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902B1 -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902B1
KR100425902B1 KR10-2001-0018908A KR20010018908A KR100425902B1 KR 100425902 B1 KR100425902 B1 KR 100425902B1 KR 20010018908 A KR20010018908 A KR 20010018908A KR 100425902 B1 KR100425902 B1 KR 100425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tational force
hydraulic
hydraulic oil
kinetic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8772A (ko
Inventor
박석
Original Assignee
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 filed Critical 박석
Priority to KR10-2001-0018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902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1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by utilising wheel movement for accumulating energy, e.g. driving air compre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동시에 유압 펌프 및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운동 에너지를 저장하고, 가속시에 유압 모터 및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저장된 에너지를 구동축에 전달함으로써, 제동시에 소멸되는 운동에너지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동유가 저장되는 작동유 저장 탱크; 운송수단의 구동축에 그 일측이 연결되며, 그와 연동하여 상호 회전력을 주고 받도록 하기 위한 회전력 전달수단;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의 타측에 연결되며, 운송수단의 제동시에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작동유 저장 탱크의 작동유를 펌핑하는 펌핑수단;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펌핑된 작동유를 매개로 전달된 운송수단의 운동에너지를 탄성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수단; 운송수단의 가속시에 상기 에너지 저장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구동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에너지 재생수단; 및 상기 작동유 저장 탱크와 에너지 저장수단 사이의 유압관로상에 구비되어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 또는 인가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를 제공하며, 제동간에 손실되는 운동에너지의 일부를 회수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보조 제동장치로 이용된다.

Description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A BRAKE SYSTEM HAVING THE FUNCTION OF REGENERATION OF KINETIC ENERGY}
본 발명은 제동시에 소멸되는 운동 에너지를 회수하여 운동 에너지로 재생할 수 있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동시에 유압 펌프 및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운동 에너지를 저장하고, 가속시에 유압 모터 및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저장된 에너지를 구동축에 전달함으로써, 재기동시의 동력원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계장치의 상당 부분은 회전운동을 이용해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종류의 것들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회전 운동 장치들에 있어서, 공급되는 에너지를 얼마만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어왔다.
특히, 자동차 등과 같이 반복적으로 가속 및 감속 운동을 수행하는 운반용 장치들의 경우에는 가속에 투입된 에너지가 기계적 마찰, 공기의 저항 등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소멸되는 한편, 제동에 의해 인위적으로 버려지고 있어 자동차의 에너지 효율 증대에 커다란 장애 요소가 되고 있다.
즉, 자동차의 엔진은 화석 연료 등의 연소에 의해 얻어진 열에너지를 회전력으로 전환하고 동력 전달장치를 통해 바퀴에 전달함으로써 자동차를 가속시키게 되며, 소정의 주행 속도로 가속된 자동차는 그 순간의 주행 속도의 제곱 및 질량에 비례하는 크기의 운동 에너지를 갖게 되는데, 상기한 자동차의 운동 에너지는 자동차의 동력 전달계통에서의 마찰, 지면과의 마찰, 공기의 저항 등에 의해 손실되며, 더욱이 자동차의 운행간에는 반복적인 가속 및 감속이 행하여지므로, 가속간에 얻어진 에너지의 상당 부분이 제동시에 제동장치와의 마찰에 의해 소멸되고 있다.
이러한 제동간에 손실되는 운동 에너지를 회수하고, 가속시에 환원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로서, 제동 동력을 전기로 변환하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축전기를 구비하여 제동시의 제동동력의 일부를 전기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축전기로부터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구동력 회수 축적 및 환원 장치가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평 2-11723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동력 회수 축적 및 환원장치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다시 기계적 구동동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전기 에너지와 기계적 에너지간의 변환 효율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에너지 변환시의 손실이 크게 발생하여 에너지의 저장 및 재생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자동차의 운동 에너지에 따른 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펌프를 구비하여 제동시에 자동차의 운동 에너지의 일부가 스프링에 기계적 탄성 에너지로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에 저장된 탄성 에너지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모터를 구비하여 가속시에 자동차의 구동축에 회전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제동간에 손실되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압 펌프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되는 로드를 구비한 전방 및 후방 실린더를 구비하여 자동차의 제동시에 차량의 전후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운동 에너지 재생 기능을 갖는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구동축 102 : 엔진
103 : 클러치 104 : 변속기
105 : 바퀴 111 : 제1 체인 스프라켓
112 : 체인 113 : 제2 체인 스프라켓
114 : 펌프 클러치 115 : 작동유 저장 탱크
116 : 유압 펌프 117 : 스프링
118 : 피스톤 119 : 유압 실린더
120 : 제1 유량 조절 밸브 121 : 유압 모터
122 : 제2 유량 조절 밸브 123 : 모터 클러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동유가 저장되는 작동유 저장 탱크; 운송수단의 구동축에 그 일측이 연결되며, 그와 연동하여 상호 회전력을 주고 받도록 하기 위한 회전력 전달수단;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의 타측에 연결되며, 운송수단의 제동시에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작동유 저장 탱크의 작동유를 펌핑하는 펌핑수단;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펌핑된 작동유를 매개로 전달된 운송수단의 운동에너지를 탄성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수단; 운송수단의 가속시에 상기 에너지 저장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구동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에너지 재생수단; 및 상기 작동유 저장 탱크와 에너지 저장수단 사이의 유압관로상에 구비되어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 또는 인가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구동축(101)에 장착된 제1 체인 스프라켓(111)과; 상기 제1 체인 스프라켓(111)에 체인(112)을 매개로 연결되며, 그 양측에 제1 및 제2 회전축(113a, 113b)이 구비된 제2 체인 스프라켓(113)과; 상기 제2 체인 스프라켓(113)의 제1 회전축(113a)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101)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차단 또는 인가하는 펌프 클러치(114)와; 작동유가 저장되는 작동유 저장 탱크(115)와; 상기 작동유 저장 탱크(115)에 그 유입관로(200a)가 연결되며, 상기 펌프 클러치(114)를 통해 회전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작동유 저장 탱크(115)의 작동유를 펌핑하여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펌프(116)와; 상기 유압펌프(116)의 유출관로(200b)에 병렬로 연결되며, 그 내부에 스프링(117)에 의해 탄성 지지된 피스톤(118)을 구비하여 상기 유압 펌프(116)의 가동시에 가해지는 유압을 탄성 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유압 실린더(119)와; 상기 작동유 저장 탱크(115)와 유압 펌프(116) 사이의 유입관로(200a) 상에 구비되며, 상기 유압 펌프(116)로부터 작동유 저장탱크(115)로 작동유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체크 밸브(141)와; 상기 유압 펌프(116)와 유압 실린더(119) 사이의 유출관로(200b) 상에 구비되며, 자동차의 감속 페달부(106)의 감속 페달(108)을 밟는 정도에 따라 펌핑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 밸브(120)와; 상기 유압 실린더(119)에 작동유 이송관로(200c)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119)의 스프링(117)의 복원시에 가해지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모터(121)와; 상기 유압 실린더(119)와 유압 모터(121) 사이의 이송관로(200c) 상에 구비되며, 자동차의 가속 페달부(107)의 가속 페달(107a)을 밟는 정도에 따라 상기 유압 모터(121)측으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 밸브(122)와; 상기 제2 체인 스프라켓(113)의 제2 회전축(113b)에 연결되며, 상기 유압 모터(121)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제2 체인 스프라켓(113)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모터 클러치(123)와; 상기 유압모터(121)와 작동유 저장 탱크(115) 사이의 드레인 관로(200d) 상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유 저장 탱크(115)로부터 유압모터(121)로 작동유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체크 밸브(1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펌프 클러치(114)는 통상의 클러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속 페달부(106)에 유압관로(143)를 통해 연결되어 감속 페달(108)을 밟을 시에는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제2체인 스프라켓(113)과 유압 펌프(116)를 연결시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감속 페달(108)의 작용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2체인 스프라켓(113)과 유압 펌프(116)의 연결을 끊어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터 클러치(123) 역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속 페달부(107)에 연결되어 가속 페달(107a)을 밟을 시에는 상기 유압 모터(121)와 제2 체인 스프라켓(113)을 연결시켜 회전력을 인가하고, 가속 페달(107a)의 작용력이 해제되면 상기 유압 모터(121)와 제2 체인 스프라켓(113)의 연결을 끊어 회전력을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102는 엔진, 103은 클러치, 104는 변속기, 105는 바퀴를 나타낸다.
도2는 상기 감속 페달부(106)와 제1 유량조절 밸브(120) 간의 제어 계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속 페달부(106)의 일측에는 감속 페달(108)의 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제1 동작 검출기(109)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210)는 상기 동작 검출기(109)에 의해 검출된 신호 및 사용자에 의한 조작 신호 등이 입력되는 입력장치(211)와,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기억되는 메모리(212)와, 상기 입력장치(21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메모리(212)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3)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3)의 신호처리에 따라 상기 제1 유량 조절 밸브(12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21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속 페달부(107)의 일측에는 가속 페달(107a)의 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제2 동작 검출기(110)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량 조절 밸브(122) 역시 상기 제어부(210)의 콘트롤러(214)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동작 검출기(110)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상기 각 구성 요소들의 상세 기능 및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엔진(102)의 출력이 클러치(103) 및 변속기(104)를 통해 바퀴(105)에 전달되면, 자동차가 가속되어 소정의 속도를 갖게 되어 그 주행 속도의 제곱 및 질량에 비례하는 크기의 운동 에너지를 갖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도시하지 않음)을 밟으면, 상기 클러치(103)에 의해 엔진(102)과 구동축(101)간의 연결이 해제되며, 상기 구동축(101)의 회전은 지면에 구름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바퀴(105)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감속 페달(108)을 밟으면, 상기 제1 동작 검출기(109)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10)로 동작 감지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입력된 동작 감지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3)가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컨트롤러(214)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214)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유량 조절 밸브(120)가 개방되고, 상기 펌프 클러치(114)가 상기 제2 체인 스프라켓(113)에 연결되어 자동차의 운동 에너지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유압 펌프(116)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작동유 저장 탱크(115)의 작동유가 상기 유압 실린더(119)에 공급되면서 상기 피스톤(118)을 가압하여 전달된 운동 에너지를 상기 스프링(117)에 탄성 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감속 페달(108)의 동작 정도가 상기 제1 동작 검출기(109)에 의해 입력되며, 상기 제1 유량 조절 밸브(120)는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그에 비례하는 양의 유량을 인가하도록 개방되므로, 감속율에 따라 자동차의 제동시에 손실되는 운동 에너지의 일정 부분을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상기 감속 페달(108)의 작용력이 해제되면, 상기 유압 실린더(119) 내에 형성된 유압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유량 조절 밸브(120)가 닫히게 되어 상기 스프링(117)에 저장된 탄성 에너지의 저장 상태가 유지된다.
자동차의 가속을 위해 상기 가속 페달(107a)을 밟으면, 상기 제2 동작 검출기(110)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감지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3)가 처리하여 상기 컨트롤러(214)로 출력하게 되며, 상기 컨트롤러(214)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유량 조절 밸브(122)가 개방되고, 상기 모터 클러치(123)가 상기 제2 체인 스프라켓(114)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119) 내에 고압 상태로 저장된 작동유가 상기 스프링(117)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유압 모터(121)측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유압 모터(121)의 회전력이 상기 제2 체인 스프라켓(113) 및 체인(112)을 통해 자동차의 구동축(101)에 전달되어 자동차에 부가적인 가속력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유압 모터(121)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상기 작동유 저장 탱크(115)로 드레인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차의 구동축(101)과 유압 펌프(116) 및 유압 모터(123) 간의 동력 전달이 체인(112) 및 체인 스프라켓(111, 113)에 의해 이루어지고, 동력 전달의 차단 및 인가가 기계식 클러치(114, 123)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어, 풀리및 벨트 등과 같은 일반적 동력 전달장치와 전자 및 유체식 차동장치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또한, 전술한 유압관로의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유압 펌프(116)에 의해 가압되는 작동유를 상기 유압 실린더(119)에 공급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119) 내의 작동유를 배출시켜 상기 유압 모터(121)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유량조절밸브(120, 122)의 작동이 전기적 제어 뿐 아니라 기계적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유량조절밸브(120, 122)가 각각 상기 감속 페달부(106) 및 가속 페달부(107)에 유압관로를 통해 연결되는 릴리프 밸브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감속 페달(108) 및 가속 페달(107a)을 밟으면 개방되어 작동유의 흐름을 인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운동 에너지의 저장을 위한 유압 실린더가 자동차의 서스펜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예를 나타내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되는 로드(131a, 132a)를 구비한 전방 및 후방 유압 실린더(131, 132)가 각각 자동차의 전륜(105a) 및 후륜(105b)에 장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자동차의 감속을 위해 상기 감속 페달(108)을 밟으면, 상기 제1 동작 검출기(109)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감지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3)가 처리하여 상기 컨트롤러(214)로 출력하게 되며, 상기 컨트롤러(214)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유량 조절 밸브(120)가 개방되고, 상기 펌프 클러치(114)가 상기 제2 체인 스프라켓(113)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 펌프(116)가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유 저장 탱크(115)에 저장된 작동유가 상기 전방 및 후방 유압 실린더(131, 132)에 공급되면서 각각의 피스톤(131b, 132b)을 가압함으로써, 전달된 운동 에너지가 각각의 스프링(131c, 132c)에 탄성 에너지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전방 유압 실린더(131)의 로드(131a)는 하측 방향 신장력을 상기 전륜(105a)에 가하게 되고, 상기 후방 유압 실린더(132)의 로드(132a)는 상측 방향 수축력을 상기 후륜(105b)에 가하게 되어 제동시에 차체의 후방이 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동시에도 차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정적인 제동성능이 보장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에너지 저장기능을 갖는 제동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동차에 적용되어 에너지 재생을 위한 보조 제동장치로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관차, 열차 등과 같은 각종 운송수단에 적용되어 감속간에 운동에너지를 회수하고 재기동시에 부가적인 가속력을 제공하는 보조 제동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제동시에 소멸되는 운동 에너지의 일부를 유압을 매개로 스프링에 의한 탄성 에너지로 변환하여 회수하고, 저장된 탄성 에너지를 자동차의 가속시에 보조적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연료 소비가 절감되면서도 자동차의 가속 성능이 향상되며, 제동 장치의 부하가 감소하여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의 제동시에 소멸되는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동시에 발생하는 차량의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승차감 및 제동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작동유가 저장되는 작동유 저장 탱크;
    운송수단의 구동축에 그 일측이 연결되며, 그와 연동하여 상호 회전력을 주고 받도록 하기 위한 회전력 전달수단;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의 타측에 연결되며, 운송수단의 제동시에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작동유 저장 탱크의 작동유를 펌핑하는 펌핑수단;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펌핑된 작동유를 매개로 전달된 운송수단의 운동에너지를 탄성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수단;
    운송수단의 가속시에 상기 에너지 저장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구동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에너지 재생수단; 및
    상기 작동유 저장 탱크와 에너지 저장수단 사이의 유압관로상에 구비되어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 또는 인가하는 개폐수단
    을 포함하는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감속 페달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검출수단과;
    가속 페달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2 검출수단과;
    상기 펌핑수단과 에너지 저장수단을 연결하는 유압관로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펌핑수단으로부터 에너지 저장수단으로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수단과;
    상기 에너지 저장수단과 재생수단을 연결하는 유압관로에 구비되며, 상기 제2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수단으로부터 재생수단으로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검출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및 제2유량 조절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더 포함하는 운동 에너지 재생 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동작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 및 사용자에 의한 조작 신호 등이 입력되는 입력장치와;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기억되는 메모리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메모리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신호처리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유량 조절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은
    운송수단의 구동축에 장착된 제1 체인 스프라켓과;
    상기 제1 체인 스프라켓에 체인을 매개로 연결된 제2 체인 스프라켓과;
    상기 제2 체인 스프라켓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체인 스프라켓으로부터 상기 펌핑수단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차단 또는 인가하는 제1 차동수단과;
    상기 제2 체인 스프라켓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재생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체인 스프라켓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차단 또는 인가하는 제2 차동수단
    을 포함하는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수단은
    상기 펌핑수단의 유출관로에 연결되며, 펌핑수단의 작동에 의해 가압된 작동유를 저장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구비되되, 작동유의 유출입에 따라 탄성적으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피스톤과 인접하게 장착되어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수단은
    운송수단의 전륜을 지지하되, 운송수단의 제동시에 상기 펌핑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하방으로 신장되도록 탄성지지된 로드를 구비하여 운송수단의 전부 눌림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실린더와;
    운송수단의 후륜을 지지하되, 운송수단의 제동시에 상기 펌핑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상방으로 수축되도록 탄성지지된 로드를 구비하여 운송수단의 후부 들림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실린더
    를 포함하는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펌핑수단과 에너지 저장수단을 연결하는 유압관로상에 구비되며, 운송수단의 감속 페달에 의해 유압을 제공받아 작동하되, 운송수단의 감속시에 개방되고 가속시에 차단되는 제1 릴리프 밸브와;
    상기 에너지 저장수단과 재생수단을 연결하는 유압관로상에 구비되며, 운송수단의 가속 페달에 의해 유압을 제공받아 작동하되, 운송수단의 가속시에 개방되고 감속시에 차단되는 제2 릴리프 밸브
    를 포함하는 운동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KR10-2001-0018908A 2001-04-10 2001-04-10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KR100425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908A KR100425902B1 (ko) 2001-04-10 2001-04-10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908A KR100425902B1 (ko) 2001-04-10 2001-04-10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772A KR20020078772A (ko) 2002-10-19
KR100425902B1 true KR100425902B1 (ko) 2004-04-08

Family

ID=2770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908A KR100425902B1 (ko) 2001-04-10 2001-04-10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667B1 (ko) * 2008-10-07 2011-01-05 임동운 애완동물용 고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1554A (ko) * 1989-12-02 1991-08-07 심민보 차량의 운동에너지 보존 브레이크
JPH05131863A (ja) * 1991-11-13 1993-05-28 Nissan Motor Co Ltd 4輪駆動車の減速エネルギー回収装置
JPH05322042A (ja) * 1992-02-17 1993-12-07 Maruyoshi:Kk 駆動力と制動力の伝達機構及び該制御方法
KR19980062829U (ko) * 1997-04-04 1998-11-16 송명석 제동에너지 재생장치
KR100201995B1 (ko) * 1996-04-08 1999-06-15 요시다 도시오 가변용량형 펌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1554A (ko) * 1989-12-02 1991-08-07 심민보 차량의 운동에너지 보존 브레이크
JPH05131863A (ja) * 1991-11-13 1993-05-28 Nissan Motor Co Ltd 4輪駆動車の減速エネルギー回収装置
JPH05322042A (ja) * 1992-02-17 1993-12-07 Maruyoshi:Kk 駆動力と制動力の伝達機構及び該制御方法
KR100201995B1 (ko) * 1996-04-08 1999-06-15 요시다 도시오 가변용량형 펌프
KR19980062829U (ko) * 1997-04-04 1998-11-16 송명석 제동에너지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772A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414B2 (en) Hydraulic energy recovery system with dual-powered auxiliary hydraulics
US20090008174A1 (en) Vehicle with a Drive Engine for Driving a Traction Drive and a Working Hydraulic System
US7658065B2 (en) Hydraulic system having in-sump energy recovery device
CN1706680A (zh) 用于移动式工作机械、特别是地面输送机械的传动系统
US10422361B2 (en) Regenerative energy capturing and launching assistant
EP1288533B1 (en) Work machine having a drive train with an enhanced engine braking mode
KR100425902B1 (ko) 운동 에너지 재생기능을 갖는 제동장치
CN1242891C (zh) 汽车制动能和车轮振动能利用装置
CN105253247B (zh) 一种能量回收再利用的液压传动自行车
CN213540939U (zh) 一种液压蓄能制动能量回收装置及电机车
CN104831774A (zh) 一种装载机行走制动能量回收辅助驱动装置及控制方法
CN113389829B (zh) 矿用自卸车及其制动器自动补偿器、制动器、制动方法
JPH07156765A (ja) 制動エネルギ回生装置
KR101174673B1 (ko) 회생수단을 구비한 자전거의 무단변속기
CN100436183C (zh) 汽车能量再次利用的装置及其方法
CN101526115B (zh) 液压混合动力公交车离合器自动控制装置
CN216139820U (zh) 一种车辆空气压缩机储能系统
JPH08127263A (ja) 制動エネルギ回生装置
CN112196867A (zh) 一种液压蓄能制动能量回收装置及电机车
EP3983269A1 (en) Regenerative active hydraulic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coordinating a power flow between the motor and the wheels of the vehicle
JPH0629964U (ja) 蓄圧式ハイブリッド自動車
KR200424016Y1 (ko) 구동력 저장장치
CN2265330Y (zh) 汽车油刹自动安全分泵
CN113752823A (zh) 一种车辆空气压缩机储能系统
CN113815398A (zh) 一种轮式移动机械及其并联式油电液混合驱动系统和驱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