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979B1 -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979B1
KR100431979B1 KR10-2001-0025589A KR20010025589A KR100431979B1 KR 100431979 B1 KR100431979 B1 KR 100431979B1 KR 20010025589 A KR20010025589 A KR 20010025589A KR 100431979 B1 KR100431979 B1 KR 100431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ressure
mobile phone
pulse
type mobile
bod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4612A (ko
Inventor
백무창
Original Assignee
백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무창 filed Critical 백무창
Priority to KR10-2001-0025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979B1/ko
Publication of KR2001007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automatic activation of emergency service functions, e.g. upon sensing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손목시계형 휴대폰에 인체의 혈압 및 맥박,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혈압 감지부와 체온감지부를 내장시키며, 휴대폰이 착용자의 신체 상태 등을 반영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된 복수개의 기준값들과 체크주기들을 설정하고 그들을 이용한 신체변화를 적응적으로 체크하여 이동단말 위치정보를 포함한 구조요청 메시지를 가장 적합한 때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요청 메시지 전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요청 가능한 착용자의 활동범위가 광범위하고 응급상태 이전에 환자 스스로가 예방적 조치가 가능한 등의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TRANSMITTING RESCUE REQUEST MESSAGE USING WRISTWATCH TYPE MOBILE PHONE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혈압, 맥박 및 체온 측정기능 내장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휴대폰은 통화를 위한 기본기능 이외에도 각종 부가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지원되고 있어 생활 필용품의 하나로 자리를 잡고 있지만, 아직까지 인체의 혈압,맥박이나 체온 또는 혈압/맥박 및 체온을 체크하거나 위험상황을 인지하여 지정한 곳으로 자동 통보하는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휴대폰은 없는 실정이다.
한편, 복잡 다단한 현대생활과 다양한 형태의 식생활, 운동부족 및 비정상적인 생활패턴에 따라 인체의 균형 리듬이 깨지면서 당뇨병이나 비만증 등을 위시한 각종 성인병과 질환들이 발생되어 생활리듬이나 만족스런 활동에 지장을 주고 있다. 요즈음의 상당수 가정에서는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가족 구성원의 건강상태를 간단히 체크하거나 가족구성원 중 환자가 있는 경우 건강 정도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는 혈압계(전자 혈압계) 및 체온계 등을 갖추고 있지만, 자신의 건강 상태나 환자의 건강정도를 병원 등과 연계하여 자동 통보하는 시스템은 아직 갖추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만일 혈압계나 체온계 기능을 갖춘 휴대폰이 있어 자동으로 혈압,맥박,체온을 체크하고 위험시 지정된 곳으로 구조 요청과 같은 통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사용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을 것이다.종래에도 실용신안등록 제201215호 "독거환자 응급구난 시스템"에서와 같이, 독거환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휴대장치에서 맥박/체온/혈압 등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이상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이 발생되면 이상신호를 인근에 위치하는 본체로 무선송신하고, 본체에서는 휴대장치로부터 이상신호가 수신되면 본체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미리 저장된 지정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여 응급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구난 시스템이 있었다.상기 "독거환자 응급구난 시스템"과 같은 일 예의 종래기술은 간병인이 없이 홀로 생활하는 독거환자가 응급상황 발생시에 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 시스템이므로, 휴대장치와 본체간의 무선신호 송수신 거리가 대략 환자의 독거공간에 상응되게 한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응급구난 시스템은 독거환자의 활동범위를 극히 제한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휴대장치는 센싱된 혈압 및 맥박 등을 독거환자가 표시부를 통해 직접 볼 수 없으므로 본인의 현재 신체상태 확인이나 직접적인 구조요청과 같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지 못하고, 이상신호 여부를 체크하는 기준값이 일률적으로 설정되므로 착용자의 신체상태나 처한 여건을 적응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 또한 센싱주기 설정이 고려되지 않아, 너무 잦은 센싱에 따른 부하과중이나 너무 긴 센싱 간격에 따른 부정확함을 해소할 해결책이 없다. 상기한 일 예의 종래기술은 갑각스런 위험상황이 발생되었지만 다행히 착용자가 의식이 다소 있다할지라도 착용자가 본체 근처까지 직접 가야지만 스피커폰 통화를 할 수 있어 구조를 위한 직접적인 통화가 사실상 불가능하고, 이상신호 센싱에 의해 비상통보에 대응된 다이얼링이 구조국으로 전달되더라도 구조국이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일 경우에는 상대방 수화자와의 통화형성이 되지 않아 독거환자가 위급상황에 처할 수 밖에 없으며, 비록 비상통보가 구조국으로 전달된다할지라도 구조국에서 독거환자의 위치를 사전에 알고 있지 않으면 구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이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압, 맥박 및 체온 측정기능 내장한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하여 구조요청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혈압, 맥박 및 체온 측정기능이 내장된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하여 착용자나 보호자와 같은 사용자에 요구를 착용자의 신체상태나 처한 여건에 따라 적응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며 적합한 시점에서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혈압, 맥박 및 체온 측정기능이 내장된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착용자의 구조요청시 착용자의 정확한 위치포착 및 구조출동이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체온의 경우 연속적이거나 수시로 체크할 수 있으나 체크할 때 신체의 일부를 압박하는 혈압/맥박 감지의 경우 착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적절한 체크주기를 설정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에서 체크주기가 설정되어 있더라도 기준치를 조금 벗어나는(±10%) 이상소견을 보이는 경우 휴대폰의 중앙처리장치가 혈압/맥박 체크주기를 1/2로 줄여 체크하도록 하고, 기준치를 더욱 벗어나는 경우(±20%) 중앙처리장치가 혈압/맥박 체크주기를 1/3로 줄여 체크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조요청 메세지를 송출할 때, 1차 지정 전화(전화번호)가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일 때 2차 지정 전화번호로 자동 호 재발신을 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조요청 메세지를 송출할 때, 1차 지정 전화(전화번호)가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이어서 2차 지정 전화(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할 때 2차 지정 전화번호가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일 때 1차 지정 전화번호로 재 호 재발신을 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감지부와 착용자의 혈압 및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감지부가 구비된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자동 전달방법에 있어서,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버턴부를 이용한 체크모드에서 손목시계형 휴대폰 착용자의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측정하고 측정된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과, 기준값 및 주기 설정모드에서 상기 측정 표시된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이용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각각의 기준값을 설정하고 혈압 및 맥박 체크주기를 설정하여 메모리에 각각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체온감지부로 착용자의 체온을 상시 체크하여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 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혈압감지부로 착용자의 혈압 및 맥박을 상기 설정된 체크주기로 체크하고 각각 체크된 혈압 및 맥박을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과, 체크된 혈압 및 맥박을 상기 설정된 대응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값에서 제1한계를 벗어남에 따라 혈압 및 맥박의 체크주기를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에서 1/2주기로 줄여서 혈압 및 맥박을 다시 체크하는 과정과, 다시 체크된 혈압 및 맥박을 상기 설정된 대응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값에서 상기 제1한계보다 더 넓은 제2한계를 벗어남에 따라 혈압 및 맥박의 체크주기를 상기 미리 설정된 체크주기에서 1/3주기로 줄여서 혈압 및 맥박을 다시 체크하는 과정과, 다시 체크된 혈압 및 맥박을 상기 설정된 대응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값에서 상기 제2한계보다 더 넓으며 위험수준에 대응하는 제3한계를 벗어나는 것과 체크된 체온이 미리 설정된 체온 기준값에서 위험수준 한계를 벗어나는 것들중 적어도 하나임에 따라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이 미리 지정된 지정국으로 호 발신을 하여 이동단말 위치정보가 포함된 구조요청 메세지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무선 전송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지정국의 전화번호로 호 발신을 할 때 1차 지정 전화번호가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일 때 2차 지정 전화번호로 자동 호 발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에서 2차 지정 전화번호로 호 발신을 할 때 2차 지정 전화번호가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일 때 1차 지정 전화번호로 호를 재발신하는 교번적인 호발신을 수행한다.
또한,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밴드부분에 혈압감지부를 설치하여 착용자의 혈압/맥박을 주기적으로 측정한 다음 휴대폰의 중앙처리장치로 입력되게 하고, 손목에 접촉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배면(뒷면)에는 체온감지수단을 설치하여 착용자의 체온을 지속적(상시)이거나 주기적이거나 또는 수시로 감지하여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중앙처리장치로 입력되게 한다.
또한, 손목시계형 휴대폰과 복합된 기능이므로 소지함에 있어서도 별다른 거부감없이 착용할 수 있으며,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도 에러로 인한 구조요청 메세지를 송출할 때 취소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장치와 휴대폰이 일체형이므로 보호자 또는 지정국의 요청에 의해 휴대폰 착용자의 위치 및 현재 상태 파악이 가능하며, 현대인의 필수품인 휴대폰(휴대전화)을 이용하므로 휴대전화기만 소지하면 되며 휴대폰 착용자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되면 신속한 구조요청이 가능해진다.
구조요청 메세지의 내용은 구조요청용 음성메세지 또는 음성메세지와 전화번호 또는 음성메세지와 전화번호와 구조요청자의 성명이 포함되며, 인구 밀집지역이나 시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셀 반경이 통상 1㎞ 이내로 그 반경이 좁은 편이므로 통화위치를 1㎞ 범위 이내에서 착용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고급사용자 또는 이동통신망 기지국 셀반경이 넓은 시외 또는 들판이나 산악지역의 경우 GPS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조요청자의 위치를 정확히 추적할 수 있으며, 이경우 구조요청 메세지와 GPS신호를 이용한 상세 이동단말 위치정보가 함께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 신속한 구조를 위하여 GPS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하여 구조위치를 정확하게 추적(판단)할 수 있어서 보다 신속한 구조를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회로블럭도.
도 2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회로블럭도.
도 3 :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 4 :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측면도.
도 5 :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순서도.
도 6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순서도.
도 7 :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손목밴드 (2)--혈압감지부
(3)--휴대폰 본체 (4)--체온감지부
(5)--GPS 통신위성 (6)--입/출력 인터페이스
(7)--GPS 수신기 (8)--손목시계형 휴대폰
(10)--중앙처리장치 (12)--표시부
(14)--버턴부 (16)--수화기
(18)--메모리 (20)--램프부
(22)--배터리 (24)--손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손목시계형 휴대폰(8)을 이용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회로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목시계형 휴대폰(8)은 휴대폰 통화기능을 물론이고 인체의 응급상태가 발생하면 이동단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메세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미리 지정된 지정국으로 무선전송한다.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8)은 손목(24)에 찰 수 있는 손목밴드(1)를 갖는 휴대폰 본체(3)와, 본체(3)의 전면에 위치하며 전화번호와 시간과 같은 휴대폰 관련 메세지를 표시하고 아울러 응급구난에 관련된 서비스 상태, 휴대폰 착용자의 체온, 혈압 및 맥박 등과 같은 각종정보가 표시되는 화면 표시부(12)와, 본체(3)의 전면에 위치하는 버턴부(14)와, 안테나(9)와, 마이크(11)와 수화기(16)와 전원공급용 배터리(22)와, 송ㆍ수신 회로와, 각 기능회로와, 중앙처리장치(10)와 외부기기를 접속할 수 있는 터미널 등으로 구성된다.
즉, 손목시계형 휴대폰(8)은 일반적인 휴대폰 구성(통화기능 및 부가서비스 기능 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손목밴드(1)에는 휴대폰 착용자(인체)의 혈압/맥박을 감지하기 위한 혈압감지부(2)가 설치되어 있고, 손목시계형 휴대폰(8)의 배면에는 착용자의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체온감지부(4)가 설치되어 있다. 착용자는 버턴부(14) 및 표시부(12)를 이용하여 자신의 혈압/맥박/체온 등을 스스로 체크한 다음 신체에 이상으로 자가진단하여 판단하게 되면, 비상버턴(13)을 이용하여 착용자가 직접 구조요청 메세지를 지정 전화번호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손목 시계형 휴대폰(8)에는 혈압감지부(2) 및 체온감지부(4)에서의 감지신호 및 비상버턴(13)에 대응된 비상신호를 휴대폰(8)의 중앙처리장치(CPU)로 입/출력시키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6)가 더 포함되어 있다.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8)은 덮개를 힌지구조로 절첩할 수 있는 폴더형(도 3에서는 폴더형 덮개가 덮힌 상태이다.)이면서 표면에 액정 표시부(12)가 위치하며, 폴더형 덮개의 내부 즉 폴더형 덮개가 덮이는 부분의 본체(3) 표면에 복수 개로 구성되는 버턴부(14)가 위치한다.
상기에서 손목시계형 휴대폰(8) 착용자가 비상버턴(13)을 직접 눌러 구조를 요청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지정전화로 구조를 요청할 수도 있지만 착용자 자신이 원하는 전화번호로 연결시켜 구조를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8)은 버턴부(14)에 의해 미리 약정된 버턴입력에 따라 여러가지 기능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 모드에 해당하는 기능 수행을 위해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제어부:10)를 포함한다.
즉, 버턴입력의 경우, 착용자는 휴대폰의 버턴부(키패드)(14)상에 미리 약정된 버턴을 소정 횟수로 눌러서 손목시계형 휴대폰(8)을 자신이 원하는 기능모드, 이를테면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시계모드, 착용자에 따라 상이한 혈압/맥박/체온 기준값을 사용자가 각각 설정할 수 있는 기준값 설정(입력)모드, 착용자의 현재 혈압/맥박/체온을 자신이 체크하여 휴대폰의 표시부로 화면 출력해 볼 수 있는 체크모드, 혈압/맥박/체온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주기설정모드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휴대폰(8)의 통화기능 또는 통화중 전화수신 기능은 선택모드와 상관없이 우선적으로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손목시계형 휴대폰(8)을 제조할 때, 착용자에 따라 상이한 혈압/맥박/체온 기준값을 각각 설정할 수 있는 버턴과 착용자의 현재 혈압/맥박/체온을 착용자 또는 그 보호자가 표시부를 통해서 볼 수 있는 체크버턴과 그 외의 복합된 기능들에 대응하는 전용버턴들을 버턴부(14) 또는 본체(3) 부분에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폰(8)에 내장된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거하여 혈압감지부(2)에서 측정한 혈압 및 맥박, 체온감지부(4)에서 측정한 체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6)를 통하여 감지하도록 한다. 그래서 혈압 및 맥박, 체온과 같은 측정을 위한 별도의 중앙처리장치와 같은 제어장치가 생략되며, 체온/혈압/맥박 기준값, 혈압 및 맥박 체크 주기값, 지정 전화번호와 구조요청 메세지 등은 별도의 메모리없이 손목시계형 휴대폰(8)에 내장된 메모리(18)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서 원가를 절감하고 전체 부피증가를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마다 차이를 보이는 체온/혈압/맥박 기준값은 버턴부(14)를 이용해 체크모드에서 휴대폰 착용자의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측정 및 표시부(12)에 표시하고, 기준값 설정모드에서 그 측정 및 표시된 휴대폰 착용자의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이용하여 착용자 스스로 또는 그 보호자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체온/혈압/맥박 기준값 각각은 휴대폰(8)의 메모리(18)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중앙처리장치(10)의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본 발명 구조요청에 따른 처리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간편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존 휴대폰 회로를 최대한 집적화하고 소형화한 감지수단을 내장하여 휴대폰의 성능과 크기를 유지하도록 하고, 안테나는 감도가 우수한 고성능 안테나를 채용하도록 한다.
또한,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통해 착용자의 혈압/맥박/체온을 체크하는 도중에 전화가 걸려오면 버턴부(14)상의 아무 버턴이나 누르면 전화통화 상태로 전환되어 통화하면 된다.
본 발명은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는 휴대폰을 이용하므로 사용상의 간편한 장점이 있으며, 착용하면 혈압/맥박과 체온을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손목시계형 휴대폰(8)을 사용하게 되므로 혈압감지부나 체온감지부를 신체의 특정부위에 설치하거나 장착하는 불편함과 감도 및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제어 흐름도이다.도 5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손목시계형 휴대폰(8)의 중앙처리장치(10)는 체크모드에서 휴대폰 착용자의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측정하여 표시부(12)에 표시하고(도 5의 S1단계), 기준값 설정모드에서 상기 측정된 휴대폰 착용자의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이용하여 착용자 스스로 또는 그 보호자가 체온 기준값, 혈압 및 맥박 기준값을 설정하도록 하며, 또한 주기설정모드에서 사용자 측 착용자 스스로 또는 그 보호자가 혈압 및 맥박 체크주기를 선택 설정하도록 한다. 설정된 체온/혈압/맥박 기준값 및 혈압/맥박 체크주기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 하에 휴대폰(8)의 메모리(18)에 저장된다(도 5의 S2단계).그 후 손목시계형 휴대폰(8)의 중앙처리장치(10)는 체온감지부(4)에 의해서 상시 체크되는 체온과 혈압감지부(2)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체크주기마다 체크되는 혈압/맥박을 체크 시마다 표시부(12)로 표시함과 아울러 메모리(18)에 저장된 대응 체온/혈압/맥박 기준값들과 비교한다(도 5의 S3단계). 비교한 결과 체온, 혈압 및 맥박이 미리 설정한 기준값에서 위험수준에 대응하는 한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고(도 5의 S4단계), 위험수준에 대응하는 한계를 벗어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메모리(18)에 저장된 지정 전화번호들중 1차 지정된 전화번호로 우선적으로 호 발신 시도를 한다(도 5의 S5단계). 이때 호 발신되는 발호 메세지에는 통상적인 이동단말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에서 1차 지정된 전화번호로 호 발신을 시도할 때 1차 지정 전화번호가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이면(도 5의 S8단계), 중앙처리장치(10)는 지정 전화번호들중 예비된 2차 지정 전화번호로 호 발신을 재시도한다(도 5의 S9단계).
또한, 상기에서 2차 지정 전화번호로 호 발신 시도를 할 때 2차 지정 전화번호가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일 때(도 5의 S10단계의 판단에서)에는, 1차 지정 전화번호로 호 발신을 재시도하도록 하는(도 5의 S5단계) 교번(交番)적인 호 발신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변경된 실시 예로서, 3차 또는 그 이상의 지정 전화번호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지정된 지정국과의 통화로 형성이 용이하게 하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구조요청 메세지가 전달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상기와 같은 호 발신 시도로 지정국과의 통화로가 형성이 되면 손목시계형 휴대폰(8)의 중앙처리장치(10)는 대응 지정국으로 구조요청 메세지를 전달을 하게 되고(도 5의 S12단계), 대응 지정국에서는 구조요청 메세지의 구조요청용 음성정보 및 호 발신시 발호 메세지에 포함된 통상의 이동단말 위치정보를 이용해서 손목시계형 휴대폰(8)의 개략적인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구조 출동을 하게 되며 위급상황에 빠져 있는 휴대폰 착용자를 구조하게 된다(도 5의 S13단계).혈압감지부(2)의 구성으로서, 손목밴드(1)의 내주면에 감아서 착용자의 손목(24)을 가압하는 공기주머니를 동맥 혈관내의 혈류를 저지하는 완대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압한 완대의 압력이 서서히 감압하는 과정에서 심장의 박동과 동기한 혈관벽 운동을 반영하는 카프압의 변동(압맥파)을 감지 인식하여 혈압을 결정하는 오실로메트릭(OSCILLOMETRIC)법을 적용한 전자동 혈압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 혈압감지부(2)에 의해서 측정되는 혈압 및 맥박 측정값은 중앙처리장치(10)로 제어 하에 액정화면 표시부(12)로 표시된다.
상기 액정(LCD) 표시부(12)로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서 최고혈압, 최저혈압, 맥박수, 체온, 에러표기 등의 데이터 문자가 디스플레이 되므로 착용자 및 주변 사람이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착용자의 혈압과 맥박을 간편하게 감지하는 혈압감지부(2)는 기존의 손목시계형 혈압계처럼 혈류음을 이용한 전자측정방법 또는 인체의 정전용량변화를 이용한 측정방법 또는 벨로우즈를 이용한 측정방법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미 쓰고 있는 기술들이므로 그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한 전화통화는 물론이고 혈압/맥박 이상 및 체온이상을 감지하여 지정된 전화번호로 구조요청 메세지를 송출할 수 있어서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고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폰은 손목시계형으로 구성되며 온도감지기(체온用)는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배면과 같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일체형 또는 전체형으로 구성하여 항상 체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혈압 감지부(2)는 손목시계형 휴대폰(8)의 밴드부분에 설치된 혈압계로 구성하여 손목시계형 휴대폰 착용자의 혈압/맥박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같이 손목시계형 휴대폰 착용자의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하여 GPS 수신기(7)를 부가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 1과 같이 현재 이동통신망으로도 1㎞ 범위는 통상의 이동단말 위치정보를 이용해 파악이 가능하므로 GPS수신기(7)을 부착하지 않을 수도 있다. GPS수신기(7)가 손목시계형 휴대폰(8)에 내장된 경우, 손목시계형 휴대폰(8) 착용자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기본적인 메모리는 휴대폰의 메모리를 같이 사용하여 부피를 줄이도록 한다.
체온감지의 경우 피부와 밀착되어 있으므로 외부온도에 의한 간섭이나 영향(에러)이 줄어들며, 혈압/맥박 감지의 경우도 수시로 변화되는 혈압/맥박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정주기마다 혈압과 맥박을 측정하게 되므로 혈압 및 맥박 감지에 따른 손목밴드의 작동으로 피측정인인 휴대폰 착용자의 불편함이 줄어들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도 5 및 도 6의 S4단계의 변경된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혈압/맥박 감지의 경우 체크주기가 설정되어 있더라도 각 기준치를 조금 벗어나는 이상소견을 보이는 경우 중앙처리장치(10)가 혈압/맥박 체크주기를 점차로 줄여가면서 체크하다가 위험수준에 대응하는 한계를 벗어나게 되면 구조요청 메세지를 지정 전화번호에 대응된 지정국으로 전달한다.
즉, 혈압/맥박 감지의 경우, 중앙처리장치(10)는 현재 혈압 및 맥박값이 미리 설정된 혈압 및 맥박 기준값을 ±10%(제1 한계치) 이상 벗어나는(±20% 미만 벗어남) 이상 소견을 보이면(도 6의 S20단계), 혈압 및 맥박 체크주기를 미리 설정된 체크주기의 1/2주기로 변경하여 혈압 및 맥박을 체크하도록 하고(도 7의 S21단계), 현재 혈압 및 맥박값이 미리 설정된 혈압 및 맥박 기준값을 ±20%(제2한계치) 이상 벗어나는(±30% 미만 벗어남) 경우에는(도 7의 S22단계) 혈압 및 맥박 체크주기를 미리 설정된 체크주기의 1/3주기로 줄여 혈압 및 맥박을 체크도록 한다(도 7의 S23단계). 그리고 현재 혈압 및 맥박값이 미리 설정된 혈압 및 맥박 기준값의 ±30%(제3 한계치) 이상으로 벗어나는 경우에는(도 7의 S24단계), 즉 위험수준에 대응된 한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의 S5단계 내지 S13단계를 수행하여 지정국으로 구조요청 메세지를 전달한다.
예컨대, 미리 설정된 체크주기가 15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15분마다 혈압감지부(2)에 의해서 체크되는 현재 혈압 및 맥박 감지값이 미리 설정된 혈압 및 맥박 기준값의 제1 한계치인 ±10%를 벗어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10)는 혈압 및 맥박 체크주기를 7.5분 주기로 단축하도록 하고, 7.5분 주기로 체크되는 현재 혈압 및 맥박 감지값이 미리 설정된 혈압 및 맥박 기준값의 제2 한계치인 ±20%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10)가 혈압 및 맥박 체크주기를 5분 주기로 단축하도록 하며, 5분 주기로 체크되는 현재 혈압 및 맥박값이 혈압 및 맥박 기준값의 제3한계치인 ±30%를 벗어나는 경우 지정된 전화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구조요청 메세지를 지정국으로 전달한다.
상기 구조요청 메세지는 손목시계형 휴대폰(8)으로부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는 무선링크를 접속 전달되고, 기지국, 기지국제어국, 이동교환국을 경유하여 지정 전화번호에 대응된 지정국과의 채널을 통해서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한편, 이동통신망에서는 복수개의 셀들을 일부 중첩시켜서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게 되므로 휴대폰의 호 정보는 근전합 복수개의 기지국들에서 검출 할 수 있으며, 통화중 수신전계강도가 미약해지면 기지국은 수신전계강도가 보다 양호한 다른 기지국으로 접속을 바꾸어 호를 계속 유지하는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다시말해 통화중인 휴대폰이 현재의 셀로부터 이웃한 셀로 이동하였을 때 그 호를 계속 유지시키기 위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으로부터 통화채널을 할당받아 현재의 채널을 계속 유지시키게된다.
한편, 산행이나 등산 중 조난과 같이 인구밀집지역이 아닌 경우 이동전화 기지국이나 중계기 및 중계망의 셀반경이 커지면서 위치추적이 어려워지고 신속한 구조가 힘들어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같이 지피에스(GPS)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바로 추적하여 신속한 구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구조요청 메세지의 내용은 도 6과 같이 구조요청 메세지의 구조요청용 음성정보와 아울러 GPS신호에 의거한 상세 이동단말 위치정보가 호 발신시 지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된 지정국으로 전달된다. 도 6은 도 5와 제어 수순이 거의 유사하지만, GPS수신기(7)를 통해서 손목시계형 휴대폰(8)이 GPS신호를 입력받는 S0단계가 추가되어 있으며, 구조 요청을 위한 호 발신 시 발호 메세지에 GPS신호에 의거한 상세 이동단말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손목시계형 휴대폰(8)으로부터 지정 전화번호에 대응된 지정국으로 호 발신된다.
또한, 손목시계형 휴대폰과 복합된 기능이므로 소지함에 있어서도 손목시계형 휴대폰 착용자는 별다른 거부감 없이 착용할 수가 있다. 제품의 구성에 있어 에러로 인한 구조요청 메세지 송출시 취소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휴대폰과 일체형이므로 보호자의 요청에 의한 가입자의 위치 및 현재 상태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대인의 필수품인 휴대전화를 이용한 것으로 휴대전화기만 소지하면 자신의 위급 상황시 구조가 가능케 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조요청 메세지의 수신처는 미리 사용자가 입력을 하도록 구성하여 자신의 여건에 맞는 적절한 곳으로 구조요청 메세지가 자동으로 발신되게 한다. 구조요청 메세지의 내용은 구조요청용 음성정보 및 GPS수신기(7)를 통해 입력받은 위치 신호를 이용한 상세 이동단말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GPS 수신기(7)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알리기 위해 부착되지만 현재 휴대전화의 공중망으로도 1㎞ 범위는 파악이 가능하므로 부착을 하지 않을수도 있다 (고급 사용자를 위해 부착).
도 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회로블럭도로, 지피에스(GPS)시스템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정확한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3개 이상의 GPS 통신위성(5)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를 24시간 수신하면서 휴대폰(8) 착용자의 현재 위치신호(위치좌표 및 높이 좌표)를 획득하는 GPS 수신기(7)를 입출력 인터페이스(6)에 접속하여 GPS 수신신호가 휴대폰(8)의 중앙처리장치(10)로 입력되며, 구조요청을 위한 발호시 GPS 신호에 의거한 상세 이동단말 위치정보가 지정국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지정국에서는 구조요청자의 정확한 위치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기지국의 셀 반경이 넓은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휴대폰 착용자의 기본적인 식별은 착용한 휴대폰 번호로 식별하게 된다.
또한, 손목시계형 휴대폰(8)의 손목밴드(1)는 고무ㆍ섬유와 같은 신축성(탄성) 밴드 또는 잠금수단이나 체결수단을 갖는 밴드로 구성하여 거부감 없이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며, GPS 수신기(7)의 안테나는 휴대폰(8)의 본체(3) 부분 또는 손목밴드(1) 부분에 설치하여 GPS 신호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위치 또는 좌표신호를 얻을 때 이용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범지구적 위치결정 시스템)는 지상, 해상, 공중 등 지구상의 어느 곳에서나 시간제약없이 인공위성에서 발신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정지 또는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인공위성군, 지상제어국, 사용자 등의 3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천후 위치확인시스템이다.
GPS의 위치결정원리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추적된 궤도에 의해서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는 위성에서 발신하는 전파를 수신하여 위성에서 관측점까지의 전파 도달시간을 측정함으로서 공간적 위치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GPS 위성과 GPS 수신기를 이용한 위치확인이나 추적장치 및 항법장치 등은 이미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GPS의 운용방법이나 그 사용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구조요청 메세지의 예는 다음과 같다. '현재 혈압이 정상이 아닙니다. 구조를 요청합니다.', '현재 혈압과 맥박이 정상이 아닙니다. 구조를 요청합니다.', '현재 혈압과 체온이 정상이 아닙니다. 구조를 요청합니다.', '현재 혈압과 맥박과 체온이 정상이 아닙니다. 구조를 요청합니다.', '현재 체온이 정상이 아닙니다. 구조를 요청합니다.'와 같으며, 상기 메세지 데이터는 메모리(18)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전달하면 수신측에서는 음성으로 합성 출력하게된다.
본 발명에서 체온을 체크하는 온도센서는 열전쌍과 같이 열기전력을 이용하는 온도센서, 백금측온저항체와 같이 전기저항을 이용하는 온도센서, 서멀페라이트와 같은 자기특성을 이용한 온도센서, 세라믹과 같이 전기용량을 이용하는 온도센서, 인체의 체온에 따라 열팽창하는 물질을 이용한 온도센서, PTCㆍNTCㆍCTR 소자와 반도체 온도센서와 같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온도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의 형상은 체온을 감지하고자하는 위치에 따라 체온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형상 이를테면, 접촉면적이 넓은 디스크형, 와셔형, 로드형, 칩형, 관체형, 하메틱실형, 비드형 등을 들 수 있으며, 재질특성은 파손의 우려가 없고 연질이면서 인체에 대한 이질감이 없는 정도이면 만족하며, 또한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손목시계형 휴대폰에 혈압,맥박, 체온감지 및 표시기능과 아울러 구조요청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구조요청 가능한 착용자의 활동범위가 이동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전 영역으로 확대되어짐은 물론이고 휴대폰기능도 겸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체크된 혈압 및 맥박, 체온 등을 착용자가 표시부를 통해 직접 볼 수 있게 해주므로 본인이 현재의 신체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고, 필요시 자신이 원하는 상대방 호출이나 긴급버튼을 이용한 직접적 및능동적인 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값이나 체크 주기를 착용자나 보호자와 같은 사용자에 요구에 맞게 직접 설정할 수 있어 착용자의 신체상태나 처한 여건을 적응적으로 반영할 수 있게 되며, 그에따라 요구에 적합한 시점에서 구조요청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지게 해준다. 또한 체크주기를 현재 체크되는 혈압,맥박,체온과 같은 신체상태에 따라 가변되게 해주므로, 너무 잦은 신체상태 체크에 따른 제어부의 부하과중 및 착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함과 아울러 너무 긴 신체상태 체크주기에 따른 체크의 부정확함도 해소시켜준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갑각스런 위험상황이 발생시 착용자가 의식이 다소 있으면 구조요청 메세지 자동 전달과는 무관하게 착용하고 있는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해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통화 시도를 즉각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애로사항없이 구조요청을 할 수 있고, 구조요청메시지 자동전달을 위한 발호시 미리 설정된 지정국이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일 경우에도 교번적인 호 발신을 통해 통화형성 확률을 높혀 주는 장점이 있다.또한 지정국으로 전달되는 구조요청 메세지에는 GPS신호를 이용한 상세 이동단말 위치정보와 같은 이동단말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지정국이 착용자가 이동통신망내 어느곳에 있더라도 착용자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구조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감지부와 착용자의 혈압 및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감지부가 구비된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방법에 있어서,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버턴부를 이용한 체크모드에서 손목시계형 휴대폰 착용자의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측정하고 측정된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과,
    기준값 및 주기 설정모드에서 상기 측정 표시된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이용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각각의 기준값을 설정하고 혈압 및 맥박 체크주기를 설정하여 메모리에 각각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체온감지부로 착용자의 체온을 상시 체크하여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 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혈압감지부로 착용자의 혈압 및 맥박을 상기 설정된 체크주기로 체크하고 각각 체크된 혈압 및 맥박을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과,
    체크된 혈압 및 맥박을 상기 설정된 대응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값에서 제1한계를 벗어남에 따라 혈압 및 맥박의 체크주기를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에서 1/2주기로 줄여서 혈압 및 맥박을 다시 체크하는 과정과,
    다시 체크된 혈압 및 맥박을 상기 설정된 대응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값에서 상기 제1한계보다 더 넓은 제2한계를 벗어남에 따라 혈압 및 맥박의 체크주기를 상기 미리 설정된 체크주기에서 1/3주기로 줄여서 혈압 및 맥박을 다시 체크하는 과정과,
    다시 체크된 혈압 및 맥박을 상기 설정된 대응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값에서 상기 제2한계보다 더 넓으며 위험수준에 대응하는 제3한계를 벗어나는 것과 체크된 체온이 미리 설정된 체온 기준값에서 위험수준 한계를 벗어나는 것들중 적어도 하나임에 따라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이 미리 지정된 지정국으로 호 발신을 하여 이동단말 위치정보가 포함된 구조요청 메세지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무선 전송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지정국으로 호 발신시 미리 설정된 1차 지정 전화번호가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이면 예비된 2차 지정 전화번호로 호 발신을 하고, 2차 지정 전화번호가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이면 상기 1차 지정 전화번호로 재 호 발신이 되는 교번적인 호 발신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 위치정보는 GPS 통신위성으로부터 송출되어 손목시계형 휴대폰에 장착된 GPS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GPS신호를 이용한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상세 이동단말 위치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방법.
  5. 응급 구난시스템에 있어서:
    인체의 응급상태가 발생하면 이동단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구조요청메세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 전송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구조요청 메세지를 접수하고 상기 이동단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손목시계형 휴대폰 착용자에 대한 구조출동 및 구조하는 지정국으로 구성하며;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은;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감지부와,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손목밴드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폰 착용자의 혈압과 맥박을 감지하는 혈압감지부와,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 착용자의 직접적인 구조요청 및 통화로 형성을 위한 비상버턴과,
    응급구난에 관련된 각종 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부와,
    소정 제어에 의거하여 휴대폰 관련 메세지 및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 착용자의 혈압, 맥박수, 체온을 적어도 표시하는 표시부와,
    손목시계형 휴대폰 착용자의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측정 및 표시부로 표시하고 측정된 체온, 혈압 및 맥박을 고려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각 기준값들과 체온, 혈압 및 맥박 체크주기를 내부 메모리에 각각 저장하며, 상기 체온감지부 및 혈압감지부를 통한 착용자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상기 체크주기로 체크하여 각각의 기준값들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값들에서 위험수준에 대응하는 한계를 적어도 하나 이상이 벗어남에 따라 상기 지정국으로 이동단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구조요청메세지를 무선 전송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1-0025589A 2001-05-10 2001-05-10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방법 및 그 장치 KR100431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589A KR100431979B1 (ko) 2001-05-10 2001-05-10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589A KR100431979B1 (ko) 2001-05-10 2001-05-10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612A KR20010074612A (ko) 2001-08-04
KR100431979B1 true KR100431979B1 (ko) 2004-05-17

Family

ID=1970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589A KR100431979B1 (ko) 2001-05-10 2001-05-10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97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588A2 (ko) * 2010-11-04 2012-05-10 Oh Hyun Ju 휴대용 맥박 측정기
KR101485700B1 (ko) * 2013-09-05 2015-01-22 이동화 손목시계형 혈압계
KR101485717B1 (ko) * 2013-12-30 2015-01-22 이동화 손목시계형 혈압계
KR20150105783A (ko) * 2014-03-10 2015-09-18 이찬석 손목에 착용 가능한 돌연사 방지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시스템
KR20170029298A (ko) 2015-09-07 2017-03-15 (주)오경컴텍 맞춤형 모듈 선택·자동 응급구조신호 전송이 가능한 융합형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WO2021194083A1 (ko) * 2020-03-26 2021-09-3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환자의 이상 반응 예측 시스템
US11436907B2 (en) 2011-06-22 2022-09-06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516B1 (ko) * 2001-12-07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건강 검진 방법
KR20040008301A (ko) * 2002-07-18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손목시계형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
KR101886331B1 (ko) * 2012-03-02 2018-08-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긴급 신호 처리 방법
KR101328458B1 (ko) * 2012-03-09 2013-11-12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의복 내에 구비되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그의 생체정보 측정방법
KR102253091B1 (ko) * 2014-01-07 2021-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594429B1 (ko) * 2014-08-04 2016-02-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긴급 통화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33358B1 (ko) * 2015-11-10 2016-07-29 주식회사 삼미무선정보시스템 마을 방송으로 응급신호를 송출하는 응급신호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마을 방송시스템
CN213345625U (zh) * 2019-10-30 2021-06-04 镇江市第四人民医院(镇江市妇幼保健院) 手腕式低血糖急救装置
CN112773341B (zh) * 2019-11-04 2023-11-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提示方法及装置、系统、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3974587A (zh) * 2021-10-29 2022-01-28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手腕式检修作业辅助监控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15Y1 (ko) * 2000-04-07 2000-11-01 주식회사에스에이 전자산업 독거환자 응급 구난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15Y1 (ko) * 2000-04-07 2000-11-01 주식회사에스에이 전자산업 독거환자 응급 구난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588A2 (ko) * 2010-11-04 2012-05-10 Oh Hyun Ju 휴대용 맥박 측정기
WO2012060588A3 (ko) * 2010-11-04 2012-09-20 Oh Hyun Ju 휴대용 맥박 측정기
KR101239348B1 (ko) * 2010-11-04 2013-03-06 김희곤 휴대용 맥박 측정기
US11436907B2 (en) 2011-06-22 2022-09-06 Thinkware Corporatio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485700B1 (ko) * 2013-09-05 2015-01-22 이동화 손목시계형 혈압계
KR101485717B1 (ko) * 2013-12-30 2015-01-22 이동화 손목시계형 혈압계
KR20150105783A (ko) * 2014-03-10 2015-09-18 이찬석 손목에 착용 가능한 돌연사 방지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시스템
KR101634738B1 (ko) * 2014-03-10 2016-06-29 이찬석 손목에 착용 가능한 돌연사 방지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시스템
KR20170029298A (ko) 2015-09-07 2017-03-15 (주)오경컴텍 맞춤형 모듈 선택·자동 응급구조신호 전송이 가능한 융합형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WO2021194083A1 (ko) * 2020-03-26 2021-09-3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환자의 이상 반응 예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612A (ko) 200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979B1 (ko)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이용한 구조요청 메세지 전달방법 및 그 장치
US2003017679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cardiac arrest and automatically alerting emergency personnel of wearer&#39;s location
US20170119319A1 (en) User wearab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5129240B2 (ja) 患者の健康状態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通信システム、通信デバイス、センサー・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20060284732A1 (en) Heart monitor with remote alarm capability
US20110224505A1 (en) User wearable portable communicative device
US20090040052A1 (en) Assistance alert method and device
US20060071798A1 (en) Mobile telephonic device and base station
JPH1170086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CN104574815A (zh) 一种基于智能穿戴式设备的急救通知方法及装置
WO2012155151A2 (en) User wearable portable communicative device
CN111182470A (zh) 一种可穿戴体温检测装置、监控系统及方法
US20220086618A1 (en) Low-power mobile telephony alert system
JP2007054241A (ja) 携帯端末装置
JPH08180286A (ja) 現在位置通報装置及びシステム
KR19990065818A (ko) 무선망에 연계되는 건강 진단장치
GB2517179A (en)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US10180489B2 (en) MPERS with remote conversion of GPS
US10440548B2 (en) mPERS with internal conversion of GPS
WO2006043882A1 (en) Safety and tracking method and device
JP2002102179A (ja) 容体測定機能付き携帯電話
JPH11259783A (ja) 緊急救護システム
KR20020024083A (ko) 무선 건강체크기 및 무선 건강체크 방법
JPH11331922A (ja) 位置特定システム
CN216625725U (zh) 一种多通道传感器通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