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755Y1 -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755Y1
KR200218755Y1 KR2020000029734U KR20000029734U KR200218755Y1 KR 200218755 Y1 KR200218755 Y1 KR 200218755Y1 KR 2020000029734 U KR2020000029734 U KR 2020000029734U KR 20000029734 U KR20000029734 U KR 20000029734U KR 200218755 Y1 KR200218755 Y1 KR 200218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uzzer
rib
radiotelephon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9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755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에 관한 것으로, 부저와 리브의 사이에 통공을 구비한 홀더가 갖추어지되, 상기 부저와 밀착되는 홀더의 일측면에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비되는 완충부와, 이 완충부와 대응하는 홀더의 타측면에 리브를 끼우기 위한 삽입홈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무선전화기의 낙하 충격으로 인하여 상,하부 하우징간에 틈이 발생될 경우, 홀더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호 결합에 대한 홀더의 누름력을 완충하여 부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Buzzer Holder Of Radio Telephone }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전화기의 낙하 충격으로 인하여 홀더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호 결합에 대한 홀더의 누름력을 완충하여 부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는 유선전화기와는 달리 충전기에 거치되며, 유선전화기와 상호 무선으로 연결하여 이격된 위치에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은 종래의 무선전화기의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무선전화기(10)는 상호 분리가능한 상,하부 하우징(12,14)으로 나뉘어지는데, 우선 하부 하우징(14)의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16)이 조립.고정되어 있고, 이 인쇄회로기판(16)의 일면에는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저(18)가 납땜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부저(18)에는 음향의 전달성 보다 좋게하고자 통공(20)을 형성한 홀더(22)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12)의 내면에는 부저(18)로부터 발생되는 음원을 외부로 용이하게 전달시키고자 홈(24)을 형성한 리브(26)가 홀더(22)에 맞닿는 상태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홈(24)과 일치하는 상부 하우징(12)에는 통공(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사용자의 부주위로 인하여 무선전화기(10)에 충격이 심하게 발생되면, 상,하부 하우징(12,14)간에 결합된 결합후크(30)가 해제되어 상호 벌어짐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부저(18)에 끼워진 홀더(22)가 쉽게 이탈되어 조립성을 격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상,하부하우징(12,14)을 결합시에는 홀더(22)가 부저(18)에 정확하게 밀착되도록 소정의 압력을 주어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이와 같은 결합력으로 홀더(22)가 부저(18)에 정확하게 밀착되는 반면, 홀더(22)의 압압력이 부저(18)를 비롯한 인쇄회로기판(16)을 가압하게 되어 파손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무선전화기의 충격으로 인하여 홀더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하부 하우징의 결합력과 충격 전달에 따른 홀더의 누름력을 완충하여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전화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무선전화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홀더를 확대하여 부분 절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무선전화기 12 : 상부 하우징
14 : 하부 하우징 16 : 인쇄회로기판
18 : 부저 20,28,40 : 통공
22,42 : 홀더 24 : 홈
26 : 리브 30 : 결합후크
44 : 돌기 46 : 완충부
48 : 삽입홈 50 : 압지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부저와 리브의 사이에 통공을 구비한 홀더가 갖추어지되, 상기 부저와 밀착되는 홀더의 일측면에 충격을 완충하도록 일체로 구비되는 완충부와, 이 완충부와 대응하는 홀더의 타측면에 리브를 끼우기 위한 삽입홈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무선전화기의 낙하 충격으로 인하여 상,하부하우징간에 틈이 발생할 경우, 홀더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호 결합에 대한 홀더의 누름력을 완충시켜 부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를 도시한 것으로, 첨부된 예시도면 도 1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하부 하우징(14)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16)의 상면에는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저(18)가 납땜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 부저(18)와 리브(26)의 사이에는 통공(40)을 형성한 본 고안의 홀더(42)가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부저(18)와 맞닿는 홀더(42)의 일면에는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돌기(44)를 이루는 완충부(4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는 홀더(42)의 타측면에는 상부 하우징(12)의 리브(26)가 삽입되도록 원주를 따라 삽입홈(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홈(48)의 내면에는 삽입된 리브(26)를 압지하기 위한 압지돌기(50)가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무선전화기(10)의 상,하부 하우징(12,14)을 결합시에는 리브(26)에 결합된 홀더(42)가 부저(18)에 정확하게 밀착되도록 소정의 누름력을 주어 결합시키게 됨으로써 홀더(42)가 부저(18)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첨부된 예시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저(18)와 맞닿는 홀더(42) 완충부(46)의 돌기(44)가 미세하게 변형되면서 그 가압력을 완충하게 되고, 이에따라 부저(18) 및 인쇄회로기판(16)의 파손 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의 부주위로 인하여 무선전화기(10)에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상기 홀더(42)에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44)가 미세하게 변형되면서 충격 전달을 완화시킴으로써, 부저(18) 및 인쇄회로기판(16)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충격이 심하여 무선전화기(10)의 상,하부하우징(12,14)간에 틈이 발생되면, 상부 하우징(12)의 리브(26)에 끼워진 홀더(42)가 부저(18)로부터 이격되는데, 이때, 홀더(42)의 삽입홈(48)에 돌출된 압지돌기(50)가 리브(26)를 압지하고 있어서, 홀더(42)가 리브(26)에 위치.고정되며 이에따라 상,하부하우징(12,14)을 재 압압.결합시켜 정확한 결합을 이루게 되면 홀더(42)가 부저(18)에 정확히 밀착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본 고안의 홀더(42)는 무선전화기(1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통신단말기에도 본 고안의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충격으로 인하여 상,하부 하우징간에 벌어짐이 발생될 경우, 홀더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하부 하우징의 결합력과 충격에 대한 홀더의 누름력을 완충함으로써, 홀더의 압압력과 충격전달에 대한 부품의 파손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분리되는 상부 하우징(12)과 인쇄회로기판(16)을 내장한 하부 하우징(14)이 상호 결합되되, 상기 인쇄회로기판(16)의 일면에 고정되는 부저(18)와, 이 부저(18)로부터 대향되는 상부 하우징(12)의 내면에 음원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일체로 돌출된 리브(26)로 이루어진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부저(18)와 리브(26)의 사이에 통공(40)을 구비한 홀더(42)가 갖추어지되, 상기 부저(18)와 맞닿는 홀더(42)의 일측면에 충격을 완충하도록 일체로 구비되는 완충부(46)와, 이 완충부(46)와 대응하는 홀더(42)의 타측면에 리브(26)를 끼우기 위한 삽입홈(4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46)는 홀더(42)의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돌기(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48)의 내면에는 리브(26)를 압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압지돌기(50)가 일체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
KR2020000029734U 2000-10-25 2000-10-25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 KR200218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734U KR200218755Y1 (ko) 2000-10-25 2000-10-25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734U KR200218755Y1 (ko) 2000-10-25 2000-10-25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755Y1 true KR200218755Y1 (ko) 2001-04-02

Family

ID=7305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734U KR200218755Y1 (ko) 2000-10-25 2000-10-25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7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59B1 (ko) * 2001-09-25 200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저 홀더
KR100447396B1 (ko) * 2001-11-22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의 부품고정 홀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59B1 (ko) * 2001-09-25 200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저 홀더
KR100447396B1 (ko) * 2001-11-22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의 부품고정 홀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7267B1 (en) Water proof and dust proof structure of key switch device
JP4436774B2 (ja) 携帯用端末機のバッテリ連結装置
US7396238B2 (en) Battery contact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218755Y1 (ko) 무선전화기의 부저 홀더
CN209993808U (zh) 按键组件
CN211858468U (zh) 按键组件以及电子设备
CN211376471U (zh) 电子设备
KR2005005667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
CN111385401B (zh) 一种防水侧键结构及移动终端
CN215581304U (zh) 一种手机侧按键固定结构
US20070036387A1 (en) Speaker with reduced height
KR10043490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장치
US7324155B2 (en) Camera case structur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6443751B1 (en) Input/output connector
KR20010098100A (ko) 삽입형 이어-마이크로폰
CN209993809U (zh) 按键组件
KR200392051Y1 (ko) 통신단말기의 송수화구 고정용 패드
CN219286259U (zh) 按键结构
KR100470694B1 (ko) 휴대폰용 마이크 접속핀
KR200293955Y1 (ko) 휴대폰의 안테나 접점구조
JP2006222350A (ja) 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00265B1 (ko) 무선 헤드셋
KR1006171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키 구조
KR200181622Y1 (ko) 휴대용 전화기의 이어피스 구조체
KR200330061Y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회선연결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