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831B1 - 가동판의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가동판의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831B1
KR100427831B1 KR10-2001-0040863A KR20010040863A KR100427831B1 KR 100427831 B1 KR100427831 B1 KR 100427831B1 KR 20010040863 A KR20010040863 A KR 20010040863A KR 100427831 B1 KR100427831 B1 KR 10042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late
moving
plate
attach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400A (ko
Inventor
마쯔다료이찌
요시까와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데이꼬꾸 쓰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이쯔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꼬꾸 쓰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이쯔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꼬꾸 쓰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접점판이나 클릭판 등의 가동판을 점착시트나 기판 등의 피부착부재에 부착할 때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가동판의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가동판을 연속으로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띠형상판부재 (10) 로부터 가동판을 1장씩 잘라내는 절단수단 (20) 과, 상기 절단한 가동판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50) 과, 이동하는 가동판을 부착하는 점착시트를 탑재하는 탑재수단 (110) 을 구비하고 있다. 탑재수단 (110) 에는 탑재하는 점착시트를 X-Y 평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Y 테이블 (125) 을 형성한다. 이동수단 (50) 은 가동판을 일정한 정점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X-Y 테이블 (125) 에 의해서 위치결정하는 점착시트상에 이동수단 (50) 을 이용해서 이동시키는 가동판을 부착한다.

Description

가동판의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DEVICE AND METHOD OF ADHERING MOVABLE PLATE}
본 발명은 가동접점판이나 클릭판 등의 가동판을 점착시트나 기판 등의 피부착부재에 부착할 때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가동판의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위치기구 중에는, 예를 들어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접점 (201) 을 형성한 기판 (200) 상에 탄성금속판을 돔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가동접점판 (203) 을 탑재하고, 그 위에 합성수지필름의 한쪽 면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시트 (210) 를 접착함으로써 가동접점판 (203) 을 기판 (200) 상에 고정하는 스위치기구가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종류의 스위치기구의 조립은, 통상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시트 (210) 의 점착면측에 가동접점판 (203) 을 저면측을 위로 하여 접착한 가동접점판이 부착된 점착시트를 작성하고, 이것을 뒤집어 기판 (200) 의 스위치접점 (201) 의 형성면에 접착함으로써 실시된다.
도 12 는 가동접점판 (203) 을 점착시트 (210) 로 접착하는 종래의 자동부착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가동접점판의 자동부착장치는 복수의 매거진 (301) 을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매거진 유지구 (303) 와, 흡착이동헤드 (311) 와, 점착시트 (210) 를 탑재하는 탑재수단 (331)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매거진 (301) 은 파이프형상으로서 내부에 다수장의 가동접점판 (203) 을 그 저면이 상향이 되도록 겹쳐 수납하고, 이 바닥으로부터 밀어올림수단 (321) 으로 밀어올리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각 매거진 (301) 은 종횡방향이며, 점착시트 (210) 에 가동접점판 (203) 을 부착하는 모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매트릭스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흡착이동헤드 (311) 는 상기 각 매거진 (301) 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진공흡착부 (313) 를 설치하고, 도시하지 않은 로봇 아암 (머니퓰레이터) 에 부착함으로써 매거진 유지구 (303) 와 탑재수단(331) 사이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착이동헤드 (311) 를 매거진 유지구 (303) 상에 하강시켜 각 진공흡착부 (313) 선단에서 각각 대향하는 각 매거진 (301) 내의 최상부의 가동접점판 (203) 을 흡착하고, 이어서 흡착이동헤드 (311) 를 상승시켜 탑재수단 (331) 상의 점착시트 (210) 상으로 이동시켜 각 가동접점판 (203) 을 점착시트 (210) 에 맞닿음 접촉시켜 접착하고, 각 진공흡착부 (313) 에 의한 흡인을 해제하여 흡착이동헤드 (311) 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가동접점판의 자동부착장치에 있어서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① 흡착이동헤드 (311) 의 진공흡착부 (313) 는 매거진 (301) 내의 가장 상단의 가동접점판 (203) 을 흡착하지만, 가동접점판 (203) 을 흡착하여 흡착이동헤드 (311) 를 상승시켰을 때에 흡착한 가동접점판 (203) 의 하측의 가동접점판 (203) 도 2 장 겹친 채로 들어올려져 이동되어, 2 장 겹친 채로 점착시트 (210) 에 접착될 우려가 있있다.
② 각 매거진 (301) 내에서 가동접점판 (203) 이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다소의 여유가 필요하기 때문에, 매거진 (301) 의 내경 치수가 가동접점판 (203) 의 외경 치수보다도 조금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이 때문에 각 매거진 (301) 내에서 가동접점판 (203) 의 위치가 조금 어긋나기 때문에 점착시트 (210) 로의 접착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특히, 이 종래예와 같이 다수장의 가동접점판 (203) 을 동시에 점착시트 (210) 에 접착하면 각 가동접점판 (203) 사이의 상대적인 어긋남 치수는 커지며, 각 가동접점판 (203) 의 접착위치의 오차가 커진다.
③ 점착시트 (210) 의 형상이나 점착시트 (210) 에 접착하는 가동접점판 (203) 의 수나 위치가 변경된 경우는 하나 하나 그것에 맞추어 매거진 (301) 의 배열과 진공흡착부 (313) 의 배열을 변경할 필요가 있어 절차성이 좋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동접점판이나 클릭판 등의 가동판을 효율 좋고, 정밀도 좋게, 또한 정확하게 점착시트나 기판 등의 피부착부재에 부착할 수 있는 가동판의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가동판의 부착장치의 전체 개략 구성도로서, (a) 는 정면도, (b) 는 우측면도이다.
도 2 는 띠형상판부재 (10)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부분 확대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a) 의 A-A 단면도이다.
도 3 은 절단수단 (20) 과 이동수단 (50) 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4 는 절단수단 (20) 의 일부를 더욱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5 는 X-Y 테이블 (125)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탑재수단 (110-2) 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주요부 평면도, (b) 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7 은 다른 스위치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가동접점판 (100) 에 점착테이프 (P) 를 접착해가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탑재수단 (110-3) 의 주변부분을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10 은 스위치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가동접점판이 접착된 점착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종래의 가동접점판의 부착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가동접점판 (가동판) 10 : 띠형상판부재
11 : 연결부 20 : 절단수단
21 : 펀치 23 : 펀치 받이부재
25 : 펀치용 구멍 50 : 이동수단
51 : 진공흡착헤드 60 : 유지부재 구동기구
71 : 진공흡착헤드 구동기구 75 : 회전부재
79, 81 : 캠홈 83 : 구동원
110 : 탑재수단 113 : X-Y 구동기구
115, 117 : 직선운동구동기구 121 : 회전기구
125 : X-Y 테이블 A1, A2 : 피부착부재 탑재개소
150 : 점착시트 (피부착부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가동판의 부착장치는, 가동판을 연속으로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띠형상판부재로부터 상기 가동판을 잘라내는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한 가동판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직교하는 X-Y 축에 의해 형성되는 X-Y 평면방향으로 이동하는 X-Y 테이블 상에 가동판을 부착하는 피부착부재를 탑재하는 탑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X-Y 테이블을 X-Y 평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한 가동판을 피부착부재 상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수단은, 가동판을 일정한 정점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X-Y 테이블은, 회전기구를 설치함으로써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구성되고, 또한 피부착부재를 탑재하는 피부착부재 탑재개소를 복수개소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가동판의 부착방법은, 직교하는 X-Y 축에 의해 형성되는 X-Y 평면방향으로 이동하는 X-Y 테이블 상에 가동판을 부착하는 피부착부재를 탑재해두는 탑재공정과, 가동판을 연속으로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띠형상판부재로부터 상기 가동판을 잘라내는 절단공정과, 상기 절단한 가동판을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X-Y 테이블 상에 이동시키는 이동공정과, 상기 X-Y 테이블을 X-Y 평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한 가동판을 피부착부재 상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는 부착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가동판을 원하는 스위치접점 상에 부착하는 가동판의 부착방법에 있어서, 띠형상의 탄성금속판의 내부에 연결부에 의해 접속된 가동판을 연속해서 배열하여 구성되는 띠형상판부재를 준비하고, 상기 띠형상판부재 위에 띠형상판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띠형상의 점착테이프를 접착하는 공정과, 상기 연결부를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점착테이프를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점착테이프를 접착한 1 장씩의 가동판을 이동수단에 의해 들어올려 상기 스위치접점 상으로 이송하는 공정과, 상기 점착테이프의 상기 가동판으로부터 삐져나온 양단을 사용하여 가동판을 상기 스위치접점 상에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직교하는 X-Y 축에 의해 형성되는 X-Y 평면방향으로 이동하는 X-Y 테이블 상에 상기 스위치접점을 형성한 피부착부재를 탑재해 두고, 상기 X-Y 테이블을 X-Y 평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한 가동판을 피부착부재 상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가동판의 자동부착장치의 전체 개략 구성도로서, (a) 는 정면도, (b) 는 우측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가동판의 자동부착장치는 하기하는 가동접점판 (100) 을 연속으로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띠형상판부재 (10) 로부터 상기 가동접점판 (100) 을 잘라내는 절단수단 (20) 과, 절단한 가동접점판 (100) 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50) 과, 이동한 가동접점판 (100) 을 부착하는 점착시트 (피부착부재, 동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150) 를 탑재하는 탑재수단 (110)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부분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2 는 띠형상판부재 (10)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부분 확대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a) 의 A-A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판부재 (10) 는 띠형상의 탄성금속판의 내부에 2 개의 연결부 (11, 11) 에 의해 접속된 가동접점판 (100) 을 1 장씩 일렬로 연속해서 배열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가동접점판 (100) 은 도 2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단면을 향하여 돔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그리고, 띠형상판부재 (10) 는 도 1 의 (b) 와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 (13) 에 후프형상으로 감겨져 있으며, 도 1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 (15) 를 통해 절단수단 (20) 으로 공급되고 있다. 또한, 릴 (13) 에 감겨져 있는 띠형상판부재 (10) 의 사이에는 층간지 (12) 가 끼워져 있지만, 이 층간지 (12) 는 층간지 권취릴 (14) 에 의해 권취된다. 이 층간지 (12) 는 띠형상판부재 (10) 끼리가 직접 접촉하면 가동접점판 (100) 이 손상되어 접촉불량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3 은 절단수단 (20) 과 이동수단 (50) 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또, 도 4 는 절단수단 (20) 의 일부를 더욱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양 도면 및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수단 (20) 은 기초 받침대 (1) 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고정된 펀치 (21) 와 대략 평판형상으로 펀치 (21) 위에 소정 치수의 틈 (s) 을 통해 설치되어 내부에 펀치용 구멍 (25) 을 형성한 펀치 받이부재 (23)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펀치 받이부재 (23) 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방향 (화살표 a 방향) 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도시된 위치로부터 틈 (s) 이 없어지는 위치까지 하강한다.
펀치 받이부재 (23) 의 하면의 펀치용 구멍 (25) 의 주위에는 상기 띠형상판부재 (10) 를 삽입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홈 (27) 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도 1 에 나타내는 릴 (13) 로부터 가이드부 (15) 를 통해 끌어내어지는 띠형상판부재 (10) 는 펀치 (21) 와 펀치 받이부재 (23) 사이의 가이드홈 (27) 의 일부로 도입된다.
이어서, 이동수단 (50)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형상의 진공흡착헤드 (51) 와, 진공흡착헤드 (51) 를 상하방향 (화살표 b 방향) 으로 슬라이드이동 자유롭게 유지하는 유지부재 (53) 와, 유지부재 (53) 를 수평방향 (화살표 c 방향) 으로 슬라이드이동 자유롭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55) 와, 봉부재 (57) 의 일단을 고정측의 축 (59) 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함과 동시에, 봉부재 (57) 의 타단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한 봉부재 (58) 의 선단을 유지부재 (53) 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추가로 봉부재 (57) 의 중간부분에 하기하는 회전부재 (75) 의 표면에 형성된 캠홈 (79) 에 걸어 맞추는 롤러 (61) 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유지부재 구동기구 (60) 와, 대략 L 자형으로 굴곡하는 봉부재 (63) 의 굴곡부분을 축 (59) 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함과 동시에, 일단을 하기하는 회전부재 (75) 의 표면에 형성한 캠홈 (81) 에 걸어 맞추는 롤러 (65) 를 설치하고, 또한 타단을 봉부재 (67) 의 일단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또한 봉부재 (67) 를 진공흡착헤드 (51) 의 근원에 형성한 지지부 (69) 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진공흡착헤드 구동기구 (71) 와, 모터 (M) 의 풀리 (73) 와 회전부재 (75) 사이에 벨트 (77) 를 감아 걸침으로써 회전부재 (75) 를 회전시켜 그 표면에 상기 롤러 (61) 와 롤러 (65) 를 걸어 맞추어 봉부재 (57) 와 봉부재 (63) 를 요동시키는 캠홈 (79, 81) 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동원 (83)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진공흡착헤드 (51) 에 진공을 공급하는 진공공급기구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흡착헤드 (51) 의 선단에는 고무패드 (51a) 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 (75) 를 회전시키면, 각 봉부재 (57, 63) 가 요동하여 양자의 움직임을 합성함으로써 진공흡착헤드 (51) 를 화살표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펀치 받이부재 (23) 의 펀치용 구멍 (25) 내로 하강시켜 그 아래에 배치한 띠형상판부재 (10) 에 설치한 가동접점판 (100) 을 흡착하는 위치와, 그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펀치 받이부재 (23) 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하기하는 탑재수단 (110) 의 X-Y 테이블 (125) 상까지 하강하는 움직임을 실시한다.
이어서, 탑재수단 (110)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 (111) 상에 X-Y 구동기구 (113) 와 회전기구 (121) 와 X-Y 테이블 (125) 을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X-Y 구동기구 (113) 는 대 (111) 상에 배치되며, 후술하는 직선운동구동기구 (117) 의 아래에 부착되어 직선운동구동기구 (117) 전체를 직선방향 (예를 들어 X 축 방향) 으로 구동하는 직선운동구동기구 (115) 와, 후술하는 회전기구 (121) 의 아래에 부착되어 회전기구 (121) 전체를 상기 X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직선방향 (예를 들어 Y 축 방향) 으로 구동하는 직선운동구동기구 (117) 에 의해 구성되고, 직선운동구동기구 (115, 117) 를 NC 제어 (수치제어) 에 의해 구동제어함으로써 회전기구 (121) 와 X-Y 테이블 (125) 을 테이블면 방향 (직교하는 X-Y 축에 의해 형성되는 X-Y 평면방향) 으로 이동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또한, 116 은 직선방향 (X 축 방향) 으로 이동하는 직선운동구동기구 (117) 를 지지하는 롤러이다.
회전기구 (121) 는 모터로 구성되며, X-Y 테이블 (125) 을 회전기구 (121) 의 구동축 (122) 에서 부착함으로써, X-Y 테이블 (125) 을 테이블면 (직교하는 X-Y 축에 의해 형성되는 X-Y 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5 는 X-Y 테이블 (125) 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평면도, (b) 는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Y 테이블 (125) 은 직사각형으로서, 그 상면 양측에 2 장의 점착시트 (150) 를 탑재하는 피부착부재 탑재개소 (A1, A2) 를 형성하고, 그 하면에 설치한 회전기구 (121) 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X-Y 테이블 (125) 의 내부는 공동으로 되어 있으며, 피부착부재 탑재개소 (A1, A2) 의 일부에는 각각 복수개의 작은 구멍 (127) 이 형성되고, 또 그 하측에는 X-Y 테이블 (125) 의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진공배기용 파이프 (129) 가 접속되어 있다. 피부착부재 탑재개소 (A1, A2) 의 외주 4개 위치로부터는 핀 (131) 이 돌출되어 있다. 한편, 일측의 피부착부재 탑재개소 (A1) 는 점착시트 (150) 에 가동접점판 (100) 을 접착하는 가동접점판 부착개소 (가동판 부착개소) 이며, 타측의 피부착부재 탑재개소 (A2) 는 점착시트 (150) 의 착탈을 실시하는 피부착부재 착탈개소이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170 은 가동접점판 (100) 을 잘라낸 후의 띠형상판부재 (10) 를 적당한 길이마다 절단하는 스크랩 절단장치이다.
이어서, 이 가동판의 부착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합성수지필름의 한쪽의 면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시트 (150) 를 그 점착면을 상향으로 하여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피부착부재 착탈개소인 피부착부재 탑재개소 (A2) 에 탑재한다. 이 때, 점착시트 (150) 의 4 모서리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 (151) 에 핀 (131) 을 삽입하여 위치결정한다. 또, 이 때 X-Y 테이블 (125) 의 내부는 배기되고 있고, 작은 구멍 (127) 에 의해 점착시트 (150) 는 피부착부재 탑재개소 (A2) 에 흡착되고 있다.
그리고, 회전기구 (121) 를 구동하여 X-Y 테이블 (125) 을 180 도 회전시켜 정지시키면, 이 점착시트 (150) 는 피부착부재 착탈개소로부터 가동접점판 부착개소로 이동한다. 또한, 이 때 반대측의 피부착부재 탑재개소 (A2) 로 이동해온 가동접점판 (100) 의 부착이 완료된 점착시트 (150) 가 있는 경우는 이것을 빼내어 새로운 점착시트 (150) 를 탑재해 둔다.
한편, 이 때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 (13) 로부터 끌어내어진 띠형상판부재 (10) 는 도 3 에 나타내는 펀치 (21) 와 펀치 받이부재 (23) 사이에 도입되고 있으며, 회전부재 (75) 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진공흡착헤드 (51) 를 도 3 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하강시켜 그 선단을 띠형상판부재 (10) 의 가동접점판 (100) 으로 접근시켜 이것을 진공흡착한다. 가동접점판 (100) 은 돔형상의 이면측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는 쪽) 을 상향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면이 흡착된다.
이어서, 이 상태 그대로 펀치 받이부재 (23) 를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화살표 a 의 하측방향으로 하강시켜 이에 의해 가동접점판 (100) 의 일부를 펀치 (21) 상에 탑재한 상태에서 그 주위의 펀치용 구멍 (25) 이 하강하여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1 쌍의 연결부 (11, 11) 가 절단된다.
절단된 가동접점판 (100) 은 진공흡착헤드 (51) 에 의해 펀치용 구멍 (25) 을 통과하여 끌어올려지고, X-Y 테이블 (125) 상에 위치결정되어 탑재되고 있는 점착시트 (150) 상까지 이동하여 밀어붙여져 접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동접점판 (100) 이 진공흡착헤드 (51) 에 의해 이동되는 위치를 항상 동일한 정점으로 하고, 한편 가동접점판 (100) 을 부착한 점착시트 (150) 를 실은 X-Y테이블 (125) 을 X-Y 구동기구 (113) 를 구동시킴으로써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점착시트 (150) 상의 원하는 위치에 가동접점판 (100) 을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이 같이, X-Y 테이블 (125) 을 X-Y 면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한 것은 진공흡착헤드 (51) 를 3 차원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하면, 정밀도 좋게 가동접점판 (100) 을 접착해가기에 시간이 걸리고, 또 고가의 로봇 아암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즉, 진공흡착헤드 (51) 에 의한 이동위치를 일정하게 하여 X-Y 테이블 (125) 에 의해 점착시트 (150) 로의 접착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정밀도 좋고 신속하게 가동접점판 (100) 을 접착해갈 수 있다.
그리고, 진공흡착헤드 (51) 가 원래의 도 3 에 나타내는 위치로 돌아가기 전에 띠형상판부재 (10) 는 절단한 가동접점판 (100) 의 다음의 가동접점판 (100) 까지의 피크분만큼 이동하고 있으며, 펀치 (21) 의 바로 위에는 다음의 가동접점판 (100) 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동작을 반복해가면, 점착시트 (150) 상의 소정의 위치 전부에 가동접점판 (100) 이 접착되어 가고,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동접점판이 부착된 점착시트가 완성된다.
이어서, 모든 가동접점판 (100) 의 접착을 종료하면 회전기구 (121) 에 의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Y 테이블 (125) 을 180 도 회전시켜 가동접점판 (100) 을 접착하지 않은 새로운 점착시트 (150) 가 가동접점판 부착개소로 이동하고, 한편 상기 가동접점판 (100) 의 접착이 종료된 점착시트 (150) 가 피부착부재 착탈개소로 이동하여 새로운 점착시트 (150) 로 교체된다. 상기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점착시트 (150) 로의 가동접점판 (100) 의 접착을 연속으로 실시해갈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점착시트 (150) 의 교체가 사람 손에 의해 실시되고 있지만, 이것을 자동화해도 된다. 도 6 은 점착시트 (150) 의 사람 손에 의한 교체가 필요없는 탑재수단 (110-2) 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주요부 평면도 (다만, 릴 (161, 163) 이나 롤러 (157, 159) 의 기재는 생략), (b) 는 주요부 정면도 (도 1 의 (b) 와 동일한 방향에서 본 도면) 이다. 동 도면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탑재수단 (110-2) 은 X-Y 구동기구 (113) 위에 회전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직접 X-Y 테이블 (125) 에 부착함과 동시에, X-Y 테이블 (125) 상에 띠형상점착시트 (150-2) 를 감아두는 제 1 릴 (153) 과 가동접점판 (100) 을 접착한 후의 띠형상점착시트 (150-2) 를 권취하는 제 2 릴 (155) 을 설치하고, 이들 제 1 릴 (153), 제 2 릴 (155) 을 X-Y 테이블 (125) 의 이동과 함께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면부호 157, 159 는 띠형상점착시트 (150-2) 를 X-Y 테이블 (125) 상으로 접근시켜 배치시키기 위한 위치결정용 롤러, 도면부호 161 은 끌어낸 띠형상점착시트 (150-2) 의 점착면으로부터 박리한 박리지 (165) 를 권취하기 위한 릴, 도면부호 163 은 가동접점판 (100) 을 접착한 후의 점착면에 접착하는 박리지 (167) 를 공급하는 릴이다. 또한, 제 1 릴 (153), 제 2 릴 (155) 의 회전구동기구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릴 (153), 제 2 릴 (155) 을 회전구동시킴으로써, 가동접점판부착부 (E) 에 박리지를 박리한 띠형상점착시트 (150-2) 의 소정 부분을 점착면을 위로 하여 위치하게 하고 정지시켜, X-Y 테이블 (125) 을 제 1 릴 (153), 제 2 릴 (155) 등과 일체로 X-Y 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진공흡착헤드 (51) 에 의해 가동접점판 (100) 을 정점으로 공급하고, 이에 의해 가동접점판 (100) 을 띠형상점착시트 (150-2) 의 원하는 장소위에 접착해간다. 그리고, 이 접착작업이 종료되면, 1 장의 점착시트 (150) 분만큼 띠형상점착시트 (150-2) 를 이동시켜 다시 상기 작업을 반복해간다. 이 같이 구성하면, 사람 손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띠형상점착시트 (150-2) 에 순차적으로 가동접점판 (100) 을 접착해갈 수 있다. 이상의 장치에 의해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동접점판이 부착된 점착시트가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점착시트 (150) 에 다수의 가동접점판 (100) 을 접착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장의 가동접점판 (100) 에 가는 띠형상의 점착테이프 (P) 를 접착한 것을 1 개씩 기판 (200) 의 스위치접점 (201) 상에 접착하는 구조의 것도 있다. 이 같은 스위치구조의 경우는 본 발명을 사용하여 가동접점판 (100) 을 기판 (200) 에 직접 접착해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도 8 은 가동접점판 (100) 에 합성수지필름의 한쪽의 면에 접착층을 형성한 점착테이프 (P) 를 접착해가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이 기구는 도 1 에 나타내는 릴 (13) 과 절단수단 (20) 사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먼저, 도 8 의 (a) 에 나타내는 띠형상판부재 (10) 를 준비한다. 이 띠형상판부재 (10) 는 띠형상의 박판형상의 탄성금속판의 길이방향을 향하고, 그 면이 어느 한쪽의 면쪽으로 만곡하는 가동접점판 (100) 을 세판형상의 연결부재 (11, 11) 에 의해 금속판에 접속한 상태에서, 또한 각 가동접점판 (100) 사이를 간막이하도록 금속판의 상하변을 연결하는 연결부 (101) 를 남긴 상태에서 각 가동접점판 (100) 을 연속적으로 블랭킹가공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그리고, 도 8 의 (a), 도 8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 (13) 로부터 끌어내어진 띠형상판부재 (10) 의 상면 (가동접점판 (100) 의 만곡면이 돌출하는 면쪽) 의 길이방향으로 드럼 (D) 으로부터 끌어내어진 띠형상의 점착테이프 (P) 를 접착해간다. 이어서, 도 8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 (101) 위에서 상기 점착테이프 (P) 를 도시하지 않은 커터로 절단해간다 (커터선 (P1)). 이 때, 연결부 (101) 는 절단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도 3 에 나타내는 절단수단 (20) 의 일부에서 가동접점판 (100) 의 볼록으로 되어 있는 쪽을 위로 하여 진공흡착헤드 (51) 에 흡착하면서 절단수단 (20) 에 의해 1 쌍의 연결부 (11, 11) 를 절단하여 끌어올려 (도 8 의 (d) 참조), 1 개씩 상기 도 7 에 나타내는 기판 (200) 의 스위치접점 (201) 상까지 이동시키고, 점착테이프 (P) 의 가동접점판 (100) 으로부터 삐져나온 양단을 접착하여 가동접점판 (100) 을 스위치접점 (201) 상에 고정해간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도 5 에 나타내는 X-Y 테이블 (125) 상에는 점착시트 (150) 대신에 기판 (200) 을 탑재하고 있다.
도 9 는 상기 구조의 스위치기구에 있어서, 기판 (200) 의 교체를 자동화한 탑재수단 (110-3) 의 주변부분을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이 탑재수단(110-3) 은 도시하지 않은 X-Y 구동기구 (113) 위에 회전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X-Y 테이블 (125) 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도면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가동판 접착위치 (g1) 와, 기판꺼냄위치 (g2) 와, 기판탑재위치 (g3) 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기판탑재위치 (g3) 에는 컨베이어 (k1) 가 접속되고, 기판꺼냄위치 (g2) 에도 컨베이어 (k2) 가 접속되며, 또한 컨베이어 (k1) 와 컨베이어 (k2) 의 각각의 단부에는 기판 스토커 (k3, k4)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 스토커 (k3) 내의 기판 (200) 을 컨베이어 (k1) 를 통해 기판탑재위치 (g3) 상에 위치하고 있는 X-Y 테이블 (125) 상에 탑재하고, 이 X-Y 테이블 (125) 을 가동판 접착위치 (g1) 로 이동시켜 진공흡착헤드 (51) 에 흡착한 상기 점착테이프 (P) 를 접착한 가동접점판 (100) 을 X-Y 테이블 (125) 을 이동시키면서 접착하고, 상기 접착이 완료된 후에 X-Y 테이블 (125) 을 기판꺼냄위치 (g2) 로 이동시켜 벨트 컨베이어 (k2) 를 통해 기판스토커 (k4) 내에 수납해간다.
또한, 상기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같이 1 장씩 가동접점판 (100) 에 점착테이프 (P) 를 접착한 것을 1 개씩 기판 (피부착부재) (200) 의 스위치접점 (201) 상에 접착해가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X-Y 테이블 (125) 을 사용하여 이것을 X-Y 평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위에 탑재한 기판 (200) 의 스위치접점 (201) 에 가동접점판 (100) 을 부착해가도록 하지 않아도 된다. 즉, 예를 들어 테이블 (125) 대신에 고정테이블을 설치하고, 한편 진공흡착헤드 (51) (이동수단 (50)) 를 3 차원 방향으로 이동 (즉, 진공흡착헤드 (51) 를 X-Y 방향으로 이동) 시키도록 함으로써, 테이블 상에 탑재한기판 (200) 의 스위치 접점 (201) 에 1 개씩 가동접점판 (100) 의 양단으로부터 삐져나온 점착테이프 (P) 를 접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진공흡착헤드 (51) 는 예를 들어 로봇 아암 (머니퓰레이터) 에 부착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즉, 직접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가 없는 어떠한 형상이나 구조나 재질이라도 본 발명의 작용ㆍ효과를 나타내는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동판으로서 가동접점판을 사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클릭판과 같은 다른 가동판이라도 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 가동판을 부착하는 피부착부재도 점착시트나 기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각종 피부착부재라도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접점판이나 클릭판 등의 가동판을 효율 좋고, 정밀도 좋게, 또한 정확하게 점착시트 등의 피부착부재에 부착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가동판을 연속으로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띠형상판부재로부터 상기 가동판을 잘라내는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한 가동판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직교하는 X-Y 축에 의해 형성되는 X-Y 평면방향으로 이동하는 X-Y 테이블 상에 가동판을 부착하는 피부착부재를 탑재하는 탑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X-Y 테이블을 X-Y 평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한 가동판을 피부착부재 상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판의 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가동판을 일정한 정점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판의 부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X-Y 테이블은 회전기구를 설치함으로써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구성되고, 또한 피부착부재를 탑재하는 피부착부재 탑재개소를 복수개소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판의 부착장치.
  4. 직교하는 X-Y 축에 의해 형성되는 X-Y 평면방향으로 이동하는 X-Y 테이블 상에 가동판을 부착하는 피부착부재를 탑재해 두는 탑재공정과,
    가동판을 연속으로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띠형상판부재로부터 상기 가동판을 잘라내는 절단공정과,
    상기 절단한 가동판을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X-Y 테이블 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공정과,
    상기 X-Y 테이블을 X-Y 평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한 가동판을 피부착부재 상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는 부착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판의 부착방법.
  5. 가동판을 원하는 스위치접점 상에 부착하는 가동판의 부착방법에 있어서,
    띠형상의 탄성금속판의 내부에 연결부에 의해 접속된 가동판을 연속해서 배열하여 구성되는 띠형상판부재를 준비하고,
    상기 띠형상판부재 위에 띠형상판부재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띠형상의 점착테이프를 접착하는 공정과,
    상기 연결부를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점착테이프를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점착테이프를 접착한 1 장씩의 가동판을 이동수단에 의해 들어올려 상기 스위치접점 상으로 이송하는 공정과,
    상기 점착테이프의 상기 가동판으로부터 삐져나온 양단을 사용하여 가동판을 상기 스위치접점 상에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판의 부착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직교하는 X-Y 축에 의해 형성되는 X-Y 평면방향으로 이동하는 X-Y 테이블 상에 상기 스위치접점을 형성한 피부착부재를 탑재해 두고, 상기 X-Y 테이블을 X-Y 평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한 가동판을 피부착부재 상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판의 부착방법.
KR10-2001-0040863A 2001-04-26 2001-07-09 가동판의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KR100427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28801 2001-04-26
JP2001128801A JP3764064B2 (ja) 2001-04-26 2001-04-26 可動板の取付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400A KR20020083400A (ko) 2002-11-02
KR100427831B1 true KR100427831B1 (ko) 2004-04-28

Family

ID=18977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863A KR100427831B1 (ko) 2001-04-26 2001-07-09 가동판의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64064B2 (ko)
KR (1) KR100427831B1 (ko)
CN (1) CN1231938C (ko)
TW (1) TW5172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1047A (zh) * 2014-03-25 2014-06-11 常州市金铃摩擦材料有限公司 一种拼纸贴片方法和拼纸贴片机
KR101512115B1 (ko) * 2014-12-10 2015-04-14 인포지씨 주식회사 에칭시트지 부착방법
WO2018109855A1 (ja) * 2016-12-14 2018-06-21 株式会社Fuji 部品装着機
CN107293428B (zh) * 2017-08-18 2019-09-10 平湖市超越时空图文设计有限公司 一种压力保护开关的上盖组件装配生产线
CN109698085A (zh) * 2019-01-19 2019-04-30 广东集网电力有限公司 梅花触头弹簧安装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1856A (zh) 2002-11-27
JP2002324447A (ja) 2002-11-08
CN1231938C (zh) 2005-12-14
TW517253B (en) 2003-01-11
JP3764064B2 (ja) 2006-04-05
KR20020083400A (ko) 200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96398A (ja) 部品装着装置
CN107973163B (zh) 轮胎用rfid电子标签的层合设备
JPH0887007A (ja) 偏光板の貼り付け装置
US4887758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external leads
KR100427831B1 (ko) 가동판의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JPS644904B2 (ko)
JP2002362524A (ja) 自動ラベル貼付装置
JP2004244078A (ja) ラベル貼付装置、ラベル吸着方法および装置
JP2003175922A (ja) 自動ラベル貼付装置
JPH10273262A (ja) テープ材貼付け装置
JPH01321257A (ja) 薄板と粘着テープの貼着方法
KR900004865B1 (ko) 컴퓨터용 디스크의 제조장치
CN112357665A (zh) 搬运装置与防尘用网对贴机
JP2555961B2 (ja) 粘着ラベルハンドリング方法
CN217575987U (zh) 一种吸标机构及设备
JP3859319B2 (ja) 部品供給装置、部品実装機、及び部品実装方法
JPH0492456A (ja) 台紙からのラベル分離装置
JPH10167240A (ja) ラベル貼付け装置
CN220563117U (zh) 贴标执行终端及自动贴标设备
CN114132556B (zh) 贴膜装置、自动化贴膜产线及贴膜方法
JPS61244417A (ja) 部品取付装置における基板移動位置決め機構
CN212197829U (zh) 胶条传送装置、胶条传送系统以及模组粘接设备
JP4452817B2 (ja) 回路基板用シート状ワークの枠貼装置
JPH09148789A (ja) 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2001089019A (ja) シート部材の受け渡し方法及び装置及びシート置き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