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781B1 -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 - Google Patents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781B1
KR100421781B1 KR10-2001-0072146A KR20010072146A KR100421781B1 KR 100421781 B1 KR100421781 B1 KR 100421781B1 KR 20010072146 A KR20010072146 A KR 20010072146A KR 100421781 B1 KR100421781 B1 KR 100421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water
nutrient
suppl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378A (ko
Inventor
영 성 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그린
Priority to KR10-2001-0072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781B1/ko
Priority to PCT/KR2002/000422 priority patent/WO2003043408A1/en
Priority to AU2002239114A priority patent/AU2002239114A1/en
Publication of KR2003004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이 심어진 화분에 수분과 양액을 적당하게 공급하기 위한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본 자동공급기는 소정양의 물을 수용하기 위한 비교적 큰 수조와, 상기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융기되어 있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균일하게 용해되는 고체영양제가 충진된 적어도 하나의 팩이 결착되어 있는 양액공급부재와, 상기 양액공급부재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화초가 용토에 심어지고, 그 하단에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다수개 유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과 상기 양액공급부재 사이에 상기 고체영양제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체영양제가 용해된 양액을 모세관현상으로 상기 화분의 용토에게 제공하는 양액공급심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화초를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일일이 물과 양액을 공급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AUTO-SUPPLIER APPARATUS OF WATER AND NUTRIENT}
본 발명은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이 심어진 화분에 수분과 양액을 적당하게 공급하기 위한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분자동공급기는 1회의 물공급으로 비교적 장시간(수개월)동안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적당한 량의 수분이 식물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수분자동공급기는 화초와 용토이 수용된 화분과, 상기 화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용토에게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평심지와, 상기 수평심지와 결합되어 있고 기립방향으로 늘어져 수분을 적당하고 일정하게 상기 수평심지에 전달하는 수직심지와, 상기 수직심지가 담기도록 상기 화분과 소정양의 물을 수용하여 수분을 제공하는 수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수분자동공급기는 수조에 공급되는 물에 일정비율의 양액을 혼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일이 정확한 양의 양액과 물을 혼합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초에 필요한 양액은 다수의 종류가 있으며, 시기에 따라서 종류별로 적당한 양을 화초에게 공급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시간차를 맞추기가 어려우며, 화초의 생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불편함을 극대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가령, 다른 종류의 양액을 혼합하여 공급할 경우 양액의 화학반응으로 인하여 화초의 생장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양액과 물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화초 생장의 도움은 물론 장시간동안 물과 양액을 공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수분과 양액이 제공되도록 한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소정의 시간동안 일정한 양만이 물에 녹는 고체영양제를 사용하여 양액의 공급없이 물만을 공급하여 장시간동안 일정한 양의 수분과 양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영양제를 고정시키는 다른 실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조 2 ; 고정구
3 ; 양액공급부재 5 ; 팩
7 ; 화분 9 ; 양액공급심지
10 ; 오링 11 ; 수분공급관
13 ; 보조수조 15 ; 다리부
16 ; 스크류 17 ; 브라켓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양의 물을 수용하기 위한 비교적 큰 수조와, 상기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융기되어 있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균일하게 용해되는 고체영양제가 충진된 적어도 하나의 팩이 결착되어 있는 양액공급부재와, 상기 양액공급부재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화초가 용토에 심어지고, 그 하단에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다수개 유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과 상기 양액공급부재 사이에 상기 고체영양제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체영양제가 용해된 양액을 모세관현상으로 상기 화분의 용토에게 제공하는 양액공급심지를 포함하는 양액과 수분의 자동공급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양액공급부재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고체영양제가 충진된 한 쌍의 팩이 상호 대칭되는 원주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팩 중 어느 하나는 질소전량 13%, 수용성인산 11%, 수용성가리 13%, 수용성고토 2%, 수용성망간 0.1%, 수용성붕소 0.0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상기 다른 하나는 칼슘 10%, 마그네슘 6%, 설퍼(Sulfur) 5%, 보론(Boron) 0.5%, 코퍼(Copper) 0.25%, 철(Iron) 3%, 망간(Manganese) 1.5%, 아연(Zinc) 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팩은 상기 양액공급부재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소정양의 물을 수용하기 위한 비교적 큰 수조와, 상기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융기되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의 개구를 갖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외경면에 접촉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균일하게 용해되는 고체영양제가 충진된 적어도 하나의 팩이 결착되어 있는 양액공급부재와, 상기 양액공급부재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화초가 용토에 심어지고, 그 하단에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다수개 유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과 상기 양액공급부재 사이에 상기 고체영양제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체영양제가 용해된 양액을 모세관현상으로 상기 화분의 용토에게 제공하는 양액공급심지와,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조보다 비교적 큰 량의 물이 수용되어 있는 보조수조와, 상기 수조와 상기 보조수조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의 내경면에 접촉가능하게 결합되어 소정높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기립시키고, 그 내경면을 따라 상기양액공급심지가 관통되어 노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관을 포함하는 양액과 수분의 자동공급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분공급관과 상기 고정구의 결합부위에는 이들간에 기밀을 유지하여 모세관현상을 유도하는 오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영양제를 고정시키는 다른 실시도이다.
본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융기되어 있는 원통형 고정구(2)를 가지며, 소정양의 물을 수용하기 위한 비교적 큰 수조(1)를 갖는다. 상기 고정구(2)에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균일하게 용해되는 고체영양제가 충진된 적어도 하나의 팩(5)이 결착되어 있는 양액공급부재(3)가 외경면에 접촉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양액공급부재(3)의 상단에는 화초가 용토에 심어지고, 그 하단에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다수개 유통공(8)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7)이 고정 결합되어 있다. 상기 화분(7)과 상기 양액공급부재(3) 사이에는 상기 고체영양제가 용해된 양액과 수분을 모세관현상으로 상기 화분(7)의 용토에게 제공하는 양액공급심지(9)가 상기 팩(5)의 고체영양제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팩(5)은 고체영양제와 물이 쉽게 접촉되어 용해될 수 있는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양액공급부재(3)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고체영양제가 충진된 한 쌍의 팩(5)이 상호 대칭되는 원주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팩 중 어느 하나는 질소전량 13%, 수용성인산 11%, 수용성가리 13%, 수용성고토 2%, 수용성망간 0.1%, 수용성붕소 0.0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상기 다른 하나는 칼슘 10%, 마그네슘 6%, 설퍼(Sulfur) 5%, 보론(Boron) 0.5%, 코퍼(Copper) 0.25%, 철(Iron) 3%, 망간(Manganese) 1.5%, 아연(Zinc) 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고체영양체는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13가지의 영양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성분들이외에 C, H, O가 나머지 %비율에 해당하고, 상기 13가지 영양요소와 함께 혼합되어 일정한 비율로 물에 용해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팩에 수용된 각 고체영양제의 13가지 필수영양요소들은 서로 혼합되어 하나로 고형화되면 식물생장에 방해가 되는 유해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각각 무해한 요소들로 분리되고, 혼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두 그룹의 고체영양제로 분리하므로 이들이 급속한 화학적인 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며 상기 양액공급심지(9)에 의해 점진적으로 균등한 양의 양액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양액공급심지(9)가 상기 팩(5)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된 이유 또한 상기와 동일하다.
부연 설명하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원소는 모두 16가지이고, 양액재배에는 16가지 중 C,H,O를 제외한 13가지의 무기원소(N, P, K, Mg, Ca, S, Fe, Cu, Zn, Mo, B, Cl, Mn)인위적으로 물에 용해하여 양수분을 동시에 공급하여 재배하는 것을 말하며, 본 발명 또한 이와 같은 양액재배의 기본원리를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양액재배에서 가장 중요시 해야 할 부분이 근권부의 산소공급이고, 실제로 식물이 필요로 하는 16가지 원소 중 탄소, 수소, 산소는 대기중의 CO2와 H2O에서 공급받아 식물체에게 90~95%를 제공하며, 나머지(5~10%)는 필요한 양분을 인위적으로 물에 무기질 형태로 휘석하여 공급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팩(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7)과 수조(1)가 상당히 큰 것일 경우 상기 양액공급부재(3)의 상부 단면에 관통공 양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양액공급부재(3)가 비교적 크며, 양액공급심지(9)는 팩(5)이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팩(5)의 고체영약제는 1회 공급으로 1년이상 지속적으로 식물에게 거의 반영구적으로 일정한 양의 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융기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형 고정구(2)를 가지며, 소정양의 물을 수용하기 위한 비교적 큰 수조(1)를 갖는다. 상기 고정구(2)에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균일하게 용해되는 고체영양제가 충진된 적어도 하나의 팩(5)이 결착되어 있는 양액공급부재(3)가 외경면에 접촉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양액공급부재(3)의 상단에는 화초가 용토에 심어지고, 그 하단에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다수개 유통공(8)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7)이 고정 결합되어 있다. 상기 화분(7)과 상기 양액공급부재(3) 사이에는 상기 고체영양제가 용해된 양액과 수분을 모세관현상으로 상기 화분의 용토에게 제공하는 양액공급심지(9)가 상기 고체영양제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팩(5)은 고체영양제와 물이 쉽게 접촉되어 용해될 수 있는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조(1)의 하부에는 상기 수조(1)보다 비교적 큰 량의 물이 수용되어 있는 보조수조(1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조(1)와 상기 보조수조(13) 사이에는 상기 고정구(2)의 내경면에 접촉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조(1)가 소정높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기립시키고, 그 내경면을 따라 상기 양액공급심지(9)가 관통되어 노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관(11)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분공급관(11)과 상기 고정구(2)의 결합부위에는 이들간에 기밀을 유지하여 모세관현상을 유도하는 오링(1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양액공급심지(9)가 노출된 영역의 상기 수분공급관(11)에는 상기 보조수조(13)에 담기며, 기울어지지 않토록 한 다수의 다리부(15)가 브라켓(17)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부(15)와 상기 브라켓(17) 사이에는 스크류(1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는 상기 수조(1)에 수용되는 물을 공급하면, 상기 양액공급부재(3)의 고체영양제가 천천히 물에 용해되고, 양액공급심지(9)에 의해서 양액이 함유된 일정 양의 수분이 식물(화초)의 뿌리에 공급됨과 아울러 상기 화분의 1/3에 해당하는 위치에 까지 형성된 유통공(8)에 의해서 공기와 함께 양액이 공급되어 뿌리가 건조 과습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식물의 최적으로 생장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가 있어 고속성장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양액공급부재(3)의 팩(5)에 감싸진 고체영양제가 오랜 시간동안 아주 점진적으로 용해되기 때문에 관리자는 용제인 물만을 계속공급하여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양액과 물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화초 생장의 도움은 물론 장시간동안 물과 양액을 공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수분과 양액이 제공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화초를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일일이 물과 양액을 공급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화초가 심어진 화분으로 간편하게 바꾸어 끼움으로써, 화초 선택의 다양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양의 물을 수용하기 위한 비교적 큰 수조와;
    상기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융기되어 있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균일하게 용해되는 고체영양제가 충진된 적어도 하나의 팩이 결착되어 있는 양액공급부재와;
    상기 양액공급부재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화초가 용토에 심어지고, 그 하단에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다수개 유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과 상기 양액공급부재 사이에 상기 고체영양제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체영양제가 용해된 양액을 모세관현상으로 상기 화분의 용토에게 제공하는 양액공급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과 수분의 자동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공급부재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고체영양제가 충진된 한 쌍의 팩이 상호 대칭되는 원주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팩 중 어느 하나는 질소전량 13%, 수용성인산 11%, 수용성가리 13%, 수용성고토 2%, 수용성망간 0.1%, 수용성붕소 0.0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상기 다른 하나는 칼슘 10%, 마그네슘 6%, 설퍼(Sulfur) 5%, 보론(Boron)0.5%, 코퍼(Copper) 0.25%, 철(Iron) 3%, 망간(Manganese) 1.5%, 아연(Zinc) 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과 수분의 자동공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팩은 상기 양액공급부재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과 수분의 자동공급기.
  4. 소정양의 물을 수용하기 위한 비교적 큰 수조와;
    상기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융기되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의 개구를 갖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외경면에 접촉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균일하게 용해되는 고체영양제가 충진된 적어도 하나의 팩이 결착되어 있는 양액공급부재와;
    상기 양액공급부재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화초가 용토에 심어지고, 그 하단에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다수개 유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과 상기 양액공급부재 사이에 상기 고체영양제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체영양제가 용해된 양액을 모세관현상으로 상기 화분의 용토에게 제공하는 양액공급심지와;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조보다 비교적 큰 량의 물이 수용되어 있는 보조수조와;
    상기 수조와 상기 보조수조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의 내경면에 접촉가능하게 결합되어 소정높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기립시키고, 그 내경면을 따라 상기 양액공급심지가 관통되어 노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과 수분의 자동공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관과 상기 고정구의 결합부위에는 이들간에 기밀을 유지하여 모세관현상을 유도하는 오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과 수분의 자동공급기.
KR10-2001-0072146A 2001-11-20 2001-11-20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 KR100421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146A KR100421781B1 (ko) 2001-11-20 2001-11-20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
PCT/KR2002/000422 WO2003043408A1 (en) 2001-11-20 2002-03-12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nutrient solution and water to plants
AU2002239114A AU2002239114A1 (en) 2001-11-20 2002-03-12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nutrient solution and water to pl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146A KR100421781B1 (ko) 2001-11-20 2001-11-20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378A KR20030041378A (ko) 2003-05-27
KR100421781B1 true KR100421781B1 (ko) 2004-03-11

Family

ID=1971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146A KR100421781B1 (ko) 2001-11-20 2001-11-20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21781B1 (ko)
AU (1) AU2002239114A1 (ko)
WO (1) WO20030434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3872A (zh) * 2014-06-16 2015-01-28 郑晓冬 自动浇水花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993B1 (ko) * 2006-07-06 2007-10-17 강태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수분 공급 장치
EP2966976A4 (en) * 2013-03-15 2016-12-07 Maryrose Lacavera APPARATUS FOR PLANT CARE ON NON-HORIZONTAL SURFACES
US11026377B2 (en) * 2016-01-19 2021-06-08 Reinhold H. Holtkamp, JR. Wick watering pot cover system
KR101992575B1 (ko) * 2018-10-17 2019-06-25 영 성 왕 수위조절을 위한 저면자동관수용 식물재배관리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6559A (en) * 1975-09-15 1977-02-08 Carlyon Jr Richard A Self-irrigating display rack for potted plants
JPH0351768A (ja) * 1989-07-19 1991-03-06 Hitachi Ltd ガラス基板テスト用プローブ端子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テスト方法
JPH05137471A (ja) * 1991-11-18 1993-06-01 Sumiko Kawasaki 吊下げ植木鉢用給水システム
JPH09308398A (ja) * 1996-05-20 1997-12-02 Mitsubishi Chem Corp 透水性多孔質板を用いた自動給排水装置
KR200271930Y1 (ko) * 1999-02-04 2002-04-13 영 성 왕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4273A1 (de) * 1982-04-16 1983-10-20 Plantener Ausstattungssysteme GmbH, 8080 Fürstenfeldbruck Pflanzbehaelter
CA2345952C (en) * 1991-01-31 2002-08-06 Grace Sierra Horticultural Products Company Solubility compound fertilizer compositions
GB9115913D0 (en) * 1991-07-23 1991-09-04 Planagear Limited Plant pot supports/holders
DE19610241C2 (de) * 1996-03-15 1998-01-15 Elke Dipl Ing Petra Vorrichtung zur Langzeitbefeuchtung des Wurzelballens von Topfpflanzen
GB9626670D0 (en) * 1996-12-21 1997-02-12 Penhale Products Limited Self-watering plant containers
IL135432A0 (en) * 2000-04-03 2001-05-20 Rotem Amfert Negev Ltd Improved solubility fertilizer compounds and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6559A (en) * 1975-09-15 1977-02-08 Carlyon Jr Richard A Self-irrigating display rack for potted plants
JPH0351768A (ja) * 1989-07-19 1991-03-06 Hitachi Ltd ガラス基板テスト用プローブ端子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テスト方法
JPH05137471A (ja) * 1991-11-18 1993-06-01 Sumiko Kawasaki 吊下げ植木鉢用給水システム
JPH09308398A (ja) * 1996-05-20 1997-12-02 Mitsubishi Chem Corp 透水性多孔質板を用いた自動給排水装置
KR200271930Y1 (ko) * 1999-02-04 2002-04-13 영 성 왕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3872A (zh) * 2014-06-16 2015-01-28 郑晓冬 自动浇水花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378A (ko) 2003-05-27
AU2002239114A1 (en) 2003-06-10
WO2003043408A1 (en) 200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8774A (en) Plant and seed growing system
US9258953B2 (en) Apparatus for growing living organisms
US6615542B2 (en) Plant growth unit
US6247269B1 (en) System for plant growing
EP0052264B1 (en) A hydroponics unit
US200502520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growth of multiple root systems in a hydroponic environment
US20020040548A1 (en) Plant growth unit
KR100499203B1 (ko)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US20150282444A1 (en) Hydroponic flood table
EP3261431B1 (en) Soilless plant cultivating container
KR100421781B1 (ko) 양액 및 수분 자동공급기
JP4440192B2 (ja) 水耕栽培方法及び水耕栽培装置
KR100332158B1 (ko) 적층식 자동 재배장치
US4161844A (en) Hydroculture plant pot with an inserted container for receiving a hydroculture fertilizer
WO1999046974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9980087193A (ko)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JP2799663B2 (ja) 水耕栽培用装置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JPH01231826A (ja) 水耕栽培方法及び装置
KR101911203B1 (ko) 식물 재배관리기
JP2013013379A (ja) 植物栽培具
KR200179704Y1 (ko) 식물재배기의 자동수분공급장치
US11617314B2 (en) Self-wicking plant growth receptacle
KR910004464Y1 (ko) 식물의 화분 구조체
JP3024968U (ja) 水耕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