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949B1 - 이탈 방지망을 가지는 자동차용 선반 - Google Patents

이탈 방지망을 가지는 자동차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949B1
KR100431949B1 KR10-2001-0072200A KR20010072200A KR100431949B1 KR 100431949 B1 KR100431949 B1 KR 100431949B1 KR 20010072200 A KR20010072200 A KR 20010072200A KR 100431949 B1 KR100431949 B1 KR 100431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revention net
hook
fixed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416A (ko
Inventor
박영찬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2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94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05Nets or elastic pockets tensioned against walls or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트럭의 캐빈 등에 설치되어 구급 약품 등과 같은 물건을 수납하는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은 천장과 소정 간격을 가지며 차체의 측벽으로부터 연장하는 받침; 상단이 천장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받침까지 연장하는 여닫이부와, 여닫이부의 개방공에 설치된 미닫이부로 이루어진 문; 여닫이가 열린 상태에서 수납된 물건이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망; 받침의 끝단에 설치되는 관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부에 설치된 고정봉에 이탈 방지망의 일단이 고정되고 탄성 부재에 의해 감기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수납관; 및 이탈 방지망의 타단에 고정되고, 여닫이부의 하단에 설치된 걸고리에 분리가능하게 걸리는 걸개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탈 방지망을 가지는 자동차용 선반{Automobile Shelf Having a Net for Preventing Received Things from being moved ou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트럭의 캐빈 등에 설치되어 구급 약품 등과 같은 물건을 수납하는 선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선반의 문을 열 때 선반에 수납된 물건들이 선반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망을 가지는 선반에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실내 공간에는 여러 가지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들이 구비되어 있다.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진동으로 선반에 수납된 물건들이 선반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자동차의 선반에는 문이 달려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또한 문을 열 때 물건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 방지망이 설치된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선반에 이탈 방지망이 설치되는 경우는 군대에서 응급차로 사용되는 군용 트럭의 캐빈 상측에 구급 약품들을 수납하도록 설치된 구급약 선반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1은 이탈 방지망이 설치된 종래의 자동차용 선반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은 천장(1)과 소정 간격을 가지며 차체의 측벽(2)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된 받침(10)과, 천장(1)으로부터 받침10의 끝단까지 연장된 문(20)과, 문(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이탈 방지망(30)을 포함한다.
문(20)은 선반의 외측으로 열릴수 있도록 천장1에 힌지 결합된 여닫이부(22)와 여닫이부(22)의 중간 일측에 선반의 길이 방향으로 개폐되게 설치된 미닫이부(24)로 이루어져 있다. 이탈 방지망(30)은 문(20)의 바로 내측에 문(20)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단은 천장1에 고정되어 있고, 그 하단은 받침(10)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평상시 선반에 물건을 넣거나 꺼낼 때는 문20의 미닫이부(24)를 개폐하여 사용하고, 미닫이부(24)의 상하폭보다 큰 물건을 넣거나 꺼낼 때는 문(20)의 여닫이부(22)를 개폐하여 사용한다. 미닫이부(24)나 여닫이부(22)를 연 다음에는 이탈 방지망(30)의 하단을 받침(10)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물건을 선반에 넣거나 꺼낼 수있다. 물건을 선반에 넣거나 꺼낸 다음에는 이탈 방지망(30)의 하단을 받침(10)에 다시 고정시킨 다음 미닫이부(24) 또는 여닫이부(22)를 닫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선반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문의 미닫이부를 열어 선반에 수납된 물건을 넣거나 꺼낼 때에는 여닫이부가 턱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납된 물건이 선반 밖으로 이탈될 우려가 없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선반은 미닫이부를 열고나서 이탈 방지망을 선반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선반에 수납된 물건을 넣거나 꺼내야 하기 때문에 번가롭다. 이러한 불편을 덜고자 이탈 방지망을 선반에 고정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여닫이부를 이용하여 물건을 넣거나 꺼내고자 할 때, 물건이 선반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미닫이부를 먼저 연 다음 이탈 방지망을 선반에 고정한 다음 여닫이부를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여닫이문을 개폐할 때만 이탈 방지망에 의해 물건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자동차용 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선반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선반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선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받침 120 : 문
122 : 여닫이부 124 : 미닫이부
132 : 수납관 134 : 이탈 방지망
135 : 걸개봉 136 : 걸고리
상기와 같은 목적은, 천장과 소정 간격을 가지며 차체의 측벽으로부터 연장하는 받침; 상단이 천장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받침까지 연장하는 여닫이부와, 여닫이부의 개방공에 설치된 미닫이부로 이루어진 문; 여닫이가 열린 상태에서 수납된 물건이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망; 받침의 끝단에 설치되는 관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부에 설치된 고정봉에 이탈 방지망의 일단이 고정되고 탄성 부재에 의해 감기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수납관; 및 이탈 방지망의 타단에 고정되고, 여닫이부의 하단에 설치된 걸고리에 분리가능하게 걸리는 걸개봉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선반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측벽(102)으로부터 받침(110)이 천장(101)과 소정 간격을 가지며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문(120)은 천장에 그 상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고, 하방으로 받침(110)까지 연장하고 있다. 문(120)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여닫이부(122)와, 여닫이부(122)에 형성된 개방공에 설치된 미닫이부(124)로 이루어져 있다.
받침(110)의 끝단에 원통관 형상의 이탈 방지망 수납관(132)이 설치되어 있다. 수납관(132)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관(132)의 내부에는 이탈 방지망(134)의 일단이 고정된 고정봉(133)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봉(133)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이탈 방지망(134)을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다. 이탈 방지망(134)은 수납관(132)의 슬릿을 통해 수납관(132) 외부로 인출된다.
이탈 방지망(134)의 타단에는 걸개봉(135)이 고정되어 있다. 이 걸개봉(135)은 여닫이부(122)의 하단에 설치된 걸고리(136)에 걸리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114와 126은 걸고리(136)나 걸개봉(135)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 부재들이다.
평상시, 걸개봉(136)은 걸고리(135)에 걸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작은 물건을 선반에 넣거나 꺼내기 위해 미닫이부(124)를 열어도 이탈 방지망(134)은 물건을 넣거나 꺼내는데 아무런 간섭이 되지 않는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선반의 여닫이부(122)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큰 물건을 선반에 넣거나 꺼내기 위해 여닫이부(122)를 열면 걸고리(136)에 걸린 걸개봉(135)은 여닫이부(122)의 회동에 따라 이동되는 걸고리(136)를 따라 이동된다. 그 결과 수납관(132)에 수납된 이탈 방지망(134)은 걸개봉(135)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어 받침(110)의 끝단과 여닫이부(122)의 하단 사이의 공간을 막는다. 이에 따라, 선반에 수납된 물건은 선반 밖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여닫이부(122)를 연 다음, 걸개봉(135)을 걸고리(136)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 여닫이부(122)와 받침(1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물건을 선반에 넣거나 꺼낼 수 있다. 물건을 선반에 넣거나 꺼내고 나면 다시 걸개봉(135)을 걸고리(135)에 건 다음 여닫이부(122)를 닫는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탈 방지망이 여닫이부의 하단과 받침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닫이부를 이용하여 물건을 선반에 넣거나 꺼낼 때 이탈 방지망을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천장과 소정 간격을 가지며 차체의 측벽으로부터 연장하는 받침;
    상단이 천장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받침까지 연장하는 여닫이부와, 상기 여닫이부의 개방공에 설치된 미닫이부로 이루어진 문;
    상기 여닫이가 열린 상태에서 수납된 물건이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망;
    상기 받침의 끝단에 설치되는 관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부에 설치된 고정봉에 상기 이탈 방지망의 일단이 고정되고 탄성 부재에 의해 감기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수납관; 및
    상기 이탈 방지망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여닫이부의 하단에 설치된 걸고리에 분리가능하게 걸리는 걸개봉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선반.
KR10-2001-0072200A 2001-11-20 2001-11-20 이탈 방지망을 가지는 자동차용 선반 KR10043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200A KR100431949B1 (ko) 2001-11-20 2001-11-20 이탈 방지망을 가지는 자동차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200A KR100431949B1 (ko) 2001-11-20 2001-11-20 이탈 방지망을 가지는 자동차용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416A KR20030041416A (ko) 2003-05-27
KR100431949B1 true KR100431949B1 (ko) 2004-05-17

Family

ID=2957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200A KR100431949B1 (ko) 2001-11-20 2001-11-20 이탈 방지망을 가지는 자동차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2427B2 (en) * 2009-05-15 2012-03-13 Corning Incorporated Preventing gas from occupying a spray nozzle used in a process of scoring a hot glass shee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389A (ko) * 1995-12-27 1997-07-24 한승준 화물지지구조(a supportable structure of a freight)
KR19980018250U (ko) * 1996-09-25 1998-07-06 양재신 글로브 박스내에 설치된 그물망 자동감김장치
KR0125360Y1 (ko) * 1996-04-17 1998-10-15 김재현 복수 미닫이 창의 회권식 방충망
KR19980066060U (ko) * 1997-05-12 1998-12-05 김영귀 트렁크 리드의 고정장치
KR19990005493U (ko) * 1997-07-16 1999-02-18 박병재 트렁크 도어 보조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389A (ko) * 1995-12-27 1997-07-24 한승준 화물지지구조(a supportable structure of a freight)
KR0125360Y1 (ko) * 1996-04-17 1998-10-15 김재현 복수 미닫이 창의 회권식 방충망
KR19980018250U (ko) * 1996-09-25 1998-07-06 양재신 글로브 박스내에 설치된 그물망 자동감김장치
KR19980066060U (ko) * 1997-05-12 1998-12-05 김영귀 트렁크 리드의 고정장치
KR19990005493U (ko) * 1997-07-16 1999-02-18 박병재 트렁크 도어 보조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416A (ko)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61110A1 (en) G-force push-push latch
RU2219080C1 (ru) Багажная полка самолета
KR100431949B1 (ko) 이탈 방지망을 가지는 자동차용 선반
KR200156479Y1 (ko) 승용차 트렁크 이중구조
KR0128355Y1 (ko) 자동차의 트렁크 개폐문
KR200155991Y1 (ko) 트렁크 리드에 설치되는 행거
KR100387884B1 (ko)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KR100197274B1 (ko) 자동 옷걸이
KR19990005714U (ko)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드 트림 리테이너 개폐장치
KR20020082602A (ko) 자동차의 러기지 룸 스크린
KR0128458B1 (ko) 자동차의 잭고정구조(A structure for fixing a jack for an autobile)
KR100191605B1 (ko) 자동차용 의복 걸이장치
KR0114540Y1 (ko) 트럭의 적재함 옆문 고정용 지지대
KR100376442B1 (ko) 자동차용 미드게이트의 글래스 개폐장치
KR100320838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JPS6226277Y2 (ko)
KR0139952B1 (ko) 테이블이 부착된 자동차용 글러브박스
KR19990024724U (ko) 자동차의 트렁크룸 화물수납장치
KR19980053307U (ko) 자동차 룸램프 하우징의 안경 보관구조
KR100513546B1 (ko) 미러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
KR0119225Y1 (ko) 물건 수용부를 갖춘 자동차의 뒷좌석의자
KR0111955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덮개 고정장치
KR980007570U (ko) 자동차의 트렁크룸 화물 고정용 홀더
KR100666272B1 (ko)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49881U (ko) 트렁크룸 화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