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389B1 - 회전 신호등 - Google Patents

회전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389B1
KR101771389B1 KR1020160016041A KR20160016041A KR101771389B1 KR 101771389 B1 KR101771389 B1 KR 101771389B1 KR 1020160016041 A KR1020160016041 A KR 1020160016041A KR 20160016041 A KR20160016041 A KR 20160016041A KR 101771389 B1 KR101771389 B1 KR 101771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haft
rotating
tapered roller
signal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4831A (ko
Inventor
안상억
백영현
염봉걸
Original Assignee
성풍솔레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풍솔레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풍솔레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6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38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고정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지주의 상부에 신호등이 결합된 신호등지주와 회전지주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지주와 회전지주 사이에 각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회전지주를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신호등이다.

Description

회전 신호등{rotary signal lamp}
본 발명은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고정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지주의 상부에 신호등이 결합된 신호등지주와 회전지주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지주와 회전지주 사이에 각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회전지주를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신호등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등은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통제하는 등을 말하며 신호기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신호등은 도로에서 한쪽 방향을 보도록 설치된 것이 대부분인데, 이로써 폭이 좁은 도로를 지나는 대형 차량의 경우 신호등에 부딪힐 수 있어 도로진입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신호등의 높이보다 초과하는 높이를 가지는 화물의 운송이 필요할 경우 신호등으로 인해 운행이 불가능하여, 반대편의 차선에 대한 운행을 제한하여야하므로 도로교통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종래기술로서는 공개특허 제10-2004-0067594호에 제안되어 있는 회전식 신호대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지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기둥부(1)의 위쪽에 조립된 채 신호박스(50)를 지지하는 수평대(22)를 가지는 신호박스지지부(2)가 상기 기둥부(1)에 장치된 고정수단을 제거시키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신호대가 제안되어 있는데, 회전파이프의 회전이 필요한 경우 고정쇠를 구멍에서 분리한 뒤 수작업에 의해 회전파이프를 회전시켜야함으로써 수평대의 회전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제안된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1013771호에 제안되어 있는 회전식 신호등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지면(地面)에 고정되는 고정 지주(10)와 신호점멸등(20)을 형성한 회전 지주(30)로 구성되어, 회전 지주(30)의 회전을 통하여 신호점멸등(20)의 각도를 변경하는 회전식 신호등(40)에 있어서, 상기의 신호등(40)의 구성이, 고정 지주(10)에 형성된 고정 소켓(10-1)와 회전 지주(30)에 형성된 회전 소켓(30-1)으로 연결하여, 베어링(40-1)에 의해서 회전 소켓(30-1)이 고정 소켓(10-1)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고정 소켓(10-1)과 회전 소켓(30-2) 내부에는, 회전 지주(30)를 회전하는 수단으로, 고정 지주(10) 내부에 형성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1)와, 상기의 모터(41)와 유니버설 조인트(42)를 연결하는 베벨 기어(43) 및 웜 기어(44)와, 상기의 유니버설 조인트(42)가 회전 지주(30)에 연결되도록 하여, 모터(41)의 구동으로 회전 지주(30)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신호등이 제안되어 있는데, 회전지주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웜기어, 헬리컬기어 및 유니버셜조인트를 구비하여야하므로 제작비용이 급격히 상승되고, 특히 고정지주의 내부에 상술한 회전수단들을 모두 넣어야함으로써 설치비용이 상승되며, 유지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1254호에 제안되어 있는 회전식 지주대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지면(地面)에 고정되는 고정 지주(10)와 신호점멸등(20)을 형성한 회전 지주(30)로 구성되어, 회전 지주(30)의 회전을 통하여 신호점멸등(20)의 각도를 변경하며 지주대(40)의 구성이, 고정 지주(10)에 형성된 고정 소켓(10-1)과 회전 지주(30)에 형성된 회전 소켓(30-1)으로 연결하여, 베어링(40-1)에 의해서 회전 소켓(30-1)이 고정소켓(10-1)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고정 소켓(10-1)과 회전 소켓(30-2) 내부에는, 회전 지주(30)를 회전하는 수단으로, 고정 지주(10) 내부에 형성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1)와, 상기의 모터(41)와 유니버설 조인트(42)를 연결하는 베벨 기어(43) 및 웜 기어(44)와, 상기의 유니버설 조인트(42)가 회전 지주(30)에 연결되도록 하여, 모터(41)의 구동으로 회전 지주(30)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지주대(40)에 있어서, 상기의 고정 소켓(10-1)과 회전 소켓(30-2) 내부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회전 속도와 회전 각도, 회전 감속기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 감지 리미트 스위치(51)를 구비하고 있으며, 모터(41)와 유니버셜 조인트(42)를 연결하는 베벨 기어(43)와 웜 기어(44)를 한 쌍의 복동구조로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지주대가 제안되어 있는데, 상술한 등록특허와 마찬가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급격히 상승되므로 경제성이 없으며, 특히 고정지주의 내부에 상술한 회전수단들을 모두 넣어야함으로써 설치비용이 상승되며, 유지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지주의 상부에 신호등이 결합된 신호등지주와 회전지주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지주와 회전지주 사이에 각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회전지주를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신호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구동모터, 기어박스, 스프라켓 및 샤프트로 구성하여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회전 신호등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샤프트의 일측에 확장부를 형성하여 고정지주와 회전지주 사이의 간격을 자연스럽게 유지시켜 마찰이 없으므로, 회전지주의 회전에 소모되는 동력을 최소화한 회전 신호등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주의 하부에는 플랜지를 설치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신호등에 필요에 따라 각도조절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회전 신호등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신호등은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지주와, 상기 회전지주에 고정 설치되며 신호등이 결합되어 있는 신호등지주로 구성된 회전 신호등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주는 고정지주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신호등은 지면에 고정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지주의 상부에 신호등이 결합된 신호등지주와 회전지주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지주와 회전지주 사이에 각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회전지주를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구동모터, 기어박스, 스프라켓 및 샤프트로 구성하여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고, 샤프트의 일측에 확장부를 형성하여 고정지주와 회전지주 사이의 간격을 자연스럽게 유지시켜 마찰이 없으므로, 회전지주의 회전에 소모되는 동력을 최소화한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회전지주의 하부에는 플랜지를 설치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신호등에 필요에 따라 각도조절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일부분 확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타실시 예시도
본 발명은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고정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지주의 상부에 신호등이 결합된 신호등지주와 회전지주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지주와 회전지주 사이에 각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회전지주를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신호등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 확대구성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신호등은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지주(1)와, 상기 고정지주(1)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지주(2)와, 상기 회전지주(2)에 고정 설치되며 신호등(4)이 결합되어 있는 신호등지주(3)로 구성된 회전 신호등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주(2)는 고정지주(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도조절장치(10)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고정지주(1)는 통상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물(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는데, 상기 기초물은 콘크리트를 주재로 하여 만든 콘크리트구조물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은 철구조물일 수도 있으며, 통상적인 콘크리트 기초물의 경우 지면에 매설된 부분이 지면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보다 많아야만 중량물 즉, 신호등과 이를 지지하고 있는 기둥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지주(1)의 상부에는 회전지주(2)가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지주(2)에는 신호등(4)이 결합되어 있는 외팔보 형태의 신호등지주(3)가 결합된다. 상기 신호등지주(3)는 외팔보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결합부에 많은 하중이 가해지게 되는데, 결합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이기 위해 신호등지주(3)와 회전지주(2) 사이에는 와이어(5)와 지지프레임(6)이 설치되어 신호등지주(3)를 지지해준다.
상기 회전지주(2)는 고정지주(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도조절장치(10)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어서, 필요에 따라 회전지주(2)의 회전으로 높이가 높은 화물을 싫거나 폭이 넓은 화물을 싫은 차량이 운행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장치(10)는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회전지주(2)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1)와, 상기 구동모터(11)의 모터축과 결합되어 있으며 동력절환구조를 가지는 기어박스(12)와, 상기 기어박스(12)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라켓(13)과, 상기 구동스프라켓(13)과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며 체인(1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피구동스프라켓(15)과, 상기 피구동스프라켓(15)과 결합되며 고정지주(1)에 일부가 끼워지고 나머지부분은 피구동스프라켓(15)과 결합되는 샤프트(16)로 구성된다.
먼저, 구동모터(11)는 전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로써, 일측에 감속기가 결합되어 있는 기어드모터(geared mo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각도를 센싱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엔코더(encoder)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1)의 일측에는 구동모터(11)의 동력축 즉, 모터축과 커플링(24)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동력절환구조를 가지는 기어박스(12)가 설치되는데, 상기 기어박스(12) 내에는 구동모터(11)의 모터축에 대한 회전동력을 90°로 절환하기 위한 베벨기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웜과 웜기어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기어박스(12)의 출력축에는 구동스프라켓(13)이 결합되어 기어박스(12)를 거쳐 출력되는 동력으로 회전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13)과 일정거리 떨어져 피구동스프라켓(15)이 설치되어 서로 체인(14)에 의해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피구동스프라켓(15)은 샤프트(16)와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16)는 고정지주(1)에 일부분이 끼워지고 나머지 부분은 피구동스프라켓(15)과 결합되어 있어, 결국 구동모터(11)의 회전동력은 모터축, 커플링(24), 기어박스(12) 내의 베벨기어, 기어박스(12)의 출력축, 구동스프라켓(13), 체인(14), 피구동스프라켓(15)을 거쳐 샤프트(16)까지 전달된다.
상기 피구동스프라켓(16)은 회전지주(2)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플랜지(21)에 고정 결합되어 있어 결국 구동모터(11)가 구동되면 회전지주(2)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구동모터(11)의 회전동력을 체인(14)에 의해 구동스프라켓(13)과 피구동스프라켓(15) 사이로 전달되도록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스프라켓 대신 풀리를 구성하고, 체인 대신 벨트로 구성하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샤프트(16)는 고정지주(1)에 두 개의 테이퍼롤러베어링(17a, 17b)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끼워져 있어 샤프트의 회전에 대한 간섭을 줄여주게 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16)의 일측에는 외경이 확장된 확장부(16a)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16a)의 단면에는 피구동스프라켓(15)의 단면이 접촉됨으로써 피구동스프라켓(15)과 고정지주(1)에 고정되어 있는 베어링커버(18) 사이에는 틈이 생겨 회전지주(2)에 대한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피구동스프라켓(15)과 고정지주(1)에 결합되어 있는 베어링커버(18)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회전된다면, 피구동스프라켓(15)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지주(2) 및 신호등지주(3)에 의한 하중으로 피구동스프라켓(15)을 회전시키는데 많은 동력이 필요하게 되나, 샤프트(16)의 확장부(16a)에 의해 피구동스프라켓(15)이 베어링커버(18)에서 떠 있는 상태가 되어 피구동스프라켓(15)의 회전에 대한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아 회전동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16)에 형성된 확장부(16a)의 하부는 고정지주(1)에 설치되어 있는 테이퍼롤러베어링(17a) 내륜의 단면과 접촉되어 있다. 즉,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17a)의 외륜은 고정지주(1)에 결합되는 고정플랜지(20)와 베어링커버(18)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는데,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17a)의 내륜 부분에만 샤프트(16)의 확장부(16a)가 맞닿아 있어 샤프트(16)는 테이퍼롤러베어링(17a) 내의 롤러에 의해 회전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지주(2)의 하부에는 피구동스프라켓(15)을 고정해주기 위해 회전플랜지(2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지주(1)의 상부에는 베어링커버(18)를 고정해주기 위해 고정플랜지(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장치(10)를 제거하면 고정지주(1)와 회전지주(2)의 플랜지끼리 고정볼트(22)에 의해 직접 체결될 수 있어 고정신호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최초 신호등을 생산할 때 고정지주(1)와 회전지주(2)를 별개로 제작하였으나, 각도조절이 필요치 않은 경우 상기 각도조절장치(10)를 제거하면 고정플랜지(20)와 회전플랜지(21)를 고정볼트에 의해 직접 체결하여 회전기능이 필요치 않은 고정신호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인 기존에 설치된 신호등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데, 기존에 설치된 신호등이 회전기능이 없는 고정신호등일 경우 신호등주의 적절한 위치를 절단하여 고정지주(1)와 회전지주(2)로 나누고, 상기 고정지주(1)와 회전지주(2)에는 각각 고정플랜지(20)와 회전플랜지(21)를 설치하며, 상기 고정플랜지(20)와 회전플랜지(21) 사이에 각도조절장치(10)를 부가 설치하면 회전 신호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16)의 하단부는 테이퍼롤러베어링(17b)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17b)은 베어링하우징(19)에 의해 예압이 가해진 상태로 샤프트(16)와 결합되므로, 회전지주(2)의 회동시 샤프트(16)의 회전축이 틀어지거나 진동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테이퍼롤러베어링(17a, 17b)은 베어링하우징(19)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되는데, 이때 베어링하우징(19)에 의해 테이퍼롤러베어링(17a, 17b)의 외륜을 가압하고, 샤프트(16)에 의해 테이퍼롤러베어링(17a, 17b)의 내륜을 가압하게 되면, 테이퍼롤러베어링의 롤러에 예압력이 가해져, 샤프트(16)의 회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타실시 예시도로써, 샤프트(16)의 외주면에 볼부쉬(25)를 끼워 샤프트(16)를 지지한 것이다.
즉, 볼부쉬(ball bush)는 볼이 내장된 부시로써, 외팔보 형태의 신호등지주(3)로 인해 신호등지주(3)의 반대편 쪽의 샤프트(16)에 많은 하중이 가해질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샤프트의 회전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볼부쉬(25)를 샤프트(16)의 외주면에 설치하여 볼이 어느 정도 압축되면서 하중을 흡수하여 샤프트(16)의 회전을 도울 수 있다.
또한, 고정플랜지(20)와 회전플랜지(21) 사이에는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플레이트(26)를 부가하여 설치할 수 있다.
즉, 가이드플레이트(26)는 고정플랜지(20)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플랜지(21)가 회전되면서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그 형상은 회전플랜지(21)의 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신호등은 지면에 고정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지주의 상부에 신호등이 결합된 신호등지주와 회전지주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지주와 회전지주 사이에 각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회전지주를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구동모터, 기어박스, 스프라켓 및 샤프트로 구성하여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고, 샤프트의 일측에 확장부를 형성하여 고정지주와 회전지주 사이의 간격을 자연스럽게 유지시켜 마찰이 없으므로, 회전지주의 회전에 소모되는 동력을 최소화한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회전지주의 하부에는 플랜지를 설치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신호등에 필요에 따라 각도조절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고정지주 2. 회전지주
3. 신호등지주 4. 신호등
5. 와이어 6. 지지프레임
10; 각도조절장치
11. 구동모터 12. 기어박스 13. 구동스프라켓
14. 체인 15. 피구동스프라켓 16. 샤프트
16a. 확장부 17a, 17b. 테이퍼롤러베어링 18. 베어링커버
19. 베어링하우징 20. 고정플랜지 21. 회전플랜지
22. 고정볼트 23. 커버 24. 커플링
25. 볼부쉬 26. 가이드플레이트

Claims (6)

  1.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지주(1)와, 상기 고정지주(1)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지주(2)와, 상기 회전지주(2)에 고정 설치되며 신호등(4)이 결합되어 있는 신호등지주(3)로 구성된 회전 신호등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주(2)는 고정지주(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도조절장치(10)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장치(10)는 회전지주(2)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1)와, 상기 구동모터(11)의 모터축과 결합되어 있으며 동력절환구조를 가지는 기어박스(12)와, 상기 기어박스(12)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라켓(13)과, 상기 구동스프라켓(13)과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며 체인(1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피구동스프라켓(15)과, 상기 피구동스프라켓(15)과 결합되며 고정지주(1)에 일부가 끼워지고 나머지부분은 피구동스프라켓(15)과 결합되는 샤프트(16)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16)의 일측에는 외경이 확장된 확장부(16a)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16a)의 단면에는 피구동스프라켓(15)의 단면이 접촉됨으로써 피구동스프라켓(15)과 고정지주(1)에 고정되어 있는 베어링커버(18) 사이에는 틈이 생겨 회전지주(2)에 대한 마찰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샤프트(16)에 형성된 확장부(16a)의 하부는 고정지주(1)에 설치되어 있는 테이퍼롤러베어링(17a) 내륜의 단면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17a)의 외륜은 고정지주(1)에 결합되는 고정플랜지(20)와 베어링커버(18)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17a)의 내륜 부분에만 샤프트(16)의 확장부(16a)가 맞닿아 있어 샤프트(16)는 테이퍼롤러베어링(17a) 내의 롤러에 의해 회전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 특징인 회전 신호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6)는 고정지주에 테이퍼롤러베어링(17)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끼워짐으로써 샤프트(16)의 회전이 용이해지는 것이 특징인 회전 신호등.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주(2)의 하부에는 피구동스프라켓(15)을 고정해주기 위해 회전플랜지(2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지주(1)의 상부에는 베어링커버(18)를 고정해주기 위해 고정플랜지(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장치(10)를 제거하면 고정지주(1)와 회전지주(2)의 플랜지끼리 고정볼트(22)에 의해 직접 체결될 수 있어 고정신호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회전 신호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6)의 하단부는 테이퍼롤러베어링(17)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17)은 베어링하우징(19)에 의해 예압이 가해진 상태로 샤프트(16)와 결합되므로, 회전지주(2)의 회동시 샤프트(16)의 회전축이 틀어지거나 진동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특징인 회전 신호등.
KR1020160016041A 2016-02-12 2016-02-12 회전 신호등 KR101771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041A KR101771389B1 (ko) 2016-02-12 2016-02-12 회전 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041A KR101771389B1 (ko) 2016-02-12 2016-02-12 회전 신호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831A KR20170094831A (ko) 2017-08-22
KR101771389B1 true KR101771389B1 (ko) 2017-08-24

Family

ID=5975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041A KR101771389B1 (ko) 2016-02-12 2016-02-12 회전 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3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9577B (zh) * 2018-05-10 2020-09-01 张安耀 高速公路事故预警结构及其维修装置
KR101933172B1 (ko) * 2018-07-12 2019-01-17 주식회사 자우버 회전식 조형구조물의 구동모터의 역방향 부하전달 방지장치
CN109035828A (zh) * 2018-09-20 2018-12-18 深圳市安思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稳固的移动式交通信号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60Y1 (ko) * 2007-09-12 2008-06-24 박근식 회전식 조형 구조물
KR100960334B1 (ko) 2009-06-25 2010-06-07 안규영 회전식 도로용 지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60Y1 (ko) * 2007-09-12 2008-06-24 박근식 회전식 조형 구조물
KR100960334B1 (ko) 2009-06-25 2010-06-07 안규영 회전식 도로용 지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831A (ko)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389B1 (ko) 회전 신호등
KR101591562B1 (ko) 자동차 휠의 캠버 및/또는 토의 조절 장치
KR100960334B1 (ko) 회전식 도로용 지주
WO2014139708A1 (en) Crusher belt tensioning apparatus
JPH05307905A (ja) 照明装置
CN104904348B (zh) 一种松耕粉垄机粉垄装置
CN101942796B (zh) 一种驱动单元内置式铣刨滚
FR2613637A1 (fr) Engrenage pour broyeur a auge
CN105035993A (zh) 升降器
KR20140098649A (ko) 도로교통 표시시설물 회전식 지지장치
CN104996014A (zh) 一种松耕粉垄机
RU2442735C2 (ru) Барабанный двигатель
US4688660A (en) Winch for elevator
KR20070001166U (ko)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집광판각도 및 주축관회전장치
CN104904340B (zh) 一种松耕粉垄机机体
KR20033756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기둥조립체 및 상기 기둥조립체를구비한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DE50109612D1 (de) Deckenstativeinheit
KR20210067377A (ko) 자체감속 기능을 갖는 메카넘 휠
WO2012086250A1 (ja) 軌道式車両
JP2000130061A (ja) 土壌掘削を行うための小型掘削リグ
KR100356809B1 (ko) 광고차
KR100991517B1 (ko) 가로등
JP2012116251A (ja) キャンバ角調整装置
CN209144322U (zh) 一种带有上炉体旋转装置的单晶炉
KR20200038653A (ko) 태양광 트래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