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333B1 -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333B1
KR100431333B1 KR10-2000-0072351A KR20000072351A KR100431333B1 KR 100431333 B1 KR100431333 B1 KR 100431333B1 KR 20000072351 A KR20000072351 A KR 20000072351A KR 100431333 B1 KR100431333 B1 KR 10043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dvertisement
advertisement exposure
song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301A (ko
Inventor
박홍순
Original Assignee
와우커뮤니케이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우커뮤니케이션(주) filed Critical 와우커뮤니케이션(주)
Priority to KR10-2000-0072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333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3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노래 반주기를 통해 재생되는 곡의 전주 및/또는 간주 구간에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여, 그 광고의 노출 정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전송되는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곡을 선곡하고, 선곡된 곡에 광고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광고 정보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지원하고, 광고 정보 출력시 생성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저장된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도록 지원하는 노래 반주기와, 상기 노래 반주기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 상기 노래 반주기로 광고노출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곡 중 광고 정보를 포함시킬 곡을 선정하고, 선정된 곡에 광고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노래 반주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전송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수신받아 광고 정보의 노출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광고노출 분석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AND ANALYZING ADVERTISEMENT EXPOSURE INFORMATION}
본 발명은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래 반주기를 통해 재생되는 곡의 전주 및/또는 간주 구간에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여, 그 광고의 노출 정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고는 소정 상품을 여러 사람에게 알리고, 상기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광고들은 텔레비전 수상기, 라디오 수신기 또는 인터넷과 연결이 가능한 PC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 라디오 수신기 또는 인터넷이 연결된 PC 등과 같은 매체를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할 때, 광고주들은 상기 광고가 사용자들에게 얼마만큼 노출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광고주들은 상기 매체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광고를 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정확한 광고 노출 통계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설문조사를 통해 결정하거나, 또는 시청률 조사를 위해 소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배포된 장치를 이용하여 조사된 자료를 통해 결정하게 된다.
즉, 광고주들은 사용자들에게 인기 프로그램의 시작 전에 제공되는 광고 정보가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된다고 판단한다.
그러므로, 인기 있는 프로그램의 시작 전에 방영되는 광고의 비용이 가장 높게 책정되고 있는 실정이며, 광고주 또한 자신이 제작한 광고가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된다는 막연함만으로 많은 광고비를 지출하고 있다.
한편, 인터넷과 연결이 가능한 PC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광고(예를 들면, 배너 광고)는 사용자에 의해 클릭될 경우 상기 광고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되었다고 측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클릭 수를 체크함으로써, 상기 광고 정보의 노출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도 동일한 사용자가 소정의 목적을 위해 연속으로 상기 광고 정보를 클릭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상기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와 같은 사실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광고 정보 클릭 수만큼 상기 광고 정보가 각기 다른 사용자에게 노출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기 광고 정보 클릭 수로 상기 광고 정보의 노출 정도를 측정할 경우 정확하지 않은 통계치를 얻을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래 반주기를 통해 재생되는 곡의 전주 및/또는 간주 구간에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곡을 선곡하여 부르는 회수를 이용하여 광고의 노출회수를 산출함으로써, 정확한 광고노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목소리 신호를 이용하여 곡을 부르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를 추정하여 좀더 정확한 광고노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온라인 접속을 이룬 사용자에게 곡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 원하는 곡 데이터를 선택하면, 선택된 곡을 상기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되도록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에서 전송되는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곡을 선곡하고, 선곡된 곡에 광고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광고정보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지원하고, 광고정보 출력시 생성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저장된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도록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래 반주기; 및 상기 노래 반주기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 상기 노래 반주기로 광고노출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곡 데이터 중 광고정보를 포함시킬 곡을 선정하고, 선정된 곡에 광고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노래 반주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전송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수신받아 광고정보의 노출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광고노출 분석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1) 광고 정보가 포함된 곡이 사용자에 의해 선곡되어 연주되는 경우, 상기 곡이 연주되는 동안, 노래 반주기는 노래 반주기에 탑재되어 있는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 정보가 노래 반주기의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광고 정보가 노출되는 경우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광고노출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2) 상기 광고노출 분석 서버는 상기 광고 정보가 포함된 곡 데이터를 상기 노래 반주기로 전송하고,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전송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기간동안 사용자에게 노출된 광고의 노출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광고노출 분석 서버에서의 노출될 광고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3은 도 2의 광고노출 분석 서버에서 노래 반주기의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노래 반주기에서 광고노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광고노출 분석 서버에서 광고 노출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네트워크 통신망
20 : 노래 반주기
21 :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부 22 : 광고노출 정보 저장부
23 : 음성분석 정보 저장부 24 : 신호 출력부
25 : 표시 구동부 26 : 음성분석 정보 생성부
27 : 제어부 28 : 통신 인터페이스부
30 : 광고노출 분석 서버
31 : 회원 정보 DB 32 : 광고 정보 DB
33 :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 DB 34 :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수단
35 : 회원 관리모듈 36 : 광고 정보 관리모듈
37 :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 수집/관리모듈
38 : 광고노출 분석모듈
39 : 광고노출 프로그램 관리모듈
40 : 곡반주 데이터 공급서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의 본 발명은 곡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광고 정보가 표출될 수 있도록 각 노래 반주기에 제공하고, 상기 광고 정보가 삽입된 곡이 선곡되어 연주되는 경우, 상기 곡의 전주 구간이나 간주 구간에 소정 광고 정보가 표출되어 곡을 부르는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 곡이 선곡된 회수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노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정확한 광고노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본 발명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실시 예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 세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램)에 상주하며, 이들 명령어 세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필요로 할 때까지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와 같은 메모리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써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통신망(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래 반주기(20)와 광고노출 분석서버(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에 상기 노래 반주기(20)에 곡 데이터를 다운로드 해주는 곡반주 데이터 공급서버(40)가 연결된다.
복수의 노래 반주기(20)는 노래 반주기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후술하는 광고노출 분석서버(30)에서 전송되는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곡을 선곡하고, 선곡된 곡에 광고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광고 정보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지원하고, 광고 정보 출력시 생성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저장된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전송되도록 지원한다.
상기 노래 반주기(2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목소리 신호를 이용하여 음성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음성분석 정보를 상기 광고노출 정보에 대응시켜 후술하는 광고노출 분석서버(30)로 전송되도록 지원한다.
상기 노래 반주기(20)는 노래방에 구비되는 업소용 반주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수상기 및 PC에 노래 반주기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경우 모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래 반주기(20)는 상기 광고노출 분석서버(30)에 의해 제공되는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부(21)와, 적어도 하나이상의 광고노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광고노출 정보 저장부(22)와, 후술하는 음성분석 정보 생성부(26)를 통해 생성된 음성 분석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하고 있는 음성분석정보 저장부(23)와, 사용자의 의도대로 곡이 선곡되고, 선곡된 곡이 연주될 수 있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24)와, 후술하는 제어부(27)의 제어에 응하여 가사자막, 광고 정보 등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 구동부(25)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목소리 신호를 이용하여 곡을 부르는 사용자의성별, 나이를 인식하여 음성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음성분석 정보 생성부(26)와, 상기 신호 출력부(24)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곡이 선곡되어 연주될 수 있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선곡된 곡에 광고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광고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한편, 광고노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광고노출 정보 저장부(22)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성분석 정보 생성부(26)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목소리 신호가 음성분석 정보로 음성분석 정보 저장부(23)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광고노출 정보 저장부(22) 및/또는 음성 분석정보 저장부(23)에 저장된 광고노출 정보 및 음성분석정보가 상기 광고노출 분석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7)와, 상기 제어부(27)의 제어에 따라 상기 광고노출정보 및/또는 음성분석정보를 상기 광고노출 분석 서버(30)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8)로 구성된다.
광고노출 분석서버(30)는 상기 노래 반주기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 상기 노래 반주기(20)로 광고노출 프로그램이 다운로드 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곡반주 데이터 공급 서버(40)에서 제공하는 곡 중 광고 정보를 포함시킬 곡을 선정하고, 선정된 곡에 광고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노래 반주기(2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노래 반주기(20)로부터 전송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수신받아 광고 정보의 노출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광고노출 분석서버(30)는 상기 노래 반주기(20)에 의해 생성된 음성 분석 정보를 수신받아, 광고 노출 대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광고 노출 통계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광고노출 분석서버(30)는 상기 사용자가 곡을 선곡할 때 이용하는 선곡 리스트 책자 소정 영역에 인쇄된 광고 정보와 곡번호를 이용하여 DB를 구축하고 있으며, 상기 DB에 등록된 곡번호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 회수를 해당 광고 노출회수로 인식하고, 광고 노출 통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광고노출 분석서버(30)는 상기 노래 반주기(20)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회원 정보로 저장하고 있는 회원 정보 DB(31)와,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상기 노래 반주기(20)를 통해 출력될 광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광고 정보 DB(32)와, 상기 노래 반주기(20)로부터 전송된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하고 있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 DB(33)와, 상기 노래 반주기(20)로 전송될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수단(34)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노래 반주기(20)로부터 전송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 DB(33)에 저장되도록 지원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 수집/관리모듈(37)과, 상기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 수집/관리모듈(37)에 의해 수집, 관리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광고노출 회수를 추출하며, 상기 음성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노출 대상을 인식하여, 광고노출 통계정보를 생성하는 광고노출 분석모듈(38)과, 상기 노래 반주기(20)에 탑재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의 현재 버전과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수단(34)에 저장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의 버전을 비교하여, 상기 노래 반주기(20)에 탑재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갱신시키는 광고노출 프로그램 관리 모듈(39)로 구성된다.
곡반주 데이터 공급 서버(40)는 상기 노래 반주기(20)를 소유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신곡 데이터 등과 같은 곡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노래 반주기(20)로 전송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광고노출 분석서버(30)는 광고 정보와 상기 광고 정보가 포함될 곡의 정보를 상기 곡반주 데이터 공급 서버(40)로 전송하고, 상기 곡 반주 데이터 공급 서버(40)에서 상기 곡이 연주될 때 상기 광고 정보가 노래 반주기(20)의 화면상에 출력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노래 반주기(2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노출 분석 서버(도 1의 30)는 노래 반주기(도 1의 20)를 통해 소정의 광고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광고 정보에 대해 노출 통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먼저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정보 DB(도 1의 32)를 구축한다(S200).
그리고, 서버 운영자는 상기 광고 정보 DB(도 1의 32)에 등록된 광고 정보가 노래 반주기(도 1의 20)에 공급될 곡 중 상기 광고 정보가 노출될 곡을 선곡하게 된다(S201).
예를 들면, 젊은 층이 선호하는 곡의 경우 젊은 층을 타겟(Target)으로 제작된 광고 정보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중년층이 선호하는 곡의 경우에는 중년층을 타겟으로 제작된 광고 정보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며,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 선호하는 곡의 경우에는 넓은 연령층을 타겟으로 제작된 광고 정보가 노출될 수 있도록 서버 운영자는 곡과 광고 정보를 매칭시켜 광고 노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S201 과정을 통해 곡이 선곡된 경우, 서버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광고 정보 관리모듈(도 1의 36)은 선곡된 곡의 전주 및/또는 간주 구간에 광고 정보가 노출될 수 있도록 광고노출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정보 DB(도 1의 32)에 저장되도록 지원한다(S202).
그리고, 상기 노래 반주기(도 1의 20)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네트워크 통신망(도 1의 10)을 통해 상기 광고노출 분석 서버(도 1의 30)로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상기 회원 관리모듈(도 1의 35)에 의해 제공되는 안내 메시지에 따라 회원으로 가입하게 되고, 상기 노래 반주기(도 1의 20)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되는 경우, 광고노출 프로그램 관리모듈(도 1의 39)은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도 1의 10)을 통해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상기 노래 반주기(도 1의 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도 1의 28)를 통해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부(도 1의 21)에 저장되도록 지원한다.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 관리모듈(도 1의 39)은 노래 반주기(도 1의 20)가 온라인 접속을 이룰 때마다,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래 반주기(도 1의 20)에 탑재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의 버전을 인식한다(S400).
즉,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 관리모듈(도 1의 39)은 노래 반주기(도 1의 2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도 1의 28)를 통해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부(도 1의 21)에저장된 광고 노출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버전 정보가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수단(도 1의 34)에 저장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의 버전보다 구 버전인지를 판단한다(S401).
상기 S401 과정의 판단 결과,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수단(도 1의 34)에 저장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이 신 버전인 경우,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 관리모듈(도 1의 39)은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수단(도 1의 34)에 저장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도 1의 10)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도 1의 28)는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수신받아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부(도 1의 21)에 저장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이 갱신되도록 지원한다(S402).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노래 반주기(도 1의 20)에 광고노출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신호 출력부(도 1의 24)가 선곡신호 및 연주신호를 출력하면(S100), 상기 제어부(도 1의 27)는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에 대응하여 저장된 광고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101).
상기 S101 과정의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도 1의 27)는 상기 선곡된 곡에 대응하여 저장된 광고 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읽어들여 상기 선곡된 곡의 전주 구간에 출력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S102).
그리고, 제어부(도 1의 27)는 도면으로 미도시된 오디오 신호 처리 수단 및 스피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 데이터가 재생, 출력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S103).
한편, 상기 제어부(도 1의 27)는 현재 재생 중인 곡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종료되었는지를 체크하고(S104), 상기 S104의 판단결과 곡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간주구간이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하고(S105),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종료된 경우(S104의 예 분기) 노래 반주기(도 1의 20)의 모든 동작을 종료시키고, 대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S105 과정의 판단 결과, 간주구간이 도래한 경우, 상기 전주구간에 노출되었던 광고 정보를 출력(S106)하여, 다시 한번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도 1의 27)는 곡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7). 상기 S107의 판단 결과, 곡이 종료된 경우 제어부(도 1의 27)는 상기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노출 정보 저장부(도 1의 22)에 저장(S108)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도 1의 27)는 첨부 도면 도 4를 통해 도시하지 않았으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음성분석 정보 생성부(도 1의 26)에 의해 생성된 음성분석 정보 또한 음성분석 정보 저장부(도 1의 23)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음성분석 정보 생성부(도 1의 26)는 음성인식 칩으로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목소리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성별, 나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도 1의 27)는 상기와 같이 곡 데이터가 재생,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곡이 연주되고 있는 동안에 광고 정보가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광고노출 정보 저장부(도 1의 22) 및 음성분석 정보 저장부(도 1의 23)에 저장된 광고노출 정보 및 음성분석 정보(이하,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로 명명하기로 함)가 상기 광고노출 분석 서버(도 1의 30)에 전송될 시점인지를 판단한다(S109).
상기 S109 과정의 판단 결과, 상기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가 상기 광고노출 분석 서버(도 1의 30)로 전송되는 시점인 경우, 상기 제어부(도 1의 27)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도 1의 28)를 통해 상기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S110).
상기 S109 과정의 판단 결과, 상기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 전송 시점이 아닌 경우, 제어부(도 1의 27)는 다음 선곡 시점까지 대기 상태가 유지되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고노출 분석 서버(도 1의 30)의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 수집/관리모듈(도 1의 37)은 상기 노래 반주기(도 1의 20)로부터 전송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수신받아(S300),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 DB(도 1의 33)에 저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광고노출 분석모듈(도 1의 38)은 주기적으로 상기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노출 통계정보를 생성, 저장한다(S301).
상기 S301 과정을 통해 생성된 광고노출 통계정보는 상기 광고주에게 제공되고(S302), 상기 광고주는 상기 광고노출 통계정보를 통해 광고 효과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첫째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되고, 연주될 경우, 이 선곡회수를 이용하여 광고노출 정보를 생성해냄으로써, 적어도 노래 반주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상기 선곡된 곡의 전주 및/또는 간주 구간에 표출되는 광고 정보를 보게 됨으로, 상기 생성된 광고노출 정보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으며, 광고주는 상기 근거로 마케팅 전략을 설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목소리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곡을 부르는 사용자의 성별 및/또는 나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곡마다 가장 적절한 광고 정보가 표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온라인 접속을 이룬 사용자에게 곡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 원하는 곡 데이터를 선택하면, 선택된 곡을 상기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되도록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에서 전송되는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곡을 선곡하고, 선곡된 곡에 광고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광고정보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지원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목소리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음성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정보 출력시 생성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저장된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도록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노래 반주기; 및
    상기 노래 반주기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 상기 노래 반주기로 광고노출 프로그램이 다운로드 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곡 데이터 중 광고정보를 포함시킬 곡을 선정하고, 선정된 곡에 광고정보를 포함시켜,상기 노래 반주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상기 사용자가 곡을 선곡할 때 이용하는 선곡 리스트 책자 소정 영역에 인쇄된 광고 정보와 곡번호를 이용하여 DB를 구축하고 상기 생성된 음성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수신 받아 광고 노출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데, 상기 광고 노출 통계 정보가 DB에 등록된 곡번호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 회수를 해당 광고 노출회수로 인식하여 생성시키는 동시에, 상기 생성된 음성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노출 대상이 포함되도록 생성시키는 광고노출 분석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반주기는,
    상기 광고노출 분석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부;
    적어도 하나이상의 광고노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광고노출 정보 저장부;
    사용자의 의도대로 곡이 선곡되고, 선곡된 곡이 연주될 수 있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상기 신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곡이 선곡되어 연주될 수 있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선곡된 곡에 광고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에 의해 광고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한편, 광고노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광고노출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5. 제 3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곡의 전주 구간 및/또는 간주 구간에 상기 노래 반주기의 화면상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반주기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목소리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분석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음성분석 정보 생성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목소리 신호가 음성분석 정보로 이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하고 있는 음성분석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분석 정보 생성부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목소리 신호가 음성분석 정보로 음성분석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노출정보 저장부 및/또는 음성분석정보 저장부에 저정된 광고노출 정보 및 음성분석정보가 상기 광고노출 분석 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노래 반주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광고노출정보 및/또는 음성분석정보를 상기 광고노출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노출 분석 서버는,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전송된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하고 있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 DB;
    상기 노래 반주기로 전송될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수단;
    상기 노래 반주기에 탑재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의 현재 버전과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 저장수단에 저장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의 버전을 비교하여, 상기 노래 반주기에 탑재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갱신시키는 광고노출 프로그램 관리 모듈;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전송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 DB에 저장되도록 지원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 수집/관리모듈; 및
    상기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 수집/관리모듈에 의해 수집, 관리되는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분석 결과가 광고주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광고노출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노출 분석모듈의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는
    상기 노래 반주기에서 전송되는 광고노출 정보 및 음성분석 정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노출 분석모듈은,
    상기 광고노출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노출 회수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노출 대상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11. (1)광고 정보가 포함된 곡이 사용자에 의해 선곡되어 연주되는 경우, 상기 곡이 연주되는 동안, 노래 반주기가 노래 반주기에 탑재되어 있는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 정보가 노래 반주기의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광고 정보가 노출되는 경우 상기 노래 반주기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목소리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음성분석 정보를 포함한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생성된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광고노출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및
    (2) 상기 광고노출 분석 서버에 의해 상기 광고 정보가 포함된 곡 데이터가 상기 노래 반주기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가 곡을 선곡할 때 이용하는 선곡 리스트 책자 소정 영역에 인쇄된 광고 정보와 곡번호를 이용한 DB가 구축되며,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성분석 정보를 포함한 광고노출 분석용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노출 통계 정보가 생성되는데, 상기 광고 노출 통계 정보가 DB에 등록된 곡번호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 회수를 해당 광고 노출회수로 인식하여 생성되는 동시에, 상기 생성된 음성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노출 대상이 포함되도록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광고 노출 통계 정보를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곡의 전주 구간 및/또는 간주 구간에 상기 노래 반주기의 화면상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2)은
    (2-1) 온라인 접속을 이룬 노래 반주기에 탑재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의 현재 버전을 인식하는 과정;
    (2-2) 상기 광고노출 프로그램의 버전을 광고노출 분석 서버에 저장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의 버전과 비교한 결과, 구 버전인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2-3) 상기 노래 반주기에 탑재된 광고노출 프로그램의 버전이 구 버전인 경우, 신 버전의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노래 반주기로 전송하여 광고노출 프로그램을 갱신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방법.
  16. 삭제
KR10-2000-0072351A 2000-12-01 2000-12-01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0431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351A KR100431333B1 (ko) 2000-12-01 2000-12-01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351A KR100431333B1 (ko) 2000-12-01 2000-12-01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301A KR20010016301A (ko) 2001-03-05
KR100431333B1 true KR100431333B1 (ko) 2004-05-14

Family

ID=19702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351A KR100431333B1 (ko) 2000-12-01 2000-12-01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847B1 (ko) * 2002-08-30 2005-01-13 와우커뮤니케이션(주) 이동단말기에의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0848306B1 (ko) * 2007-02-15 2008-07-24 엔에이치엔(주) 광고 소재 동일성을 이용한 광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679A (ko) * 2000-03-11 2000-06-05 임찬웅 인터넷광고 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00058907A (ko) * 2000-07-04 2000-10-05 설융석 노래반주기에서의 노래검색시스템과 방법 및 그 시스템을이용한 광고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679A (ko) * 2000-03-11 2000-06-05 임찬웅 인터넷광고 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00058907A (ko) * 2000-07-04 2000-10-05 설융석 노래반주기에서의 노래검색시스템과 방법 및 그 시스템을이용한 광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301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246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audio services
JP5259212B2 (ja) 音楽連動型広告配信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0952186B1 (ko) 악곡들을 식별하는 방법
US20060089914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mpensating broadcast sources
WO2001020493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diffusion / collecte d&#39;informations audio
KR100465847B1 (ko) 이동단말기에의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0431333B1 (ko)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및 방법
JP2001022670A (ja) 楽曲配信サーバ、プロモーション戦略策定システムおよび楽曲のプロモーション方法
WO2002039340A1 (en) Advertisement segment transaction method and system
KR100404301B1 (ko) 인터넷 음악 / 광고 장치 및 방법
JP2002026831A (ja) 放送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放送コンテンツ提供方法並びに放送コンテンツ提供用ソフトウェア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00058995A (ko) 웹을 이용한 음악작곡 시스템 및 방법
JP2007271903A (ja) 通販対応カラオケシステム
Stiernstedt Maximizing the power of entertainment. The audience commodity in contemporary radio
KR200298044Y1 (ko) 이동단말기에의 광고노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KR100350674B1 (ko) 무료 노래반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230052A1 (ja) ライブ配信装置、ライブ配信方法
JP4123814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再生方法
JP2004213320A (ja) 広告音声課金システム
JP2007271904A (ja) 通販対応カラオケシステム
WO2008075847A1 (en) The real time download system and method of music file on the air
JP2002230186A (ja) 曲名通知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2287772A (ja) 静止画付き楽曲配信システム
JP2002325251A (ja) 映像掲示板装置
KR20190076845A (ko) 공연 음악 플랫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