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903B1 - 전자식 43pd 스위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43pd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903B1
KR100431903B1 KR10-2002-0002599A KR20020002599A KR100431903B1 KR 100431903 B1 KR100431903 B1 KR 100431903B1 KR 20020002599 A KR20020002599 A KR 20020002599A KR 100431903 B1 KR100431903 B1 KR 100431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ntrol
contact
break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2158A (ko
Inventor
이진수
이원철
박찬섭
Original Assignee
화인테크기전 주식회사
이원철
박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인테크기전 주식회사, 이원철, 박찬섭 filed Critical 화인테크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903B1/ko
Publication of KR2003006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로부터 2중 모선회로 중 하나의 모선회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초고압의 전원이 다음의 변압기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하면서 사고 등의 이유로 인해 정전이 발생하면 정상인 다른 모선회로로 전환되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전원의 공급이 자동이나 감시반 제어부에서의 제어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에 의해 가능하도록 한 전자식 43PD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초고압의 전원이 공급되는 제1 모선회로와 제2 모선회로의 제1 고압차단기와 제2 고압차단기의 후단에 제1 전원 트랜스와 제2 전원 트랜스를 각각 경유하는 중에 비례하는 저전압으로 검출된 3상의 전원은 제1 릴레이 접점과 제2 릴레이 접점을 각각 경유하여 외부출력으로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출력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정전 체크부로 전달되어 고압차단기가 온 상태인 모선회로의 전원이 정상적인가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정전 체크부로부터 3상 중 어느 한 상의 전원이라도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릴레이 구동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3 릴레이의 구동에 의해 릴레이 접점을 오프시키면서 접점을 단락시켜 직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의 정전 체크부에 병렬로 접속되어 내부의 동작을 위한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3상의 전원이 정류부와 필터와 노이즈 제거부 및 파형정형부를 경유하여 제어부에 입력되도록 하여 각각의 전압치를 인식하면서 정상적인 전원의 공급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어부에서는 세그먼트 선택부를 통하여 현재의 전압치를 숫자로 표시하면서 동작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관리자가 자동모드의 선택스위치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를 온시키는 상태를 인식하면 그에 따라 선택된 동작모드에 해당하는 동작표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관리자가 자동모드로 선택하거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로 선택하거나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모드로 선택한 상태에 따라 전압치에 따른 자동제어, 원격제어에 의한 조절 또는 현장에서의 조작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전원의 공급이 자동이나 감시반 제어부에서의 제어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에 의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43PD 스위치{Electronic 43PD switch}
본 발명은 전자식 43PD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전소로부터 2중 모선회로 중 하나의 모선회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초고압의 전원이 다음의 변압기로공급되도록 하면서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하면서 사고 등의 이유로 인해 정전이 발생하면 정상인 다른 모선회로로 전환되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전원의 공급이 자동이나 감시반 제어부에서의 제어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에 의해 가능하도록 한 전자식 43PD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모선회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송전중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장거리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154,000KV 또는 그 이상의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한 후 수용가의 인근 지역에서 변압기를 경유하는 중에 22,900KV로 전압을 강하시켜 공급하였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상기의 변압기에서 22,900KV로 전압을 강하시키면서 수용가 인근지역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중에 모선회로가 단락되거나 하여 전원의 송전이 중단되면 이를 복구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복구가 완료될 때까지 전원의 공급을 재개할 수 없으므로 2중 모선회로를 통하여 전원을 송전하도록 하였다.
즉,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발전소로부터 154,000KV 또는 그 이상의 전원으로 제1 모선회로(1)와 제2 모선회로(3)를 통하여 각각 공급되는 전원은 교대로 온/오프되는 제1 고압차단기(2)와 제2 고압차단기(4)를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의 모선회로(1)(3)를 경유한 초고압의 전원은 각각 제1 변압기(5)와 제2 변압기(6)를 경유하는 중에 22,900KV로 전압으로 강하되어 수용가의 인근 변압기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모선회로(1)와 제2 모선회로(3)에는 각각 제1 전원 트랜스(7)와 제2 전원 트랜스(8)를 경유하는 중에 비례하는 저전압으로 검출된 전원을 감시반의제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정상적인 전원의 공급상태를 검출하면서 상기 제1 고압차단기(2)와 제2 고압차단기(4)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제1 고압차단기(2)나 제2 고압차단기(4)를 온/오프시키기 위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의 외주면에 상기의 제1 및 제2 고압차단기(2)(4)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기 위한 접점돌기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자동운전이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원격제어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에 의해 모터를 회전시키면서 고전압의 송전상태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1 모선회로(1)의 제1 고압차단기(2)를 온/오프시키거나 제2 모선회로(3)의 제2 고압차단기(4)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종래의 구성은 제1 및 제2 모선회로(1)(3) 중 하나가 단락 등에 의해 정전이 되면 해당 고압차단기를 단락시킨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른 정상적인 모선회로의 고압차단기를 온시켜 정상적인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지만, 모터를 회전시키면서 회전체의 외주면에 형성한 접점을 온/오프시키기 위하여 정확하게 회전시키기가 어려움은 물론, 정확한 위치에서 모터를 정지시켜야 하므로 빠른 제어가 어렵게 됨은 물론, 초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어 주어야 하므로 조립에도 어려움이 따르게 되어 숙련자에 의한 제작만 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전소로부터 2중 모선회로 중 하나의 모선회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초고압의 전원이 다음의 변압기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하면서 사고 등의 이유로 인해 정전이 발생하면 정상인 다른 모선회로로 전환되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전원의 공급이 자동이나 감시반 제어부에서의 제어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에 의해 가능하도록 한 전자식 43PD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전소로부터 초고압의 전원이 공급되는 제1 모선회로와 제2 모선회로에 각각 결선된 제1 고압차단기와 제2 고압차단기의 후단에 제1 전원 트랜스와 제2 전원 트랜스를 각각 경유하는 중에 비례하는 저전압으로 검출된 3상의 전원은 제1 릴레이 접점과 제2 릴레이 접점을 각각 경유하여 외부출력으로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출력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정전 체크부로 전달되어 고압차단기가 온 상태인 모선회로의 전원이 정상적인가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정전 체크부로부터 3상 중 어느 한 상의 전원이라도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릴레이 구동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3 릴레이의 구동에 의해 릴레이 접점을 오프시키면서 접점을 단락시켜 직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의 정전 체크부에 병렬로 접속되어 내부의 동작을 위한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3상의 전원이 정류부와 필터와 노이즈 제거부 및 파형정형부를 경유하여 제어부에 입력되도록 하여 각각의 전압치를 인식하면서 정상적인 전원의 공급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어부에서는 세그먼트 선택부와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통하여 표시부의 발광 다이오드와 세그먼트 표시부의 자리가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세그먼트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부의 발광 다이오드나 세그먼트의 숫자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관리자가 자동모드의 선택스위치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를 온시키는 상태를 인식하면 그에 따라 선택된 동작모드에 해당하는 동작표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관리자가 자동모드로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의 자동모드 선택스위치를 거치고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과 제1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의 직렬접속이나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과 제2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의 직렬접속을 거쳐 각각 동작의 지연을 위한 제1 타이머와 제2 타이머를 경유하도록 하여 접점이 전환될 때 먼저 접속되었던 접점을 오프시키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관리자가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로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를 거친 후 차단기 오프용 릴레이 A접점과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 및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들의 병렬접속을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관리자가 현장에서의 수동제어모드로 선택한 경우에는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를 거친 후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과 제2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의 직렬접속과 제1 차단기 접속스위치의 병렬접속을 경유한 후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에서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을 경유한 신호와 함께 제1 차단기용 릴레이를 구동하도록 하고,
상기의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를 거친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과 제1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의 직렬접속과 제2 차단기 접속스위치의 병렬접속을 경유한 후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에서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을 경유한 신호와 함께 제2 차단기용 릴레이를 구동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타이머, 제2 타이머, 제1 차단기용 릴레이 및 제2 차단기용 릴레이를 경유한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고압차단기의 릴레이 B접점을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의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를 거친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고압차단기의 릴레이 A접점과 제1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 및 제2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들의 직렬접속과 차단기 오프 스위치의 병렬접속을 경유하여 고압차단기의 릴레이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정전 체크부로부터 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가의 여부에 따른 신호는 지연소자가 내장된 DC에러 감지부로 전달되어 상기의 제어부로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제1 릴레이 A접점을 거쳐 제1 릴레이로 전달되어 접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제2 릴레이 A접점을 거쳐 제2 릴레이로 전달되어 접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정된 전원의 공급이 자동이나 감시반 제어부에서의 제어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에 의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43PD 스위치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관에 의한 전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9 : 정전 체크부 20 : 릴레이 구동부
27 : 제어부 32, 33 : 타이머
34 : 제1 차단기 접속스위치 36 : 제2 차단기 접속스위치
38 : 차단기 오프스위치 40 : DC에러 감지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주요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외관에 의한 전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발전소로부터 초고압의 전원이 공급되는 제1 모선회로(11)와 제2 모선회로(15)에 각각 결선된 제1 고압차단기(12)와 제2 고압차단기(16)의 후단에 제1 전원 트랜스(13)와 제2 전원 트랜스(17)를 각각 경유하는 중에 비례하는 저전압으로 검출된 3상 전원은 제1 릴레이 접점(14)과 제2 릴레이 접점(18)을 각각 경유하여 외부출력으로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출력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정전 체크부(19)로 전달되어 고압차단기(12 또는 16)가 온 상태인 모선회로(11 또는 15)의 3상 전원(A)(B)(C)이 정상적인가를 포토 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터의 포토커플러(PC1)(PC2)(PC3)를 통하여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정전 체크부(19)로부터 3상 전원(A)(B)(C) 중 어느 한 상의 전원이라도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TR1)의 릴레이 구동부(2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3 릴레이(21)의 구동에 의해 릴레이 접점(22)을 오프시키면서 접점을 단락시켜 직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의 정전 체크부(19)에 병렬로 접속되어 내부의 동작을 위한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3상 전원(A)(B)(C)이 각각 브리지 다이오드의 정류부(23)(23a)(23b), 저항(R1)(R2)(R3)과 콘덴서(C1)(C2)(C3)의 필터부(24)(24b)(24c), 연산증폭기(OP1)(OP2)(OP3)의 노이즈 제거부(25)(25a)(25b) 및 저항(R4)(R5)(R6)과 콘덴서(C4,C5)(C6,C7)(C8,C9)의 파형정형부(26)(26a)(26b)를 경유하여 제어부(27)에 입력되도록 하여 각각의 전압치를 인식하면서 정상적인 전원의 공급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어부(27)에서는 세그먼트 선택부(28)와 트랜지스터 어레이(29)를 통하여 표시부(30)의 발광 다이오드(L1,L2,L3)(L4,L5,L6)(L7,L8,L9)와 세그먼트 표시부(31)의 자리가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27)에서는 세그먼트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부(30)의 발광 다이오드(L1)∼(L9)나 세그먼트의 숫자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발광 다이오드(L1,L2,L3)(L4,L5,L6)는 각각 3상 중 어느 상(A)(B)(C)의 전압치인가를 나타내거나, 제1 차단기나 제2 차단기 또는 오프의 상태를 표시하여 외부에 알려주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27)에서는 관리자가 자동모드의 선택스위치(AUTO)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MAN)를 온시키는 상태를 인식하면 그에 따라 선택된 동작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동시에 해당 동작표시 발광다이오드(L7)(L8)(L9)를 점등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관리자가 자동모드로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의 자동모드 선택스위치(AUTO)를 거치고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BA1)과 제1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AB1)의 직렬접속이나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AA1)과 제2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BB1)의 직렬접속을 거쳐 각각 동작의 지연을 위한 제1 타이머(32)와 제2 타이머(33)를 경유하도록 하여 접점이 전환될 때 먼저 접속되었던 접점을 오프시키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관리자가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로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를 거친 후 차단기 오프용 릴레이 A접점(OFA1)과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BA2) 및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AA2)들의 병렬접속을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관리자가 현장에서의 수동제어모드로 선택한 경우에는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MAN)를 거친 후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AA3)과 제2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BB2)의 직렬접속과 제1 차단기 접속스위치(34)의 병렬접속을 경유한 후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에서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AA2)을 경유한 신호와 함께 제1 차단기용 릴레이(35)를 구동하도록 하고,
상기의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MAN)를 거친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BA3)과 제1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AB2)의 직렬접속과 제2 차단기 접속스위치(36)의 병렬접속을 경유한 후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에서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BA2)을 경유한 신호와 함께 제2 차단기용 릴레이(37)를 구동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타이머(32), 제2 타이머(33), 제1 차단기용 릴레이(34) 및 제2 차단기용 릴레이(35)를 경유한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고압차단기의 릴레이 B접점(CB1)을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의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MAN)를 거친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고압차단기의 릴레이 A접점(CA1)과 제1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AB3) 및 제2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BB3)들의 직렬접속과 차단기 오프 스위치(38)의 병렬접속을 경유한 후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를 거친 후 차단기 오프용 릴레이 A접점(OFA1)을 경유한 신호와 함께 고압차단기의 릴레이(39)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정전 체크부(19)로부터 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가의 여부에 따른 신호는 지연소자가 내장된 DC에러 감지부(40)로 전달되어 상기의 제어부(27)로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제1 릴레이 A접점(MA)을 거쳐 제1 릴레이(41)로 전달되어 접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제2 릴레이 A접점(MB)을 거쳐 제2 릴레이(42)로 전달되어 접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전자식 43PD 스위치는 발전소로부터 초고압의 전원이 공급되는 제1 모선회로(11)와 제2 모선회로(15)에 제1 고압차단기(12)와 제2 고압차단기(16)를 결선하고 그 후단에 제1 전원 트랜스(13)와 제2 전원 트랜스(17)를 각각 결선하여 상기 제1 및 제2 모선회로(11)(15)를 흐르는 전압에 비례하는 저전압을 검출한다.
상기의 상기 제1 및 제2 모선회로(11)(15)로부터 검출한 3상 전원(A)(B)(C)은 제1 릴레이 접점(14)과 제2 릴레이 접점(18)을 각각 경유하여 외부출력으로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동시에 정전 체크부(19)로 전달되어 고압차단기가 온 상태인 모선회로의 3상 전원(A)(B)(C)이 정상적인가의 여부를 포토 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터의 포토커플러(PC1)(PC2)(PC3)를 통하여 검출한다.
상기 정전 체크부(19)로부터 3상 전원(A)(B)(C) 중 어느 한 상의 전원이라도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TR1)의 릴레이 구동부(2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3 릴레이(21)의 구동에 의해 릴레이 접점(22)을 오프시키면서 접점을 단락시켜 직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의 정전 체크부(19)에 병렬로 접속되어 내부의 동작을 위한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R상, S상 및 T상의 3상 전원(A)(B)(C)이 각각 브리지 다이오드의 정류부(23)(23a)(23b)를 경유하는 중에 DC전원으로 변환되고, 다시 저항(R1)(R2)(R3)과 콘덴서(C1)(C2)(C3)의 필터부(24)(24b)(24c)와 연산증폭기(OP1)(OP2)(OP3)의 노이즈 제거부(25)(25a)(25b) 및 저항(R4)(R2)(R3)과 콘덴서(C4,C5)(C6,C7)(C8,C9)의 파형정형부(26)(26a)(26b)를 경유하는 중에 전류성분에 혼합된 노이즈가 제거되어 정확한 전압이 측정이 가능하도록 제어부(27)에 입력되어 각각의 전압치를 인식하면서 정상적인 전원의 공급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의 제어부(27)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세그먼트 선택부(28)와 트랜지스터 어레이(29)를 통하여 표시부(30)의 발광 다이오드(L1,L2,L3)(L4,L5,L6)(L7,L8,L9)와 세그먼트 표시부(31)의 자리가 선택되도록 하는 동시에, 세그먼트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부(30)의 발광 다이오드(L1)∼(L9)나 세그먼트의 숫자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의 발광 다이오드(L1,L2,L3)를 통하여는 3상 중 어느 상(A)(B)(C)의 전압치인가를 나타낸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L4,L5,L6)를 통하여는 제1 차단기나 제2 차단기가 온된 상태 또는 오프의 상태를 표시하여 외부에 알려주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7)에서는 관리자가 자동모드의 선택스위치(AUTO)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MAN)를 온시키는 상태를 인식하면 그에 따라 선택된 동작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동시에 해당 동작표시 발광다이오드(L7)(L8)(L9)를 점등시켜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관리자가 자동모드로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의 자동모드 선택스위치(AUTO)를 거치고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BA1)과 제1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AB1)의 직렬접속을 거쳐 동작의 지연을 위한 제1 타이머(32)를 경유하면서 제1 차단기의 접속이 끊기면서 제1 차단기의 접속으로 전환될때 먼저 접속되었던 접점을 오프시키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자동모드 선택스위치(AUTO)를 거치고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AA1)과 제2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BB1)의 직렬접속을 거쳐 동작의 지연을 위한 제2 타이머(33)를 경유하면서 제2 차단기의 접속이 끊기면서 제1 차단기의 접속으로 전환될 때 먼저 접속되었던 접점을 오프시키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관리자가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로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를 거치는 중에 관리자가 선택한 상태에 따라 차단기 오프용 릴레이 A접점(OFA1)과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BA2) 및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AA2)들의 병렬접속을 경유하도록 함으로서 차단기를 오프시키거나, 제2 차단기를 접속하거나 또는 제1 차단기를 접속시키도록 한다.
현장의 관리자가 현장에서의 수동제어모드로 선택한 후 제1 차단기의 접속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MAN)를 거친 후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AA3)과 제2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BB2)의 직렬접속과 제1 차단기 접속스위치(34)의 병렬접속을 경유한 후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에서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AA2)을 경유한 신호와 함께 제1 차단기용 릴레이(35)를 구동하도록 하여 제1 차단기가 접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현장의 관리자가 제2 차단기의 접속을 선택하면 상기의 수동제어모드선택스위치(MAN)를 거친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BA3)과 제1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AB2)의 직렬접속과 제2 차단기 접속스위치(36)의 병렬접속을 경유한 후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에서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BA2)을 경유한 신호와 함께 제2 차단기용 릴레이(37)를 구동하도록 하여 제2 차단기가 접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제1 타이머(32), 제2 타이머(33), 제1 차단기용 릴레이(34) 및 제2 차단기용 릴레이(35)를 경유한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고압차단기의 릴레이 B접점(CB1)을 경유하도록 하여 다른 고압차단기의 접속이 끊어지도록 한다.
또한 현장의 관리자가 차단기의 접속이 끊어지도록 선택하면 상기의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MAN)를 거친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가 고압차단기의 릴레이 A접점(CA1)과 제1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AB3) 및 제2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BB3)들의 직렬접속과 차단기 오프 스위치(38)의 병렬접속을 경유한 후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를 거치고 차단기 오프용 릴레이 A접점(OFA1)을 경유한 신호와 함께 고압차단기의 릴레이(39)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제1 및 제2 차단기의 접속을 끊어주도록 한다.
상기의 정전 체크부(19)로부터 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가의 여부에 따른 신호를 전달받는 DC에러 감지부(40)는 내부에 내장된 지연소자에 의해 얼마간 지연된 후 제어부(27)로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제1 릴레이 A접점(MA)을 거쳐 제1 릴레이(41)로 전달되어 제1 릴레이(41)를 구동하면서 접점을 온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제2 릴레이 A접점(MB)을 거쳐 제2 릴레이(42)로 전달되면 제2 릴레이(42)를 구동하면서 접점을 온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식 43PD 스위치는 초고압의 전원이 공급되는 제1 모선회로와 제2 모선회로의 제1 고압차단기와 제2 고압차단기의 후단에 제1 전원 트랜스와 제2 전원 트랜스를 각각 경유하는 중에 비례하는 저전압으로 검출된 3상의 전원은 제1 릴레이 접점과 제2 릴레이 접점을 각각 경유하여 외부출력으로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출력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정전 체크부로 전달되어 고압차단기가 온 상태인 모선회로의 전원이 정상적인가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정전 체크부로부터 3상 중 어느 한 상의 전원이라도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릴레이 구동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3 릴레이의 구동에 의해 릴레이 접점을 오프시키면서 접점을 단락시켜 직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의 정전 체크부에 병렬로 접속되어 내부의 동작을 위한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3상의 전원이 정류부와 필터와 노이즈 제거부 및 파형정형부를 경유하여 제어부에 입력되도록 하여 각각의 전압치를 인식하면서 정상적인 전원의 공급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어부에서는 세그먼트 선택부를 통하여 현재의 전압치를 숫자로 표시하면서 동작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관리자가 자동모드의 선택스위치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를 온시키는 상태를 인식하면 그에 따라 선택된 동작모드에 해당하는 동작표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관리자가 자동모드로 선택하거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로 선택하거나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모드로 선택한 상태에 따라 전압치에 따른 자동제어, 원격제어에 의한 조절 또는 현장에서의 조작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전원의 공급이 자동이나 감시반 제어부에서의 제어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에 의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초고압의 전원이 공급되는 제1 모선회로와 제2 모선회로의 제1 고압차단기와 제2 고압차단기의 후단에 제1 전원 트랜스와 제2 전원 트랜스를 각각 경유하는 중에 비례하는 저전압으로 검출된 3상의 전원은 제1 릴레이 접점과 제2 릴레이 접점을 각각 경유하여 외부출력으로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한 전자식 43PD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출력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정전 체크부로 전달되어 고압차단기가 온 상태인 모선회로의 전원이 정상적인가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정전 체크부에 접속된 릴레이 구동부로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제3 릴레이의 구동에 의해 릴레이 접점을 오프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정전 체크부에 병렬로 접속되어 3상의 전원이 정류부와 필터와 노이즈 제거부 및 파형정형부를 경유하여 제어부에 입력되도록 하여 각각의 전압치를 인식하면서 정상적인 전원의 공급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어부에서는 세그먼트 선택부를 통하여 현재의 전압치를 숫자로 표시하면서 동작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관리자가 자동모드의 선택스위치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를 온시키는 상태를 인식하면 그에 따라 선택된 동작모드에 해당하는 동작표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관리자가 자동모드로 선택하거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로 선택하거나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모드로 선택한 상태에 따라 전압치에 따른 자동제어, 원격제어에 의한 조절 또는 현장에서의 조작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43PD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어부(27)에서는 세그먼트 선택부(28)와 트랜지스터 어레이(29)를 통하여 표시부(30)의 발광 다이오드(L1)∼(L9)와 세그먼트 표시부(31)의 자리가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27)에서는 세그먼트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부(30)의 발광 다이오드(L1)∼(L9)나 세그먼트의 숫자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발광 다이오드(L1,L2,L3)(L4,L5,L6)는 각각 3상 중 어느 상(A)(B)(C)의 전압치인 가를 나타내거나, 제1 차단기나 제2 차단기 또는 오프의 상태를 표시하여 외부에 알려주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27)에서는 관리자가 자동모드의 선택스위치(AUTO)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 또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MAN)를 온시키는 상태를 인식하면 해당 동작표시 발광다이오드(L7)(L8)(L9)를 점등시키도록 한 전자식 43PD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자동모드로 선택된 경우, 상기의 자동모드 선택스위치(AUTO)를 거치고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BA1)과 제1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AB1)의 직렬접속이나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AA1)과 제2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BB1)의 직렬접속을 거쳐 각각 제1 타이머(32)와 제2 타이머(33)를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로 선택된 경우,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를 거친 후 차단기 오프용 릴레이 A접점(OFA1)과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BA2) 및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AA2)들의 병렬접속을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현장에서의 수동제어모드로 선택된 경우,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MAN)를 거친 후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AA3)과 제2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BB2)의 직렬접속과 제1 차단기 접속스위치(34)의 병렬접속을 경유한 후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에서 제1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AA2)을 경유한 신호와 함께 제1 차단기용 릴레이(35)를 구동하도록 하고,
    상기의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MAN)를 거친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BA3)과 제1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AB2)의 직렬접속과 제2 차단기 접속스위치(36)의 병렬접속을 경유한 후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에서 제2 차단기용 릴레이 A접점(BA2)을 경유한신호와 함께 제2 차단기용 릴레이(37)를 구동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타이머(32), 제2 타이머(33), 제1 차단기용 릴레이(34) 및 제2 차단기용 릴레이(35)를 경유한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고압차단기의 릴레이 B접점(CB1)을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의 수동제어모드 선택스위치(MAN)를 거친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고압차단기의 릴레이 A접점(CA1)과 제1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AB3) 및 제2 차단기용 릴레이 B접점(BB3)들의 직렬접속과 차단기 오프 스위치(38)의 병렬접속을 경유한 후 상기의 감시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모드의 선택스위치(SCADA)를 거쳐 차단기 오프용 릴레이 A접점(OFA1)을 경유한 신호와 함께 고압차단기의 릴레이(39)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정전 체크부(19)로부터 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가의 여부에 따른 신호는 지연소자가 내장된 DC에러 감지부(40)로 전달되어 상기의 제어부(27)로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제1 릴레이 A접점(MA)을 거쳐 제1 릴레이(41)로 전달되거나 제2 릴레이 A접점(MB)을 거쳐 제2 릴레이(42)로 전달되도록 한 전자식 43PD 스위치.
KR10-2002-0002599A 2002-01-16 2002-01-16 전자식 43pd 스위치 KR10043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599A KR100431903B1 (ko) 2002-01-16 2002-01-16 전자식 43pd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599A KR100431903B1 (ko) 2002-01-16 2002-01-16 전자식 43pd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158A KR20030062158A (ko) 2003-07-23
KR100431903B1 true KR100431903B1 (ko) 2004-05-17

Family

ID=3221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599A KR100431903B1 (ko) 2002-01-16 2002-01-16 전자식 43pd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9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210A (ja) * 1990-05-15 1992-01-24 Omron Corp 電子スイッチ
JPH04244729A (ja) * 1991-01-28 1992-09-01 Hitachi Ltd スポッ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930016063U (ko) * 1991-12-02 1993-07-28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고압차단기의 원격제어장치
KR930026262U (ko) * 1992-05-22 1993-12-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배전반의 전원이상 검출회로
KR20010103442A (ko) * 2000-05-10 2001-11-23 이종훈 송전선로 자동 절체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210A (ja) * 1990-05-15 1992-01-24 Omron Corp 電子スイッチ
JPH04244729A (ja) * 1991-01-28 1992-09-01 Hitachi Ltd スポッ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930016063U (ko) * 1991-12-02 1993-07-28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고압차단기의 원격제어장치
KR930026262U (ko) * 1992-05-22 1993-12-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배전반의 전원이상 검출회로
KR20010103442A (ko) * 2000-05-10 2001-11-23 이종훈 송전선로 자동 절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158A (ko) 200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3395B1 (en) Faulty wiring detection device for air conditioner
US7687935B2 (en) Electrical power control system
US200700185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electrical backfeed
MX2007014286A (es) Atenuador de dos alambres con fuente de alimentacion y circuito de proteccion de carga en caso de falla del interruptor.
EP0870217B1 (en) Fault monitoring technique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KR20060092251A (ko) 설비 기기용 통신 회로
KR100431903B1 (ko) 전자식 43pd 스위치
JP2916656B2 (ja) 空気調和機
US6486647B1 (en) Circuit for monitoring an alternative current power switch
JPH07133950A (ja) 空気調和機の信号伝送回路
JP2001208778A (ja) 検出電流合成装置、および分電盤
KR20190104506A (ko) 부하 쇼트 감시 기능을 가진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방법
KR100431561B1 (ko) 발변전소용 전압소스 자동절환장치
KR100382926B1 (ko) 전원공급 자동 전환장치 및 방법
JPH09107681A (ja) 直流無停電電源装置
SU168312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вода резерва в системе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 с вентильными преобразовател ми
KR20190047835A (ko) 부하 쇼트 감시 기능을 가진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방법
KR0159459B1 (ko) 가스 절연방식 부하개폐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279811B2 (ja) 制御機器用駆動装置
RU2124260C1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комплекса корабельной радиоэлектронной аппаратуры
JPH04304118A (ja) デマンドコントロール付分電盤
KR100253466B1 (ko) 옥내배선 결선방법 및 결선장치
CN114878926A (zh) 一种三相供电故障自动检测电路
KR930007268B1 (ko) 과전류 릴레이를 갖는 액면제어장치
KR20000006347U (ko) 디지털 보호계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