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684B1 - 카폰 수신시 자동 뮤트되는 카오디오 - Google Patents

카폰 수신시 자동 뮤트되는 카오디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684B1
KR100422684B1 KR1019970070997A KR19970070997A KR100422684B1 KR 100422684 B1 KR100422684 B1 KR 100422684B1 KR 1019970070997 A KR1019970070997 A KR 1019970070997A KR 19970070997 A KR19970070997 A KR 19970070997A KR 100422684 B1 KR100422684 B1 KR 100422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car
terminal
m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1637A (ko
Inventor
효 석 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7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684B1/ko
Publication of KR1999005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03F3/183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폰 수신시 자동 뮤트되는 카오디오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 자동차는 차량에 설치된 카폰의 이용시 카오디오와 연계되지 못하여 통화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카폰(10)이 수신될 경우 발생하는 벨소리의 신호와 통화 완료후 발생하는 통화 완료음의 신호를 직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60)와; 주파수 변환부(60)로부터 신호가 입력될 경우 작동중인 오디오를 뮤트 (mute)하기 위한 뮤트 단자(42)와, 오프된 오디오를 자동으로 "온"하기 위해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단자를 형성한 오디오의 마이컴(40)을 설정하고; 오디오 마이컴 (40)의 모드 단자(44)로부터 신호가 출력 될 경우 오프된 오디오를 자동으로 "온"하기 위한 오디오의 전원 제어부(50)를 형성하며, 마이컴(40)의 뮤트 단자(4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하여 오디오를 자동으로 뮤트하는 뮤트 트랜지스터(mute TR)를 설치하고, 인가되는 벨소리 및 통화 완료음의 신호와 카폰(10)의 송수신음은 버퍼(80) 및 파워 앰프(90)를 통해 스피커(30)로 출력되게 함으로써 운전 중에도 운전의 장애없이 오디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통화 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카폰 수신시 자동 뮤트되는 카오디오
본 발명은 카폰 수신시 자동 뮤트되는 카오디오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된 카폰이 수신될 경우 카오디오의 출력음을 뮤트함과 동시에 수신음이 오디오의 스피커를 통해 자동으로 출력되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게 한 카폰 수신시 자동 뮤트되는 카오디오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증가와 함께 우리 생활에 밀접해진 자동차는 생활편리를 위해 각양각색의 장식물 및 시설물을 차실 내부에 설치하여 주행간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다.
특히, 무선전화의 급증한 보급과 일반화된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차량에 무선전화기를 탑재하여 주행간 전화통화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거의 모든 차량에는 주행중 운전자 및 승객이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이용하는 카오디오가 설치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설치되는 카오디오도 고급화되어 고출력의 소형화된 오디오가 이용된다.
그러나, 차량에 탑재된 무선전화기 일명 카폰은 주행중 운전자가 통화를 할 경우 통화에 신경을 써야되기 때문에 주행 집중에 방해를 받게 되며, 때로는 다이얼링을 하거나 전화기를 잡아야 하기 때문에 자칫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상당하며, 또한 마이크로폰의 장비를 통해 자유로이 송신할 경우에도 작동중인 카오디오는 오프하여야 하는 불필요한 동작을 하게 되며, 카오디오가 오프되어야 조용한 분위기에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접국가인 일본 같은 경우에는 주행 통화중 교통사고가 빈번하여 주행 중에는 통화를 규제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주행중의 전화통화는 통계적으로도 사고를 유발하는 주요인 임이 판명됨에 따라 사회적인 문제로도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 자동차는 차량에 설치된 카폰의 이용시 카오디오와 연계되지 못하여 통화중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차량에 장착된 카폰이 수신될 경우 카오디오의 출력음을 뮤트함과 동시에 수신음이 오디오의 스피커를 통해 자동으로 출력되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게 하는 카폰 수신시 자동 뮤트되는 카오디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카폰이 자동으로 수신되는 카오디오의 제어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카폰 20 : 배터리
30 : 스피커 40 : 마이컴
42 : 뮤트 단자 44 : 모드 단자
50 : (수신음 입력시 강제 "온"하는 오디오의) 전원 제어부
60 : 주파수 변환부 70 : 소켓
80 : 버퍼 90 : 파워 앰프
100 : 라디오, 테잎 , 씨디(CD) 110 : 증폭부
120 : 마이크로폰 130 : 오디오부
mute TR : 뮤트 트랜지스터 TR1,TR2 : 트랜지스터
따라서, 본 발명은 카폰이 수신될 경우 발생되는 벨소리의 신호와 통화 완료후 발생되는 통화 완료음의 신호를 직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상기 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될 경우 작동중인 오디오를 뮤트(mute)하기 위한 뮤트 단자와, 오프된 오디오를 자동으로 "온"하기 위해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드단자를 형성한 오디오의 마이컴을 설정하고; 상기 오디오 마이컴의 모드 단자로부터 신호가 출력 될 경우 오프된 오디오를 자동으로 "온"하기 위한 오디오의 전원 제어부를 형성하며; 상기 마이컴의 뮤트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하여 오디오를 자동으로 뮤트하는 뮤트 트랜지스터를 설치하고, 뮤트 트랜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벨소리 및 통화 완료음의 신호와 카폰의 송수신음은 버퍼 및 파워 앰프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되게 함으로써 운전 중에도 운전의 장애없이 간편하게 통화 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멍하면 다음과 같다.
즉 , 본 발명은 카폰(10)이 수신될 경우 발생되는 벨소리의 신호와 통화 완료후 발생되는 통화 완료음의 신호를 인가하여 이를 직류로 변환하며, 변환된 신호를 오디오의 마이컴(40)에 입력하여 상기 마이컴(40)이 카폰(10)의 수신 및 수신 완료 상태를 인식 할 수 있게 하는 주파수 변환부(6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의 마이컴(40)에는 상기 주파수 변환부(60)로부터 신호가 입력될 경우 작동중인 오디오를 뮤트(mute)하기 위한 뮤트 단자(42)를 소정의 로직으로부터 설정하고, 카폰(10)이 수신될 경우 오디오가 "오프"되어 있을 때 오디오를 자동으로 "온"하기 위해 카폰(10)이 수신된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드단자를 설정한다.
대개 상기 오디오의 마이컴(40)에는 배터리(20)의 전원을 레귤레이터로부터 직접 인가하는 VDD단과 배터리(20)의 전원을 시동키의 액세서리단과 오디오의 파워스위치로부터 인가하는 CE단자가 설정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된 오디오의 마이컴(40)은 상기 주파수 변환부(60)로부터 카폰(10)의 수신음이 입력될 경우 오디오를 자동으로 뮤트하기 위하여 뮤트 단자 (42)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출력하게 설정되며, 출력된 신호는 뮤트 트랜지스터 (mute TR)를 통전하여 오디오를 뮤트함과 동시에 출력된 신호를 버퍼(80)와 파워 앰프(90)에 입력하여 그 신호음이 스피커(30)로 출력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카폰(10)이 수신될 경우 오디오가 "오프"되어 있을 경우의 마이컴(40)은 모드 단자(44)에 신호를 통전하여 오디오의 전원 제어부(50)를 제어하게 함으로써 오디오가 자동으로"온"될 수 있게 하되, 상기 오디오의 전원 제어부(50)는 마이컴(40)의 모드 단자(44)로부터 신호가 출력될 경우 트랜지스터 1(TR1)을 통전함으로써 시동키의 액세서리 단으로부터 상시 입력되는 배터리(20)의 전원이 상기 트랜지스터 1(TR1)에 의해 마이컴(40)의 CE단자에 인가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 제어부(50)는 마이컴(40)의 모드 단자(44)로부터 신호가 출력될 경우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마이컴(40)의 CE단자로 인가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1(TR1)이 설치되며, 상기 트랜지스터 1(TR1)에 시동키의 액세서리(ACC)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상시 인가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2(TR2)를 설치하고, 상기 액세서리(ACC)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배터리(20)의 전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입력 단자와 트랜지스터 2(TR2)사이에는 일정 저항값을 가진 저항을 트랜지스터 2(TR2)의 입력단자와 접지 단자에 각각 설치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 2(TR2)의 부하 전압이 일정되게 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 2(TR2)의 접지 단에는 제너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상기 트랜지스터 2(TR2)와 트랜지스터 1(TR1)사이의 전압 및 전류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정 저항값의 저항과 일정 용량의 콘덴서를 각각 설치한다.
따라서, 오디오의 파워 앰프(90)는 마이컴(40)의 뮤트 단자(42)를 통해 출력되는 벨소리 및 통화 완료음의 신호와 카폰(10) 송수신음의 신호를 버퍼(80)로부터 입력하여 이를 출력하게 되며, 출력된 신호는 스피커(30)에 인가되어 음성 신호로 출력 될 수 있게 한다.
단, 본 발명이 적용된 카폰(10)은 마이크로 폰(120)을 통해 송화음을 입력할수 있게 하고, 마이크로 폰(120)의 송화음 신호는 증폭부(110)를 통해 카폰(10)에 입력된 후 수신 단자를 통해 오디오의 버퍼(80) 및 파워 앰프(90)에 그 신호가 인가 될 수 있게 되는 일반적인 장치를 전제한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된 오디오의 마이컴(40)은 카폰(10)이 수신될 경우 오디오가 오프되어 있으면 오디오를 자동으로 "온" 한 후 뮤트 단자(42)를 통해 오디오를 자동으로 뮤트하게 되며, 오디오를 뮤트 한 후 수신된 벨 소리 및 송수신음의 신호와 통화 완료음의 신호를 스피커(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마이크로 폰(120)을 통해 간편하게 통화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해 카오디에 추가로 설치되는 주파수 변환부(60)는 카폰(10)이 수신될 경우 발생하는 벨소리의 신호와 통화 완료후 발생하는 통화 완료음의 신호를 카폰(10)의 각 단자로부터 입력하여 입력된 카폰(10)의 신호를 직류로 변환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오디오의 마이컴(40)은 상기 주파수 변환부(60)로부터 신호가 입력될 경우 작동중인 오디오를 뮤트(mute)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통해 뮤트 트랜지스터(mute TR)에 신호를 인가하게 되며, 뮤트 트랜지스터(mute TR)는 뮤트 단자(42)로부터 신호가 출력될 경우 라디오 및 카세트 테이프이나 오디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차단하여 카오디오가 자동으로 뮤트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오디오의 전원 제어부(50)는 오디오 마이컴(40)의 모드 단자(44)로부터 신호가 출력 될 경우 오프된 오디오가 자동으로 "온" 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오디오 마이컴(40)의 뮤트 단자(42)로 출력되는 벨소리 및 통화 완료음의 신호는 카오디오를 뮤트 트랜지스터(mute TR)를 통해 카오디오를 자동으로 뮤트함과 동시에 버퍼(80) 및 파워 앰프(90)를 통해 그 신호가 변환 및 증폭 된 후 스피커(30)를 통해 출력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카폰(10)의 송수신단자로 출력되는 수신음 및 송신음의 신호는 버퍼 (80) 및 파워 앰프(90)에 직접 인가되어 스피커(30)를 통해 출력되게 됨으로써 운전자가 마이크로 폰(120) 및 오디오의 스피커(30)를 통해 운전의 장애없이 간편하게 통화 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카오디오는 카폰이 수신될 경우 오디오의 전원스위치에 관계없이 오디오를 자동으로 "온" 및 뮤트하게 되며, 송수신음을 스피커를 통해 자동으로 출력함은 물론 벨소리 및 통화 완료음도 오디오를 통해 출력하게 됨으로써 운전중에도 운전의 장애없이 간편하게 통화 할 수 있게 한다.

Claims (2)

  1. 카폰이 수신될 경우 발생하는 벨소리의 신호와 통화 완료후 발생하는 통화 완료음의 신호를 직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상기 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될 경우 작동중인 오디오를 뮤트(mute)하기 위한 뮤트 단자와 오프된 오디오를 자동으로 "온"하기 위해 입력되는 카폰의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단자가 형성된 오디오의 마이컴과, 상기 오디오 마이컴의 모드 단자로부터 신호가 출력 될 경우 "오프"된 오디오를 자동으로 "온"하기 위한 오디오의 전원 제어부와, 상기 마이컴의 뮤트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하여 오디오를 뮤트하는 뮤트 트랜지스터와, 인가되는 벨소리 및 통화 완료음의 신호와 카폰의 수신 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송수신음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버퍼 및 파워 앰프와, 상기 파워 앰프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하여 이를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폰수신시 자동 뮤트되는 카오디오.
  2. 제 1 항에 있어서, 오디오의 전원 제어부는 상기 마이컴의 모드 단자로부터 신호가 출력될 경우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마이컴의 CE단자로 인가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1과, 상기 트랜지스터 1에 시동키의 액세서리(ACC)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상시 인가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2와, 상기 액세서리(ACC)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배터리의 전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일정 저항값을 가진 저항과, 상기 트랜지스터 2의 부하 전압이 일정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트랜지스터 2와 트랜지스터 1사이의 전류 및 전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일정저항값의 저항과 일정 용량의 콘덴서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폰 수신시 자동 뮤트되는 카오디오.
KR1019970070997A 1997-12-19 1997-12-19 카폰 수신시 자동 뮤트되는 카오디오 KR100422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997A KR100422684B1 (ko) 1997-12-19 1997-12-19 카폰 수신시 자동 뮤트되는 카오디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997A KR100422684B1 (ko) 1997-12-19 1997-12-19 카폰 수신시 자동 뮤트되는 카오디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637A KR19990051637A (ko) 1999-07-05
KR100422684B1 true KR100422684B1 (ko) 2004-06-04

Family

ID=3732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997A KR100422684B1 (ko) 1997-12-19 1997-12-19 카폰 수신시 자동 뮤트되는 카오디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6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4481U (ko) * 1992-04-28 1993-11-27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카폰동작시 카오디오 자동 뮤팅 장치
KR950028877U (ko) * 1994-03-09 1995-10-20 카오디오 자동 뮤트 기능을 갖는 카폰
KR970004294A (ko) * 1995-06-03 1997-01-29 한승준 카폰이 장착된 차량의 오디오 자동 볼륨제어 장치
KR970004458A (ko) * 1995-06-29 1997-01-29 김주용 차량의 핸드폰 통화장치
KR970013875A (ko) * 1995-08-18 1997-03-29 한승준 카폰 사용시 카 오디오 자동 음소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9294035A (ja) * 1996-04-26 1997-11-11 Sony Corp 音響機器の自動ミューテイング装置
KR19980038958U (ko) * 1996-12-20 1998-09-15 김영환 자동 뮤트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4481U (ko) * 1992-04-28 1993-11-27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카폰동작시 카오디오 자동 뮤팅 장치
KR950028877U (ko) * 1994-03-09 1995-10-20 카오디오 자동 뮤트 기능을 갖는 카폰
KR970004294A (ko) * 1995-06-03 1997-01-29 한승준 카폰이 장착된 차량의 오디오 자동 볼륨제어 장치
KR970004458A (ko) * 1995-06-29 1997-01-29 김주용 차량의 핸드폰 통화장치
KR970013875A (ko) * 1995-08-18 1997-03-29 한승준 카폰 사용시 카 오디오 자동 음소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9294035A (ja) * 1996-04-26 1997-11-11 Sony Corp 音響機器の自動ミューテイング装置
KR19980038958U (ko) * 1996-12-20 1998-09-15 김영환 자동 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637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000B1 (ko) 무선통신장치
US20050190932A1 (en) Streophonic apparatus having multiple switching function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KR100422684B1 (ko) 카폰 수신시 자동 뮤트되는 카오디오
US20050009574A1 (en) Integrated wireless and wired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phone
KR20010053811A (ko) 차량용 오디오장치를 이용한 이동 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JPH10224449A (ja) 携帯電話ハンズフリー装置
KR100319310B1 (ko) 차량용핸즈프리장치
KR20000007006A (ko) 에프엠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프리장치
US20030013501A1 (en) Apparatus for hands free operation of a mobile telephone
KR200184585Y1 (ko) 에프엠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드프리장치
JPH09294035A (ja) 音響機器の自動ミューテイング装置
KR200218540Y1 (ko)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JPH10173763A (ja) 携帯電話用ハンドフリー装置
KR100535754B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KR200205535Y1 (ko) 핸드 프리 카 키트
KR100432916B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KR200189256Y1 (ko) 핸드폰 및 카오디오의 중계장치
KR100316177B1 (ko) 무선 핸즈프리 키트의 절전 제어 장치
KR200213402Y1 (ko) 핸드 프리 키트
KR100590971B1 (ko) 핸즈프리 장치를 이용한 차량 확성기 시스템
KR20010001345A (ko) 핸드프리유니트
JPH11150798A (ja) 車載ステレオ装置
KR200253130Y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JP2577817Y2 (ja) 車載通信装置
KR200241061Y1 (ko) 차량용 핸드폰의 무선 핸즈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