬 수 있어 거주공간에 대한 활용성 및 거주자의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온수온돌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는 산소피막 처리된 폴리에틸렌 재질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하측에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유연한 재질의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살로 이루어진 매트와; 상기 파이프와 매트의 살을 동시에 권선하여 파이프를 매트에 고정시키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는 건물 각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평행하게 위치한 상, 하부바닥과; 상기 상, 하부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하측으로 이격 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상, 하부천장과; 산소피막 처리된 폴리에틸렌 재질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하측에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유연한 재질의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살로 이루어진 매트와, 상기 파이프와 매트의 살을 동시에 권선하여 파이프를 매트에고정시키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온수온돌파이프와; 상기 하부바닥의 상측면에 상기 온수온돌파이프와 함께 모르타르, 바닥재, 및 보온재로 이루어진 신설바닥과; 상기 온수온돌파이프와 연통 체결된 보일러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건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온수온돌난방장치 시공후에 대한 건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도 4의 B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시공후에 대한
건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C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도 9의 D-D선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온수온돌파이프 110 : 파이프
120 : 매트 121 : 살
130 : 와이어 200a, 200b : 상, 하부천장
300a, 300b : 상, 하부바닥 310a, 310b : 상, 하부온수온돌파이프
320a, 320b : 상, 하부콘크리트 400 : 신설바닥
410 : 모르타르 410a, 410b : 상, 하부모르타르
420 : 보온재 430 : 바닥재
500 : 보일러 610 : 급수파이프
620 : 환수파이프 700 : 온도조절장치
H : 층고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는 산소피막 처리된 폴리에틸렌 재질의 파이프(110)와; 상기 파이프(110)의 하측에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유연한 재질의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살(121)로 이루어진 매트(120)와; 상기 파이프(110)와 매트(120)의 살(121)을 동시에 권선하여 파이프(110)를 매트(120)에 고정시키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13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110)가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진 매트(120)의 살(121) 상측에 접촉하여 고정되도록 와이어(130)가 권선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110)는 매트(120) 상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110)는 산소피막 처리되어 부식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있으며, 이와 같은 파이프(110)는 직경이 6∼8mm 정도로 하여 온수온돌파이프(100)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시공후에 대한 건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C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의 D-D선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는, 각층에 평행하게 위치한 상, 하부바닥(300a, 300b) 및 천장(200a, 200b)으로 이루어진 건물에 있어서, 산소피막 처리된 폴리에틸렌 재질의 파이프(110)와, 상기 파이프(110)의 하측에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유연한 재질의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살(121)로 이루어진 매트(120)와, 상기 파이프(110)와 매트(120)의 살(121)을 동시에 권선하여 파이프(110)를 매트(120)에 고정시키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130)로 이루어진 온수온돌파이프(100)와; 상기 하부바닥(300b)의 상측면에 상기 온수온돌파이프(100)와 함께 모르타르(410), 바닥재(430), 및 보온재(420)로 이루어진 신설바닥(400)과; 상기 신설바닥(400)의 외주연 일측에 배설되어 상기 온수온돌파이프(100)의 파이프(110) 입구와 출구가 각각 중단에 연통 체결되어 순환하도록 이루어진 급수 및 환수파이프(610, 620)와; 상기 급수파이프(610)의 입구 및 상기 환수파이프(620)의 출구가 각각 연통 체결된 보일러(5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온돌파이프(310a, 310b)가 구비된 상, 하부바닥(300a, 300b)과 상, 하부천장(200a, 200b)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건물의 하부바닥(300b) 상측면에는, 우선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보온재(4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온재(420)의 상측면에는 하부모르타르(410b)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모르타르(410b)의 위에 온수온돌파이프(100)의 파이프(110)가 순환하도록 배치시킨 후, 상부모르타르(410a)를 통하여 상기 온수온돌파이프(100)를 고정시키게 되며, 그 상측면에 타일이나 장판 등과 같은 바닥재(430)로 마감작업을 함으로써 기존의 건물에 신설바닥(400)을 용이하게 추가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설바닥(400)의 외주연 일측에는 순환하도록 이루어진 급수 및 환수파이프(610, 620)를 배설하고, 상기 급수 및 환수파이프(610, 620)의 중단에 상기 온수온돌파이프(100)의 파이프(110) 입구와 출구를 각각 중단에 연통 체결하며, 상기 급수 및 환수파이프(610, 620)의 직경은 상기 온수온돌파이프(100)의 파이프(110) 직경에 비하여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 약 15∼25mm 정도의 파이프를 사용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급수파이프(610)의 입구 및 상기 환수파이프(620)의 출구는 각각 보일러(500)에 연통 체결되어 있어, 상기 보일러(500)는 급수된 물을 가열시킨 후 상기 급수파이프(610)를 통하여 상기 온수온돌파이프(100)에 온수를 공급하게되며, 상기 온수온돌파이프(100)를 순환한 온수는 상기 환수파이프(620)를 통하여 보일러(500)로 환수됨으로써, 신설바닥(400)의 온도를 높여 상기온수온돌파이프(100)가 추가로 구비된 건물의 내부 난방을 수행하게 되어, 일반적인 기존 건물의 난방장치를 용이하게 개보수 할 수 있으며, 종래에 온수온돌난방장치에 대한 시공후의 건물에 비하여 층고(H)가 약 60mm이상 확장되어 공간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및 환수파이프(610, 620)는 상기 온수온돌파이프(100)의 파이프(110)보다 큰 직경으로 배설함으로써, 상기 보일러(500)에서 공급된 온수를 상기 온수온돌파이프(100)의 파이프(110)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온수온돌파이프(100)의 파이프(110)를 순환한 온수를 상기 보일러(500)로 용이하게 환수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 및 환수파이프(610, 620)와 보일러(500) 사이에 순환펌프, 유량조절기 및 온도계로 이루어진 온도조절장치(700)를 추가 구성함으로써, 상기 온도조절장치(700)를 조절함에 따라 신설바닥(400)의 온수온돌파이프(100)에 순환되는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여 난방온도를 용이하게 설정한 후 난방을 실시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온돌파이프(100)와 급수 및 환수파이프(610, 620)가 다수개의 분리된 공간에 각각 설치되고, 다수개의 상기 급수 및 환수파이프(610, 620)와 보일러(500) 사이에 순환펌프, 유량조절기 및 온도계로 이루어진 온도조절장치(700)를 각각 추가 구성함으로써, 분리된 공간에 대한 난방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난방성능을 개선하거나 신축건물에 온돌장치를 시공시, 간단한 구조의 온수온돌파이프를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써, 시공시 발생하는 먼지나 소음과 같은 각종 공해가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온돌장치의 개보수시 발생하는 층고의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이에 따른 실내의 온도를 이상적으로 분포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난방성능을 개선하거나 신축건물에 온돌장치를 시공시, 간단한 구조의 온수온돌파이프를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써, 시공시 발생하는 먼지나 소음과 같은 각종 공해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환경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시공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온돌장치의 개보수시 발생하는 층고의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바닥 및 거주역의 높이에 따른 실내의 온도를 이상적으로 분포시킬 수 있어 거주공간에 대한 활용성 및 거주자의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산소피막 처리된 폴리에틸렌 재질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하측에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유연한 재질의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살로 이루어진 매트와;
    상기 파이프와 매트의 살을 동시에 권선하여 파이프를 매트에 고정시키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온돌파이프.
  2. 각층에 평행하게 위치한 상, 하부바닥 및 천장으로 이루어진 건물에 있어서,
    산소피막 처리된 폴리에틸렌 재질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하측에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유연한 재질의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살로 이루어진 매트와, 상기 파이프와 매트의 살을 동시에 권선하여 파이프를 매트에 고정시키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온수온돌파이프와;
    상기 하부바닥의 상측면에 상기 온수온돌파이프와 함께 모르타르, 바닥재, 및 보온재로 이루어진 신설바닥과;
    상기 신설바닥의 외주연 일측에 배설되어 상기 온수온돌파이프의 파이프 입구와 출구가 각각 중단에 연통 체결되어 순환하도록 이루어진 급수 및 환수파이프와;
    상기 급수파이프의 입구 및 상기 환수파이프의 출구가 각각 연통 체결된 보일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및 환수파이프는 상기 온수온돌파이프의 파이프 보다 약 2∼3배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및 환수파이프와 보일러 사이에 연통 체결되어 순환펌프, 유량조절기 및 온도계로 이루어진 온도조절장치가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및 환수파이프와 상기 온수온돌파이프가 다수개 분리된 공간에 각각 설치되고, 다수개의 상기 급수 및 환수파이프와 보일러 사이에 각각 연통 체결되어 순환펌프, 유량조절기 및 온도계로 이루어진 온도조절장치가 각각 추가 구성되어 분리된 공간에 대한 난방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온돌파이프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KR10-2002-0002473A 2002-01-16 2002-01-16 온수온돌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KR100433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473A KR100433017B1 (ko) 2002-01-16 2002-01-16 온수온돌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473A KR100433017B1 (ko) 2002-01-16 2002-01-16 온수온돌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060A KR20030062060A (ko) 2003-07-23
KR100433017B1 true KR100433017B1 (ko) 2004-05-27

Family

ID=3221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473A KR100433017B1 (ko) 2002-01-16 2002-01-16 온수온돌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577B1 (ko) * 2005-03-23 2007-03-21 현대건설주식회사 실내 공간의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의 온도를 독립적으로제어할 수 있는 실내 온도 제어장치
KR100675484B1 (ko) * 2005-04-11 2007-01-26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난방 배관 시스템
KR101248348B1 (ko) * 2011-01-31 2013-04-01 이정옥 각부마다 분리된 공급 기능이 있는 온수 순환 방식의 찜질 사우나기
KR101256438B1 (ko) * 2012-10-31 2013-04-23 이희곤 에너지 절감형 배관 시스템
CN107905482A (zh) * 2017-11-14 2018-04-13 宁波市镇海捷登应用技术研究所 一种地板的地暖装置及其安装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956A (ja) * 1996-12-26 1998-07-14 Nichiha Corp 床構造
KR19980078095A (ko) * 1997-04-25 1998-11-16 서정심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KR19980082149A (ko) * 1998-08-29 1998-11-25 남윤학 경량단열패널을 이용한 온돌바닥구조
KR19990008290U (ko) * 1998-11-27 1999-02-25 김동수 건축슬라브시공용방음매트구조
KR200189668Y1 (ko) * 2000-02-11 2000-07-15 용산종합건설주식회사 황토방 구조
KR200246950Y1 (ko) * 2001-04-16 2001-10-29 이병철 소음방지 건축부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956A (ja) * 1996-12-26 1998-07-14 Nichiha Corp 床構造
KR19980078095A (ko) * 1997-04-25 1998-11-16 서정심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KR19980082149A (ko) * 1998-08-29 1998-11-25 남윤학 경량단열패널을 이용한 온돌바닥구조
KR19990008290U (ko) * 1998-11-27 1999-02-25 김동수 건축슬라브시공용방음매트구조
KR200189668Y1 (ko) * 2000-02-11 2000-07-15 용산종합건설주식회사 황토방 구조
KR200246950Y1 (ko) * 2001-04-16 2001-10-29 이병철 소음방지 건축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060A (ko) 200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45552A1 (en) Building Designs and Heating and Cooling Systems
JP2010107115A (ja) 温風床暖房システム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0433017B1 (ko) 온수온돌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온수온돌난방장치
JP2007107334A (ja) 建物
KR20130085675A (ko) 중앙식 건물환기장치
JP2005201601A (ja) 建物の暖房システム。
JP2547827B2 (ja) 給湯システム
CN217519948U (zh) 一种多层建筑物的下加热供水管路及系统
AU2013325119A1 (en) Heated flooring
CN218119882U (zh) 一种多层建筑物的上加热供水系统
CN217520067U (zh) 一种多层建筑物的上加热供水管路
Shved Pros and cons of underfloor heating system in the modern interior design
JPH0145534B2 (ko)
CN219080731U (zh) 一种装配式房屋恒温墙体及装配式房屋
CN217520066U (zh) 一种多层建筑物的下加热热水管路及系统
RU2811224C1 (ru) Система отопления многоквартирного здания с горизонтальным поэтажным коллектором
JP4753985B2 (ja) 室内温浴関連施設の空気流通システム
KR101319067B1 (ko) 건물환기용 급기장치
Turobova Types and Properties of Heating Devices
JP3801593B2 (ja) 面状発熱体と金属製床パネルを用いた二重床暖房装置
JPH06147504A (ja) 暖房装置
JP4309812B2 (ja) 床下暖房構造
JP6095250B1 (ja) 組立家屋用空調設備
JP2007236818A (ja) 保温浴槽
JP6381449B2 (ja) 床暖房システム及び床暖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