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443B1 - 연속주조용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량을 억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용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량을 억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443B1
KR100423443B1 KR10-1999-0064138A KR19990064138A KR100423443B1 KR 100423443 B1 KR100423443 B1 KR 100423443B1 KR 19990064138 A KR19990064138 A KR 19990064138A KR 100423443 B1 KR100423443 B1 KR 100423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mold
height
pressur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1640A (ko
Inventor
최주
이성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6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443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24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characterised by a rectilinearly movable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주조용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량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하는 바는 주형상부에 감압 또는 가압을 행할 수 있는 별도의 감압 또는/및 가압조를 설치하여 용강 높이 변화에 상당하는 용강량을 감압 또는/및 가압조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서, 연주기에서 주편을 지지할 수 있는 롤의 배열상태, 강의 조성 및 주조속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주형내 용강높이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강을 저장할 수 있는 감압 또는/및 가압조를 설치하여 주형내 용강과 연결시키고, 상기 감압 또는/및 가압조 내의 압력과 주형내 용강 높이를 동시에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높이가 사전설정된 높이 보다 작을 경우, 감압 또는/및 가압조 내의 용강을 주형에 주입하고, 상기 감지된 높이가 사전 설정된 높이 보다 클 경우에는 주형 내 용강을 감압 또는/및 가압조에 흡임함으로써 주형내 용강높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주용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량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연속주조용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량을 억제하는 방법{A Control Method of Height-Fluctuation of Molten Steel in Mold for Continuous Casting}
본 발명은 연속주조용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량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주기에서 주편을 지지할수 있는 롤의 배열상태, 강의 조성 및 주조속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주형내 용강높이 변동정도를 예측하고 이를 억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 공정에서 레들(ladle)내 용강은 턴디시(tundish)를 경유하여 주형으로 주입되며 주형에서 일정한 모양으로 응고된 주편은 주형 하부에 배치된 여러개의롤(roll)을 거치면서 주편상, 하부에서 뿌려지는 냉각수에 의해 응고가 완료된다.
주형내에 주입되고 있는 용강은 가능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해야 한다. 주입중 용강 높이가 변동하면 주형내 용강위에 덮혀 있는 주형 용재가 용강 내부 혹은 응고층으로 침투하게 된다. 주형 용재가 용강중으로 침투하게 되면 용강과 용제가 혼합된 채로 응고가 완료되어 제품의 결함을 야기할 수 있는 원천을 제공한다. 또한, 응고층에 침투하게 되면 응고층의 강도를 감소시켜 주형내 혹은 주형 하부로 내려가면서 용강에 의한 정압이 높아지면 얇은 응고층이 파단 될수 있는 원인으로 제공된다. 응고층이 파단되면 주조중 주편내의 용강이 유출되어 주형 하부에 배치된 연주설비로 쏟아지기 때문에 주조 중단은 물론이고, 주형 하부에 배치된 롤에 용강이 부착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시간이 크게 소요되고 이로 인해 생산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연속주조공정에서 주형내 용강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기술중의 한가지이다.
통상적인 연속주조공정에서 주형내 용강 높이를 제어할수 있는 시스템(system)을 도 1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시스템은 주형(3)내 용강 높이를 측정할수 있는 센서(sensor,4), 턴디시(2)에서 주형으로 공급되는 용강량을 조질할수 있는 밸브(valve,6), 그리고 현재의 용강 높이와 목표하는 용강 높이를 비교하고 밸브의 개공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신호를 보내주는 중앙 제어기(5)로 구성되어 있다. 즉, 용강 높이 센서에서 측정된 값이 목표치보다 높거나 낮거나 하면 중앙 제어기에서는 이를 보충할수 있는 용강량을공급할수 있도록 밸브를 소정치 만큼 닫거나 열거나 해서 주형내 용강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주조속도가 크게 증가하고 다양한 합금 성분이 첨가된 강종을 주조함에 따라, 통상적인 용강높이 제어기에 의해서는 주형내 용강높이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원인에 관해서도 명확하게 도출되지 않고 있다.
다음에서는 통상적인 용강 높이 제어기에 의해서 용강 높이 제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유형별로 분석하여 그 원인을 도출하여 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시한다.
연속주조에서 통상적으로 주형내 용강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도 2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조속도가 일정할 경우 연주기를 빠져나가는 응고가 완료된 주편내 용강의 부피 Vi는 일정하다. 따라서, 주형(3)내 용강 높이(Hm)는 턴디시(1)에서 주형으로 공급되는 용강의 공급속도에 의존하여 이 용강 공급속도는 스토퍼(stopper) 혹은 슬라이딩 게이트(Sliding gate, 6)의 개공정도, Ai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즉, Hm이 낮아지는 경우 Ai를 크게 하면 주형으로 공급되는 용강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Hm이 올라가고 반대로 Hm이 높아지는 경우 Ai를 작게 하면 주형으로 공급되는 용강량이감소하기 때문에 Hm이 내려가므로서 일정 범위 이내에서 주형내 용강 높이가 유지되는 것이다.
도 3에 의거 실제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폭 1600mm, 두께 220mm로 설정된 주형에서 주조를 한 경우로서 8400초 동안의 주조속도, 턴디시 무게, 슬라이딩게이트 열림정도 및 주형내 용강높이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1200초를 넘어가면 주조속도를 100에서 120cm/분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이때 도 3을 자세히 살펴보면 주조속도가 증가하면서 빠져나가는 주편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주형내 용강높이가 감소한 후 슬라이딩게이트 열림정도가 증가하면서 주형내 용강높이가 다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같이 정상적인 연속주조의 경우에는 기존주형내 용강높이 제어기에 의해서도 안정하게 주형내 용강높이를 일정범위내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서 7200초를 경과한 시점에서 보면 주조속도의 변화와 같이 별 다른 요인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주형내 용강 높이가 크게 변동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원인에 관한 면밀히 분석하여 하기 표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여기서,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크기란 목표로 하는 용강높이에서 상,하로 변화하는 높이의 크기이며, 일반적으로 주형내 응고층 두께는 어떤 상수 곱하기 주편이 주형에 머무르는 시간의 1/2 제곱에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주형내 길이방향 응고층 두께 변화는 이러한 곡선에서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변화가 클수록 도 4(a)[주조속도:1.1m/min, 주조단면적:220×1900mm, C:0.14%]에서 보는 바와같이, 응고층 두께가 불균일해지는 것이다. 용강을 수용하고 있는 응고층은 주형 하부로 내려감에 따라 도 4(b)에서 보는 바와같이, 철정압이 응고가 시작하는 지점으로부터의 높이의 함수로 증가하며 이로 인해 주편지지롤과 지지롤 사이에 존재하는 응고층(8)이 동일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이 힘에 의해 부푸는 현상을 나타낸다. 그 부풀리는 정도를 하기 표1(주형내 용강높이 변동크기에 미치는 주형내 길이방향 응고층 두께 변화와 주편 지지롤 사이 주편 부품림량의 영향)에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주형내 길이방향 응고층 두께 변화와 주편 지지롤 사이 주편 부풀림량이란 것은 용강을 수용하고 있는 응고층의 부피가 변화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1 2 3 4
주형내용강 높이변동크기 ±3mm이내 ±10mm이상 ±10mm이상 ±10mm이상
주형내길이방향 응고층 두께 변화 ±2mm이내 ±3mm이상 ±2mm이내 ±3mm이상
주편 지지롤 사이 주편 부풀림량 0.3mm이하 0.3mm이하 0.5mm이상 0.5mm이상
상기 표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은 주형길이내 응고층 두께변화가 ±3mm이상이거나 주편 지지롤 사이 주편 부풀림량이 0.5mm 이상이면 그 정도가 매우 극심해짐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두가지 요인 즉, 응고층의 부피 변화가 주형내 용강 높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기존 주형내 용강높이 제어방법의 경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응고층(8) 내부의 용강부피(V)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별다른 문제없이 주형내 용강 높이를 제어할수 있다. 그러나, 용강 부피(V)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방법이 주형내 용강 높이를 더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서 나타낸 주조중 주형내 용강 높이 변화를 도 5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형내 용강높이가 내려가면 슬라이딩게이트는 열리고 반대로 올라가면 슬라이딩게이트는 닫기는 방식으로 (32.2에서 35.8mm 사이를 움직임) 주형내 용강높이는 목표치에서 ±3mm 이내(122.1에서 128.1mm)로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7360초 이후부터는 대체적인 견지에서 주형내 용강높이 변화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게이트가 움직이고 있으나 주형내 용강높이를 목표치 범위보다 휠씬 크게 변동하고 있다. 가장 유의해서 볼 사항은 단계 1,3 그리고 5에서 주형내 용강높이가 내려가기 때문에 슬라이딩게이트가 점차 열리면서 주형에 공급해주는 용강량을 증가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형내 용강높이는 계속 내려가며 3에서 10초 정도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이와 반대로 단계 2,4 그리고 6에서는 주형내 용강 높이가 올리기 때문에 슬라이딩게이트가 점차 닫기면서 주형에 공급해주는 용강량을 감소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형내 용강높이는 계속 내려가는 현상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또한, 단계 1과 2를 비교할 때 단계 1에서의 슬라이딩게이트 열림정도가 단계 2보다 큼에도 불구하고 주형내 용강높이는 단계 1에서 오히려 내려가고 단계 2에서는 올라간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주형내 용강 높이는 도 5(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약 30초 정도의 장주기와 장수기 안에 미세한 단주기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예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주형내 용강 높이 변화가 슬라이딩 알림정도뿐 아니라 상기 표1에서 얻은 측정결과에 의해 주형내 응고층의 두께 그리고 주형하부 지지롤과 지지롤 사이의 부풀림량이 주형내 용강 변화에 직접 관련성을 미침을 확증할수 있었다.
예를들면, 주조속도와 슬라이딩 게이트(6)의 개공정도가 일정하면서 응고층(8)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떤 요인으로 n시간 동안 확장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응고층은 용강을 수용하고 있는 용기로 볼 수 있다. 용기에 들어있는 응고층내 용강 부피(Vi)는 일정하기 때문에 n시간 동안 주형내 용강높이(Hm)가 감소하는 요인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기존의 제어기에서는 현재의 용강 높이기 목표치보다 감소하고 있기 대문에 슬라이딩 게이트 열림정도가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Ai를 △Ai 만큼 증가시킨다. 그러면 응고층내용강부피는 Vi + △V만큼 증가한다. n시간이 경과하면 응고층내 용강부피는 Vi + Σ△V 가 되고 슬라이딩 게이트 열림정도는 Ai +Σ△Ai가 된다.
여기서, 응고층이 수축하기 시작하면 주형내 용강높이(Hm)가 증가하는 요인이 발생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게이트 열림정도는 Ai + Σ△Ai 에서 시작하여 점차 감소한다. 여기서, 수축 시작점에서 슬라이딩 게이트 열림 정도는 Ai + Σ△Ai라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열림정도는 주속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응고가 완료되어 빠져나가는 주편의 부피에 비하여 많은 양이 나오고 있으며 여기에 응고층의 수축분까지 주형내 용강 높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형내 용강 높이가 급격히 증가하는 요인이 되며 이로인해 목표 범위를 휠씬 초과하여 주형내 용강이 올라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주형내 용강은 도 5(c)와 같은 주기적인 성격을 가지면서 큰 범위에 걸쳐 아래위로 진동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주형내 용강높이의 주기적인 변동에 관한 원인과 저감 방안은 여러가지문헌에 소개되어 있다.
원인으로는 첫번째 주형 하부에 배치된 지지롤의 간격이 일정하다는 것이다. 이는 상기한 바와같이, 롤과 롤사이의 부풀림 현상으로 인하여 롤 1개간격으로 응고층내 용강의 부피가 변동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이의 저감 대책으로는 가장 대표적으로 롤 간격을 임의로 변경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이미 설치된 연주기에는 지지롤이 수십개 배치되기 때문에 몇개 롤의 간격을 바꾸기 위해서는 기 설치된 연주기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연주기 하부 응고층에 냉각수를 많이 비수하여 응고층 두께를 증가시키므로서 부풀림양 자체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표면에 균열이 크게 다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부풀림양 자체를 완전히 제로화 할 수 없다.
한편, 주조되고 있는 용강의 성분에 따라서 주형내 응고층의 길이 방향 두께 변화가 아주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예를들면 용강중에 함유된 탄소양이 0.08에서 0.12% 사이에서는 응고층에서 생성되는 델타에서 감마상으로의 변태로 인하여 수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인해 응고층에 공기틈이 발생하고 이것이 주형내 응고층의 길이 방향두께 변화를 야기한다는 것이다. 이때문에 연속주조되는 용강은 가능한탄소양 0.08에서 0.12%사이를 회피하여주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강중에 함유된 탄소가 제품의 물성치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실용상 탄소양 0.08에서 0.12%사이의 제품이 철강 제품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궁극적인 방법이 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주형상부에 감압 또는 가압을 행할 수 있는 별도의 감압 또는/및 가압조를 설치하여 용강 높이 변화에 상당하는 용강량을 감압 또는/및 가압조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서, 연주기에서 주편을 지지할 수 있는 롤의 배열상태, 강의 조성 및 주조속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주형내 용강높이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용강 높이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연속주조기의 개략구조도
도 2는 주형내 용강높이 제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을 설명하기 위해 연주기의 개략구조도
도 3은 전형적인 연속주조시 주조속도, 턴디시 무게, 주형내 용강높이, 그리고 슬라이딩게이트 열림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이는 그래프
도 4는 주형내 용강높이 변화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인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주형내 길이 방향에 따른 전형적인 응고층 두께 변화를 보이는 그래프, (b)는 주형하부 주편 지지롤 사이의 부풀림 현상을 보여주는 모식도
도 5는 도 3의 주형내 용강높이 변화를 전형적인 유형별로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a)정상적인 주형내 용강 높이 제어시의 주형내 용강높이와 슬라이딩게이트 열림정도를 보이는 그래프, (b)는 응고층의 부피가 변화하기 시작할때 주형내 용강높이와 슬라이딩게이트 열림정도를 보이는 그래프, (c)는 주기적인 응고층 부피 변화를 동발할 때 주형내 용강높이와 슬라이딩게이트 열림정도를 보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감압을 이용한 주형내 용강높이 제어 원리도를 설명하기 위한 연주기의 개략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압을 이용한 주형내 용강높이 제어 원리도를 설명하기 위한 연주기의 개략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턴디시내용강 (2) 턴디쉬
(3) 주형 (4) 용강높이 측정 Sensor
(5)용강높이 중앙 제어기 (6)Valve(슬라이딩게이트 혹은 스톱퍼)
(7)슬라이딩게이트 열림정도 (8)응고층
(9)주편지지롤
본 발명자들은 연속주조에서 주형내 용강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는 턴디시에서 주행으로 용강을 공급할수 있는 슬라이딩게이트의 열림정도 뿐아니라 주형과 주형하부의 응고층의 부피 변화도 있을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주형내 용강높이 제어방법은 높이 제어의 정확도, 상업성 및 범용성등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는 점도 명확히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주형과 주형하부의 응고층의 부피 변화에 의한 주형내 용강 높이는 기존의 슬라이딩게이트의 열림 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미흡하기 때문에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보조 수단을 제공함으로서 주형내 용강높이를 주조중에 일정하게 유지할수 있는 방법을 마련코져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출발한 본 발명은 용강을 저장할 수 있는 감압 또는/및 가압조를 설치하여 주형내 용강과 연결시키고, 상기 감압 또는/및 가압조 내의 압력과 주형내 용강 높이를 동시에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높이가 사전설정된 높이 보다 작을 경우, 감압 또는/및 가압조 내의 용강을 주형에 주입하고, 상기 감지된 높이가 사전 설정된 높이 보다 클 경우에는 주형 내 용강을 감압 또는/및 가압조에 흡임함으로써 주형내 용강높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용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량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형위에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강을 저장할 수 있는 감압조(10)를 주형내 용강안에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감압조내의 압력과 주형내 용강 높이를 동시에 감지하여 감압조내의 용강을 주형에 주입하거나 혹은 주형내 용강을 감압조에 흡입하므로서, 주형내 용강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진공조의 용적에 관하여 먼저 설명한다. 상기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슬라이딩 게이트 열림정도를 조절하여 주형내 용강높이를 제어하는 것은 주형과 주형하부 용강의 부피 변화가 수반될때 슬라이딩 게이트 열림정도가 이를 충분히 보상해줄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알았다. 따라서, 주형내 용강 높이가 크게 변화할 때 이를 보상해줄 수 있는 용강 중간 지상고를 설치하고 용강높이의 변동을 감지하여 목표치와의 차이가 나는 용강을 주형에 주입하거나 흡입하므로서 주형내 용강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즉, 감지된 주형의 용강 높이가 사전설정된 높이 보다 작을 경우, 감압 또는/및 가압조 내의 용강을 주형에 주입하고, 상기 감지된 높이가 사전 설정된 높이 보다 클 경우에는 주형 내 용강을 감압 또는/및 가압조에 흡임함으로써 주형내 용강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따라서, 감압조내 용강을 저장할수 있는 용적(V)은 주조하는 주편의 크기와 주형내 높이 변화크기에 의존할 것이다. 만약, 주조 두께(T)가 220mm, 주조폭(W)이 1600mm라면 ±20mm에 해당한 주형내 용강높이 변동(H)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하기 수학식(1)에서 계산되는 용적 이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22(T) x 160(W) x 2(H) x (±)2(H) = 14080cc
다음은 감압조내의 압력에 관한 것이다. 주형 상부 용강에 압력 Po, 감압조내 용강상부에 압력 Pv, 그리고 주형내 용강과 감압조 용강과의 높이 차이가 Hd라면 하기와 같은 수학식(2), 수학식(3)이 성립한다.
Po - Pv = ρㆍgㆍHd
Pv = Po - ρㆍg ㆍHd
여기서, ρ는 용강의 비중, g는 중력가속도이고, Po, ρ 그리고 g는 상수이기 때문에 감입조내 압력 Pv는 Hd의 함수가 된다.
만약, 주형내 용강의 높이가 △H 만큼 내려간다면 수학식(3)은 하기 수학식(4)와 같이 될 것이다.
Pv' = Po - ρㆍgㆍ(Hd + △H)
수학식(1)에서 수학식(3)을 빼면 하기 수학식(5)로 된다.
Pv' = Pv - ρㆍgㆍ△H
즉, 감압조내 압력이 수학식(5)와 같이 낮아지는 것이다.
여기서, 감압조는 높이에 따른 면적의 차이는 없다고 가정하고 그 면적을 Av 그리고 주형내 용강과 감압조내 용강 높이 차이가 Hd일때 감압조내 용강의 높이를 Hv라고 한다.
주형내 용강 높이 감소에 의한 용적 변화는 수학식(1)에 의거하면 TㆍWㆍ△H이다. 만약 TㆍWㆍ△H에 해당하는 감압조내 용적이 Avㆍ△Hv 라면 이에 해당하는 감압조내 용강을 주형으로 주입한다면 주형내 용강 높이 변화는 없어지는 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감압조내 압력(Pv")은 하기 수학식(6)에 의거하여 구할 수 있다.
Pv" = Po - ρㆍgㆍ(Hd-△Hv)
즉, 주형내 용강 높이가 내려갈때 내려가는 양만큼 감압조내 압력을 수학식(6)에 의거하여 증가시키므로서 주형내 용강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주형내 용강 높이가 올라올때는 수학식(6)에 의거 압력을 감소시키므로서 주형내 용강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주형내 용강 높이 제어방법은 그 자체로서 주형내 용강높이 제어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고 기존의 용강높이 제어기의 보조수단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주형내 용강에 침지되는 관은 용강과 주형용재에 장시간 견딜수 있는 재질이어야 하며 용강과 접촉시 지금이 형성되지 않도록 가열체가 내장 혹은 외장되어도된다. 마찬가지로 진공조 내부로 자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가열 수단이 필요하다.
상기한 방법과 같은 주형 상부에서 감압에 의해 주형내 용강 높이를 제어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도 7에서 보는 바와같이 가압에 의해서도 주형내 용강 높이도 제어할수 있으며, 원리는 감압시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조건에 맞게 조업을 실시한 경우는 주형내 용강높이 제어가 손쉽게 행하여 졌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주형상부에 감압 또는 가압을 행할 수 있는별도의 감압, 가압조를 설치하고, 이들에 의해 용강 높이 변화에 상당하는 용강량을 제어함으로서, 연주기에서 주편을 지지할 수 있는 롤의 배열상태, 강의 조성 및 주조속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주형내 용강높이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3)

  1. 용강을 저장할 수 있는 감압/가압조를 설치하여 주형내 용강과 연결시키고, 상기 감압/가압조 내의 압력과 주형내 용강 높이를 동시에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높이가 사전설정된 높이 보다 작을 경우, 감압/가압조 내의 용강을 주형에 주입하고, 상기 감지된 높이가 사전 설정된 높이 보다 클 경우에는 주형 내 용강을 감압/가압조에 흡임함으로써 주형내 용강높이를 제어하며,
    아울러, 상기 감압/가압조의 용적은 [주조두께 × 주조폭 × 주형내 용강높이 × 변동가능폭]에 의한 값보다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용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량을 억제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조의 압력제어 또는 상기 가압조의 압력제어는 하기 수학식(6)에 의해 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용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량을 억제하는 방법
    [수학식 6]
    Pv" = Po - ρㆍgㆍ(Hd-△Hv)
    (여기서, Pv":감압조내 압력, Po:주형상부 용강의 압력, ρ:용강의 비중, g:중력가속도, Hd:주형내 용강과 감압조 또는 가압조의 높이차이, △Hv:Hd값일때 감압조 또는 가압조내 용강의 높이 변화)
KR10-1999-0064138A 1999-12-28 1999-12-28 연속주조용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량을 억제하는 방법 KR100423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138A KR100423443B1 (ko) 1999-12-28 1999-12-28 연속주조용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량을 억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138A KR100423443B1 (ko) 1999-12-28 1999-12-28 연속주조용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량을 억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640A KR20010061640A (ko) 2001-07-07
KR100423443B1 true KR100423443B1 (ko) 2004-03-19

Family

ID=1963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138A KR100423443B1 (ko) 1999-12-28 1999-12-28 연속주조용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량을 억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966B1 (ko) * 2008-07-16 2010-07-22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형 박판 제조 장치의 턴디쉬 무게제어 시스템 및 이에의한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640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61922B (zh) 一种凝固末端大压下连铸机的生产铸坯工艺
US50316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metal strip cast in a twin roll continuous casting machine
FI97282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lähellä loppumittaa olevan metallinauhan valmistamiseksi
US4986336A (en) Twin-roll type continuous casting machine
KR100423443B1 (ko) 연속주조용 주형내 용강 높이 변동량을 억제하는 방법
US43677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of metal under controlled load conditions
KR20020017028A (ko) 쌍롤형 박판주조 제어장치 및 방법
JPH0985407A (ja) 連続鋳造機におけるモールド内溶鋼レベル制御方法
CA2010107C (en) Method of continuous casting
JPS5946705B2 (ja) 連鋳モ−ルド内の溶融金属レベル制御方法
US3768542A (en) Level control in continuous casting
KR20120110585A (ko) 응고쉘의 경압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S62192246A (ja) 連続鋳造設備のモールド湯面レベル制御装置
US5253699A (en) Process for improving the surface condition and thickness regularity of a cast metal strip
KR101819342B1 (ko) 탕면레벨 안정화 장치 및 방법
JP7269465B2 (ja) 双ドラム式連続鋳造装置および双ドラム式連続鋳造方法
JPH11267813A (ja) 連続鋳造機の鋳型内湯面レベル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EP0250145B1 (en) Coninuous casting installations
US348007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harge of metal from a vacuum degassing chamber
JPH0139859B2 (ko)
JPH0459160A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型内湯面のレベル制御方法
JPS62197257A (ja) 連続鋳造における溶鋼の注入方法
KR100775290B1 (ko) 연속주조공정에서의 탕면레벨 제어장치
JPH035052A (ja) 連続鋳造用鋳型内溶鋼の偏流制御方法
JPS56139268A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