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157B1 - 직접순차주파수확산방식링크에대한짧은버스트포착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직접순차주파수확산방식링크에대한짧은버스트포착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157B1
KR100430157B1 KR1019960032115A KR19960032115A KR100430157B1 KR 100430157 B1 KR100430157 B1 KR 100430157B1 KR 1019960032115 A KR1019960032115 A KR 1019960032115A KR 19960032115 A KR19960032115 A KR 19960032115A KR 100430157 B1 KR100430157 B1 KR 100430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amble
symbols
symbol
received
antenn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944A (ko
Inventor
앤드렌 칼
씨 파카첼리스 존
브이 루카스 레너드
스넬 짐
Original Assignee
해리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리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해리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7000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04B1/7077Multi-step acquisition, e.g. multi-dwell, coarse-fine or valid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04B1/70751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using partial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04B1/7077Multi-step acquisition, e.g. multi-dwell, coarse-fine or validation
    • H04B1/70775Multi-dwell schemes, i.e. multiple accumulation ti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87Carrier synchronis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Correla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0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 H04B7/08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comparing all antennas before reception
    • H04B7/081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comparing all antennas before reception during preamble or gap peri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narrowband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무선수신기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테나 상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을 평가하여 프리앰블에 뒤이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안테나가 수신해야 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디지털 데이터 무선수신기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신기는 프리앰블 내의 기호의 블록 내에 있는 각각의 기호에 대하여 원하는 주파수로부터의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고, 주파수 오프셋의 분산을 결정하며, 기호 블록 내의 기호의 평균 크기를 결정하고, 여기서 평균 크기의 결정은 주파수 오프셋의 분산을 결정하는 것과 병렬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기는 프리앰블이 실제 잡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것과 병렬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기는 프리앰블이 실제 잡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및 안테나에서 수신품질에 접근하기 위하여 기호 블록에 대한 평균 크기 및 분산을 평가한다. 두 개의 다른 안테나를 가진 수신기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러한 단계들은 하나의 안테나에서 수신된 기호 블록에 대하여 먼저 수행되고 나서 다음으로 다른 안테나에서 수신된 기호 블록에 대하여 수행된다. 그리하여 가장 좋은 수신 상태인 안테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비교할 수 있는 두 개의 평가결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직접 순차 주파수확산방식 링크에 대한 짧은 버스트 포착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무선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안테나들을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 신호의 프리앰블이 신속하게 평가되어 프리앰블에 뒤이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에 가장 좋은 안테나를 선택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 무선수신기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데이터 무선수신기들의 네트워크는, 각각의 수신기들에 대하여 전송 시간, (알려진 주파수로부터의) 전송주파수 오프셋, 혹은 전송 모드 등에 대한 예비적인 지식없이 신속하게 데이터 전송을 포착하기를 요구하고 있는 느슨하게 연결된 노드들의 네트워크와 같이 동작한다.
통상적인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스크램블된 동일한 패턴 및 유니크 워드로 구성되는 프리앰블이 선행하고 있는 데이터 신호가 포함된다. 상기 무선수신기는 뒤따라 오는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기에 앞서 상기 프리앰블을 포착해야만 한다. 상기 프리앰블을 검출하고 포착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오류포착선언율(잡음에 대한 포착 선언)은 비록 잡음이 많은 환경일지라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서, 상기 수신기는 기호(여기서 ' 기호' 라는 말은 프리앰블 양식, 예컨대 주파수확산방식 BPSK 내에서 사용된 단위를 가리킨다) 당 45˚의 위상 회전을 일으킬 수 있는 반송 주파수 오프셋을 허용하기에, 그리고 잡음 레벨에 있어서의 빠른 분산을 허용할만큼 충분히 강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수신기는 단일 안테나, 혹은 수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서너 개의 다른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안테나에 연결된 수신기는 프리앰블에 뒤이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안테나를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 중 하나로 식별해 내어야만 하며, 상기 프리앰블이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수신기는 프리앰블의 제한된 시간주기 내에서 모든 안테나 상에서 상기 프리앰블을 포착하고 가장 좋은 안테나를 식별해 내어야만 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수신기는 통상적으로 복수 개의 안테나를 가지고는 효과적으로 작동하기에는 너무 느리며, 심지어 하나의 안테나만을 가지고도 잡음이 많은 환경하에서는 높은 검출 가능성 및 낮은 오류포착선언율로 동작하지 않았다. 예컨대, 통상적인 수신기는 반송파의 오프셋 주파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위상동기루프에 의하여 포착된 출력과 매칭된 필터 기호 길이를 사용한다. 포착선언은 매칭된 필터로부터의 상관 피크 진폭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기술의 단점이란 상기 위상동기루프가 느리며 신호 레벨이 잡음 레벨 근처에 있는 경우에는 지터의 크기가 클 수 있다는 점이다. 복수 개의 안테나를 가지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서 알려져 있는 것은, 상기 안테나들에 대하여 병렬 처리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이지만, 각각의 처리 경로에 대해서 별도의 위상동기루프 회로를 제공하기 때문에 비용이 추가되며 시스템이 복잡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안테나와 함께 동작하기에 적당하며 허용 가능한 검출가능성 및 오류포착선언율을 유지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 무선수신기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며, 그리고 프리앰블 내의 기호블록 내에서의 기호들에 대하여 다양한 주파수 오프셋과기호블록 내에서의 기호들의 평균 크기가 결정되고 이 값들이 데이터 전송의 품질 및 존재를 평가하기 위하여 함께 사용되는 디지털 데이터 무선수신기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앰블 내의 여러 개의 기호블록 내의 기호들의 평균 크기 및 다양한 주파수 오프셋이 검출된 신호가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 혹은 잡음인지 아닌지의 평가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평가되는 디지털 데이터 무선수신기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수신기에 의하여 블록내로 잘려졌을 때의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의 도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 무선수신기 내의 복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선도이다.
도 3은 도 2에 의한 복조기 내의 코릴레이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부분 블록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복조기 12, 14 : A/D 변환기
16, 18 : 코릴레이터 20 : 변환기
22 : 복조기 24 : 수치조절 오실레이터
26 : 리드/랙 필터 28 : 처리기
30 : 계산블록 32 : 적분기
34 : 타이머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리앰블에 뒤따라오는 데이터 신호를 안테나가 수신해야 할지 말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안테나에서 수신된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을 평가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a) 안테나에서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 내의 기호블록 내의 각각의 기호에 대하여 원하는 주파수로부터의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와, (b) 기호블록 내의 복수 개의 기호들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주파수 오프셋의 분산을 결정하는 단계와, (c) 기호블록 내의 기호들의 평균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여기서 평균 크기의 결정은 주파수 오프셋의 분산의 결정과 병렬로 수행되며, (d) 수신된 프리앰블이 잡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그리고 안테나에서 수신품질에 접근하기 위하여 기호 블록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분산 및 상기 결정된 평균 크기를 평가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두 개의 안테나에서 수신한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을 평가하여 두 개의 안테나 중 하나가 상기 프리앰블에 계속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는 무선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앰블은 복수 개의 기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두 개의 안테나중 하나에서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 내의 기호블록 내의 각각의 기호에 대하여 원하는 주파수로부터의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기호블록 내의 복수 개의 기호들에 대하여 결정된 주파수 오프셋의 분산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기호블록 내의 기호들의 평균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수신된 프리앰블이 잡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고 안테나에서 수신품질에 접근하기 위하여 상기 기호블록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분산 및 상기 결정된 평균 크기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과, 두 안테나 중 어떤 것이 이어지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두 안테나에 대하여 상기 평가된 결과들을 비교하기 위한 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수신기 및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는 안테나에서 수신된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을 평가하여 프리앰블에 따라오는 데이터 신호를 어느 안테나가 수신할 지에 대하여 결정한다. 상기 수신기는 프리앰블 내의 기호들에 대하여 원하는 주파수로부터의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오프셋의 분산을 결정하며, 기호들의 평균 크기를 결정하고, 여기서 평균 크기의 결정은 주파수 오프셋의 분산을 결정하는 것과 평행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프리앰블이 실제로는잡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고 안테나에서 수신품질에 접근하기 위하여 상기 분산 및 평균 크기를 평가한다. 상기 수신기는 프리앰블을 기호블록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들은 포착선언을 할 때까지 분할된 블록 하나 하나에 대하여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러 블록들에 대한 평가 결과들은 수신된 프리앰블이 잡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프리앰블은 수신기가 하나이상의 블록으로 분할할 수 있는 기호 스트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에 의하여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록당 16개의 기호가 들어있는 7개의 블록이 있고, 2개의 기호는 송신기 전원 증폭기가 램핑된 동안 잊혀져 있으며 블록과 유니크 워드 사이의 12개의 기호는 다른 목적을 위하여 사용된다.
두 개의 다른 안테나를 가진 수신기 시스템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 단계들은 먼저 한 안테나에서 수신된 하나의 기호블록에 대하여 수신되고 그 다음에 다른 안테나에서 수신된 그 다음 기호블록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하여 두 개의 평가 결과가 제공되는데 이 평가 결과들은 가장 수신상태가 좋은 안테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비교될 수 있다. 이 결과는 만약 상기 비교가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연속적의 두 개의 블록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경우에 향상될 수 있다(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안테나의 연속적인 블록들은 다른 안테나로부터의 한 블록에 의하여 격리되어 있다).
도 2에 의하여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신된 신호 내의 기호들은 각각의 블록에 기초하여 처리되기 위하여 복조기(10)로 제공될 수 있다(상기 신호는 달리증명되지 않는 한 프리앰블로서 추정되고, 여기서는 비록 그것의 더 정확한 표현이 잠재적인 프리앰블이기는 하지만 프리앰블이라고 표현되고 있다). 기호 확산 시퀀스(아래에서 설명할)를 제거하기 위하여 I 및 Q 성분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 14)를 통과하여 코릴레이터(16, 18)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A/D변환기(12, 14)는 출력신호의 아날로그 I 및 Q 성분을 샘플링하여 코릴레이터(16, 18)에 디지털 I 및 Q성분으로 제공한다. 코릴레이터(16, 18)로부터 출력은 변환기(20) 내에서 결합하고 직교좌표에서 극좌표 형식으로 변환된다. 변환기(20)로부터의 위상 스트림은 크기 스트림으로부터 유도된 타이밍을 사용하여 기호 속도로 표준추출된다. 블록 내의 기호들에 대하여 위상편차의 분산은 다음에 설명된 계산블록(30) 내에서 결정되고, 신호의 존재 및 품질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기 위하여 출력된다(도 2에서 "신호품질 1"로 표시되어 있다). 위상편차의 분산은 위상 오프셋의 분산가능성을 표시하고, 신호가 잡음일 경우에는 높을 것이다. 문턱 분산값은 종래의 검출가능성 및 오류포착선언율에 대한 표준 통계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문턱값을 초과하는 분산은 상기 신호가 잡음임(종래의 확실성 범위에서)을 표시하며 그리하여 상기 신호는 포착을 허용할 수 없음을 표시한다.
또한 변환기(20)으로부터의 출력 크기는 비-간섭 적분을 위한 적분기(32)내로 제공된다. 기호 당 45˚의 위상 오프셋에서 유도된 오프셋 주파수는 간섭적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결과를 매우 크게 쇠퇴시킬 것이기 때문에 비-간섭 적분이 사용된다. 이렇게 하면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도플러 편이 및 코릴레이터 앞의 오실레이터 오프셋에 대한 정정의 필요성(및 하드웨어)을 없앨 수 있다. 이렇게 적분된 출력은 기호 타이밍 및 비트동조진폭을 결정하기 위하여 타이머(34)로 제공된다. 상기 비트동조진폭이란 극좌표에 의해 표현되는 기호의 평균 크기를 말하며 신호의 존재 및 품질(도 2에서는 신호 품질 2로 표시되어 있다)을 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신호 진폭의 척도를 말한다.
도 2에 도시된 채널 클리어 평가단은 수신된 신호가 디지털 신호를 위한 프리앰블인지를 결정하고 특정 안테나상에서 수신된 신호의 품질을 결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주파수 오프셋 분산(신호품질 1) 및 평균 크기(신호품질 2)의 결합은 수신된 신호가 특정한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의 품질 및 데이터 신호를 위한 프리앰블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평균 진폭이 분산가능성과 무관하게 신호 레벨의 좋은 척도임에 비하여, 주파수 오프셋 분산은 신호 진폭과 무관하게 분산가능성의 좋은 척도이다. 이렇게 하여 이들 두 개의 척도는 독립적이며 신호 존재 및 품질의 결정이 정확하게 될 지에 대한 고도의 확실성을 가지고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ABS블록은 PSK 복조기(22)의 출력으로부터 위상 편차의 절대값을 계산하는 회로를 나타낸다.
도 3에 의하여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코릴레이터(16, 18)는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 내의 블록 내의 기호수에 대해 적절한 길이의 덧셈기 트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직접 순차 포착 신호는 각각의 DBPSK 기호에 대하여 PN 확산 패턴에 고정된 짧은 11개의 칩을 가짐으로써, 데이터 신호 내의 데이터 기호들을 포착하기 위하여 짧은 코릴레이터 혹은 시불변 매치된 필터의 사용을 가능케 한다. 코릴레이터는 입력신호가 원하는 신호와 얼마나 강하게 매치되는가(즉 블록 내의 기호들간의 상관정도)를 지시하는 진폭을 가지는 압축된 펄스 출력을 제공한다. 코릴레이터로의 입력은 칩 모서리 상에서 아날로그-디지털 샘플링 때문에 발생하는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정 칩 속도의 두 배로 샘플링된다. 상기 코릴레이터는 각각의 샘플을 저장하지만, 도 3에 의하여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모든 입력 샘플들이 각각의 상관분석 출력 샘플들을 위하여 사용됨으로써 코릴레이터의 덧셈기 트리의 반을 절약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입력샘플 중 아무것도 탈락되지 않으며 상기 코릴레이터는 그렇지 않았으면 필요했을 승산기의 수 중 절반만을 사용하여 실시되고 있다. 코릴레이터 출력은 칩당 두 배의 입력 속도여서 장비 절약이 큰 반면 능력 손실은 최소화된다. 도 3에 의하여 직렬 편이 레지스터 내에 AND 게이트를 추가함으로써 필요할 때 확장될 수 있는 코릴레이터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미사용 덧셈기가 일정한 입력을 가지기 때문에 전력 소모는 최소화된다. 상기 회로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 14)에 의하여 취해져서 코릴레이터(16, 18) 내로 제공되는 22개의 샘플, PN 부호 비트 혹은 칩당 2개의 샘플과 함께 11 비트 PN 부호의 처리를 나타낸다.
주파수 오프셋의 분산을 결정할 때 기호에서 기호로 주파수 오프셋을 주는 위상회전이 사용된다. 상기 프리앰블은 스크램블러에 의하여 변조된 BPSK 라고 추정되므로 데이터는 위상 회전 측정이 수행되기 전에 해체되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코릴레이터 출력은 극좌표로 변환된다. 극좌표 형식의 BPSK 데이터를 해체하는 것은 두 개의 보완적인 각도 데이터의 최상위 비트(MSB)를 제거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나머지 각도는 주파수 항을 유도하기 위하여 감산된다. 이 주파수항은 기호당 위상 증분의 형식을 가지며, 그러므로써 기호당 칩의 수에 독립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16개의 기호로 이루어진 하나의 블록 내에 있는 기호들에 대하여 측정이 행해진다는 사실에 대하여 주목한다. 코릴레이터 내에서 한 기호가 감소한 후, 나머지 15개의 기호가 감산되어 14개의 차로 된다. 기호당 위상 증분을 얻기 위하여, 16/14 (혹은 1 + 1/8)에 의한 곱셈이 행해지므로 (하드웨어로 구현되기 쉬운) 16에 의한 나누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편이 및 더하기 단계로 행해지며 14로 나누기를 하는 것보다 쉽다.
신호 품질 평가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위상 분산에 기초할 수 있다. 분산을 결정하는 방법중 하나는 각각의 평가에서 주파수 평가를 빼고, 그 결과를 제곱하고, 그 제곱을 평균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것은 데이터를 통하여 두 번의 통과를 요구하므로,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분산에 대한 다음의 표준 통계 공식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수학식 1]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N = 14이고, Xi는 각각의 기호에 대한 위상 오프셋을 말한다. 상기 [수학식 1]은 14로 나누는 것을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스케일될 수 있다;
[수학식 2]
상기 [수학식 2]에 있어서, 7/8 이라는 인자는 1 - 1/8 논리에 따라 편이 및 더하기 처리로 수행되므로써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위상 회전은 순차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신호의 복조에 도움이 될 위상동기루프(32)의 시드에 사용될 수 있다. 일단 프리앰블이 받아들여지고 가장 좋은 안테나가 선택되면, 포착선언이 된다. 이미 수행되고 처리기(28) 내에 저장된 측정은 위상동기루프(32)를 위한 초기조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주파수 오프셋은 프리앰블 동안에 그리고 위상동기루프(32)가 작동되기 전에 기호에서 기호로의 위상 회전을 평균화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주파수 오프셋은 위상동조를 가속하기 위한 초기조건으로서 위상동기루프(32)로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종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던 고전적인 위상동기루프에서 걸리던 시간을 절약한다. 또한, 하나의 기호 절대값 위상 샘플이 처리기(28)에 의하여 취해지고 수치조절 오실레이터(NCO)(24)의 시작 위상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일단 시드되면, NCO(24)는 동작될 수 있으며 리드/랙 필터(26)로 연결된다.
변환기(20)로부터의 스트림은 기호 속도로 격감될 수 있으며 위상은 복조기(22)내에서 PSK 복조되기 전에 주파수 오프셋을 위하여 정정될 수 있다. 복조기(22)로부터의 위상편차는 위상동조를 달성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리드/랙 필터(26)를 통하여 NCO(24)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무선수신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테나 상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을 평가하여 프리앰블에 뒤이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안테나가 수신해야 할지 말지를 결정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 무선수신기 및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신기는 프리앰블 내의 기호의 블록 내에 있는 각각의 기호에 대하여 원하는 주파수로부터의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고, 주파수 오프셋의 분산을 결정하며, 기호 블록 내의 기호의 평균 크기를 결정하고, 여기서 평균 크기의 결정은 주파수 오프셋의 분산을 결정하는 것과 평행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기는 프리앰블이 실제 잡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및 안테나에서 수신품질에 접근하기 위하여 기호 블록에 대한 평균 크기 및 분산을 평가한다. 두 개의 다른 안테나를 가진 수신기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러한 단계들은 하나의 안테나에서 수신된 기호 블록에 대하여 먼저 수행되고 나서 다음으로 다른 안테나에서 수신된 기호 블록에 대하여 수행된다. 그리하여 가장 좋은 수신 상태인 안테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비교할 수 있는 두 개의 평가결과를 제공한다.

Claims (10)

  1. 프리앰블에 뒤따라오는 데이터 신호를 안테나가 수신해야할 지 아닐 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안테나에서 수신된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상기 프리앰블은 복수 개의 기호들을 포함한다)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안테나에서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 내의 기호블록 내의 각각의 기호에 대하여 원하는 주파수로부터의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와,
    (b) 기호블록 내의 복수 개의 기호들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주파수 오프셋의 분산을 결정하는 단계와,
    (c) 기호블록 내의 기호들의 평균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여기서 평균 크기의 결정은 주파수 오프셋의 분산의 결정과 평행하게 수행되며,
    (d) 수신된 프리앰블이 잡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그리고 안테나에서 수신품질에 접근하기 위하여 기호 블록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분산 및 상기 결정된 평균 크기를 평가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을 평가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포착이 선언될 때까지 (a)단계에서 (d)단계에까지 단계들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수신된 프리앰블이 잡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호들의 복수 개의 블록에 대하여 결정된 분산을 평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혹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들은 한 쌍의 코릴레이터로 I 및 Q 성분으로 초기에 제공되며, 각각의 코릴레이터는 상기 기호들 내의 확산 순차열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각각의 코릴레이터는 각각의 기호를 소정 칩 속도의 두 배로 샘플링하며 상기 코릴레이터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샘플 중의 하나씩 교대되는 것에 기초하여 있고, 한 쌍의 코릴레이터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신호를 극좌표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기호 블록 내의 기호에 대하여 극좌표 출력을 비-간섭 적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두 개의 안테나 중 하나가 계속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안테나로 수신한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상기 프리앰블은 복수 개의 기호들을 포함한다)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a) 두 개의 안테나 중 하나에서 수신한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 내의 기호 블록 내의 각각의 기호에 대하여 원하는 주파수로부터의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와,
    (b) 기호 블록 내의 복수 개의 기호에 대하여 결정된 주파수 오프셋의 분산을 결정하는 단계와,
    (c) 기호 블록 내의 기호들의 평균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d) 수신된 프리앰블이 잡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고 하나의 안테나에서 수신품질에 접근하기 위하여 기호 블록에 대하여 결정된 분산 및 결정된 평균 크기를 평가하는 단계와,
    (e) 두 개의 안테나 중 다른 하나에서 수신된 프리앰블 내의 기호 블록에 대하여 (a) 단계에서 (d) 단계까지를 반복하는 단계, 및
    (f) 두 개의 안테나 중 어떤 것이 계속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해야 할 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두 개의 안테나에 대하여 평가된 결과들을 비교하는 단계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을 평가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e) 단계 다음에, 포착이 선언될 때까지 (a)단계에서 (e)단계에까지 단계들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수신된 프리앰블이 잡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호들의 복수 개의 블록에 대하여 결정된 분산을 평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 혹은 제6항에 있어서, (a)단계에서 (d)단계까지를 실행하기 위하여 단일 수신기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기에 두 개의 안테나 중 교대되는 하나로부터 기호 블록들을 직렬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c)단계는 (a)단계 및 (b)단계와 평행하게 수행되고 (c)단계 전에 기호 블록 내의 기호들이 극좌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블록들은 한 쌍의 코릴레이터로 I 및 Q 성분으로 초기에 제공되며, 각각의 코릴레이터는 상기 기호들 내의 확산 순차열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각각의 코릴레이터는 각각의 기호를 초정 칩 속도의 두 배로 샘플링하며 상기 코릴레이터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샘플 중의 하나씩이 교대되는 것에 기초하여 있고, 한 쌍의 코릴레이터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신호를 극좌표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기호 블록 내의 기호에 대하여 극좌표 출력을 비-간섭 적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두 개의 안테나 중 하나가 상기 프리앰블에 계속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안테나에서 수신한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상기 프리앰블은 복수 개의 기호들을 포함한다)을 평가하는 무선수신기로서,
    두 개의 안테나 중 하나에서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 내의 기호블록 내의 각각의 기호에 대하여 원하는 주파수로부터의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기호블록 내의 복수 개의 기호들에 대하여 결정된 주파수 오프셋의 분산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기호블록 내의 기호들의 평균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수신된 프리앰블이 잡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고 안테나에서 수신품질에 접근하기 위하여 상기 기호블록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분산 및 상기 결정된 평균 크기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과,
    두 안테나 중 어떤 것이 계속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두 안테나에 대하여 상기 평가된 결과들을 비교하기 위한 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신호 프리앰블을 평가하는 무선수신기.
KR1019960032115A 1995-07-31 1996-07-31 직접순차주파수확산방식링크에대한짧은버스트포착방법및장치 KR100430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00593 1995-07-13
JP95-209240 1995-07-25
US08/509,587 1995-07-31
US08/509,586 1995-07-31
US08/509,589 1995-07-31
US08/509,587 US5883921A (en) 1995-07-31 1995-07-31 Short burst acquisition circuit and method for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links
US08/509,590 1995-07-31
US08/509,588 1995-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944A KR970008944A (ko) 1997-02-24
KR100430157B1 true KR100430157B1 (ko) 2004-07-30

Family

ID=24027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115A KR100430157B1 (ko) 1995-07-31 1996-07-31 직접순차주파수확산방식링크에대한짧은버스트포착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83921A (ko)
EP (1) EP0757451B1 (ko)
JP (1) JPH09135234A (ko)
KR (1) KR100430157B1 (ko)
DE (1) DE69630088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994B1 (ko) * 2012-05-25 2014-06-10 주식회사 위즈노바 캐리어 주파수 오차를 고려한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2807A (en) 1997-03-17 1999-11-09 Harris Corporation High data rate spread spectrum transceiver and associated methods
US6085076A (en) * 1997-04-07 2000-07-04 Omnipoint Corporation Antenna divers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290926B2 (ja) * 1997-07-04 2002-06-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ダイバーシチ装置
WO1999031851A1 (fr) * 1997-12-17 1999-06-24 Kabushiki Kaisha Kenwood Recepteur
FI105629B (fi) 1997-12-22 2000-09-15 Nokia Networks Oy Menetelmä taajuusvirheen estimointiin
US6212368B1 (en) * 1998-05-27 2001-04-03 Ericsson Inc. Measurement techniques for diversity and inter-frequency mobile assisted handoff (MAHO)
US20010033603A1 (en) * 2000-01-21 2001-10-25 Microgistics, Inc. Spread spectrum burst signal receiver and related methods
NZ509688A (en) * 2001-02-01 2003-06-30 Ind Res Ltd Maximum likelihood sychronisation (estimating time delay) for wireless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using a pilot symbol
GB0126067D0 (en) * 2001-10-31 2001-12-19 Zarlink Semiconductor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mpulsive noise method of operating a demodulator demodulator and radio receiver
FR2833435B1 (fr) * 2001-12-06 2004-02-27 Thomson Licensing Sa Methode de selection de chemin de reception et dispositif de reception comprenant plusieurs chemins de reception
GB2398964B (en) * 2003-02-27 2005-08-17 Toshiba Res Europ Lt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US7359692B2 (en) * 2003-06-30 2008-04-15 Zarbana Digital Fund, Llc Method of and device for antennae diversity switching
US8731074B2 (en) * 2008-09-17 2014-05-20 Harris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using measured frequency offset over time to adjust phase and frequency tracking
US8565324B2 (en) * 2008-09-17 2013-10-22 Harris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using measured signal-to-noise ratio to adjust phase and frequency tracking
EP2207273B1 (en) * 2009-01-09 2016-01-06 AKG Acoustics GmbH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igital audio data
US8160503B2 (en) 2009-02-27 2012-04-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characterizing a radio channel of a wireless network using variability of synchronization
US8498350B2 (en) * 2009-04-17 2013-07-30 Raytheon Company Communication system incorporating physical layer waveform structure
US9071342B1 (en) * 2010-04-08 2015-06-30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lat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pseudorandom noise (PRN) codes
JP5571248B2 (ja) 2011-06-02 2014-08-13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カプセル型内視鏡システム
CN115242264B (zh) * 2022-07-18 2024-04-2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基于非数据辅助的短猝发扩频信号捕获及载波恢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5358A (en) * 1981-09-28 1984-11-27 E-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ulse angle modulation
FR2614157B1 (fr) * 1987-04-14 1994-04-08 Thomson Csf Procede de selection automatique d'une antenne de reception directive parmi une pluralite d'antennes de reception
GB9019487D0 (en) * 1990-09-06 1990-10-24 Ncr Co Carrier detection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E69433879T2 (de) * 1993-09-30 2005-08-25 Skyworks Solutions, Inc., Irvine Basisstation für ein digitales schnurloses Telefon mit Mehrfachantennenanordnung
US5621770A (en) * 1994-08-31 1997-04-15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 versions of a signal in a diversity receiv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994B1 (ko) * 2012-05-25 2014-06-10 주식회사 위즈노바 캐리어 주파수 오차를 고려한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57451A2 (en) 1997-02-05
DE69630088D1 (de) 2003-10-30
US5883921A (en) 1999-03-16
EP0757451B1 (en) 2003-09-24
JPH09135234A (ja) 1997-05-20
EP0757451A3 (en) 2000-06-07
DE69630088T2 (de) 2004-07-08
KR970008944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0157B1 (ko) 직접순차주파수확산방식링크에대한짧은버스트포착방법및장치
EP0892528B1 (en) Carrier recovery for DSSS signals
JP4560510B2 (ja) 周波数偏移変調受信機の同期方法及び同期システム
US5271034A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decoding global positioning satellite signals
US5016256A (en) Spread spectrum intercept apparatus and method
JP2751840B2 (ja) 信号検出装置
US53864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signal quality of a digital signal
US20030043947A1 (en) GFSK receiver
US5199050A (en) Pseudorandom (PN) signal synchronization circuit and related method
CA2275456A1 (en) System and method of time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H05316032A (ja) 移動無線受信機及び該受信機付き無線伝送系
US4904930A (en) Method of carrier frequency estimation
EP0757461B1 (en) Method of estimating signal quality for a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receiver
US5214669A (en) Code acquisition process and circuit for a spread-spectrum signal
US6373858B1 (en) Burst format and associated signal processing to improve frequency and timing estimation for random access channels
EP4087176A2 (en) Radio receiver synchronization
US7103089B2 (en) Multibit spread spectrum signaling
US200301439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yclic carrier de-rotation for earliest time of arrival esti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010033603A1 (en) Spread spectrum burst signal receiver and related methods
US6396866B1 (en) Symmetric chirp communications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WO1991020145A1 (en) Signal acquisition
US7346098B2 (en) Communication receiver
KR20010094752A (ko) 코드 위상 상관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7221696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pseudonoise codes or carrier signals under conditions of relatively large chip rate uncertainty
US20230228850A1 (en) Doppler tracking for signals of opportunity using rate-line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