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979B1 -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979B1
KR100432979B1 KR10-2001-0036623A KR20010036623A KR100432979B1 KR 100432979 B1 KR100432979 B1 KR 100432979B1 KR 20010036623 A KR20010036623 A KR 20010036623A KR 100432979 B1 KR100432979 B1 KR 10043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fastening
timing belt
eccentric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588A (ko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진 filed Critical 김용진
Priority to KR10-2001-003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979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과 유해가스를 집진시키는 전기집진장치에 설치되어 전기집진장치에 부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기 위해 좌우로 슬라이딩하도록 제어하는 장치로서, 벨트장력조정수단(400)은 좌우로 이동되는 몸체인 슬라이딩메인부재(410)와, 좌우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와, 좌우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와는 편심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와, 상기 편심 및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470)가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하측가이드부재(450,480)와, 타이밍벨트(402)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장력조절부재(420)와, 상기 타이밍벨트(402)를 결착하는 복수개의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에 복수개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착되는 외부결착부재(4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SLIDING DRIVING APPARATUS FOR BEING USED IN ELECTRIC DUST COLLECTOR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큰 건물이나 터널 등과 같이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 및 유해가스가 많은 지역의 이물질 및 가스를 집진시키는 전기집진장치에 설치되어 전기집진장치에 부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기 위해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제어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슬라이딩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 및 유해가스가 많은 악조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슬라이딩안내부분이나 슬라이딩안내부분에 접촉되는 슬라이딩메인블록의 베어링부분이나 슬라이딩가이드부재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베어링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안내부분에 손상이 되어 수리를 하고자 슬라이딩메인블록의 베어링부분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의 양단부에서 결착하고 있는 타이밍벨트구동수단 및 타이밍벨트종동수단을 모두 분해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보수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경우에는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타이밍벨트종동수단 부분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정확히 장력을 조절할 수 없으며 조절하는데에도 용이하지 않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먼지 또는 이물질이 많은 악조건에서도 슬라이딩가이드부재나 벨트장력조정수단의 베어링부분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므로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는, 슬라이딩구동장치에 결착되어 있는 베어링의 수명이 다하여 교체시가 되었을 때 슬라이딩구동장치의 편심된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를 조정하므로서 간편하게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즉, 종래와 달리 슬라이딩구동장치의 양측에 결착되어 있는 타이밍벨트구동수단 및 타이밍벨트종동수단의 분해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보수작업이 간편하며 이로 인해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는, 슬라이딩가이드부재의 형상을 "H"자 형상으로 제작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변형이 적으며, 따라서 길이가 긴 경우에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중간보조축을 설치하지 않고도 설치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는,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조절부재의 장력조절나사로 조정을 하므로서 간편하게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슬라이딩구동수단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슬라이딩구동수단을 결착하는 타이밍벨트구동수단과, 상기 슬라이딩구동수단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밍벨트구동수단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이 타이밍벨트를 매개로 전달되도록 가이드하는 타이밍벨트종동수단과, 상기 타이밍벨트구동수단과 타이밍벨트종동수단을 연결하는 몸체이면서 가이드레일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안내수단과,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의 일측면에 결착되어 편심되도록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를 복수개 배설하고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벨트장력조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에 있어서,상기 벨트장력조정수단은 상기 타이밍벨트를 결착하면서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의 일측면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몸체인 슬라이딩메인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의 상하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에 가이드되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로울러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의 상하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의 제2슬라이딩가이드부에 가이드되면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와는 편심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가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측가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가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측가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에 결착되어 상기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장력조절부재와, 상기 타이밍벨트를 매개로 복수개의 장력조절부재의 타단부에 결착되어 상기 타이밍벨트를 결착하는 복수개의 타이밍벨트결착부재와, 상기 타이밍벨트결착부재 일단부에 배설되어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에 결착되는 외부결착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은 상기 타이밍벨트구동수단 및 타이밍벨트종동수단을 연결하면서 상기 벨트장력조정수단이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가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덮개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가 사용되는 사용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에 대한 배면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타이밍벨트구동수단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타이밍벨트구동수단에 대한 일부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타이밍벨트종동수단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타이밍벨트종동수단에 대한 일부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벨트장력조정수단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메인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로울러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12(a)는 사용중인 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며, (b)는 분해하기 위해서 편심시킨 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편심 및 슬라이딩로울러부재가 결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벨트장 력조정수단에 대한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벨트장력조정수단에 대한 배면에서의 일부분해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벨트장력조정수단에 대한 배면에서의 조립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벨트장력조정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한 조립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슬라이딩메인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9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안내수단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가이드부재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덮개부재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단부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외측덮개부재가 없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슬라이딩구동장치 200 : 타이밍벨트구동수단
210 : 기어드모터 212 : 모터지지부
220 : 커플링 230 : 중간지지부재
260,270,280,290, 360, 370,380,390 : 외부케이스부재
232, 264, 364 : 관통구멍
234, 243, 266, 272, 282,292,392, 412, 442, 483 : 체결구멍
240 : 내부지지부재 241, 340 : 내부상측지지부재
242,244 : 가이드구멍 246, 346 : 내부하측지지부재
250,350 : 회전가이드부재 251,351 : 회전안내부
252,352 : 회전축 254, 256,356 : 베어링부재
257, 357 : 돌기부 262,362 : 측면절개부
300 : 타이밍벨트종동수단 400 : 벨트장력조정수단
410, 490 : 슬라이딩메인부재 420 : 장력조절부재
421 : 장력조절몸체 427 : 단턱오목부
424 : 돌출부 430 : 타이밍벨트결착부재
440 : 외부결착부재 450 : 상측가이드부재
459 : 밀봉캡 480 : 하측가이드부재
460 : 슬라이딩로울러부재 470 :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
500 : 슬라이딩안내수단 502 : 센서설치부
510 : 슬라이딩가이드부재 512 : 슬라이딩가이드몸체
513 : 결착홈 514 : 제1슬라이딩가이드부
516 : 내측절개부 518 : 제2슬라이딩가이드부
519 : 절개부 520 : 슬라이딩덮개부재
522 : 결착돌출부 530 : 외측덮개부재
540 : 결착부재 4610,4710 : 슬라이딩로울러
4612,4712 : 제1단턱부 4614,4714 : 제2단턱부
4616,4716 : 제3단턱부 4617,4717 : 제1곡선부
4618,4718 : 제2곡선부 4620,4720 : 베어링
4622 : 부시베어링 4624,4724 : 평와셔
4626, 4634,4726 : 내치와셔 4630 : 실링부재
4636, 4728 : 너트부재 4740 : 편심축
4741 : 편심몸체 4742 : 상측체결부재
4744 : 하측체결부재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첨부도면을 통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가 설치되는 전기집진기장치에 대한 개략도로서, 10은 전기집진장치이고, 상기 14는 이물질을 분리시키기 위해 세정액을 분사하는 노즐이며, 100은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인 슬라이딩구동장치이며, 500은 슬라이딩안내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구동수단(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슬라이딩구동수단(100)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슬라이딩구동수단(100)을 결착하는 타이밍벨트구동수단(200)과, 상기 슬라이딩구동수단(10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밍벨트구동수단(20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이 타이밍벨트(402)를 매개로 전달되도록 가이드하는 타이밍벨트종동수단(300)과, 상기 타이밍벨트구동수단(200)과 타이밍벨트종동수단(300)을 연결하는 몸체이면서 가이드레일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안내수단(500)과,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일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고 타이밍벨트(40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벨트장력조정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타이밍벨트구동수단(2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인가받아 일정한 속도록 감속기에 의해 속도를 감속한 후 출력하는 기어드모터(210)와 ,상기 기어드모터(2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드모터(210)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부(212)와, 상기 모터지지부(212)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상기 기어드모터(21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이 다음 단계로 전달되지 않을 경우, 즉 고장등이 발생시 완충역활을 하는 커플링(220)과, 상기 모터지지부(212)에 결착되어 있으며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외부케이스부재(260,270,280,290)와, 상기 외부케이스부재(260,270,280,290)의 내측에 배설되어 상기 기어드모터(21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타이밍벨트(402)를 통해서 전달하는 회전가이드부재(2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부재(260,270,280,290)의 상단부에는 상기 모터지지부(212)와 결착되도록 중간지지부재(230)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지지부재(230)에는 중앙부에 상기 커플링(220)이 배설되도록 관통구멍(232)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상기 모터지지부(212)와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체결구멍(2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부재(260,270,280,290)는 복수개의 부재로 결착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가이드부재(250)를 지지하면서 외측면에 복수개의 체결구멍(243)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지지부재(240)와, 상기 내부지지부재(24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지지부재(240)와 결착되도록 복수개의 체결구멍(266)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케이스부재(260)와 ,상기 외부케이스부재(260)의 맞은편에 결착되어 있으며 외측면에 복수개의 체결구멍(272)이 형성되어있는 외부케이스부재(270)와, 상기 외부케이스부재(260)와 외부케이스부재(270)의 사이에 결착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체결구멍(282)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케이스부재(280)와, 상기 외부케이스부재(280)의 맞은편에 결착되어 복수개의 체결구멍(292)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케이스부재(29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지지부재(240)는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상측지지부재(241)와,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하측지지부재(24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상측지지부재(241)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부재(250)가 설치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구멍(2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하측지지부재(246)에도 상기 회전가이드부재(250)의 하단부가 설치되도록 가이드구멍(2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부재(260)에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타이밍벨트(402)가 관통하면서 이동되는 관통구멍(264)과, 상기 외부케이스부재(260)의 일측면에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타이밍벨트(402)가 관통하면서 이동되는 측면절개부(262)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부재(250)는 상기 내부지지부재(240)의 상측 및 하측인 내부상측지지부재(241)와 내부하측지지부재(246)에 결착되어 상기 기어드모터(21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기어드모터(21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상기 커플링(220)을 매개로 전달받는 회전축(252)과, 상기 회전축(252)의 외측에 결착되어 상기 회전축(252)과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안내부(251)와, 상기 회전안내부(251)의 상단부에 배설되고 상기 내부상측지지부재(241)의 가이드구멍(242)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52)이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베어링부재(254)와, 상기 회전안내부(251)의 하단부에 배설되고 상기 내부하측지지부재(246)의 가이드구멍(244)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52)이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베어링부재(256)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안내부(251)는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돌기부와 결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외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25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벨트종동수단(3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밍벨트구동수단(20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상기 타이밍벨트(402)를 통해 인가받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부재(350)와, 상기 회전가이드부재(350)의 외측에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과 결착되어 있는 외부케이스부재(360,370,380,39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부재(360,370,380,390)는 복수개의 부재로 결착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가이드부재(350)를 지지하면서 외측면에 복수개의 체결구멍(342)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상측지지부재(340)와, 상기 내부상측지지부재(340)의 하측 맞은편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가이드부재(350)의 하측단을 지지하면서 복수개 체결구멍(347)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하측지지부재(34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부재(360)에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타이밍벨트(402)가 관통하면서 이동되는 관통구멍(364)과, 상기 외부케이스부재(360)의 일측면에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타이밍벨트(402)가 관통하면서 이동되는 측면절개부(362)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부재(350)는 상기 내부상측지지부재(340)와 내부하측지지부재(346)에 결착되어 상기 기어드모터(21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가이드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회전가이드부재(25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상기 커플링(220)을 매개로 전달받는 회전안내부(351)와, 상기 회전안내부(351)의 내측에 결착되어 상기 회전안내부(351)와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회전축(352)과, 상기 회전축(352)의 상단부 및 하단부 외측면에 배설되어 상기 회전축(352)이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한쌍의 베어링부재(35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안내부(351)에는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돌기부와 결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외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35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은 도 19 내지 도 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밍벨트구동수단(200) 및 타이밍벨트종동수단(300)을 연결하면서 상기 벨트장력조정수단(400)이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상측에 결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차단하도록 덮여 있는 외측덮개부재(530)와, 상기 외측덮개부재(530)를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에 결착시 보조하여 주는 결착부재(5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를 구성하면서 전체적인 외관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인 슬라이딩가이드몸체(512)와,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가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2슬라이딩가이드부(514,518)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몸체(512)의 중간부분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내측절개부(516)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내부에 쌓여 있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일측면에 절개되어 있는 복수개의 이물질배출구멍(50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는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알루미늄의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내측절개부(516)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무게를 감소시키면서 강도를 유지하도록 절개한 것이며, 게다가 상기 타이밀벨트(402)가 통과하는 통로이며, 즉 상기 외부케이스부재(260)의 관통구멍(264)을 통과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부재(360)의 관통구멍(364)을 통과한 타이밀벨트(402)는 상기 내측절개부(516)를 통해서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의 일측면에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가 결착시 분리되지 않으면서 결착되도록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519)와,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의 타측면에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가 결착시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결착홈(51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의 대응되는 부분도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와 형상은 동일하나, 다만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접촉되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좌측부분인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부분은 편심되지 않은 복수개의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가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부분이고, 상기 내측절개부(516)부분은 편심된 부분인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접촉되면서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배면부분으로서, 상기 벨트장력조정수단(400)이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에 가이드되면서 좌우로 이동시 이동되는 범위를 한정하도록 센서가 설치되도록 양측단에 복수개의 센서설치부(5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센서설치부(502)에 연결되는 통상적인 전선도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중간에 형성된 슬라이딩가이드몸체(512)를 통해서 연결하게 되므로서 외부의 이물질이나 먼지 등으로부터 밀봉의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부에 관통되어 있는 내측절개부(516)의 형상이 사각형이 아니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의 양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결착홈(513) 및 절개부(519)에 결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결착돌출부(5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접촉되는 슬라이딩덮개부재(520)의 원호는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원호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에 기술한 바와같이,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곡선부(4618) 및 제2곡선부(4718)와는 접촉되지 않고 오로지 제1곡선부(4617) 및 제1곡선부(4717)의 원호와만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는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와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에 접촉시 마찰에 의한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인 재질은 P.V.C 재질을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벨트장력조정수단(4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일측면에 가이드되면서 좌우로 이동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타이밍벨트(402)를 결착하면서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일측면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몸체인 슬라이딩메인부재(410)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상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 가이드되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상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에 가이드되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와는 편심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와,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측가이드부재(450)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하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 가이드되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하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에 가이드되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와는 편심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측가이드부재(480)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에 결착되어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장력조절부재(420)와, 상기 타이밍벨트(402)를 매개로 복수개의 장력조절부재(420)의 타단부에 결착되어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돌기부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타이밍벨트(402)를 결착하도록 외측면에 복수개의 체결구멍(432)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와, 상기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일 타단부에 배설되어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에 복수개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착되는 외부결착부재(4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는 다른 부재들이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체결구멍(412)과, 상기 장력조절부재(420)가 결착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오목체결부(414)와, 상기 오목체결부(414)가 일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력조절부재(420)가 결착시 좌우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장력조절나사부(416)와, 상기 오목체결부(414)의 상측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1단턱부(418)와, 상기 제1단턱부(418)의 상측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결착부재(440)가 복수개의 체결수단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419)을 통해서 체결되는 제2단턱부(417)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재(42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체결부(414)의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424)와, 상기 돌출부(424)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장력조정구멍(426)과, 상기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와 결착되도록 상기 장력조절부재(420)의 외측면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422)과, 상기 타이밍벨트(402)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단턱오목부(42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는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가 결착되도록 관통되어 있는 제1체결구멍(458)과, 상기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결착되도록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1체결구멍(458)과는 편심되어 있는 제2체결구멍(457)과,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체결구멍(453)과,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의 일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센서설치부(502)에 형성되어 있는 센서에 감지되도록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는 감지부재(45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가이드부재(480)는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가 결착되도록 관통되어 있는 제3체결구멍(484)과, 상기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결착되도록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3체결구멍(484)과는 편심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4체결구멍(482)과, 상기 하측가이드부재(48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체결구멍(48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3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에 대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 접촉되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슬라이딩로울러(4610)와, 상기 슬라이딩로울러(4610)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있는 베어링(4620)과, 상기 부시베어링(4622)의 상측에 배설되어 있는 평와셔(4624)와, 상기 평와셔(4624)의 상측에 배설되어 있는 내치와셔(4626)와, 상기 베어링(4620)의 하측에 배설되어 있는 부시베어링(4622)과, 상기 슬라이딩로울러(4610)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이물질의 차단하는 등의 밀봉을 하는 통상적인 실링부재(4630)와, 상기 실링부재(4630)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있는 스냅링부재(4632)와, 상기 스냅링부재(4632)의 하측에 배설되는 와셔(4633)와, 상기 와셔(4633)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있는 내치와셔(4634)와, 상기 내치와셔(4634)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체결수단(456)과 결착되어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를 결착하는 너트부재(4636)와,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를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에 결착하는 복수개의 체결수단(456)과,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에 결착된 후 외부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밀봉캡(459)으로 구성되어 있다.그리고 상기 밀봉캡(459)을 하기 전에 실리콘을 이용하여 밀봉할 수 있으며, 상기 밀봉캡(459)의 재질은 고무로 형성되어 외부와 밀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재(4636)의 하단부에는 상기에 기술한 밀봉캡(459)이 설치되므로서 외부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차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로울러(4610)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 및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와 접촉되는 제1곡선부(4617)와, 상기 제1곡선부(4617)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 및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먼지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곡선부(4618)와, 상기 베어링(4620)이 배설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단턱부(4614)와, 상기 부시베어링(4622)이 배설되면서 상기 베어링(4620)이 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단턱부(4614)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단턱부(4612)와, 상기 베어링(4620)이 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스냅링부재(4632)가 삽입되는 제3단턱부(4616)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로울러(4610)의 외측면은 일정한 반경을 갖는 원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의 외측면과 접촉시 내부에 있는 제2곡선부(4618)와는 접촉되지 않고, 단지 제1곡선부(4617)에만 접촉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3은 본 발명의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에 대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 접촉되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슬라이딩로울러(4710)와, 상기 슬라이딩로울러(4710)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있는 베어링(4720)과, 상기 베어링(4720)의 상측에 배설되어 편심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편심축(4740)과, 상기 편심축(4740)의 상측에 배설되어 있는 평와셔(4724)와, 상기 평와셔(4724)의 상측에 배설되어 있는 내치와셔(4726)와, 상기 편심축(4740)과 결착되는 너트부재(4728)와, 상기 슬라이딩로울러(4710)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방수 등의 밀봉을 하는 통상적인 실링부재(4730)와, 상기 실링부재(4730)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있는 스냅링부재(4732)와, 상기 스냅링부재(4732)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있는 내치와셔(4734)와, 상기 내치와셔(4734)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편심축(4740)과 결착되는 볼트(4736)와, 상기 복수개의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를 상기 하측가이드부재(480)에 결착하는 복수개의 체결수단(486)과,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상기 하측가이드부재(480)에 결착된 후 외부의 이물질 등이 유입되니 않도록 차단하는 밀봉캡(459)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로울러(4710)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 및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와 접촉되는 제1곡선부(4717)와, 상기 제1곡선부(4717)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 및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곡선부(4718)와, 상기 베어링(4720)이 배설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단턱부(4714)와, 상기 편심축(4740)이 배설되면서 상기 베어링(4720)이 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단턱부(4714)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단턱부(4712)와, 상기 베어링(4720)이 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스냅링부재(4732)가 삽입되는 제3단턱부(4716)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로울러(4710)의 외측면은 일정한 반경을 갖는 원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의 외측면과 접촉시 내부에 있는 제2곡선부(4718)와는 접촉되지 않고, 단지 제1곡선부(4717)에만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편심축(4740)은 상기 편심축(4740)의 몸체인 편심몸체(4741)와, 상기 편심몸체(4741)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측체결부재(4742)와, 상기 편심몸체(474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측체결부재(4744)와, 상기 하측체결부재(4744)의 내측에 볼트(4736)와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4746)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편심축(4740)은 상기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를 편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상하측면에 결착되어 있는 상측가이드부재(450)와,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에 결착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회전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와,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와는 중심축이 편심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와,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양측면에 배설되어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장력조절부재(420)와, 상기 장력조절부재(420)의 외측에 결착되어 있는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와, 상기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의 외측에 배설되어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419)에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외부결착부재(4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평소에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가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에 가이드되어 좌우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는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 접촉되면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는 상기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에 접촉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서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사용상 상기 부품중 어느 일부분을 교체하거나 점검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타이밍벨트구동수단(200) 및 타이밍벨트종동수단(300)을 모두 분해한 후 상기 벨트장력조정수단(400)을 분해시켰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경우에는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상기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에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는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는 것인데 비해서, 수리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편심축(4740)을 회전시켜 도 12(b)와 같이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편심축(4740)에 연결되어 있던 하측의 하측체결부재(4744)도 상기 편심축(4740)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편심축(4740)의 외측에 있던 슬라이딩로울러(4710)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편심축(4740) 및 슬라이딩로울러(4710)가 일체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도 12(b)와 같이 되면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를 결착하고 있던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 및 하측가이드부재(480)를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로부터 복수개의 통상적인 체결수단을 해체하므로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는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로부터 분리되고, 이어서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는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에서 편심되지 않고 정상적인 상태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즉,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 및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의 거리보다 작아서 자연스럽게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1,2슬라이딩가이드부(514,518)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종 부품을 교환하거나 또는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벨트장력조정수단(400)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 기술한 내용과 대부분 동일하며 다만 차이점은 상기 장력조절부재(420)가 슬라이딩메인부재(490)의 일측에만 결착되어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일측에서만 조정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타이밍벨트(402)를 결착하면서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일측면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몸체인 슬라이딩메인부재(490)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90)의 상하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 가이드되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상하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에가이드되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와는 편심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와,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측가이드부재(45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측가이드부재(480)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일측에 결착되어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420)와, 상기 타이밍벨트(402)를 매개로 복수개의 장력조절부재(420)의 타단부에 결착되어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돌기부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타이밍벨트(402)를 결착하도록 복수개의 체결구멍(432)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와, 상기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외측에 배설되어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구멍(442)에 결착되는 외부결착부재(4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9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는 상기의 다른 부재들이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체결구멍(412)과, 상기 장력조절부재(420)가 결착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오목체결부(414)와, 상기 오목체결부(414)가 일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력조절부재(420)가 결착시 좌우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장력조절나사부(416)와, 상기 오목체결부(414)의 상측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1단턱부(418)와, 상기 제1단턱부(418)의 상측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결착부재(440)가 복수개의 체결수단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체결구멍(419)을 통해서 체결되는 제2단턱부(417)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타측면에는 상기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이 결착되도록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3단턱부(492)와, 상기 제3단턱부(492)의 상측에 상기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가 일체로 결착되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49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측면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내부의 구조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외측면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덮여 있는 외측덮개부재(530) 및 결착부재(540)가 없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많지 않은 장소에서 사용되거나 기타 다른 장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부재(254,256,356)는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한 경우에는 통상적인 부시의 형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에 대한 동작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은 상기 타이밍벨트구동수단(200)의 기어드모터(21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기어드모터(210)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던 커플링(220)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플링(22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커플링(220)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던 회전가이드부재(250)의 회전축(252)이 상기 내부상측지지부재(241) 및 내부하측지지부재(246)에 형성된 가이드구멍(242) 및 가이드구멍(244)에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부재(254) 및 베어링부재(256)에 가이드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252)이 베어링부재(254) 및 베어링부재(256)에 가이드되면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252)의 중간에 설치되어 있던 회전안내부(251)가 회전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회전안내부(251)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257)에 접촉되면서 타이밍벨트(402)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전안내부(251)가 회전하고, 이어서 상기 회전안내부(251)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257)에 접촉되면서 좌우로 이동하는 타이밍벨트(402)는 일단은 상기 외부케이스부재(260)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264)을 통해서 상기 외부케이스부재(360)의 관통구멍(364)과 측면절개부(362)를 통해서 벨트장력조정수단(400)의 연결되고,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타단은 상기 외부케이스부재(260)의 측면절개부(262)를 통해서 상기 벨트장력조정수단(400)의 슬라이딩메인부재(41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부재(260)의 측면절개부(262)와 관통구멍(264)을 통해서 좌우로 이동되는 상기 타이밍벨트(402)는 슬라이딩메인부재(410)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착되어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장력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장력조절부재(420)에 결착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부재(420)는 반대편에 설치된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와 외부결착부재(440)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구멍(412,419)에 결착되어 일체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장력의 조절방법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오목체결부(414)에 결착된 장력조절부재(420)의 장력조정구멍(426)을 통해서 상기 장력조절나사부(416)에 형성된 나사부에 장력조절나사(425)를 회전시켜 조절하므로서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장력조절나사(425)를 잠그도록 회전시켜 상기 장력조절부재(420)부분이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중앙부 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게 되면 결국,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므로 장력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오목체결부(414)에 결착된 장력조절부재(420)의 장력조정구멍(426)을 통해서 상기 장력조절나사부(416)에 형성된 나사부에 장력조절나사(425)를 풀게 되면, 상기 장력조절부재(420)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서 결국,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길이가 늘어 나게 되므로서 장력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상하측에 대칭으로 결착되어 있는 상측가이드부재(450)와 그리고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에 결착되어 있는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는 상기 타이밍벨트(402)와 일체로 동작하는 슬라이딩메인부재(410)가 좌우로 이동시 함께 좌우로 이동하게 되며,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체결구멍(458)에 결착되어 있는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는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가 좌측으로 이동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 가이드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일정길이 편심되어 있는 제2체결구멍(457)에 결착되어 있는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는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가 좌측으로 이동시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에 가이드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와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와의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의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와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에 가이드되면서 회전하는 것은 상기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편심되어 있는데다가 상기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는 상기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부분에만 가이드되고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는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부분에만 가이드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타이밍벨트(402)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에 결착되어 있는 장력조절부재(420) 및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에 결착되어 일체로 좌우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타이밍벨트종동수단(300)에서도 상기 타이밍벨트(402)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즉, 상기 타이밍벨트구동수단(200)의 관통구멍(264)을 통과한 상기 타이밍벨트(402)는 타이밍벨트종동수단(300)의 관통구멍(364)을 통과한 후, 상기 회전가이드부재(350)에 가이드되면서 이동되어 상기 외부케이스부재(360)의 측면절개부(362)를 통해서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쪽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타이밍벨트(402)는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부분에서 양끝단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장력조절부재(420) 및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 등에 의해서 결착되어 있는 것이며, 그외의 부분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가이드부재(250) 및 회전가이드부재(350)에 의해서 가이드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의 일측면에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가 결착시 분리되지 않으면서 결착되도록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519)와,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의 타측면에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가 결착시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결착홈(51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결착홈(513) 및 절개부(519)는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양측면과 상하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다만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설명이 편의상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라고 한다.
따라서 평소에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가좌우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는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 접촉되면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는 상기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에 접촉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서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사용상 상기 부품중 어느 일부분을 교체하거나 점검하고자 하는 경우 도 13의 (나)와 같이 되면, 상기 편심축(4740)에 연결되어 있던 나사부(4746)도 함께 상기 편심축(4740)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편심축(4740)의 외측에 있던 슬라이딩로울러(4710)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편심축(4740) 및 슬라이딩로울러(4710)가 일체로 일정각도(통상적으로 180도) 회전하여 도 13(나)와 같이 되면,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를 결착하고 있던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를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로부터 복수개의 통상적인 체결수단인 볼트 등을 해체하므로서 이들을 분리한다.
그러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는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로부터 분리되고, 이어서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는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에서 편심되지 않고 정상적인 상태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즉,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의 직경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 및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의 거리보다 작게 되어 자연스럽게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 및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종 부품을 교환하거나 또는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기술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몇가지의 구체적인 실시예만을 언급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를 단순히 설계변경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많은 악조건에서도 슬라이딩안내부분이나 슬라이딩안내부분에 접촉되는 슬라이딩메인블록의 베어링부분이 이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베어링이나 베어링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안내부분에 손상이 있어서 수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간단하게 편심된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를 조정하므로서 간편하게 분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조절부재를 통해서 조정하므로서 간편하게 장력을 조정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가이드부재의 형상을 "H"자 형상으로 제작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변형이 적으며, 따라서 길이가 긴 경우에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중간보조축을 설치하지 않고도 설치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23)

  1.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슬라이딩구동수단(100)을 구동시키는 타이밍벨트구동수단(200)과, 상기 타이밍벨트구동수단(200)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종동수단(300)과, 상기 타이밍벨트구동수단(200)과 타이밍벨트종동수단(300)을 연결하는 몸체이면서 가이드레일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안내수단(500)과,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일측면에 결착되어 편심되도록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를 복수개 배설하고 타이밍벨트(40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벨트장력조정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장력조정수단(400)은 상기 타이밍벨트(402)를 결착하면서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일측면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몸체인 슬라이딩메인부재(410)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상하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 가이드되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상하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에 가이드되면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와는 편심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와,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측가이드부재(450)와,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 및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측가이드부재(480)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에 결착되어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장력조절부재(420)와, 상기 타이밍벨트(402)를 매개로 복수개의 장력조절부재(420)의 타단부에 결착되어 상기 타이밍벨트(402)를 결착하는 복수개의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와, 상기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 일단부에 배설되어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에 결착되는 외부결착부재(4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은 상기 타이밍벨트구동수단(200) 및 타이밍벨트종동수단(300)을 연결하면서 상기 벨트장력조정수단(400)이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덮개부재(5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의 몸체인 슬라이딩덮개몸체(521)와, 상기 슬라이딩덮개몸체(52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결착홈(513,519)에 결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결착돌출부(5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500)의 상측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차단하도록 덮여 있는 외측덮개부재(530)와, 상기 외측덮개부재(530)를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에 결착시 보조하여 주는 결착부재(540)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를 구성하고 있는 몸체인 슬라이딩가이드몸체(512)와,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가 결착되어 상하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제1,2슬라이딩가이드부(514,518)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몸체(512)의 중간부분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내측절개부(516)와, 상기 제1,2슬라이딩가이드부(514,518) 내측면에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가 결착되도록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절개부(519)와, 상기 제1,2슬라이딩가이드부(514,518)의 외측면에 상기 슬라이딩덮개부재(520)가 결착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결착홈(51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는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외측면에 다른 부재들이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체결구멍(412)과, 상기 장력조절부재(420)가 결착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오목체결부(414)와, 상기 오목체결부(414)가 일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력조절부재(420)가 결착시 좌우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장력조절나사부(416)와, 상기 오목체결부(414)의 상측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1단턱부(418)와, 상기 제1단턱부(418)의 상측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결착부재(440)가 복수개의 체결수단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419)을 통해서 체결되는 제2단턱부(417)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재(420)는 상기 오목체결부(414)의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424)와, 상기 돌출부(424)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장력조정구멍(426)과, 상기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와 결착되도록 상기 장력조절부재(420)의 외측면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422)과, 상기 타이밍벨트(402)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단턱오목부(42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는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가 결착되도록 관통되어 있는 제1체결구멍(458)과, 상기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결착되도록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1체결구멍(458)과는 편심되어 있는 제2체결구멍(457)과,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체결구멍(453)과,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의 일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센서설치부(502)에 형성되어 있는 센서에 감지되도록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는 감지부재(45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가이드부재(480)는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가 결착되도록 관통되어 있는 제3체결구멍(484)과, 상기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가 결착되도록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3체결구멍(484)과는 편심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4체결구멍(482)과, 상기 하측가이드부재(48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체결구멍(48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 접촉되면서 좌우로 이동되면서 회전하는 슬라이딩로울러(4610)와, 상기 슬라이딩로울러(4610)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있는 베어링(4620)과, 상기 부시베어링(4622)의 상측에 배설되어 있는 평와셔(4624)와, 상기 평와셔(4624)의 상측에 배설되어 있는 내치와셔(4626)와, 상기 베어링(4620)의 상측에 배설되어 있는 부시베어링(4622)과, 상기 슬라이딩로울러(4610)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방수 등의 밀봉을 하는 실링부재(4630)와, 상기 실링부재(4630)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있는 스냅링부재(4632)와, 상기 스냅링부재(4632)의 하측에 배설되는 와셔(4633)와, 상기 와셔(4633)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있는 내치와셔(4634)와, 상기 내치와셔(4634)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체결수단(456)과 결착되어 상기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를 결착하는 너트부재(4636)와,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로울러부재(460)를 상기 상측가이드부재(450)에 결착하는 복수개의 체결수단(456)과, 외부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상하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밀봉캡(459)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로울러(4610)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 및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와 접촉되는 제1곡선부(4617)와, 상기 제1곡선부(4617)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 및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곡선부(4618)와, 상기 베어링(4620)이 배설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단턱부(4614)와, 상기 부시베어링(4622)이 배설되면서 상기 베어링(4620)이 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단턱부(4614)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단턱부(4612)와, 상기 베어링(4620)이 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위해서 상기 스냅링부재(4632)가 삽입되는 제3단턱부(4616)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재(510)의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에 접촉되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슬라이딩로울러(4710)와, 상기 슬라이딩로울러(4710)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있는 베어링(4720)과, 상기 베어링(4720)의 상측에 배설되어 편심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편심축(4740)과, 상기 편심축(4740)의 상측에 배설되어 있는 평와셔(4724)와, 상기 평와셔(4724)의 상측에 배설되어 있는 내치와셔(4726)와, 상기 편심축(4740)과 결착되는 너트부재(4728)와, 상기 슬라이딩로울러(4710)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방수 등의 밀봉을 하는 실링부재(4730)와, 상기 실링부재(4730)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있는 스냅링부재(4732)와, 상기 스냅링부재(4732)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있는 내치와셔(4734)와, 상기 내치와셔(4734)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편심축(4740)과 결착되는 볼트(4736)와, 상기 편심슬라이딩로울러부재(470)를 상기 하측가이드부재(480)에 결착하는 복수개의 체결수단(486)과, 외부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복수개의 밀봉캡(459)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로울러(4710)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 및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와 접촉되는 제1곡선부(4717)와, 상기 제1곡선부(4717)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가이드부(514) 및 제2슬라이딩가이드부(518)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곡선부(4718)와, 상기 베어링(4720)이 배설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단턱부(4714)와, 상기 편심축(4740)이 배설되면서 상기 베어링(4720)이 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단턱부(4714)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단턱부(4712)와, 상기 베어링(4720)이 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스냅링부재(4732)가 삽입되는 제3단턱부(4716)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4740)은 상기 편심축(4740)의 몸체인 편심몸체(4741)와, 상기 편심몸체(4741)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측체결부재(4742)와, 상기 편심몸체(474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측체결부재(4744)와, 상기 하측체결부재(4744)의 내측에 나사가 형성되어 볼트(4736)와 결착되는 나사부(474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에는 상기 타이밍벨트(402)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420)가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에는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체결구멍(412)과, 상기 장력조절부재(420)가 결착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오목체결부(414)와, 상기 오목체결부(414)가 일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력조절부재(420)가 결착시 좌우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장력조절나사부(416)와, 상기 오목체결부(414)의 상측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1단턱부(418)와, 상기 제1단턱부(418)의 상측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결착부재(440)가 복수개의 체결수단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419)을 통해서 체결되는 제2단턱부(417)와, 상기 슬라이딩메인부재(410)의 타측면에는 상기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이 결착되도록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3단턱부(492)와, 그리고 상기 제3단턱부(492)의 상측에 상기 타이밍벨트결착부재(430)가 일체로 결착되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494)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KR10-2001-0036623A 2001-06-26 2001-06-26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KR100432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623A KR100432979B1 (ko) 2001-06-26 2001-06-26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623A KR100432979B1 (ko) 2001-06-26 2001-06-26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220U Division KR200252153Y1 (ko) 2001-06-26 2001-06-26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588A KR20030000588A (ko) 2003-01-06
KR100432979B1 true KR100432979B1 (ko) 2004-05-27

Family

ID=2771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623A KR100432979B1 (ko) 2001-06-26 2001-06-26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734B1 (ko) * 2013-06-03 2014-02-04 인테그라글로벌 주식회사 태양광패널 청소 및 냉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812U (ko) * 1996-07-11 1998-04-30 김광수 타이밍벨트 구동 전기집진장치
KR19980025478U (ko) * 1996-11-04 1998-08-05 김광수 타이밍벨트 구동 자동세정 에어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812U (ko) * 1996-07-11 1998-04-30 김광수 타이밍벨트 구동 전기집진장치
KR19980025478U (ko) * 1996-11-04 1998-08-05 김광수 타이밍벨트 구동 자동세정 에어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588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02212C (zh) 用于传动皮带系统的皮带张紧器
CN101031701A (zh) 电动门驱动系统
KR20090089248A (ko) 래들 유동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0432979B1 (ko)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KR200252153Y1 (ko) 전기집진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딩구동장치
CN106911264B (zh) 轻小型单压电叠堆驱动式双向旋转惯性作动器及作动方法
KR0167219B1 (ko) 에스컬레이터의 터미널레일 구조
CN219216379U (zh) 一种皮带输送机皮带纠偏结构
KR101771389B1 (ko) 회전 신호등
CN2305524Y (zh) 调正传动带跑偏的带轮装置
CN100346096C (zh) 旋转挡板节流阀及其装配方法
JP4577626B2 (ja) ベルト伝動装置
CN1053031C (zh) 摆滚叶片泵
JPH06159277A (ja) 多気筒回転圧縮機
WO2002075077A1 (en) Truss screed with covered vibrator shaft
KR970033965A (ko) 가변속개폐기능과 파손방지가능한 자동주차장용 차단기
CN102781808A (zh) 电梯的曳引机以及电梯的曳引机的制造方法
CN212245859U (zh) 一种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用驱动装置
CN1552969A (zh) 织机主马达座调整机构
CN213740716U (zh) 一种道闸减速机及道闸
CN217898678U (zh) 一种偏心盘传动带张紧装置
CN213740715U (zh) 一种道闸减速机及道闸
CN220097526U (zh) 一种皮带丝杆张紧结构
CN214538689U (zh) 一种用于物料抽验检测的导料装置
CN1148142A (zh) 一种涡旋压缩机的防自转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