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809B1 -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위한 데이터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위한 데이터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809B1
KR100423809B1 KR10-2001-0049297A KR20010049297A KR100423809B1 KR 100423809 B1 KR100423809 B1 KR 100423809B1 KR 20010049297 A KR20010049297 A KR 20010049297A KR 100423809 B1 KR100423809 B1 KR 100423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home
information
home server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527A (ko
Inventor
이전우
배창석
유진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4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80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은 홈 서버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접속하고자 할 경우 또는 가정 내 정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데이터를 홈 서버에 입력하고자 할 때 적외선 모듈을 장착한 키보드 대신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을 장착한 후, 대형 정보 단말과 이 단말에서 동작하는 소프트 키보드 또는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정보 단말기는 무선 키보드에 비해 물리적으로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고, 송신단과 수신단 중간에 방해물이 없이 서로 마주보고 있어야 한다는 제약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전송되는 데이터의 내용을 단순한 문자 데이터에서 오디오,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확대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전송에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며, 원격기기의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의한 제어에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net access and home automation using a home server}
본 발명은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컨트롤 서버, 홈 미디어 서버 및 인터넷 액세스 서버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홈 서버 플랫폼에 문자 또는 정보 가전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가 장착된 휴대형 정보 단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필요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정 자동화 및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한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서버는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망과 연결되는 인터넷 액세스 서버이며, 유무선 홈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정보 가전 기기들과 연결되어 이를제어하는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컨트롤 서버이고, 디지탈 TV와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미디어 서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정보 가전 환경에서 가장 핵심에 되는 장치인 것이다.
이와 같은 홈 서버의 기존 데이터 입출력 장치로는 리모콘과 TV를 고려할 수 있다.
가정 내에서 사용자는 홈 서버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으며,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종 정보 가전 기기들을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각종 교육과 오락을 즐길 수 있는 종합 에듀테인먼트 기기로도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집 밖에서도 인터넷을 통해 집안의 홈 서버에 접속하여 가정 내의 각종 정보 가전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홈 서버를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은 필수적이다.
현재까지 상기한 바와 같이 통합된 개념과 종합적인 기능을 갖춘 홈 서버는 아직 상품화 되어 있지 못한 상태이다. 단지 일부분의 개념만을 구현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중 홈 서버의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가지고 있는 기기가 인터넷 TV 셋탑 박스이다. 이 기기는 일반 아날로그 TV를 통해 인터넷으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가 인터넷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를 활용한 엘리먼트의 선택 뿐 아니라 키보드를 이용하여 접근하고자 하는 웹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웹 사이트의 주소 입력을 포함하는 셋탑 박스에 대한 문자 데이터의 입력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키보드가 바로 무선 키보드이다. 무선 키보드는 일반적인 컴퓨터 키보드에 유선 대신 적외선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유선의 한계를 벗어나 무선을 사용함으로써,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데이터를 셋탑 박스에 전달하는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커다란 크기의 키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하는데, 불편하여 가정 내에서 이동하면서 자유롭게 활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적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송신부와 수신부가 일직선상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어야 하며, 이들 사이의 정보 전달을 가로막는 방해물이 중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정보(데이터)전달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루투스나 무선 랜과 같은 무선 통신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가정내의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가전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가정 자동화 제어를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 서버를 이용한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홈 서버와 휴대형 정보 단말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버를 이용한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서 홈 서버로 전송되는 전송 데이터 형식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a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전송 데이터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정보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송 데이터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c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이미지 등의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홈 서버 1-1, 2-1 : 블루투스/무선랜 모듈
1-3 : 홈 서버용 실시간 OS 1-4 : 웹 서버
1-5 : 웹 브라우저 2 : 휴대형 정보 단말
2-2 : 휴대형 정보 단말 실시간 OS 2-3 : 데이터 입력 처리부
3 : 외부 망 4: 디지탈 TV
5 : 정보 가전기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정 자동화 제어를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은, 휴대형 정보 단말기 예를 들면 PDA, PCS, DCS단말기에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하고, 홈 서버에 장착된 대응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 시킴으로써, 이들 기기들 사이에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홈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소프트 키보드 또는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수행시켜 홈 서버에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 전송 뿐 만 아니라 가전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증을 필요로 하는 정보 가전 기기 제어를 위해 인증을 목적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과 제어 장치를 위해 정의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각각의 옥내 제어 장비는 자신만이 가지는 고유한 번호를 가지며 이에 대한 운용 정보도 자신의 고유 번호처럼 정의되고, 정보 가전 장비의 제어를 위해서 이러한 정보들을 휴대형 정보 단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홈 서버를 이용한 정보 가전기기 제어 및 인터넷 접속 방법에 있어서, 휴대형 정보 단말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가정 자동화 또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를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데이터의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정보 가전기기를 제어하거나 원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정보 가전 기기의 제어 결과 데이터 및 인터넷 사이트 접속시해당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상기 휴대형 정보 단말로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정보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휴대형 정보 단말기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를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을 통해 요구하는 단계; 상기 요구에 따라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을 통해 휴대형 정보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의 해당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증 데이터는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인터넷 사이트 접속을 위한 데이터인 경우, 인터넷 망을 통해 해당 사이트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이 되어 해당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상기 휴대형 정보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가전기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홈 서버를 이용한 정보 가전기기 제어 및 인터넷 접속을 위한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가전 기기 제어 또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홈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포맷 변환된 정보 가전 기기 제어 또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 TCP/IP의 패킷 형태로 구성하여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을 통해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데이터의 입력은, 소프트 키보드 입력방식, 문자 입력 방식, 음성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며, 상기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에서, 입력되는 데이터가 정보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와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는, 입출력 객체를 위한 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일정 비트의 타임 스탬프 정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FLAG 정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알려주기 위한 DSIZE 정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Data Property 정보, 접속하고자 하는 인터넷 접속 사이트 주소 데이터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위한 데이터는, 입출력 객체를 위한 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일정 비트의 타임 스탬프 정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FLAG 정보;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 정보의 크기를 나타내는 Image Size 정보; 전송하고자 하는 실제 이미지 데이터인 Image Data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보 가전 기기 제어 데이터는, 입출력 객체를 위한 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일정 비트의 타임 스탬프 정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FLAG 정보;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해당 가전 기기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동작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보 가전기기 제어 및 인터넷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형 정보 단말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정보 가전기기 제어 또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정보 가전기기 제어 또는 인터넷 접속 결과 정보를 상기 휴대형 정보 단말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 모듈; 상기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 모듈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종류를 분석하는 수단; 분석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정보 가전기기를 제어하거나 원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을 수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분석 수단에서 분석된 수신 데이터의 종류 정보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휴대형 정보 단말기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를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을 통해 요구하는 수단; 상기 요구에 따라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 모듈을 통해 휴대형 정보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수단; 상기 인증 수단으로부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가전기기에 해당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가전 기기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증 데이터는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인터넷 사이트 접속을 위한 데이터인 경우, 인터넷 망을 통해 해당 사이트로 접속을 요청하는 수단;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이 완료 된 후, 해당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상기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형 정보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가전기기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홈 서버를 이용하여 정보 가전기기제어 및 인터넷 접속을 위한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가전 기기 제어 또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 처리부;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홈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포맷 변환부; 상기 포맷 변환된 정보 가전 기기 제어 또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를 TCP/IP의 패킷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형 정보 단말기는 PDA 단말기, PCS단말기, DCS단말기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형 정보 단말기와,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에 따라 정보 가전 기기 제어 또는 인터넷 접속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홈 서버간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장착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가전 기기 제어 또는 인터넷 접속 제어 데이터를 상기 홈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 모듈과; 상기 홈 서버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을 통해 무선 전송된 정보 가전 기기 제어 또는 인터넷 접속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정보 가전 기기 제어 또는 인터넷 접속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로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공하는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 모듈을 포함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 자동화 제어를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 서버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및 가정 자동화 제어를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에 대한 개략적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홈 서버(1), 휴대형 정보 단말(2), 디지탈 TV(4), 다수의 정보가전기기(5) 및 홈 서버(1)와는 외부 망(3) 예를 들면 인터넷이 연결 구성된다.
또한, 휴대형 정보 단말(2)과 홈 서버(1)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장치로 휴대형 정보 단말(2)과 홈 서버(1)에는 블루투스/무선랜 모듈(1-1, 2-1)이 각각 장착되는데, 이러한 블루투스/무선랜 모듈은 휴대형 정보 단말(2)과 홈 서버(1)내 또는 외부에 별도로 장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휴대형 정보 단말기(2)는 블루투스/무선 랜 모듈(2-1)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홈 서버(2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다수의 정보 가전기기(5)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또는 외부망(40)을 통해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 및 상기 다수의 정보 가전기기(5)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증 이미지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 방법으로는 소프트 키보드 방법, 문자 입력 방법, 음성 입력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소프트 키보드 방법은 터치 스크린 형태로 사용자가 문자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 후, 디스플레이된 문자 입력화면에 직접 터치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고, 문자 입력 방법은 휴대형 정보 단말(2)내에 문자 인식 프로그램이 장착되어 문자를 펜(Pen)으로 직접 작성하여 입력하는 방법이다. 또한, 음성 입력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음성으로 입력하게 되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형 정보 단말(2)내에는음성 인식 프로그램과 음성/문자 변환 프로그램이 프로그래밍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정보 가전기기(5)는 가정 내 모든 가전 제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TV, 냉장고, 화상 전화기, 프로젝터, 스캐너, 디지탈 캠코더, 오디오 시스템, 비디오 시스템 등 다수가 될 수 있다.
홈 서버(1)는 휴대형 정보 단말(2)로 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가 외부망(3)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을 위한 데이터인지, 또는 다수의 정보 가전 기기(5)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인지 또는 정보 가전기기(5)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증 이미지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인 경우 외부망(3)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고, 정보 가전기기(5)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인 경우 해당 데이터에 따라 해당 정보 가전기기(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홈 서버(1)는 휴대형 정보 단말(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인 경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와 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가전 기기(5) 제어 데이터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5)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정보 가전기기(5)를 제어하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유는 또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 가정내에 있는 정보 가전기기(5)를 무단으로 제어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가정내의 홈 서버(1)를 이용하여 외부 인터넷 망(3)에 접근할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접근하는 웹 사이트의 내용은 정보 가전기기(5), 예를 들어 TV 화면에 표시된다. 인터넷 TV를 위한 셋탑박스 등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웹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는 등의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은 적외선 통신 모듈을 가진 무선 키보드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휴대형 정보 단말(2)을 사용하여 문자 데이터 입력장치의 크기를 현저히 줄임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더욱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의 휴대형 정보 단말(2)로는 PDA단말기, PCS 단말기, DCS단말기 등 이동통신 무선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형 정보 단말(2)에서 소프트 키보드, 문자 인식 및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친숙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에 무선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던 적외선 통신 방법이 송신부와 수신부가 일직선 상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홈 서버(1)와 휴대형 정보 단말(2)에 각각 블루투스/무선 랜(1-1, 2-1)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데이터를 홈 서버(1)로 전송하여 가정내의 정보 가전기기(5)를 제어하거나 또는 외부망(3)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휴대형 정보 단말(2)를 이용하여 가정내의 정보 가전기기(5)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또는 외부망(3)을 통한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휴대형 정보 단말(2)은 입력된 데이터를 블루투스/무선 랜(2-1)을 통해무선으로 가정내에 장착된 홈 서버(1)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홈 서버(1)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블루투스/무선랜 모듈(1-1)을 통해 수신한 후,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정보 가전기기(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해당 가전기기(5)로 제공하거나 또는 외부망을 통해 인터넷의 접속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정보 가전기기(5)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위해 홈서버(1)에는 이미지(예를 들면 지문) 분석장치가 장착되어 휴대형 정보 단말(2)로 부터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 작업을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정보 가전기기(5)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홈 서버(1)는 정보 가전기기(5)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가전기기(5) 제어 결과 정보 또는 외부망(3)을 통해 전송되어지는 해당 사이트 정보를 블루투스/무선 랜(1-1)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정보 단말(2)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또한 디지탈 TV(4)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형 정보 단말기(2) 및 홈 서버(1)의 상세 구성 및 그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홈 서버와 휴대형 정보 단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서버(1)에는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 모듈(1-1)과 외부 망(3) 즉, 외부 인터넷 망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망 접근 모듈(1-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홈 서버(1)는 홈 서버용 실시간 OS(1-3)가 설치되어 있어 홈 서버(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실시간 OS 상에서 웹 서버(1-4)가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홈 서버(1)에 접근한 후, 웹 브라우저(1-5)를 사용하여 가정 내의 홈 서버 홈페이지를 브라우징하고,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종 정보 가전기기(5)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망 접근 모듈(1-2)과 웹 브라우저(1-5)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임의의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무선 키보드 대신 사용자가 원하는 웹 사이트의 주소 및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가 바로 휴대형 정보 단말(2)인 것이다.
휴대형 정보 단말(2)은 홈 서버(1)와의 정보 교환을 위하여 블루투스 /무선랜 모듈(2-1)이 장착되어 있고, 휴대형 정보 단말(10)을 위한 실시간 OS(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형 정보 단말용 실시간 OS(2-2)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처리부(2-3)의 응용 프로그램인 소프트 키보드 또는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는 경우 데이터 입력 처리부(2-3)에서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프트 키보드 방식, 문자 인식방법 또는 음성 인식 방법등을 이용하여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휴대형 정보 단말(2)에서 데이터 입력 처리부(2-3) 즉, 소프트 키보드, 문자 인식 또는 음성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접속하고자 하는 웹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게 되면, 이 정보는 휴대형 정보 단말(2)의 블루투스/무선 랜 모듈(2-1)을 통해 홈 서버(1)에 대응하는 블루투스/무선 랜 모듈(1-1)로 전송한다.
홈 서버(1)에서는 휴대형 정보 단말(2)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문자 데이터를 블루투스/무선랜 모듈(1-1)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문자 데이터는 홈 서버용 실시간 OS(1-3)에서 분석한 후, 홈 서버(1)의 키보드 입력으로 고려하여 웹 서버(1-4)를 통해 웹 브라우저(1-5)로 전달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웹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여 브라우징 하는 것이다. 여기서, 휴대형 정보 단말(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정보 가전기기(5)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인 경우 홈 서버용 실시간 OS(1-3)를 통해 웹 서버(1-4)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가전기기(5)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 입력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휴대형 정보 단말에서 홈 서버로 전송되는 데이터 형식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정보 단말(2)과 홈 서버(1)사이에 정보 전달을 위한 동기화가 설정된다.
동기화가 설정되고부터는 휴대형 정보 단말(2)에는 문자 데이터 입력 전용창이 디스플레이되게 되고 이 전용 입력창에 대한 문자 데이터 입력은 곧 바로 홈 서버(1)와 연동하게 된다.
홈 서버(1)는 이러한 연동을 위해 입출력 에이전트를 운영하게 된다. 이때 홈 서버(1)는 홈 서버 에이젼트 준비 신호를 블루투스/무선랜 모듈(2-1)을 통해 휴대형 정보 단말(2)로 전송하게 된다(S101).
상기 에이전트는 휴대용 정보 단말(2)로부터 전송된 문자 데이터를 로드하여 홈 서버(1)의 입력 선상에 로드하여 홈 서버(1)가 휴대형 정보 단말(2)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홈 서버(1)로부터 에이전트 준비신호가 블루투스/무선 랜 모듈(1-1)을 통해 전송되면, 휴대형 정보 단말(2)은 블루투스/무선 랜 모듈(2-1)을 통해 수신한 후(S102), 홈 서버(1) 에이전트의 준비완료 여부 즉, 휴대형 정보 단말(2)에 문자 데이터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S103).
판단결과, 홈 서버(1) 에이전트 준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즉, 휴대형 정보 단말(10)에 문자 데이터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경우에는 홈 서버(1)로부터 에이전트 준비 신호를 수신한 후, 문자 데이터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반대로 홈 서버(1) 에이전트 준비가 완료된 경우 즉, 휴대형 정보 단말(2)에 문자 데이터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문자 정보의 입력을 확인하여(S104), 문자 데이터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05).
판단결과, 사용자로부터의 문자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문자 데이터는 홈 서버(1)로의 전송을 위해 일정한 형식을 갖춘 데이터 형식으로 휴대형 정보 단말(2)의 휴대형 정보 단말 실시간 OS(2-2)에서 변환되는데(S106), 이러한 데이터 형식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자.
도 4a 내지 도 4c는 휴대형 정보 단말(2)에서 홈 서버(1)로 전송되는 3가지 형태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전송 데이터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정보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송 데이터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c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이미지 등의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 포맷을 보면, TS(Time Stamp), DSIZE(Data Size), DP(Data Property), DATA의 형태의 포맷으로 이루어진다.
타임 스탬프 값은 입출력 객체를 위한 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시간 값인 시스템 시간이다. 즉, 상기 타임 스탬프값은 대략 4바이트의 길이를 가지는 값이 될 수 있다.
DSIZE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고, DP는 데이터의 특성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상기 데이터의 특성이란,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문자 데이터인지, 오디오 데이터인지, 영상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의 종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DP를 추가함으로써, 단순한 문자 데이터 뿐 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DATA는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실제 데이터 즉, 사이트 주소(URL)를 의미한다.
그리고, 정보 가전기기(5)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을 보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S와 FLAG는 상기 도 4a와 동일한 것이고, DN(Device Number)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의 식별 번호이고, ON(Operation Number)은 제어하고자 하는 동작의 식별 번호이다. 다시 말해, DN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지정하는 것이고, ON은 지정된 기기의 동작 부분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이와 같이 휴대형 정보 단말(2)로부터 전송된 제어 데이터는 홈 서버(1)에서 수신하게 되고, 수신된 제어데이터는 홈 서버(1)에서 해석되어 지정된 기기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3번째 데이터 형식은 인증을 목적으로 하는 지문 이미지 등의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 가전기기의 제어 또는 사이트 접속시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인 것이다.
그 데이터 포맷을 보면, TS와 FLAG는 상기 도 4a 및 도 4b의 TS와 FLAG와 동일한 것이며, IS(Image Size)는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 정보의 크기를 나타내며, ID(Image Data)는 실제 이미지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 4c와 같은 사용자 인증 데이터 포맷은 가정내의 가전기기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홈 서버(1)에서 사용자 인증은 중요한 요소이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전송 데이터는 TCP/IP의 패킷 형태로 다시 구성될 것이기 때문에 오류 제어나 크기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 그러나, 입출력 모듈의 형태에 의해 크지 않은 데이터로 구성될 것이다.
이와 같이 휴대형 정보 단말(2)에서 입력된 데이터는 홈 서버(1)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되어 실시간으로 블루투스/무선 랜 모듈(2-1)을 통해 홈 서버(1)로 전송되는 것이다(S107).
이어, 휴대형 정보 단말(2)은 계속적으로 데이터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데이터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해당 데이터를 홈 서버(1)로 전송하고, 반대로 문자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 즉, 종료신호가 있는 경우 문자 정보의 전송을 완료하는 것이다(S108).
이와 같이 휴대형 정보 단말기(2)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면, 홈 서버(1)는 휴대형 정보 단말(2)에서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는데(S109), 문자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S110).
판단결과,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데이터가 종료 신호인지를 판단하고(S111), 만약 수신된 데이터가 종료 신호인 경우 모든 기능을 종료하고, 반대로 수신된 데이터가 종료 신호가 아닌 경우 즉, 수신된 데이터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또는 외부망을 통한 인터넷 접속 사이트 주소 데이터인 경우 해당 데이터를 버퍼에 로드하게 된다(S112). 여기서,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의 인증 동작을 수행한 후, 가전 기기의 제어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다.
버퍼에 로드한 후, 로딩된 해당 데이터에 따라 가전기기를 제어하기나 사용자가 입력한 사이트 주소로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홈 서버(1)와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형 정보 단말(2)을 이용하여 홈 서버(1)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이때, 전달되는 정보의 형태와 응용 프로그램을 확장하여 생각하면, 문자 데이터 뿐 만 아니라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정보의 전송과 이를 이용하는 홈 서버(1) 및 원격 기기의 제어까지도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입력 데이터의 전송 절차와 데이터의 식별 및 처리에 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은 홈 서버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접속하고자 할 경우 또는 가정 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데이터를 홈 서버에 입력하고자 할 때 적외선 모듈을 장착한 키보드 대신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을 장착한 후, 대형 정보 단말과 이 단말에서 동작하는 소프트 키보드 또는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정보 단말기는 무선 키보드에 비해 물리적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고, 송신단과 수신단 중간에 방해물이 없이 서로 마주보고 있어야 한다는 제약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송되는 데이터의 내용을 단순한 문자 데이터에서 오디오,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확대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전송에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며, 원격기기의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의한 제어에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홈 서버를 이용하여 정보 가전기기 제어 및 인터넷 접속을 위한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가전 기기 제어 또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홈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포맷 변환된 정보 가전 기기 제어 또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데이터 TCP/IP의 패킷 형태로 구성하여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을 통해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데이터의 입력은, 소프트 키보드 입력방식, 문자 입력 방식, 음성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며,
    상기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에서, 입력되는 데이터가 정보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와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홈 서버를 이용한 정보 가전기기 제어 및 인터넷 접속을 위한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위한 데이터는,
    입출력 객체를 위한 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일정 비트의 타임 스탬프 정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FLAG 정보;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 정보의 크기를 나타내는 Image Size 정보;
    전송하고자 하는 실제 이미지 데이터인 Image Data정보를 포함하는 홈 서버를 이용한 정보 가전기기 제어 및 인터넷 접속을 위한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가전 기기 제어를 위한 데이터는,
    입출력 객체를 위한 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일정 비트의 타임 스탬프 정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FLAG 정보;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해당 가전 기기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동작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홈 서버를 이용한 정보 가전기기 제어 및 인터넷 접속을 위한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지문 정보인 홈 서버를 이용한 정보 가전기기 제어 및 인터넷 접속을 위한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결과 정보 또는 인터넷 사이트 접속 결과 정보 또는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서버를 이용한 정보 가전기기 제어 및 인터넷 접속을 위한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1-0049297A 2001-08-16 2001-08-16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위한 데이터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23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297A KR100423809B1 (ko) 2001-08-16 2001-08-16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위한 데이터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297A KR100423809B1 (ko) 2001-08-16 2001-08-16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위한 데이터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527A KR20030015527A (ko) 2003-02-25
KR100423809B1 true KR100423809B1 (ko) 2004-03-22

Family

ID=2771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297A KR100423809B1 (ko) 2001-08-16 2001-08-16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위한 데이터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262B1 (ko) * 2002-02-26 2005-01-03 코스텔(주) 다기능 오디오/비디오 장치와 이동체 컴퓨터를 구비하는다기능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US7451198B2 (en) * 2003-08-29 2008-11-11 Microsoft Corporation WAP XML extension for WiFi and desktop passthrough connections
KR101413687B1 (ko) * 2013-01-04 2014-07-0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527A (ko)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1940B2 (en)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display system and content display method
US201000774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
JP4754432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通信端末、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423809B1 (ko)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위한 데이터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344644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KR20070100511A (ko) 디.엘.엔.에이 네트워크에서 북마크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
JP2001331394A (ja) 家電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方法
JPH07327278A (ja) 遠隔制御方式
WO2003047252A1 (fr) Systeme et procede de diffusion numerique permettant a un utilisateur d'acceder a une pluralite d'isp au moyen d'un canal distant
KR100445005B1 (ko) 전자 메일을 전송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에서 전자 메일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