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589B1 - 이동식비계공법으로 시공되는 더블-티 시공중 인장응력감소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비계공법으로 시공되는 더블-티 시공중 인장응력감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589B1
KR100431589B1 KR10-2001-0060381A KR20010060381A KR100431589B1 KR 100431589 B1 KR100431589 B1 KR 100431589B1 KR 20010060381 A KR20010060381 A KR 20010060381A KR 100431589 B1 KR100431589 B1 KR 100431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span
formwork
concrete
tensile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261A (ko
Inventor
이만섭
박상일
이현승
이대우
박영진
Original Assignee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0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589B1/ko
Publication of KR20030027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비계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으로 시공되는 더블-티(Double-T) 교량의 시공시 지점부 콘크리트 단면 하부에 임의 구간내 임시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함으로써 시공중 인장응력을 저감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경간에 이동식비계장치의 거푸집이 설치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이동식비계장치의 내·외측 거푸집을 탈락하는 단계와; 지점부 하부의 내측면에 임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와; 복부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단계와; 이동식비계장치의 거푸집이 제2경간으로 이동되어 제1경간의 시공과 같은 방법으로 제2경간의 시공이 완료되는 단계와; 제3경간의 시공시 제1경간에 설치된 임시 프리스트레스를 해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으로 시공중 발생하는 지점부 콘크리트 단면 하부의 인장응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시공중 및 완공후 사용시 교량의 내구성 및 품질향상을 이룰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비계공법으로 시공되는 더블-티 시공중 인장응력 감소방법 {The method of decreasing tensile stress during construction for Movable Scaffolding System in Double-T girder bridge}
본 발명은 이동식비계공법으로 시공되는 더블-티 교량에 대해 시공중 지점부 콘크리트 단면 하부에 일시적인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시공중의 인장응력을 저감시키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비계 형식의 교량은 시공완료후에 재하되는 변동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경간중앙부에는 부모멘트가, 지점부에는 정모멘트가 발생하도록 복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게 된다. 그러나 시공중에는 변동하중이 제외된 콘크리트 자중만 작용되므로 프리스트레스의 영향이 자중의 영향보다 크게되어 지점부 단면 하부에서 과도한 정모멘트로 인한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인해 비교적 휨강성이 작은 T형 단면은 지점부 단면하부에 균열이 발생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복부텐던의 프리스트레스 도입량을 조절하거나, 경간내 단면 하부에 프리스트레스를 추가 도입하여 시공중의 인장응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시공중 지점부 하부의 인장응력 저감을 위하여 복부텐던의 프리스트레스 도입량을 감소시키면 시공완료후 교량의 사용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의 감소로 교량의 내구성이 취약해지게 된다. 또한, 후자와 같이 경간내 단면 하면에 프리스트레스를 추가 도입할 경우, 지점부 하부의 인장응력은 감소되나 프리스트레스의 2차효과(Secondary Effect)에 의한 응력 재분배의 영향이 교량전체에 불리한 응력상태로 전이되어져 결과적으로 또 다른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이 불가피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시공중 인장응력저감 방법들은 효율성과 경제성에서 미흡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공중 지점부 단면 하부에 일시적인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시공중 발생되는 지점부 인장응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시공중 및 완공후 사용시 최적의 응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경간에 이동식비계장치의 거푸집이 설치된후, 콘크리트의 타설단계와; 이동식비계장치의 내·외측 거푸집을 탈락하는 단계와; 단면 하부의 내측면에 임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와; 복부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단계와; 이동식비계장치의 거푸집이 제2경간으로 이동되어 제1경간의 시공과 같은 방법으로 제2경간의 시공이 완료되는 단계와; 제3경간의 시공시 제1경간의 지점부 하부에 설치된 임시 프리스트레스를 해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에 의해 프리스트레스 정착부가 설치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에 의해 프리스트레스 정착부가 설치된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에 의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해체되는 모습을 보이는 시공순서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에 의해 유지보수용 외부 보강재가 배치된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정착부 설치를 위해 강봉이 삽입될 수 있는) 작업공
2 : (정착부 설치를 위한) 강봉
3 : (프리스트레싱) 정착부
4 : 프리스트레싱재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에 의해 프리스트레스 정착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측면의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점부를 중심으로 단면 하부에 임의 길이만큼 시공하되, 해당 경간의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진 후, 복부 텐던에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이 이루어지기 전에 시공하게 되는데, 그 자세한 시공방법을 시계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식비계장치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과 덕트를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복부에는 쉬스관이나 파이프등을 설치하여 정착부 설치를 위해 강봉이 삽입될 수 있는 작업공(1)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콘크리트의 경화가 이루어지면, 이 작업공을 통해 강봉(2)을 관통시켜 정착부(3)를 복부 내측에 설치하도록 한다. 정착부 설치시 필요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내측의 거푸집을 탈락시켜 복부 내측 콘크리트 표면과 거푸집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벌리도록 한다. 정착부(3)의 설치가 이루어지면, 프리스트레싱재(4)를 정착부사이에 설치하고 긴장작업을 수행하여 지점부 단면 하부에 프리스트레싱이 도입되도록 한다. 지점부 단면 하부의 프리스트레싱이 도입된 후, 이동식비계장치의 거푸집을 제2경간으로 이동시킨후, 제1경간에서 시행한 시공과정을 반복한다. 제2경간의 시공이 완료된 후, 제3경간의 시공을 위하여 이동식비계장치의 거푸집을 이동시킨다. 제3경간의 철근과 덕트를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면 제1경간의 지점부 단면 하부에 도입하였던 프리스트레싱을 제거하고, 제1·2경간의 시공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단계를 통해 시공된 교량은 지점부 콘크리트 단면 하부에 압축력이 도입되어짐에 의해, 지점부 하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저감시켜 시공중의 균열 발생가능성을 낮출수 있다.
또한 시공완료후 교량의 내하력 증진이 필요할 경우 지간 중앙부에 추가적인 압축력 도입을 위해 시공중에 사용한 작업공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수 있다.(도4)
이상의 명백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비계공법으로 시공되는 더블-티 교량의 시공중 인장응력 감소방법은, 시공중 지점부 단면 하부에 일시적인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시공중 및 완공후 사용시 최적의 응력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시공완료후 교량의 내하력 증진이 필요할 경우 지간 중앙부에 추가적인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교량의 내구성 증진과 품질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본 발명은 이동식비계공법으로 시공되는 교량 뿐만 아니라, 이동식비계공법과 같이 내민보 형태로 시공되어 시공중 지점부 하부에 인장응력이 크게 발생하는 교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이동식비계공법으로 시공되는 더블-티 교량의 시공중 인장응력 감소방법에 있어서,
    먼저, 이동식비계장치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과 덕트을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콘크리트의 경화가 이루어지면, 이 작업공을 통해 강봉(2)을 관통시켜 정착부(3)를 복부 내측에 설치하는 단계와;
    정착부 설치시 필요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내측의 거푸집을 탈락시켜 정착부(3)를 설치하는 단계와;
    프리스트레싱재(4)를 정착부사이에 설치하고 긴장작업을 수행하여 지점부 단면 하부에 임시 프리스트레싱이 도입한 후 복부에 설치된 내부 텐던을 인장하는 단계와;
    이동식비계장치의 거푸집을 제2경간으로 이동시킨후, 제1경간에서 시행한 시공과정을 반복하는 단계와;
    제2경간의 시공이 완료된 후, 제3경간의 시공을 위하여 이동식비계장치의 거푸집을 이동시킨후 제3경간의 철근과 덕트을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면 제1경간의 지점부 단면 하부에 도입하였던 프리스트레싱을 제거하고, 제1·2경간의 시공과정을 반복하는 단계와 시공완료후 교량의 내하력 증진이 필요할 경우 지간 중앙부에 추가적인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이동식비계공법으로 시공되는 더블-티 시공중 인장응력 감소방법.
KR10-2001-0060381A 2001-09-28 2001-09-28 이동식비계공법으로 시공되는 더블-티 시공중 인장응력감소방법 KR100431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381A KR100431589B1 (ko) 2001-09-28 2001-09-28 이동식비계공법으로 시공되는 더블-티 시공중 인장응력감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381A KR100431589B1 (ko) 2001-09-28 2001-09-28 이동식비계공법으로 시공되는 더블-티 시공중 인장응력감소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261A KR20030027261A (ko) 2003-04-07
KR100431589B1 true KR100431589B1 (ko) 2004-05-22

Family

ID=2956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381A KR100431589B1 (ko) 2001-09-28 2001-09-28 이동식비계공법으로 시공되는 더블-티 시공중 인장응력감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5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465A (ko) * 2002-06-03 2003-12-11 (주)대우건설 외부강선에 의한 압축력으로 보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13585083B (zh) * 2021-08-06 2022-11-22 万玉楼 一种用于带筋钢板与t梁之间的灌浆设备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0127A (en) * 1976-04-26 1977-11-01 Yuuji Kawai Execution method of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KR970015946A (ko) * 1995-09-28 1997-04-28 신흥우 교량 보강구 설치방법
US5867855A (en) * 1996-04-08 1999-02-09 Kim; Sun Ja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concrete girders
KR19990080686A (ko) * 1998-04-20 1999-11-15 이정국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들보의 연결공법
KR20020037636A (ko) * 2000-11-15 2002-05-22 고재원 가설용 강재정착장치가 설치된 피에스씨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가설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0127A (en) * 1976-04-26 1977-11-01 Yuuji Kawai Execution method of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KR970015946A (ko) * 1995-09-28 1997-04-28 신흥우 교량 보강구 설치방법
US5867855A (en) * 1996-04-08 1999-02-09 Kim; Sun Ja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concrete girders
KR19990080686A (ko) * 1998-04-20 1999-11-15 이정국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들보의 연결공법
KR20020037636A (ko) * 2000-11-15 2002-05-22 고재원 가설용 강재정착장치가 설치된 피에스씨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가설공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부재의 일정구간에 설치된 긴장재의 긴장과 이완을 통하여 연속화하는 방법.[요지,내용참조]2001.6.2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261A (ko) 200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794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 방법
KR20100025161A (ko) 교대 벽체와 일체화 시공되는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431589B1 (ko) 이동식비계공법으로 시공되는 더블-티 시공중 인장응력감소방법
KR101293838B1 (ko) 응력전달길이 구간을 제거하는 프리텐션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구조체 제작방법
KR101067717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39367B1 (ko) 프리플렉스 강합성 거더의 제작방법 및 보수/보강 방법
KR100840190B1 (ko) 연속교용 프리스트레스 강합성 콘크리트 상부플랜지를가지는 아이빔 세그멘트 연결방법
KR101319509B1 (ko) 프리텐션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JP2020063598A (ja) Pc有ヒンジ桁橋におけるヒンジ部の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KR20130120096A (ko) 교량용 프리 텐션 빔 거더
KR100244084B1 (ko) 리프리스트레스(Re-prestress) 강합성빔 제작방법
KR200215054Y1 (ko) 압축보강재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KR101664165B1 (ko) 임시보강강판에 의해 추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교의 시공방법
KR20130090455A (ko) 구속 콘크리트를 이용한 연속교의 시공방법
KR20150083446A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및 강박스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 타입 교량의 시공법
RU217031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ряженной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балки
KR100278118B1 (ko) 콘크리트빔교량의 크로스빔 시공방법
KR100500382B1 (ko) 프리캐스트 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 및 연결구조
KR200234512Y1 (ko) 추가 프리스트레싱 도입용 헌치를 구비한 프리플렉스합성보
KR20050094613A (ko) 곡선형 새들과 보조 정착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더교의 보강 및 성능개선을 위한 외부긴장방법
KR100503698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연속화공법
KR101924293B1 (ko) 굴절빔의 보강 공법
RU2056490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ряжен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элементов
KR101321388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용 강재 거푸집
KR20090112317A (ko) 단계별 긴장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