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396B1 - Cord closure - Google Patents

Cord clo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396B1
KR100427396B1 KR10-2002-0022224A KR20020022224A KR100427396B1 KR 100427396 B1 KR100427396 B1 KR 100427396B1 KR 20020022224 A KR20020022224 A KR 20020022224A KR 100427396 B1 KR100427396 B1 KR 10042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base
hole
stopper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90114A (en
Inventor
네즈미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90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1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396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과제) 끈에 대한 걸림력을 증대시키며 끈에 대한 부착조작을 양호하게 한다.(Task) To increase the grip on the string and to improve the attachment to the string.

(해결수단) 끈(2)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며, 끈(2)의 일단(2a)을 고정함으로써, 끈(2)에 대한 부착부와 끈(2)의 일단(2a)과의 사이에 끈 루프부(2b)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구(4)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고정구(4)는, 끈(2)의 일단(2a)을 고정하는 고정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그 기단(21)을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스토퍼(20)로 이루어진다. 스토퍼(20)는, 일단(2a)을 상하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끼워 통과시키는 관통구멍(23)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관통구멍(23)에 관통되어서 상하면의 타측으로 인출된 일단(2a)을 다시 상하면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상기 기단 부근으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 베이스(10)에 대해서 회동됨으로써, 끈(2)의 대응부분을 기단(21)과 베이스(10)와의 사이에서 협지하여 끈(2)에 부착가능하게 한다.(Solution means) It is attached to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string 2, and between the attachment part to the string 2 and the one end 2a of the string 2 by fixing the one end 2a of the string 2 The fastener 4 which makes it possible to form the string loop part 2b is made into the object. The fastener 4 has a base 10 on which a fixing portion 12 for fixing one end 2a of the string 2 is formed, and a stopper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base end 21 to the base 10. It consists of 20. The stopper 20 has a through hole 23 through which one end 2a is inserted from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o the other side, and the one end 2a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3 and drawn out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10 in the state drawn out from the vicinity of the base end, so that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tring 2 is sandwiched between the base end 21 and the base 10 so that the string 2 To be attached).

Description

끈용 고정구{CORD CLOSURE}Strap fastener {CORD CLOSUR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텐트의 설영등에 사용되는 로프나 띠, 끈(이하, 이것들을 끈이라 칭한다)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er attached to an arbitrary position of a rope, a band, or a string (hereinafter, these are referred to as a string) used for setting up a tent, for example.

도 7은 텐트의 설영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텐트(1)는, 도시하지 않은 심재에 의해서 소정 크기의 다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각 모서리를 따라서 부설된 당김용 끈(2)이 지면측에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사용상태로 유지된다. 당김용 끈(2)은, 그 자유단인 일단(2a)측이 지면에 고정된 앵커재(3)(이것이 없을 때는 주변에 있는 나무나 바위등)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텐트(1)를 소정의 장력으로 유지한다. 이러한 당김용 끈(2)을 걸어서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당김용 끈(2)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끈(2)의 일단(2a)을 고정함으로써, 끈(2)에 대한 부착부와 일단(2a)과의 사이에 걸림용 끈 루프부(2b)의 형성을 가능케 하는 고정구가 사용된다.7 shows an example of setting up a tent. The tent 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 of a predetermined size by a core material (not shown). The tent 1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pulling strings 2 placed along each corner are pulled on the ground side to be in use. maintain. The pulling string 2 is fixed to the anchor member 3 (the absence of this by surrounding trees or rocks, etc.) fixed to the ground at one end 2a, the free end thereof, to thereby fix the tent 1. Keep at tension. In a state where the pulling string 2 is fixed by hanging, the attachment portion to the string 2 is attached to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pulling string 2 and by fixing one end 2a of the string 2. And a fastener for enabling the formation of the locking string loop portion 2b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ne end 2a is used.

도 8은 상기 고정구의 종래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고정구(50)는, 수지 또는 금속제의 길고 가는 판형태로 이루어지며, 당김용 끈(2)의 일단(2a)이 상하로 관통되는 3개의 구멍(51,52,53)을 가지고 있다. 상측 구멍(51)과 중간 구멍(52)은 고정구(50)를 당김용 끈(2)에 부착하는 관통구멍이고, 하측 구멍(53)은 상기 일단(2a)을 고정하는 부착구멍이다. 즉, 이 구조에 있어서 일단(2a)은, 도 8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51)에 상ㆍ하면의 아래에서 위로 관통되고, 다시 관통구멍(52)에 위에서 아래로 관통되면서 크게 인출된 뒤, 부착구멍(53)에 아래에서 위로 관통된 후 그 선단에 빠짐방지용 매듭(2c)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고정구(50)는, 끈(2)이 관통구멍(51,52)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면서 방향을 변화시킬 때에 구멍의 가장자리에 걸림으로써 끈(2)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며, 또한, 관통구멍(52)과 부착구멍(53)과의 사이에 있는 끈부분의 인출량, 즉 끈 루프부(2b)의 크기를 가변시킴으로써 끈(2)의 실질적인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하는 것이다.8 shows a conventional example of the fastener. The fastener 50 is made of a long thin plate made of resin or metal, and has three holes 51, 52, 53 through which one end 2a of the pulling string 2 penetrates up and down. The upper hole 51 and the middle hole 52 are through holes for attaching the fastener 50 to the pulling string 2, and the lower hole 53 is It is an attachment hole which fixes one end 2a. That is, in this structure, one end 2a penetrates up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51 from the top and the bottom surface as shown by the virtual line of FIG. After being drawn out, the attachment hole 53 is penetrat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reof, and then a fall prevention knot 2c is formed at the tip thereof. As a result, the fastener 50 is attached to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string 2 by being caught by the edge of the hole when the string 2 is inserted or drawn out through the through holes 51 and 52 to change the direction. In addition, the actual length of the string 2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amount of pull out of the string portion between the through hole 52 and the attachment hole 53, that is, the size of the string loop portion 2b.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구(50)에 있어서는, 특히 끈(2)에 대한 걸림력이 우수함과 아울러 원터치로 조작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구(5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이 구조에서는 고정구(50)가, 끈(2)을 관통구멍(51)에서 관통구멍(52)으로 관통시킨 상태로 끈(2)에 부착되는데, 구멍의 지름을 크게 하면 끈(2)에 대한 걸림력이 약해지고, 그 반대로 구멍의 지름을 작게 하면 일단(2a)을 관통시키기 어려워진다. 재질적으로는, 수지제인 경우에는 관통구멍(51,52)이 마모되어 부착상태에서 어긋나기 쉽고, 금속제인 경우에는 마모되지는 않으나 끈(2)이 손상되기 쉽다. 또한, 고정구(50)가 일단 끈(2)에 부착된 뒤, 예를 들어 끈 루프부(2b)의 인출량을 가변시켜서 끈(2)의 실질적인 길이를 짧거나 길게 해야하는 일(이것을 재조정 조작이라 칭한다)도 많은데, 그러한 경우에 끈(2)을 잡아 당기면서 지름이 작은 관통구멍(51)에서 관통구멍(52)으로 움직여야하므로 조작성이 좋지 못하다.In the fastener 50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be excellent in the locking force on the string 2 and to be able to operate in one touch. However, the conventional fixture 50 has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in this structure, the fastener 50 is attached to the string 2 in a state in which the string 2 is penetrated from the through hole 51 to the through hole 52. When the diameter of the hole is increased, the string 2 The locking force on the side becomes weak, and conversely, when the diameter of the hole is made small, it becomes difficult to penetrate one end 2a. In the case of the resin, the through-holes 51 and 52 are abrasion-prone and easily shifted in the attached state. In the case of the metal, the through-holes 51 and 52 are not worn. In addition, after the fastener 50 is once attached to the string 2, for example, a draw length of the string loop portion 2b is varied to shorten or lengthen the substantial length of the string 2 (this is referred to as readjustment operation). In such a case, the maneuverability is not good because in such a case, it is necessary to move from the small through-hole 51 to the through-hole 52 while pulling the string 2.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끈에 대한 걸림력을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부착조작을 다소나마 양호하게 하고, 또한 상기한 재조정 조작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끈용 고정구를 실현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에 대해서는 하기의 내용 중에 명확히 할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stener for a string that can increase the locking force on the string and at the same time make the attaching operation somewhat satisfactory, and can easily perform the readjustment operation described above. Other purposes will be clarified in the following.

도 1은 본 발명의 형태예인 고정구를 사용상태로 나타내는 작용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astene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use

도 2는 상기 고정구의 개략적인 외관도2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the fixture;

도 3은 상기 고정구의 세부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details of the fastener;

도 4는 상기 고정구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ture

도 5는 상기 고정구의 베이스 단품을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single unit of the base of the fixture

도 6은 상기 고정구의 스토퍼 단품을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 stopper unit of the fixture.

도 7은 본 발명의 대상인 고정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D부분에 이용되고 있는 종래의 고정구를 나타내는 도면FIG. 8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astener used for part D of FIG.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 - 고정구 10 - 베이스4-Fixture 10-Base

11 - 부착부 12 - 부착구멍(고정부)11-Attachment 12-Mounting Hole (Fixed)

15 - 양 벽부 16 - 협지부15-Both Walls 16-Wedges

17 - 단차 저면(규제부) 18 - 통과구멍17-stepped bottom (regulator) 18-through hole

20 - 스토퍼 21 - 기단20-Stopper 21-Podium

22 - 선단 23 - 관통구멍22-Tip 23-Through Hole

26 - 걸림돌조 2 - 끈26-Bump 2-String

2a - 끈의 일단 2b - 끈 루프부2a-end of string 2b-string loop

2c - 매듭2c-kno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텐트의 설영등에 사용되는 끈(2)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며, 상기 끈(2)의 일단(2a)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끈(2)에 대한 부착부와 끈(2)의 일단(2a)과의 사이에 끈 루프부(2b)의 형성을 가능케 하는 고정구(4)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는, 상기 끈(2)의 일단(2a)을 고정하는 고정부(12)를 형성하고 있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그 기단부(21)를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킨 스토퍼(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20)는, 상기 끈(2)의 일단(2a)을 상ㆍ하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시키는 관통구멍(23)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관통구멍(23)에 관통되어상ㆍ하면의 타측으로 인출된 끈(2)의 일단(2a)을 다시 상ㆍ하면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상기 기단 부근으로부터 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에 대해서 회동됨으로써, 상기 끈(2)의 대응부분을 상기 기단부(21)와 베이스(10)와의 사이에서 협지(挾持)하여 끈(2)에 대한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illustrated in Figures 1 to 6, attached to any position of the string (2) used for setting up the tent, etc., one end (2a) of the string (2) In the fastener 4 which enables the formation of the string loop portion 2b between the attachment portion to the string 2 and the one end 2a of the string 2 by fastening, the fastener 4 is And a base (10) forming a fixing portion (12) for fixing one end (2a) of the string (2), and a stopper (20) rotatably connecting the proximal end portion (21) to the base (10). The stopper 20 has a through hole 23 through which one end 2a of the string 2 penetrates from one side of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to the other side, and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23. One end 2a of the string 2 penetrated and drawn out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s pulled from the vicinity of the base end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o one side again. By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switch 10,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strap 2 is sandwiched between the proximal end 21 and the base 10 to enable attachment to the strap 2. Doing.

이상의 고정구(4)는,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텐트 설영용 끈(2)을 앵커(3)측에 걸어서 고정하는 경우등에 이용된다. 사용 요령은, 끈(2)의 일단(2a)을 관통구멍(23)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시키고, 스토퍼(20)의 기단(21) 부근에서 일측으로 인출한 후, 스토퍼(20)를 회동조작하면, 끈(2)의 대응부가 기단(21)과 베이스(10)와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구(4)가 끈(2)의 적절한 위치에 부착된다. 일단(2a)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베이스(10)의 고정부(12)에 고정된다. 그러면, 끈(2)의 전체길이는 고정구(4)와 고정부(12) 사이의 인출량, 즉 끈 루프부(2b)의 크기에 맞춘 길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앵커(3)등에 걸어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재조정 조작으로는, 예를 들면 고정구(4)의 바로 앞의 끈부분을 잡아당긴 상태에서, 스토퍼(20)를 상기의 회동방향과 반대측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협지상태를 해방시킨 뒤, 끈 루프부(2b)의 길이를 가변시키고 다시 협지방향으로 회동조작한다. 이 구조의 특징은, 고정구(4)를 끈(2)을 따라서 부착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끈(2)에 대한 부착 조작성을 양호하게 하고 상기 부착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걸림력의 증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즉, 이 구조에서는, 일단(2a)이 스토퍼(20)측의 관통구멍(23)에서 기단(21)쪽으로 인출됨과 아울러 베이스(10)측의 고정부(12)에 고정되기 때문에, 부착상태에서는 고정구(4)가 종래와 같이 끈(2)을따라서 배치된다. 이 구조에서는, 끈(2)에 대한 걸림력이 기단(21){기단과 베이스(10)사이}의 협지력과 비례하기 때문에, 관통구멍(23)의 지름을 크게 해서 일단(2a)의 관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회동이라는 원터치 조작에 의해서 끈(2)에 부착할 수 있다. 재조정 조작은, 종래와 같이 끈 대응부분을 지름이 작은 관통구멍에서 관통구멍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에 비해서 조작성이 우수한 스토퍼(20)의 회동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The fastener 4 described above is us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xing the tent string 2 for hanging on the anchor 3 side as shown in FIG. 7. In order to use, one end 2a of the string 2 is penetrated from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23 to the other side, and the stopper 20 is rotated after drawing out to one side near the base end 21 of the stopper 20. When operated,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tring 2 is sandwiched between the base end 21 and the base 10, and the fastener 4 is attached to the proper position of the string 2. One end 2a is fixed to the fixing part 12 of the base 10 as in the prior art. Then, the entire length of the string 2 is fixed to the anchor 3 or the like, since the entire length of the string 2 is a length that matches the amount of drawout between the fastener 4 and the fixing portion 12, that is, the size of the string loop portion 2b. It becomes possible. In the readjustment operation, for example, the stopper 20 is rotated to the opposite side to the rotation direc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string portion immediately in front of the fastener 4 is pulled out to release the clamping state, and then the string loop portion ( The length of 2b) is changed and rotated again in the sandwiching direction. The feature of this structure is that, on the premise of attaching the fastener 4 along the string 2,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ttachability to the string 2 and to increase the holding force while maintaining the attachability. In that it can. That is, in this structure, the one end 2a is drawn out from the through hole 23 on the stopper 20 side to the base end 21 and is fixed to the fixing part 12 on the base 10 side. The fastener 4 is arranged along the string 2 as in the prior art. In this structure, since the lock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string 2 is proportional to the clamping force of the base end 21 (between the base end and the base 10),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3 is enlarged and the one end 2a penetrates. Castle can be secured and can be attached to the string 2 by the one-touch operation of rotation. The readjustm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stopper 20 which is excellent in operability compared to mov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tring from the through hole having a small diameter to the through hole as in the prior art.

이상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embodied as follows.

첫째, 상기 베이스(10) 및 상기 스토퍼(20)는 끈(2)의 대응부분을 상기 기단(21)과 베이스(10) 사이에 협지한 상태로 끈(2)을 따라서 대략 직선형상으로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것은, 상기한 점을 확실하게 특정한 것으로써,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외관을 보기 좋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First, the base 10 and the stopper 20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along the string 2 in a state in which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tring 2 is sandwiched between the base end 21 and the base 10. Configuration. This reliably specifies the above points, and makes it possible to keep the appearance in the use state beautifully.

둘째, 상기 베이스(10)는 끈(2)의 일단(2a)을 상하방향으로 관통시키며 빠짐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부착구멍(12)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를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20)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17)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부착구멍(12)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전용 고정부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일단(2a)에 매듭(2c)을 형성해서 빠짐방지 가능하게 한다. 규제부(17)는, 상기 협지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거나, 회동범위를 규제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Second, the base 10 forms the fixing part by an attachment hole 12 that penetrates one end 2a of the string 2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prevents it from falling out, and the stopper 20 The control part 17 which regulates the range of rotation of) is comprised. The attaching hole 12 forms a knot 2c at one end 2a without a dedicated fixing member as in the prior art,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off. The restricting section 17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the holding state more stably o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regulating the range of rotation.

셋째, 상기 스토퍼(20)의 기단(21)은 끈부착용 걸림돌조(26)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기단(21)에 대응하는 대략 ㄷ자형상의 부착부(11)를 가지며, 상기 부착부(11)가 상기 기단부(21)를 ㄷ자형상의 양 벽부(15,15)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ㄷ자형상 내의 단차 저면(17)에 끈(2)의 일단(2a)을 관통시키는 통과구멍(18)을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상기한 협지력을 걸림돌조(26)에 의해서 소망하는 크기로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단차 저면(17) 및 통과구멍(18)의 존재에 의해서 기단(21)에 대한 협지부(16)를 확보할 수 있고, 후술할 규제부(17)를 쉽게 확보 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Third, the base end 21 of the stopper 20 has a locking protrusion 26 for attaching a string, and the base 10 has an approximately c-shaped attachment part 11 corresponding to the base end 21. The attachment part 11 supports the proximal end 21 to the c-shaped walls 15 and 15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one end 2a of the string 2 to the bottom face 17 of the c-shaped step. It is the structure which forms the through-hole 18 to penetrate. This can set the above-mentioned clamping force to a desired magnitude | size by the latching protrusion 26, and the clamping part 16 with respect to the base end 21 is provided by the presence of the step | difference bottom face 17 and the through-hole 18. FIG. There is a meaning that it can be secured, and the regulatory unit 17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secured.

넷째, 상기 베이스(10)의 규제부(17)는, 상기 ㄷ자형상 내의 단차 저면(17)의 일부를 이용해서 가는 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통과구멍(18)의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규제부(17)의 강성{소돌기보다 강한 것}을 확보함과 아울러, 통과구멍(18)의 부근에 배치되는 상기 걸림돌조(26)가 맞닿도록 하여 스토퍼(20)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게 한다.Fourth, the restricting portion 17 of the base 10 is formed in a thin shape using a part of the stepped bottom face 17 in the c-shape, and is located just in front of the passage hole 18. Configuration. This ensures the rigidity of the restricting portion 17 (which is stronger than the protrusions), and also allows the locking projections 26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passage hole 18 to abut so as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stopper 20. Make it possible.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형태의 끈용 고정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중, 도 1은 고정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끈에 대한 조립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b)는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고정구의 외관도이다. 도 3은 고정구의 세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 (c)는 측면도, (d)는 좌측 단면도, (e)는 우측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의 A-A선 단면도, 도 4(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베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상면도, (b)는 (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스토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1-6 show the fastener for strings of the form of this invention. Among these, FIG. 1 shows an example of use of a fastener, (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to the string, and (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2 is an external view of the fixture. Fig. 3 shows details of the fastener, where (a) is a plan view, (b) is a bottom view, (c) is a side view, (d) is a left sectional view, and (e) is a right sectional view.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a), and FIG.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5: shows a base, (a) is a top view, (b)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C-C line of (a). FIG. 6: shows a stopper, (a) is a top view, (b) is a side view.

[구조예] 도면의 고정구(4)는, 베이스(10) 및 스토퍼(20)의 2가지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스토퍼(20)가 베이스(10)에 대해서 소정 각도만큼 회동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베이스(10) 및 스토퍼(20)는 모두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다른 재질이라도 지장은 없다. 전체의 크기는 작도상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으나, 예를 들어 고정구(4)가 도 7의 3∼5인용 텐트(1)의 설영용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전체칫수가 20∼50㎜, 두께는 3∼6㎜ 정도인 소형의 것이다.[Structure] The fastener 4 in the figure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base 10 and the stopper 20, and the stopper 20 is assembl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10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base 10 and the stopper 20 are all made of a resin molded article, but other materials do not interfere. Although the overall size is shown enlarged on the drawing, for example, when the fixture 4 is us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tent 1 for 3 to 5 persons in FIG. It is a small one of about 6 mm.

베이스(10)는, 도 3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혀형상을 이루며, 일단측에 형성되어 스토퍼(20)와 연결되는 부착부(11)와, 타단측의 원호중심부에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된 부착구멍(12)을 가지고 있다. 부착구멍(12)은, 타단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의 지름이 끈(2)의 지름보다 크기 때문에 끈(2)의 일단(2a)이 하면측에서 상면측으로 부드럽게 관통된다. 상면측에 있어서, 부착구멍(12)을 중심으로 소돌기(14)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타단측에서부터 부착구멍(12)을 향해서 소돌기(14)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로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로홈(13)은, 도 1과 같이 일단(2a)에 형성되는 빠짐방지용 매듭(2c)을 받아들여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부착부(11)는, 일단측에 있어서 중간부를 위에서 아래로 절결한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ㄷ자형상의 양 편부에 해당하는 양측의 벽부(15)와, ㄷ자형상의 중간편부에 해당하는 협지부(16)와, ㄷ자형상의 내측 아랫부분에 있는 통과구멍(18)을 가지는 단차 저면(17)으로 구획 되어 있다. 양 벽부(15)간의 칫수는, 후술하는 스토퍼(20)의 기단(21)에 대응한폭칫수로 되어 있다. 각 벽부(15)에는, 동축선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축구멍(15a)과, 상면측으로부터 축구멍(15a) 근방까지 절결된 테이퍼형상의 가이드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16)는, 도 5(b)와 같이 아래로 갈수록 일단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측이 단차 저면(17)에 형성된 통과구멍(18)의 대응부와 그 면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즉, 단차 저면(17)은, 본 발명의 규제부가 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ㄷ자형상 내의 앞측에 상당되는 부분을 결여시키고, 협지부(16)측을 상하로 관통한 통과구멍(18)에 의해서 결여시켜서, 가늘고 긴 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협지부(16)는, 하면측으로부터 오목형상으로 절결된 공동부(19)에 의해서 약간 탄성변형되도록 되어 있다.The base 10 has a substantially tongue shape as shown in FIGS. 3 and 5, is formed at one end and is attached to the stopper 20 to be connected to the stopper 20, and is formed at an arc center portion at the other end of the base 10. It has a penetrating attachment hole 12. The attachment hole 12 is formed at intervals from the other end, and because the diameter of the hole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ring 2, one end 2a of the string 2 penetrates smoothly from the lower surface side to the upper surface side. On the upper surface side, a plurality of small protrusions 14 are formed around the attachment hole 12, and the horizontal grooves 13 are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mall protrusions 14 from the other end toward the attachment hole 12. ) Is formed. This lateral groove 13 accepts the fall prevention knot 2c formed at one end 2a as shown in FIG. The attachment part 11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 shape which cut | disconnected the middle part from the top side at the one end side, and corresponds to the wall part 15 of both sides which correspond to both sides of a c-shape, and a c-shaped middle piece part. It is partitioned into the step part bottom surface 17 which has the clamping part 16 and the passage hole 18 in a C-shaped inner lower part. The dimension between both wall parts 15 is a width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end 21 of the stopper 20 mentioned later. Each wall portion 15 is formed with a shaft hole 15a formed through the coaxial line, and a tapered guide portion 15b cut out from the upper surface side to the vicinity of the shaft hole 15a. The clamping portion 16 is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toward one end toward the lower side as shown in Fig. 5 (b),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through hole 18 formed on the stepped bottom surface 17 and the surface thereof are To match. That is, the stepped bottom surface 17 is a portion which becomes the restri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lack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side in the c-shape and is missing by the passage hole 18 penetrating the clamping portion 16 side up and down. It is formed in thin elongate shape. Moreover, the clamping part 16 is elastically deformed slightly by the cavity part 19 cut | disconnected in concave shape from the lower surface side.

스토퍼(20)는, 도 3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0)보다 얇은 판형상을 이루며, 기단(21)측이 상기한 부착부(11)의 ㄷ자형상 내에 수납되고, 선단(22)측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기단(21)과 선단(22)의 대략 중간쯤에는 관통구멍(23)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면측의 둘레부는 중심부보다 1단 높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기단(21)은 그 1단 높게 형성된 가장자리부(24)의 사이에 있어서 가장자리부(24)의 후단보다 약간 선단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기단(21)은, 양측에 위치하며 대응 가장자리부(24)로부터 돌출형성되어서 축구멍(15a)과 끼워 맞춰지는 축부(25)와, 양 축부(25)를 잇는 축선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걸림돌조(26)를 가지고 있다. 걸림돌조(26)는, 도 4(a)와 같이 상측의 원호부(26a) 및 하측의 경사부(26b)로 형성되어 있다. 원호부(26a)와 경사부(26b)와의 접속부는 예각을 이루고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20)가 축부(25)와 축구멍(15a)과의 끼워맞춤을 통해서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경사부(26b)는 규제부인 단차 저면(17)과 맞닿아서 스토퍼(20)의 하측방향으로의 회동을 규제하여, 원호부(26a)와 경사부(26b)와의 접속부(돌출부)가 협지부(16)에 가장 접근하는 스토퍼(20)의 끈 로크위치가 된다. 스토퍼(20)는, 그 로크위치로부터 도 1(a)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 걸림돌조(26)의 돌출부가 협지부(16)로부터 크게 멀어져서 통과구멍(18) 전체가 노출된다. 또한, 선단(22)측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러짐 방지용 소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3 and 6, the stopper 20 has a plate shape thinner than the base 10, and the base end 21 side is accommodated in the c-shape of the attachment portion 11 described above, and the tip end 22 is formed. The side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has a through hole 23 at approximately halfway between the base end 21 and the tip end 22. In addition, while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side is formed one step higher than the center part, the base end 21 has entered into the front end side rather than the rear end of the edge part 24 between the edge parts 24 formed one step high. It is formed. The proximal end 21 is located on both sides and protrudes from the corresponding edge portion 24 so as to protrude rearward from an axis line between the shaft portion 25 fitted with the shaft hole 15a and an axis connecting the two shaft portions 25. It has a latch 26. The locking projection 26 is formed of an upper arc portion 26a and a lower inclined portion 26b as shown in Fig. 4A.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arc portion 26a and the inclined portion 26b forms an acute angle, and as described later, the inclined portion is inclined in a state where the stopper 20 is connected through the fitting between the shaft portion 25 and the shaft hole 15a. The part 26b abuts against the stepped bottom face 17, which is a restricting part,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stopper 20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part (projection part) between the arc part 26a and the inclined part 26b is a clamping part ( 16, the lock position of the strap 20 of the stopper 20 that most closely approaches. When the stopper 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from its lock position as shown in Fig. 1 (a),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ocking projection 26 is far from the clamping portion 16 so that the entire passage hole 18 is exposed. . In addition, a plurality of slip preventing protrusions 27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ip 22 side.

이상의 스토퍼(20)는, 양측의 축부(25)를 대응하는 양 가이드부(15b)로 밀어 넣으면, 양 축부(25)는 양 벽부(15)를 탄성변위시키면서 축구멍(15a)에 끼워 맞춰져서 베이스(10)에 대해서 소정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구조에서의 스토퍼(20)의 회동범위는, 스토퍼(20)가 축부(25)를 지점으로 해서 도 1(a)와 같이 통과구멍(18)을 완전히 개구하는 걸림 해제위치에서부터, 도 1(b)의 통과구멍(18)의 일부를 걸림돌조(26)의 돌출부로 덮는 걸림위치와의 사이에서의 대략 45도 정도이다. 걸림 해제위치에서는, 스토퍼(20)의 하면이 규제부인 단차 저면(17)의 단면(端面)과 닿음으로써 위치규제되며, 걸림위치에서는, 경사부(26b)의 최하면부가 규제부인 단차 저면(17)의 단면(端面)과 내면과의 모서리부와 닿음으로써 위치규제된다.When the above stopper 20 pushes both shaft portions 25 into the corresponding guide portions 15b, both shaft portions 25 are fitted into the shaft holes 15a while elastically displacing the wall portions 15. It is rotatab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base 10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rotation range of the stopper 20 in this structure is from the locking release position at which the stopper 20 completely opens the passage hole 18 as shown in FIG. It is about 45 degrees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which covers a part of the passage hole 18 of b) with the protrusion part of the locking protrusion 26. As shown in FIG. In the locking release pos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pper 20 is regulated by contacting the end face of the stepped bottom surface 17, which is the restricting portion. In the locking position, the bottom surface 17 of the inclined portion 26b is the restricting portion. The position is controlled by contacting the edge of the end 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사용예] 도 1은 이상의 고정구(4)를 도 7의 D부분에 적용한 경우를 가정한 단면도이다. 고정구(4)는, 도 1(a)와 같이 끈(2)의 일단(2a)을 관통구멍(23)의 아래에서 상면측으로 관통시키고, 다시 기단(21)에 노출되어 있는 통과구멍(18)에 관통시켜서 크게 인출한 뒤, 이번에는 부착구멍(12)을 통해서 아래에서 위로 인출함과 아울러 매듭(2c)을 지어서 부착구멍(12)과 통과구멍(18)과의 사이의 끈 루프부(2b)의 길이를 조정하고, 스토퍼(20)가 걸림 해제위치에서 도 1(b)의 걸림위치로 회동됨으로써 끈(2)의 적절한 위치에 부착된다. 끈 루프부(2b)는, 걸림돌조(26)의 끈(2)에 대한 물림작용과 매듭(2c)의 빠짐방지 작용에 의해서 그 크기가 결정됨과 아울러, 끈(2)을 소정 길이로 확정한다. 이 구조에서는, 끈(2)이 통과구멍(18)에 들어간 상태에서, 걸림돌조(26)가 협지부(16)와의 사이에 끈(2)의 대응부분을 끼워 넣는다. 그 협지력은, 협지부(16)가 하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서 걸림돌조(26)과의 사이에 끈(2)을 쐐기작용에 의해서 협지한다는 점, 협지부(16)가 공동부(19)의 존재로 인해 약간 탄성변위되어 그 때의 반발력을 얻을 수 있다는 점 등에 의해서, 끈(2)에 대한 걸림력으로서는 강력한 것이라 할 수 있다.[Use Example]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assuming a case where the above fastener 4 is applied to the portion D of FIG. 7. The fastener 4 penetrates the one end 2a of the string 2 to the upper surface side under the through-hole 23, as shown in FIG. 1 (a), and again exposes the passage hole 18 exposed to the base end 21. After making it penetrate through and drawing it out largely, this time it draws out from below through the attachment hole 12, and builds a knot 2c, and the string loop part 2b between the attachment hole 12 and the passage hole 18 is carried out. ), The stopper 20 is attached to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string 2 by rotating from the locking release position to the locking position of Fig. 1 (b). The string loop portion 2b determines the size of the string loop portion 2 by the biting action of the locking projection 26 on the string 2 and the anti-falling action of the knot 2c, and determines the string 2 to a predetermined length. . In this structure, in the state where the string 2 entered the through-hole 18, the latching protrusion 26 fits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string 2 between the clamping part 16. As shown in FIG. The clamping force is an inclined surface in which the clamping portion 16 extends downward, and the clamping portion 16 clamps the string 2 between the locking projections 26 by a wedge action. Due to the presence of 19), the elastic force is slightly displaced, and the repulsive force at that time can be obtained.

또한, 끈(2)은, 고정구(4)에 의해서 형성된 끈 루프부(2b)가 도 7의 앵커(3)등에 걸려서 고정됨으로써 소정의 장력으로 텐트(1)를 유지한다. 상기한 재조정 조작에서는, 예를 들어 고정구(4)보다 상측에 있는 끈(2)부분을 잡아 당긴 상태에서, 스토퍼(20)를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회동시켜서 상기 협지상태를 해방한 후, 끈(2)을 끈 루프부(2b)측으로 잡아당기거나 고정구(4)의 상측으로 잡아당겨서 끈 루프부(2b)의 크기를 가변조정하고 스토퍼(20)를 다시 걸림위치 방향으로 회동조작한다. 이 가변조정에서는, 스토퍼(20)를 회동조작할 수 있다는 점과, 관통구멍(23)의 지름을 크게 함으로써 끈(2)을 당김방향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는 점에서, 원터치조작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string 2 holds the tent 1 at a predetermined tension by the string loop portion 2b formed by the fastener 4 being caught by the anchor 3 or the like of FIG. 7. In the readjustment operation described above, after the stopper 20 is rotated from the locked position to the unlocked position in the state where the string 2, which is higher than the fastener 4 is pulled out, the release state is released. The string 2 is pulled toward the string loop portion 2b or pulled upwards of the fastener 4 to variably adjust the size of the string loop portion 2b, and the stopper 20 is rotated again in the locking position direction. In this variable adjustment, the stopper 20 can be rotated and the one-touch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that the strap 2 can be easily moved in the pulling direction by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3.

또한, 본 발명의 고정구(4)는, 청구항 1에서 특정지어진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베이스(10) 및 스토퍼(20)의 형상이나 크기등에 대해서는 이를 참고로 해서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또, 용도 및 사용모양으로서는 도 7의 텐트 설영용의 끈(2)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끈이라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며, 또한 끈도 반드시 1줄일 필요 없이 2중(2줄)으로 구성해서 사용해도 지장 없다.In addition, the fastener 4 of this invention should just be equipped with the component specified in Claim 1, The shape and size of the base 10, the stopper 20, etc.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 reference to this. In addition, the use and the form of use are not limited to the tent 2 for the tent setting of FIG. 7, and any strings are similarly applied, and the strings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single line, and may be used in two (two lines).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끈용 고정구에 있어서는, 스토퍼를 베이스에 대해서 회동시켜서 끈의 대응부분을 스토퍼의 기단과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협지하기 때문에, 끈에 대한 걸림력을 증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끈에 끼워넣는 부착조작 및 재조정 조작을 원터치로 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구조에 비해서 사용상 편리하고 상품가치 또한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astener for str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opper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tring is held between the base end of the stopper and the base, the locking force on the string can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attaching operation and the readjustment operation to be attached to the string can be performed with one touch, which is convenient for use and the product value is also improv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Claims (5)

텐트를 설영하는데 사용되는 끈의 임위의 위치에 부착되며, 상기 끈의 일단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끈에 대한 부착부와 끈의 일단과의 사이에 끈 루프부의 형성을 가능케 하는 고정구에 있어서,A fastener attached to an arbitrary position of a string used for setting up a tent, wherein by fixing one end of the string, it is possible to form a string loop portion between an attachment portion to the string and one end of the string. 상기 고정구는, 상기 끈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형성하고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그 기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며,The fastener is composed of a base forming a fixing part for fixing one end of the string, and a stopper whose bas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상기 스토퍼는, 상기 끈의 일단을 상하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시키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관통구멍으로 관통되어서 상하면의 타측으로 인출된 끈의 일단을 다시 상하면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상기 기단 부근에서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회동됨으로써, 상기 끈의 대응부분을 상기 기단과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협지하여 끈에 대해 부착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용 고정구.The stopper has a through hole that allows one end of the string to pass from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o the other side, and the one end of the string penetrated by the through hole and drawn out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o the one side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pulley for a st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tring is pinched between the base end and the base to be attached to the string by being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while being pulled out in the vicinity.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스토퍼는 상기 끈의 대응부분을 상기 기단과 베이스와의 사이에 협지한 상태로 상기 끈을 따라서 거의 직선형상으로 배치되는 끈용 고정구.And the base and the stopper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along the string in a state where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tring is sandwiched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베이스는, 상기 끈의 일단을 상하방향으로 관통시키고 빠짐방지 가능하게 하는 부착구멍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를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고 있는 끈용 고정구.The base has a fixing part formed by an attachment hole that allows one end of the string to penetrate upward and downward and prevents it from being pulled out, and has a restricting part for regulating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stopp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스토퍼의 기단은 끈 물림용 걸림돌조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기단에 대응하는 대략 ㄷ자형상의 부착부를 가지며, 상기 부착부가 상기 기단부를 ㄷ자형상의 양 벽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ㄷ자형상 내의 단차 저면에 상기 끈의 일단을 관통시키는 통과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끈용 고정구.The base end of the stopper has a string-locking protrusion, and the base has an approximately C-shaped attachmen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end, and the attachment portion supports the proximal end so as to be rotatable to both c-shaped walls. A strap fastener for forming a through hole for penetrating one end of the string in the bottom of the step in the shape.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베이스의 규제부는, 상기 ㄷ자형상 내의 단차 저면의 일부를 이용해서 가는 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통과구멍의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는 끈용 고정구.The restricting portion of the base is formed in a thin shape using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p in the U-shape, and is positioned directly in front of the passage hole.
KR10-2002-0022224A 2001-05-24 2002-04-23 Cord closure KR10042739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5455A JP4598304B2 (en) 2001-05-24 2001-05-24 String fastener
JPJP-P-2001-00155455 2001-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114A KR20020090114A (en) 2002-11-30
KR100427396B1 true KR100427396B1 (en) 2004-04-28

Family

ID=1899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224A KR100427396B1 (en) 2001-05-24 2002-04-23 Cord closur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98304B2 (en)
KR (1) KR100427396B1 (en)
TW (1) TW58792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38576U (en) * 2008-02-04 2008-08-21 Nifco Taiwan Corp Rope buckle
JP2011218014A (en) * 2010-04-12 2011-11-04 Fuji Latex Kk Locking tool for cord-like member
JP5844180B2 (en) * 2012-03-06 2016-01-13 株式会社ニフコ Code adjuster
KR102534512B1 (en) * 2020-12-29 2023-05-19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string stopper
KR102545940B1 (en) * 2021-02-09 2023-06-20 김혁 Mounting Devid Installed In 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860Y1 (en) * 1986-12-29 1989-05-08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Supporting device for carriage railroad car
JPH0371547A (en) * 1989-08-08 1991-03-27 Jeol Ltd Cylindrical mirror analyser of auger electron spectroscope
JPH08103307A (en) * 1994-10-03 1996-04-23 Shigeru Fukuya String fastener
JPH0942226A (en) * 1995-08-01 1997-02-10 Akio Yokobayashi Eyelet fastener
KR19980065379U (en) * 1998-08-24 1998-11-25 류창호 Adjustment lever of tent pillar towing fixture.
JPH11270192A (en) * 1998-01-23 1999-10-05 Nippon Hoan Kizai Seizo Kk Rope fastener
KR200175248Y1 (en) * 1999-10-12 2000-03-15 문제현 A stopper for rope of a t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619Y2 (en) * 1977-05-31 1982-01-28
JPS6377509U (en) * 1986-11-10 1988-05-23
JP2505645Y2 (en) * 1989-02-09 1996-07-31 株式会社 ニフコ buckle
JPH0534905U (en) * 1991-10-18 1993-05-14 吉田工業株式会社 Tie
JP3968741B2 (en) * 1999-05-31 2007-08-29 モリト株式会社 Shoulder strap length adjustment structure such as underwear for women
JP2001104019A (en) * 1999-10-04 2001-04-17 Seihei Nagai String stopp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860Y1 (en) * 1986-12-29 1989-05-08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Supporting device for carriage railroad car
JPH0371547A (en) * 1989-08-08 1991-03-27 Jeol Ltd Cylindrical mirror analyser of auger electron spectroscope
JPH08103307A (en) * 1994-10-03 1996-04-23 Shigeru Fukuya String fastener
JPH0942226A (en) * 1995-08-01 1997-02-10 Akio Yokobayashi Eyelet fastener
JPH11270192A (en) * 1998-01-23 1999-10-05 Nippon Hoan Kizai Seizo Kk Rope fastener
KR19980065379U (en) * 1998-08-24 1998-11-25 류창호 Adjustment lever of tent pillar towing fixture.
KR200175248Y1 (en) * 1999-10-12 2000-03-15 문제현 A stopper for rope of a 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87925B (en) 2004-05-21
KR20020090114A (en) 2002-11-30
JP4598304B2 (en) 2010-12-15
JP2002345510A (en) 200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610Y1 (en) Cord stopper
US5336846A (en) Cable clamp having loop-forming wedge
US20100115744A1 (en) Lace fastener
KR100427396B1 (en) Cord closure
KR20060053130A (en) Buckle
US4419792A (en) Reversible belt and buckle mechanism
US20220106759A1 (en) Bail-actuated multi-faceted staking system and method
US4907614A (en) Carrying attachments for umbrellas
US6581256B2 (en) Double-bow shoe lace device
US4026229A (en) Leech line locking device
US6631927B1 (en) Ski pole handle
US20060102059A1 (en) Gating for cleats
KR200346760Y1 (en) Opening angle adjustment device of a window
RU2749522C2 (en) Stick handle
GB2471809A (en) Anchor clamp for telecommunications cable
KR200175248Y1 (en) A stopper for rope of a tent
US4407048A (en) Buckle for fastening together the parts of a shoe
AU2013270515B2 (en) An Improved Awning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NL2027935B1 (en) A belt clip
CN212972544U (en) Quilt fixer
JPH0942226A (en) Eyelet fastener
JP2003125924A (en) Curtain suspender
NL2027934B1 (en) A snap hook device
JP2587450Y2 (en) Latch
KR200208114Y1 (en) Band for adjusting size of h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