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248B1 - 컴퓨터 및 컴퓨터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및 컴퓨터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248B1
KR100422248B1 KR10-2001-0045174A KR20010045174A KR100422248B1 KR 100422248 B1 KR100422248 B1 KR 100422248B1 KR 20010045174 A KR20010045174 A KR 20010045174A KR 100422248 B1 KR100422248 B1 KR 100422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lan
unit
modem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744A (ko
Inventor
이병래
김형준
왕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TW090128574A priority Critical patent/TW528952B/zh
Priority to JP2001372453A priority patent/JP3686605B2/ja
Priority to CNB01140390XA priority patent/CN100340943C/zh
Priority to US10/057,902 priority patent/US6765485B2/en
Publication of KR20020085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및 컴퓨터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랜회로부와 모뎀회로부를 구비한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랜회로부의 랜신호선과 상기 모뎀회로부의 모뎀신호선이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한 공동접속부와; 상기 공동접속부에 마련되어 상기 공동접속부에 상기 랜신호선과 상기 모뎀신호선 중 어느 것이 접속되었는지 검출하는 신호선종류검출부와; 상기 신호선종류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른 신호선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공동접속부를 상기 랜회로부와 상기 모뎀회로부 중 어느 하나에 데이터 전달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의 설치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는 컴퓨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컴퓨터 및 컴퓨터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 Computer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
본 발명은 컴퓨터 및 컴퓨터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휴대용 컴퓨터를 컴퓨터의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하드웨어와 상기 하드웨어를 수용하는 케이싱(110)을 갖는 컴퓨터본체(101)와, 컴퓨터본체(101)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마련되어 컴퓨터본체(101)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수령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LCD(150)를 포함한다.
컴퓨터 본체(101)의 케이싱(110)에는 일측면(110a)에 마우스와 키보드가 연결되는 PS/2 포트(111)와, 시디롬드라이브(113) 또는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랜접속부(RJ45; 115)와 모뎀접속부(RJ11, 116)가 케이싱(110)의 일측면(110a)에 마련된다. 랜접속부(RJ45; 115)에는 LAN통신 가능하도록 랜신호선(117)이 접속되며, 모뎀접속부(RJ11; 116)에는 모뎀신호선(118)이 접속되어 일반전화선을 이용한 모뎀 통신을 지원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종래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데이터 통신하고자하는 신호선(117, 118)을 랜접속부(115) 또는 모뎀접속부(116)에 접속시켜 데이터 통신한다.그런데, 종래 휴대용 컴퓨터의 케이싱(110)의 측면(110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의 설치공간이 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원인의 하나로서, 랜접속부(115)와 모뎀접속부(116)에 접속되는 랜신호선(117)과 모뎀신호선(118)은 결합방식은 비슷하나, 접속부(115, 116)에 접촉되는 핀수(랜신호선은 8핀 플러그 사용, 모뎀신호선은 4핀 플러그를 사용함)가 달라 케이싱(110) 측면(110a)에 신호선(117, 118)이 삽입될 접속부(115, 116)를 각각 별도 로 마련하여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처럼,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에서는 케이싱에 접속부를 둘 모두 마련하여야 하기 때문에, 접속부의 외관이 복잡해지고, 하드웨어의 설치공간이 좁아지며,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부의 외관을 단순화하고, 하드웨어의 설치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는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 ,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사시도 ,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통신 회로를 도시한 내부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컴퓨터본체 10 : 케이싱
11 : PS/2 포트 13 : 시디롬드라이브
15 : 공동접속부 17 : 랜신호선
18 : 모뎀신호선 19 : 사운드 잭
20 : 메인보드 21 : 랜회로부
23 : 모뎀회로부 30 : 신호선종류검출부
35 : PnP 트랜지스터 40 : 바이 스테이트 릴레이 스위치
50 : LC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에 있어서, 랜회로부와 모뎀회로부를 구비한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랜회로부의 랜신호선과 상기 모뎀회로부의 모뎀신호선이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한 공동접속부와; 상기 공동접속부에 마련되어 상기 공동접속부에 상기 랜신호선과 상기 모뎀신호선 중 어느 것이 접속되었는지 검출하는 신호선종류검출부와; 상기 신호선종류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른 신호선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공동접속부를 상기 랜회로부와 상기 모뎀회로부 중 어느 하나에 데이터 전달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동접속부는 상기 랜회로부와 상기 모뎀회로부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용핀 접속부와 상기 랜회로부만 사용하는 전용핀 접속부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선종류검출부는 상기 공동접속부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랜신호선과 접촉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인 것이, 공동접속부에 접속된 신호선의 종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선종류검출부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용핀을 제어하여 상기 랜회로부와 상기 모뎀회로부 중 어느 하나에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바이 스테이트 릴레이 스위치(Bi State Relay Switch)로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가 바이 스테이트 릴레이 스위치로 마련되는 경우, 바이 스테이트 릴레이 스위치는 Negative단 및 Positive단과 상기 공용핀 접속부가 연결되는 공통접점과 상기 랜회로부와 연결된 랜선택단과 상기 모뎀회로부와 연결된 모뎀선택단을 가지며, 상기 Negative단 및 상기 Positive단은 상기 신호선종류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공통접점을 랜선택단 또는 모뎀선택단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랜회로부 및 상기 모뎀회로부는 상기 메인보드안에 내장되며, 상기 공동접속부는 상기 메인보드 일측에 마련되는 것이, 제조단가를 절감하고 가용공간을 확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랜회로부 및 상기 모뎀회로부는 상기 회로부들을 내장하는 콤보(COMBO)카드로 구성되며, 상기 검출부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콤보카드내에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랜회로부와 모뎀회로부를 구비한 컴퓨터의 데이터통신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랜회로부의 랜신호선과 상기 모뎀회로부의 모뎀신호선이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한 공동접속부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공동접속부에 상기 신호선들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공동접속부에 접속된 신호선이 어느 신호선인지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결과에 따른 신호선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공동접속부를 상기 랜회로부와 상기 모뎀회로부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달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데이터통신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하드웨어를 내장하는 컴퓨터본체(1)와, 컴퓨터본체(1)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수령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LCD(50)를 포함한다.
컴퓨터본체(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내에 마련되며 중앙처리장치 및 램 등이 장착되는 메인보드(20)(도 4 참조)를 비롯한 다수의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케이싱(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10a)에 마우스와 키보드가 삽입되는 PS/2 포트(111)와, 시디롬드라이브(13) 또는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사운드 출력 위한 사운드 잭(19)이 일측면(10a) 후방에 마련된다. 그리고,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랜신호선(17)과 모뎀신호선(18)이 공동으로 접속되는 공동접속부(15)가 PS/2 포트(11)와 사운드 잭(19) 사이에서 일측면(10a)에 마련된다.
공동접속부(1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랜신호선(17)으로 사용되는 8핀 플러그와 모뎀신호선(18)으로 사용되는 4핀 플러그가 공동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공동접속부(15)는 두 신호선(17, 18) 모두 접속 가능하도록 8핀 접속부로 구성되며, 공동접속부(15)에는 신호선(17, 18)의 종류를 검출하는 신호선종류검출부(30)가 마련된다.
여기서, 모뎀신호선(18)은 2핀, 4핀, 6핀 중의 플러그로 구성되나 핀수에 상관없이 중앙의 2핀(4, 5번 핀만 사용)만이 신호를 전달하며, 랜신호선(17)은 8핀 모두를 사용한다.따라서, 공동접속부(15)의 1, 2, 3, 6, 7, 8번 접속부는 랜신호선(17)만 삽입되는 전용핀 접속부로 사용되며, 공동접속부(15)의 4, 5번 접속부는 랜신호선(17)과 모뎀신호선(18)이 공동으로 삽입되는 공동핀 접속부로 사용된다.
신호선종류검출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접속부(15)의 일측 내벽에 접촉 스위치 형태로 마련된다. 신호선종류검출부(30)는 공동접속부(15)에 접속되는 신호선(17, 18)과의 접촉에 의해서 신호선(17, 18)의 종류를 검출한다. 8핀 접속부로 이루어진 공동접속부(15)에 랜신호선(17)이 접속되면, 랜신호선(17)이 신호선종류검출부(30)인 스위치를 접촉 가압하여 후술할 PnP 트랜지스터(35)(도 4 참조)를 거쳐 제어부인 바이 스테이트 릴레이 스위치(Bi State Relay Switch)(40)에 High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공동접속부(15)에 랜신호선(17)이 아닌 모뎀신호선(18)이 접속되면, 신호선종류검출부(30)는 스위치를 접촉 가압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PnP 트랜지스터(35)를 거쳐 바이 스테이트 릴레이 스위치(40)에 Low 신호를 전달한다.
PnP 트랜지스터(35)는 신호선종류검출부(30)와 바이 스테이트 릴레이 스위치(40) 사이에 마련되어, 신호선종류검출부(30)로부터 전달받은 검출신호를 바이 스테이트 릴레이 스위치(40)의 Negative단에 전달한다.
제어부인 바이 스테이트 릴레이 스위치(40)는 2-state/2-channel로 이루어진다. 바이 스테이트 릴레이 스위치(40)는 VCC가 인가되는 Positive단과, PnP 트랜지스터(35)를 통해 검출부(30)의 신호가 전달되는 Negative단, 공동접속부(15)중 공용핀 접속부가 연결되는 공통접점(1S2, 2S2; 도 4 참조)과, 랜통신 가능하도록 랜회로부(21)와 연결된 랜선택단(1S3, 2S3) 및 모뎀 통신 가능하도록 모뎀회로부(23)와 연결되는 모뎀 선택단(1S1, 2S1)을 포함한다.
Positive단은 Negative단의 상태에 따라서 각각의 연결 State가 달라진다. 도 4에 도시된 Relay는 기계식 Relay 뿐만 아니라 반도체(MOS) 방식의 Relay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egative단은 검출부(30)의 검출 결과에 따라 검출부(30)로부터 High 신호 또는 Low 신호를 입력받는다. High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Negative단은 공통접점(2S2)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선택단(2S3)과 연결시켜 그라운드 단자와 연결시킨다.또한, Low 신호가 입력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Negative단은 공통접점(2S2)을 모뎀 선택단(2S1)과 연결시킨다. 여기서, Positive단은 Negative단에 High 신호 입력시 공통접점(1S2)을 랜선택단(1S3)과 연결시키며, Negative단에 Low 신호 입력시 공통접점(1S2)을 모뎀선택단(1S1)과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공동접속부(15)에 랜신호선(17) 및 모뎀신호선(18)이 삽입될 때, 각각 랜 통신 및 모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랜회로부(21)와 모뎀회로부(23)를 내장하는 메인보드(20)에 랜신호선(17)과 모뎀신호선(18)이 공동으로 접속 가능한 공동접속부(15)가 메인보드(20) 일측에 마련된다. 그리고는, 공동접속부(15)에 통신하고자하는 신호선(17, 18)중 하나를 접속시킨다. 신호선(17, 18)이 공동접속부(15)에 삽입되면 신호선종류검출부(30)는 접속된 신호선이 랜신호선(17)인지 모뎀신호선(18)인지 검출하여 PnP 트렌지스터에 검출신호를 전달한다. 신호선종류검출부(30)에서 접속된 신호선(17, 18)의 종류를 검출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에, 공동접속부(15)에 신호선(17, 18)이 삽입되면 검출부(30)가 신호선의 접촉 여부에 따라 PnP 트랜지스터(35)에 Low 신호(모뎀신호선) 또는 High 신호(랜신호선)를 전달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접속부(15)에 랜신호선(17)이 삽입되면, 검출부(30)는 PnP 트랜지스터(35)에 High 신호를 전달한다. PnP 트랜지스터(35)는 전달받은 High 신호를 다시 Negative단에 전달한다. 이에, Negative단은 High 신호에 따라 공통접점(2S2)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 단자를 갖는 랜선택단(2S3)과 연결시킨다. 이에, 공동핀 접속부 중 5핀으로 전달된 신호는 랜선택단(2S3)을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 단자로 전달된다.
또한, Positive단 역시, Negative단의 상태에 따라 공통접점(1S2)을 랜선택단(1S3)과 연결시킨다. 이에, 공동접속부(15)의 공동핀 접속부 중 4핀으로 전달된 신호는 랜선택단(1S3)을 따라 그라운드 단자로 전달된다.
따라서, 공동접속부(15)에 랜신호선(17)이 삽입되면 공동접속부(15)의 전용핀 접속부 중 1, 2, 3, 6번 접속부는 랜회로부(21)와 직접 연결됨에 따라, 1, 2, 3, 6번 접속부로 전달된 신호는 랜회로부(21)로 직접 전달된다(도 4 참조). 또한, 7, 8번 전용핀 접속부는 그라운드 단자와 직접 연결됨에 따라, 7, 8번 전용핀 접속부로 전달된 신호는 그라운드 단자로 전달된다(도 4 참조). 그리고, 공동접속부(15)의 4,5번 공동핀 접속부로 전달된 신호는 바이 스테이트 릴레이 스위치(40)에 의해 그라운드 단자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공동접속부(15)로 전달된 신호 중 4, 5, 7, 8번 측으로 전달된 신호는 그라운드 단자로 전달되며, 1, 2, 3, 6번 접속부로 전달된 신호는 랜회로부(21)로 전달됨에 따라 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런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접속부(15)에 모뎀신호선(18)이 삽입되면, 공동접속부(15)에 모뎀신호선(18)이 삽입됨에 따라, 검출부(30)는 PnP 트랜지스터(35)에 Low 신호를 전달한다. PnP 트랜지스터(35)는 전달받은 High 신호를 다시 바이 스테이트 릴레이 스위치(40)의 Negative단에 전달한다. 이에, Negative단은 Low 신호에 따라 공통접점(2S2)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뎀회로부(23)와 이어진 모뎀선택단(2S1)과 연결시킨다. 이에, 공동핀 접속부 중 5핀으로 전달된 신호는 모뎀선택단(2S1)을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뎀회로부(23)로 전달된다.
또한, Positive단 역시, Negative단의 상태에 따라 공통접점(1S2)을 모뎀선택단(1S1)과 연결시킨다. 이에, 공동접속부(15)의 공동핀 접속부 중 4핀으로 전달된 신호는 모뎀선택단(1S1)을 따라 모뎀회로부(23)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공동접속부(15)의 4, 5번 접속부로 전달된 신호가 모뎀회로부(23)로 전달됨에 따라 모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랜회로부(21)와 모뎀회로부(23)가 메인보드(20)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랜회로부(21)와 모뎀회로부(23)가 일체의 카드로 형성되는 콤보카드(미도시)로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럴 경우, 공동접속부(15) 및 제어부(40), 신호선종류검출부(30)는 콤보카드에 마련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컴퓨터를 예로 들어 상술하였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일반 데스크탑 컴퓨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랜신호선과 모뎀신호선이 공동으로 접속 가능한 공동접속부를 마련하고, 또한, 공동접속부에 접속된 신호선의 종류를 검출하는 신호선종류검출부와, 접속된 신호선의 종류에 따라 랜회로부 또는 모뎀회로부로 데이터 전달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어부를 마련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절감시키고 하드웨어의 설치공간이 확대된 컴퓨터가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단가를 절감시키고 하드웨어의 설치공간이 확대된 컴퓨터가 제공된다.

Claims (9)

  1. 랜회로부와 모뎀회로부를 구비한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랜회로부의 랜신호선과 상기 모뎀회로부의 모뎀신호선이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한 공동접속부와;
    상기 공동접속부에 마련되어 상기 공동접속부에 상기 랜신호선과 상기 모뎀신호선 중 어느 것이 접속되었는지 검출하는 신호선종류검출부와;
    상기 신호선종류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른 신호선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공동접속부를 상기 랜회로부와 상기 모뎀회로부 중 어느 하나에 데이터 전달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접속부는 상기 랜회로부와 상기 모뎀회로부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용핀 접속부와 상기 랜회로부만 사용하는 전용핀 접속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종류검출부는 상기 공동접속부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랜신호선과 접촉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선종류검출부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용핀을 제어하여 상기 랜회로부와 상기 모뎀회로부 중 어느 하나에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바이 스테이트 릴레이 스위치(Bi State Relay Swi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 스테이트 릴레이 스위치는 Negative단 및 Positive단과, 상기 공용핀 접속부가 연결되는 공통접점과, 상기 랜회로부와 연결된 랜선택단과, 상기 모뎀회로부와 연결된 모뎀선택단을 가지며,
    상기 Negative단 및 상기 Positive단은 상기 신호선종류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공통접점을 랜선택단 또는 모뎀선택단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회로부 및 상기 모뎀회로부는 상기 메인보드에 내장되며, 상기 공동접속부는 상기 메인보드 일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회로부 및 상기 모뎀회로부는 상기 회로부들을 내장하는 콤보(COMBO)카드로 구성되며, 상기 검출부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콤보카드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8. 랜회로부와 모뎀회로부를 구비한 컴퓨터의 데이터통신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랜회로부의 랜신호선과 상기 모뎀회로부의 모뎀신호선이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한 공동접속부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공동접속부에 상기 신호선들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공동접속부에 접속된 신호선이 어느 신호선인지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결과에 따른 신호선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공동접속부를 상기 랜회로부와 상기 모뎀회로부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데이터통신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접속부에 접속된 신호선이 어느 신호선인지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동접속부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랜신호선과 접촉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KR10-2001-0045174A 2001-05-07 2001-07-26 컴퓨터 및 컴퓨터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KR100422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0128574A TW528952B (en) 2001-05-07 2001-11-19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2001372453A JP3686605B2 (ja) 2001-05-07 2001-12-06 コンピュータ及びコンピュータデータ通信の制御方法
CNB01140390XA CN100340943C (zh) 2001-05-07 2001-12-20 计算机及其数据通信控制方法
US10/057,902 US6765485B2 (en) 2001-05-07 2002-01-29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677 2001-05-07
KR20010024677 2001-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744A KR20020085744A (ko) 2002-11-16
KR100422248B1 true KR100422248B1 (ko) 2004-03-12

Family

ID=2770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174A KR100422248B1 (ko) 2001-05-07 2001-07-26 컴퓨터 및 컴퓨터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2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9981A1 (en) * 2004-10-22 2006-04-27 Lg Electronics Inc. Supporting device information of a combo device in a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1803A (ja) * 1994-04-15 1995-10-27 Toshiba Corp 通信装置
JPH07311638A (ja) * 1992-01-24 1995-11-28 Haru Kenkyusho:Kk 信号切換装置
JP2000122756A (ja) * 1998-10-19 2000-04-28 Fujitsu Ltd 電子機器
KR20000034486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다기능 내장형 케이블모뎀
KR20010036439A (ko) * 1999-10-08 2001-05-07 윤종용 교환기 시스템의 원격 유지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1638A (ja) * 1992-01-24 1995-11-28 Haru Kenkyusho:Kk 信号切換装置
JPH07281803A (ja) * 1994-04-15 1995-10-27 Toshiba Corp 通信装置
JP2000122756A (ja) * 1998-10-19 2000-04-28 Fujitsu Ltd 電子機器
KR20000034486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다기능 내장형 케이블모뎀
KR20010036439A (ko) * 1999-10-08 2001-05-07 윤종용 교환기 시스템의 원격 유지보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744A (ko) 200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0475B2 (en) Type A USB receptacle with plug detection
US20090019205A1 (en) Memory card socket using a dual-ported usb interface
US20030212841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an operational mode of a USB device
US6650549B1 (en) Hub having a bluetooth system
US6814593B2 (en) Portable computer having a common connector coupled to a wireless antenna and a modem connector
US7670181B2 (en) Connector for first and second joints having different pin quantities, electronic apparatus with connector and combination
US69221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load balance on a graphics bus when an upgrade device is installed
JP4039948B2 (ja) Usbにおけるデバイスの接続状態の認識
US6647436B1 (en)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422248B1 (ko) 컴퓨터 및 컴퓨터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US61412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peripherals having various size plugs and functions
JP3686605B2 (ja) コンピュータ及びコンピュータデータ通信の制御方法
JP2002116853A (ja) Usb搭載電子機器及びそれに用いるusbケーブル
US20070299929A1 (en) Client device interfa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JP2001109697A (ja) マルチ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bios処理方法
JP2000099215A (ja) Pcカードのインタフェース
TWI396348B (zh) 連接器、連接偵測方法與使用其之轉接器
US6614889B2 (en) Software controlled switch device
CN113013684B (zh) 双接头存储器装置以及传输控制电路
KR100903903B1 (ko) 비디오 스위칭 시스템
CN113394626B (zh) 接口插头、接口插槽和穿戴设备
JPH118030A (ja) Pcカード用コネクタ、pcカード及びpcカード処理装置
JP2002236532A (ja) 入力/出力インターフェイス用のカード識別システム及び方法
JP3388254B2 (ja) ネスト
KR20030036091A (ko) 내장 모뎀들을 갖는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