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959B1 - 부저 홀더 - Google Patents

부저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959B1
KR100421959B1 KR10-2001-0059212A KR20010059212A KR100421959B1 KR 100421959 B1 KR100421959 B1 KR 100421959B1 KR 20010059212 A KR20010059212 A KR 20010059212A KR 100421959 B1 KR100421959 B1 KR 100421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zzer
holder
rib
wall portion
c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6407A (ko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959B1/ko
Publication of KR20030026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8Details, e.g. bulbs, pumps, pistons, switches or casings
    • G10K9/22Mountings;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을 고정할 수 있는 원형형상의 부품고정리브가 형성된 상부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시스템의 하우징에서, 상기 부품고정리브를 밀착 수용하도록 외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의 내부에 일정너비를 갖는 안내통로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벽부로 구성되는 안내벽부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 부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부저홀더를 포함하는 부저홀더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부저홀더의 내부면에 핸드셋 상단부 리브를 수용하는 요철형상의 안내홈을 형성하므로써, 해드셋 상단부 리브가 안내홈내에서 유동을 하지않아 부저로부터 방출된 음이 정확히 외부로 방출되므로 그에 따라 부저의 음방출특성이 상당히 향상됨은 물론 해드셋 상단부 리브가 안내홈에 완전히 밀착되어 편심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에 따라 부저의 음방출의 직진성도 상당히 향상된다.

Description

부저 홀더{buzzer holder}
본 발명은 부저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저홀더의 내부면에 핸드셋 상단부 리브를 수용하는 요철형상의 안내홈을 형성하므로써, 해드셋 상단부 리브가 안내홈내에서 유동을 하지않아 부저로부터 방출된 음이 정확히 외부로 방출하는 부저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학문명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다수의 전기 혹은 전자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텔레비젼이나 냉장고, 에어컨, 휴대폰, 전화기등 다양한 장치들이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전기 혹은 전자장치들은 그 본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위해 다수의 전자회로가 내장된 프린트기판 혹은 보드들을 내부에 내장 혹은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프린트기판 혹은 보드들에는 다수의 부품이 납땜 혹은 기타의 방법을 고정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은 부품들은 부품의 종류나 설치환경에 따라 프린트기판 혹은 보드 이외에 하우징이나 기타 내부 프레임 상에도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휴대폰에는 부저와 같은 부품 고정홀더가 다수 구비되어 사용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전자시스템의 부품고정홀더 예컨대, 부저홀더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전자시스템 특히, 휴대폰이나 전화기 하우징의 상부를 형성하고 일정위치에 부품을 고정할 수 있는 부품고정리브(70)가 형성된 상부케이스부재(71)와, 상기 상부케이스부재(71)의 부품고정리브(70)를 수용하도록 내부벽를 따라 일정 높이와 너비로 원형의 안내벽부(72)가 형성되는 홀더(73)와, 상기 홀더(73)의 하부면에 형성된 수용부(74)에 삽입되고 프린트기판(75)상에 고정설치되는 부저(7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73)에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저(76)의 방출음이 발산되도록 그 중심이 일정크기의 원형상으로 통공(77)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부재(71)의 부품고정리브(70)의 내부측으로 상기 홀더(73)의 통공(77)의 중심과 평행한 위치에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종래 부저홀더의 조립을 살펴보면, 먼저 프린트기판(75)상에 위치한 부저(76)를 홀더(73)의 하단에 형성된 수용부(77)에 삽입고정한다. 이때, 상기 부저(76)의 상면부는 홀더(73)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77)과 접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73)의 상단부에 형성된 원형형상의 안내벽부(72)내에 상부케이스부재(71)의 부품고정리브(70)를 슬라이딩하여 삽입고정한다. 그러면, 상기 상부케이스부재(71)의 부품고정리브(70)와 홀더(73)의 안내벽부(72)와 접촉하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부저홀더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와 같이 조립된 부저(76)에 전기신호가 인가될 경우 이 부저(76)는 전기작용에 의해 방출음을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발생된 방출음은 홀더(73)의 통공(77)을 경유하여 상부케이스부재(73)의 천공구멍들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통상의 부저음을 들리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부저홀더(73)는 상부케이스부재(71)의 부품고정리브(70)가 안내벽부(72)에 삽입될 때 슬라이딩 삽입되기 때문에 이 부품고정리브(70)와 안내벽부(72)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므로 부저(76)의 방출음이 이 유격이 발생된 틈을 통해 새어나가므로 공명현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물론 부품고정리브(70)와 안내벽부(72)가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기 때문에 부저(76)의 방출음이 상부케이스부재(71)의 구멍으로 제대로 유도되지 못해 그에 따라 부저의 방출음 특성도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부저홀더의 내부면에 핸드셋 상단부 리브를 수용하는 요철형상의 안내홈을 형성하므로써, 해드셋 상단부 리브가 안내홈내에서 유동을 하지않아 부저로부터 방출된 음이 정확히 외부로 방출되므로 그에 따라 부저의 음방출특성이 상당히 향상되는 부저 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드셋 상단부 리브가 안내홈에 완전히 밀착되어 편심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에 따라 부저의 음방출의 직진성도 상당히 향상되는 부저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품을 고정할 수 있는 원형형상의 부품고정리브가 형성된 상부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시스템의 하우징에서, 상기 부품고정리브를 밀착 수용하도록 외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의 내부에 일정너비를 갖는 안내통로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벽부로 구성되는 안내벽부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 부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부저홀더를 포함하는 부저홀더를 제공한다.
도 1의 (a)는 종래 부저홀더를 설명하는 설명도.
(b)는 종래 부저홀더의 단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부저홀더를 설명하는 설명도.
(b)는 본 발명의 부저홀더의 단면을 설명하는 설명도.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부품고정리브 2 : 상부케이스부재
3 : 통공 4 : 안내벽부
5 : 부저홀더 6 : 수용부
7 : 프린트기판 8 : 부저
9 : 천공구멍 10: 제1 벽부
11: 안내통로 12: 제 2 벽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자시스템 특히, 휴대폰이나 전화기 하우징의 상부를 형성하고 일정위치에 부품을 고정할 수 있는 원형형상의 부품고정리브(1)가 형성된 상부케이스부재(2)와, 상기 상부케이스부재(2)의 부품고정리브(1)를 밀착 수용하도록 그 중심에 통공(3)이 천공된 원형 요철형상의 안내벽부(4)가 형성되는 홀더(5)와, 상기 홀더(5)의 하부면에 형성된 수용부(6)에 삽입되고 프린트기판(7)상에 고정설치되는 부저(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부재(2)의 부품고정리브(1)의 내부측으로 상기 홀더(5)의 통공(3)의 중심과 평행한 위치에 다수개의 천공구멍(9)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5)의 안내벽부(4)는 외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 벽부(10)와 상기 제1 벽부(10)의 내부에 일정너비를 갖는 안내통로(11)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 2 벽부(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발명의 홀더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프린트기판(7)상에 위치한 부저(8)를 홀더(5)의 하단에 형성된 수용부(6)에 삽입고정하는데, 이때, 상기 부저(8)의 상면부는 홀더(5)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3)과 접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5)의 상단부에 형성된 원형 요철형상의 안내벽부(4)내에 상부케이스부재(2)의 부품고정리브(1)를 삽입고정한다. 그러면, 상기 상부케이스부재(2)의 부품고정리브(1)가 홀더(5)의 안내벽부(4)의 제1 벽부(10)와 제2벽부(12)에 완전히 밀착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부품고정리브(1)는 안내벽부(4)의 제1 벽부(10)와 제2 벽부(12)에 완전히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을 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홀더(5)의 통공(3)의 중심 역시 상부케이스부재(2)의 천공구멍(9)에 완전 밀착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저홀더(5)에 조립된 부저(8)에 전기신호가 인가될 경우 이 부저(8)는 전기작용에 의해 방출음을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발생된 방출음은 홀더(5)의 통공(3)을 경유하여 상부케이스부재(2)의 천공구멍들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통상의 부저음을 들리게 한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부재(2)의 부품고정리브(1)는 부저홀더(5)의 제1 벽부(10)와 제2 벽부(12)에 의해 완전히 밀착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을 할 수없다. 따라서, 상기 부저홀더(5)의 통공(3)의 중심이 편심됨이 없이 상부케이스부재(2)의 천공구멍(9)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케이스부재(2)의 천공구멍(9)과 통공(3)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 부저(8)의 방출음이 공명현상을 일으켜 우수한 음량으로 천공구멍(9)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부저홀더의 내부면에 핸드셋 상단부 리브를 수용하는 요철형상의 안내홈을 형성하므로써, 해드셋 상단부 리브가 안내홈내에서 유동을 하지않아 부저로부터 방출된 음이 정확히 외부로 방출되므로 그에 따라 부저의 음방출특성이 상당히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해드셋 상단부 리브가 안내홈에 완전히 밀착되어 편심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에 따라 부저의 음방출의 직진성도 상당히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부품을 고정할 수 있는 원형형상의 부품고정리브가 형성된 상부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시스템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부품고정리브를 밀착 수용하도록 외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의 내부에 일정너비를 갖는 안내통로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벽부로 구성되는 안내벽부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 부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부저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저홀더.
  2. 삭제
KR10-2001-0059212A 2001-09-25 2001-09-25 부저 홀더 KR100421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212A KR100421959B1 (ko) 2001-09-25 2001-09-25 부저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212A KR100421959B1 (ko) 2001-09-25 2001-09-25 부저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407A KR20030026407A (ko) 2003-04-03
KR100421959B1 true KR100421959B1 (ko) 2004-03-11

Family

ID=2956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212A KR100421959B1 (ko) 2001-09-25 2001-09-25 부저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396B1 (ko) * 2001-11-22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의 부품고정 홀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5718U (ko) * 1991-12-17 1993-07-28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부저 고정구조
KR940008804U (ko) * 1992-09-01 1994-04-21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전화기의 부저 고정보스
KR940025677U (ko) * 1993-04-27 1994-11-18 무선전화기의 핸드셑의 음향구조
KR200218755Y1 (ko) * 2000-10-25 2001-04-02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5718U (ko) * 1991-12-17 1993-07-28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부저 고정구조
KR940008804U (ko) * 1992-09-01 1994-04-21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전화기의 부저 고정보스
KR940025677U (ko) * 1993-04-27 1994-11-18 무선전화기의 핸드셑의 음향구조
KR200218755Y1 (ko) * 2000-10-25 2001-04-02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407A (ko) 200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875B1 (ko) 휴대용 단말기 스피커
JP4709282B2 (ja) マイクロホンの音響経路をプリント回路基板内に設けた無線通信装置
US10027784B2 (en) Speaker back cavity
JP4158347B2 (ja) 電子部品取付構造
KR100417015B1 (ko) 전자 장치용 스피커
KR100421959B1 (ko) 부저 홀더
US770172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960027960A (ko) 전화 및 무선 장치를 위한 핸드세트
EP1244330A2 (en) An acoustic transducer assembly
WO2005059872A1 (ja) 発光装置
EP1377116A2 (en) Receiver unit of a terminal device
KR100680325B1 (ko) 보조 에어홀을 갖는 스피커 장치
KR100447396B1 (ko) 통신단말기의 부품고정 홀더장치
KR20020052514A (ko) 이동통신 단말기
US20060018499A1 (en) Acoustic resonator/diffuser system and method
KR100456117B1 (ko) 무선단말기의 송화부품케이스
KR100809363B1 (ko) 스피커 및 스피커 제조방법
CN220402128U (zh) 电子设备
KR100511218B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구조
KR200276560Y1 (ko) 전자음향변환기
KR100627577B1 (ko) 회로기판 아래에 스피커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950001530B1 (ko) 콘덴서 마이크 고정장치
KR200304258Y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구조
KR200252323Y1 (ko)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
KR200264935Y1 (ko) 전화기 마이크의 정전기 방지구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