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705B1 -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705B1
KR100420705B1 KR10-2000-0042321A KR20000042321A KR100420705B1 KR 100420705 B1 KR100420705 B1 KR 100420705B1 KR 20000042321 A KR20000042321 A KR 20000042321A KR 100420705 B1 KR100420705 B1 KR 100420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ovision
train
guide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3562A (ko
Inventor
김희상
Original Assignee
(주)씨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엠케이 filed Critical (주)씨엠케이
Priority to KR10-2000-004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705B1/ko
Publication of KR2000006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45Destination indicators, identification panels or distinguishing signs on th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9On-board display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및 지하철 전동차내에서 승객들에게 정차역안내 및 광고와 멀티미디어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인포비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인포비젼시스템이 업그레이드가 불편하고,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과, 정보수신시 에러가 많다믄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은, 트레인카(1)에 설치되어 현재 열차의 위치를 추정하여 정차역을 안내하는 자동행선안내기(30)와; 트레인카(1)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행선안내기(3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정차역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기지국에서 전송한 정보를 자체에 내장된 단말기로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정보와 각종 생활정보 및 동영상 광고 등의 멀티미디어정보를 승객들에게 모니터(11)를 통해 디스플레이해주는 마스터 인포비젼(10)과; 상기 트레인카(1)에 연결된 각 객차(2)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행선안내기(3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정차역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마스터 인포비젼(10)의 모니터(11)에 출력되는 것과 동일한 영상신호를 전송매체를 통해 받은 후 승객들에게 모니터(11)를 통해 디스플레이해주는 슬레이브 인포비젼(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infovision system for train}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서 광고나 멀티미디어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인포비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차나 지하철 전동차내에서 승객들에게 정차역안내 및 광고와 멀티미디어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열차(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수단이나 은행 등의 공공장소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건물내에는 정보제공시스템을 구축해 놓고 있다. 정보제공시스템은 흔히 인포비젼(infovision)이라고도 불리어진다. 이러한 인포비젼은 많은 사람들에게 뉴스, 일기예보, 교통정보, 문화소식, 시정뉴스, 증권정보, 스포츠뉴스 및 공익캠페인 등 대중들에게 유용한 생활정보와 정류장 안내방송 및 동화상 광고와 같은 멀티미디어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포비젼은 각종 생활정보와 동화상 광고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와 컴퓨터가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받아 대중에게 디스플레이해주는 모니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수단에 설치되는 인포비젼의 경우는 상기 컴퓨터와 모니터 외에 자동으로 정류장을 안내하기 위한 정류장안내장치(자동행선안내장치)가 첨가된다. 버스에는 상기와 같은 인포비젼이 1대가 설치되나 열차나 지하철의 경우 보통 8~10량이 1편성을 이루고 이들 각 8~10량의 객차(전동차)마다 설치된다.
종래에 열차나 지하철에 설치되었던 인포비젼은 각 객차별로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독립형이였다. 즉, 동일한 내용을 각각의 인포비젼이 디스플레이하는 독립방식이였다. 따라서, 열차나 지하철 1편성에 인포비젼을 설치하는데 8대 이상의 다량의 장비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설치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이 고가로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케줄 변경과 같은 업데이트시 각 객차에 설치된 인포비젼 각각에 대하여 업데이트를 실시해야 하므로 열차 1편성에 대한 총 업데이트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데 있어 종래의 인포비젼은 수신용 단말기로서 페이저를 이용함으로써 정확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페이저는 수신만 가능한 단방향 통신을 하기 때문에 기지국에서 송출한 정보를 페이저가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일 예를 들면, 열차가 터널을 통과하는 경우 터널에 진입한 앞측 객차의 경우는 전파장애로 수신이 불가능하지만 터널에 진입하지 않은 뒷측 객차의 경우는 수신이 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시점에 수신이 불가능하지만 페이저는 기지국에서 수신확인이 안되기 때문에 수신하지 못한 정보를 재전송해줄 수가 없다. 따라서, 수신불능상태인 페이저가 설치된 객차의 인포비젼은 그 시점의 정보를 놓쳐 승객들에게 디스플레이해주지 못하게 되고 수신불능인 상태에서 만약 중요한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었다면 이러한 객차안의 승객들은 매우 불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페이저를 이용한 정보수신방법은 기지국이 송출한 정보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때문에 에러난 데이터를 재전송요구할 수도 없으며 이에 따라 누락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차용 인포비젼의 설치비용을 감소시키고 업데이트가 간편하도록 마스터 인포비젼과 이 마스터 인포비젼의 영상신호을 전달받아 수동적으로 디스플레이만 해주는 슬레이브 인포비젼으로 구성된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정보의 수신시 정보의 누락없이 정확하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용 인포비젼시스템을 보인 도.
도2는 도1의 마스터 인포비젼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3은 도1의 마스터 인포비젼의 사시도.
도4는 도1의 슬레이브 인포비젼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레인카 2 : 모터카
3 : 광케이블 4 : 데이터케이블
10 : 마스터 인포비젼 20 : 슬레이브 인포비젼
30 : 자동행선안내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은, 트레인카에 설치되어 현재 열차의 위치를 추정하여 정차역을 안내하는 자동행선안내기와; 트레인카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행선안내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정차역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기지국에서 전송한 정보를 자체에 내장된 단말기로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정보와 각종 생활정보 및 동영상 광고 등의 멀티미디어정보를 승객들에게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해주는 마스터 인포비젼과; 상기 트레인카에 연결된 각 객차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행선안내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정차역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마스터 인포비젼의 모니터에 출력되는 것과 동일한 영상신호를 전송매체를 통해 받은 후 승객들에게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해주는 슬레이브 인포비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매체는, 광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인포비젼은, 정보를 광케이블을 통해 슬레이브 인포비젼으로 전송하기 전에 VGA신호를 NTSC 또는 컴포지트신호로 변환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엔코더와 광송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인포비젼의 단말기는,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용 인포비젼시스템은 업그레이드가 간편하고,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수신시 데이터의 누락 및 데이터에러율이 적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지하철에 설치되는 인포비젼 시스템의 전동차내에서의 구성품의 배치를 간략히 보인 것이다. 도1에서는 트레인카(train car) 1대와 모터카(motor car) 1대만을 보인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트레인카 1대에 모터카 수대가 연결되어 1편성을 이룬다.
도1을 참조하면, 본 인포비젼 시스템은 트레인카(1)의 천정 중앙에 마스터(master) 인포비젼(10)이 설치되고, 모터카(2)의 천정 중앙에 슬레이브(slave) 인포비젼(20)이 설치된다. 도1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모터카(2)에 또 다른 모터카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되는 모터카마다의 천정에는 슬레이브 인포비젼(20)이 설치된다. 한편, 트레인카(1)의 운전실 즉, 전동차를 제어하는 운전실에는 자동행선안내기(30)가 설치된다. 자동행선안내기(30)와 각 인포비젼(10,20)과는 데이터케이블(3)로 연결되고, 인포비젼(10,20) 서로간은 광케이블(4)로 연결된다. 트레인카(1)에서 모터카(2)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하는 광케이블(4)은 각 전동차(1,2)의 여장함(5)을 거쳐 전동차의 외부로 포설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케이블(3)과 광케이블(4)은 전동차내부에서는 전동차(1,2)의 천정과 측면을 통해 포설된다.
상기 마스터 인포비젼(10)은 외부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멀티미디어정보를 수신하여 자체적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한편, 종속연결되는 슬레이브 인포비젼(20)에 정보와 동영상 광고에 관한 영상신호를 전달하여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2는 상기 마스터 인포비젼(10)의 내부 구성을 블럭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마스터 인포비젼(10)의 외형을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 슬레이브 인포비젼(20)의 외형도 이와 동일하다.
도2를 참조하면, 휴대폰과 휴대폰 다음단의 컴퓨터와 컴퓨터의 영상출력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에 2대의 모니터(11)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기에는 엔코더가 연결되고, 엔코더의 다음단에는 광송신기가 연결된다. 한편, 이상의 구성과 별개로 LED 도트매트릭스 컨트롤 보드와, 이 컨트롤 보드에 LED 도트매트릭스(12)가 연결된다.
도3을 참조하면, 마스터 인포비젼(10)은 양측에 모니터(11)가 설치되고, 이 모니터(11)의 우측 옆에 LED 도트매트릭스(12)가 설치된다. 마스터 인포비젼(10)의 윗면은 전동차의 천정에 설치할 수 있도록 평평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모니터(11)와 LED 도트매트릭스(12)가 설치된 전면은 전동차내의 승객들이 인포비젼(10)을 시청하기 편하도폭 윗면에 대해서 아래측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휴대폰은 외부의 기지국으로부터 증권이나 주식, 실시간 교통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구성으로, 종래의 페이저를 대신한다.
페이저는 수신만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수신하던 도중 에러가 발생하면재전송을 요구할 수 없다. 따라서, 페이저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인포비젼에서는 이 에러난 부분때문에 파괴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되어 승객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페이저대신 양방향으로 즉,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폰을 정보 수신용 단말기로 사용하였다. 휴대폰을 통한 정보제공서비스는 이미 이동통신사업자를 통해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휴대폰은 페이저와 달리 에러난 데이터에 대해서 데이터의 복구 및 기지국에 재전송요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에러율을 대폭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페이저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빠르게 많은 양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많은 양의 정보를 수신하려면 본 실시예와 같은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랜(wireless LAN) 단말기를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할 경우 단말기 비용이 많이 들며, 무선랜망이 아직은 미흡하기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비용이 저렴한 휴대폰을 정보 수신용 단말기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다른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컴퓨터는 상술한 휴대폰이 전송받은 정보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폼에 맞게 가공하고, 사전에 준비된 동영상 광고를 플레이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 데스크탑 컴퓨터와 동일한 메인보드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미도시), CD-ROM 드라이브(미도시)를 마스터 인포비젼(10) 케이스의 내부에내장시켰다. 따라서, 마스터 인포비젼(10)은 자체적으로 일반 데스크탑 컴퓨터와 동일한 작업이 가능하다.
휴대폰이 수신한 정보는 컴퓨터로 전송되고, 컴퓨터는 수신한 정보를 내부의 그래픽카드를 제어하여 재생한다. 한편, 컴퓨터는 사전에 제작된 동영상 광고용 CD나 하드디스크에 내장된 이미지 파일 등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재생하게 된다. 컴퓨터가 이상의 정보와 동영상을 재생함에 따라 메인보드로부터 VGA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배기는, 상술한 컴퓨터가 출력하는 VGA신호를 다수개의 모니터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분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포비젼 1대당 모니터(11)가 앞뒤로 2개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 2대의 모니터(11)에 동시에 영상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분배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모니터의 전단에 분배기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인포비젼 1대당 모니터(11)를 1대만 구성한다면 상기와 같은 분배기를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모니터가 1대일 경우에는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분배기를 거치지 않고 바로 모니터에 입력시키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사무실에서 흔히 사용되는 모니터공유기 등에 사용하는 분배기와 유사한 구조로 상기 분배기를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1모니터와 제2모니터(11)는, 컴퓨터가 재생한 정보와 동영상 광고를 전동차내의 승객들에게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포비젼(10,20)이 각 전동차의 천정에 1대만 설치되기 때문에 모든 방향에 자리한 승객들이 인포비젼(10,20)을 시청할 수 있도록 앞뒤로 2대의 모니터(11)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인포비젼(10,20)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LCD 모니터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엔코더는, 상기 분배기의 출력신호(VGA신호)를 NTSC 또는 컴포지트(composite)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엔코더와 후술하는 광송신기는 마스터 인포비젼(10)으로부터 슬레이브 인포비젼(20)으로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컴퓨터가 출력한 VGA 신호를 모니터 등으로 전송하는데는 9가닥의 전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9가닥의 전선이 필요한 VGA신호를 멀리 이격된 슬레이브 인포비젼(20)의 모니터까지 전송하는데는 전송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동차에서 사용하는 특고압 전력선에 의한 노이즈때문에 난해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노이즈의 영향이 적어 영상신호를 원격지까지 전송가능하도록 광케이블(4)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광케이블(4)의 이용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신호의 전송에 1가닥의 전송선만 필요한 NTSC 또는 컴포지트신호로 VGA신호를 변환해주는 엔코더를 구성하였다. 한편, 광케이블(4)의 포설시 각 전동차의 앞과 뒤측에는 각각 여장함(5)을 설치하여 이 여장함(5)내에 광케이블(4)의 여유분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광송신기는 상술한 엔코더가 출력하는 NTSC 또는 컴포지트신호를 광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신호를 전송하는데 광케이블(4)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광신호를 변환해주기 위해 상기 광송신기를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LED 도트 매트릭스(12)와 컨트롤 보드는, 상기 자동행선안내기(3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지하철 정류장을 전동차내의 승객들에게 디스플레이해주기 위한 구성이다.
자동행선안내기(30)와 인포비젼(10,20)간은 데이터케이블(3)로 연결되어 자동행선안내기(30)의 제어신호가 각각의 전동차(1,2)내에 설치된 인포비젼(10,20)의 LED 도트매트릭스 컨트롤보드로 전송된다.
상기 자동행선안내기(30)는 트레인카(1)의 운전실에 설치되는 장비로 전동차바퀴에 연결된 타코제너레이터(TG)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전동차의 위치를 파악하고 승객들에게 정차역을 안내해주는 장비이다. 상기 자동행선안내기(30)는 전동차의 운행도중에는 자동으로 동작하고, 정류장을 안내할 시점이 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자동행선안내기(30)가 출력한 제어신호는 데이터케이블(3)에 의해 전송되어 상기 LED 도트매트릭스 컨트롤보드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컨트롤보드는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사전에 프로그램된 행선지를 상기 LED 도트매트릭스(12)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상의 휴대폰, 컴퓨터, 분배기, 2대의 모니터(11), 엔코더, 광송신기, LED 도트매트릭스(12)와 컨트롤보드가 마스터 인포비젼(10)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슬레이브 인포비젼(20)은, 광분배기와, 광분배기의 다음단에 연결되는 광수신기와, 광수신기의 다음단에 연결된 2대의 모니터와, LED 도트매트릭스 컨트롤 보드와, 이 컨트롤 보드에 연결된 LED 도트매트릭스(12)로 구성된다.
상기 광분배기는, 앞서 마스터 인포비젼(10)의 광송신기에서 출력한 광신호를 슬레이브 인포비젼(20)으로 인출하기 위해 광을 분리하는 광커플러이다. 지하철 1편성당 보통 8대 이상의 슬레이브 인포비젼(20)이 설치되기 때문에 이 모든 슬레이브 인포비젼(20)이 마스터 인포비젼(10)으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광분배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만약, 슬레이브 인포비젼(20)이 1대만 설치되면 본 실시예와 같은 광분배기는 구성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상기 광수신기는 광분배기가 인출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2대의 모니터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스터 인포비젼(10)에 설치된 광송신기와 반대로 동작한다. 광수신기가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면, 이 전기적인 신호 즉, NTSC 또는 컴포지트신호는 앞뒤로 설치되는 2대의 모니터에 동시에 공급되고 이에 따라 2대의 모니터는 마스터 인포비젼(10)과 동일한 내용의 동영상 광고나 정보를 전동차내의 승객들에게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LED 컨트롤보드와 LED 도트매트릭스는 자동행선안내기(30)가 출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마스터 인포비젼(10)에 설치된 것과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슬레이브 인포비젼(20)은 각 모터카(2)마다 설치되어 승객들에게 정류장안내와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하철에 국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포비젼시스템을 설명하였으나 지하철과 유사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열차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은, 마스터 인포비젼(10) 1대와 다수개의 슬레이브 인포비젼(20)으로 열차의 인포비젼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업그레이드가 간편하고,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양방향통신이 가능한 휴대폰을 이용함으로써 수신시 누락데이터가 적고 에러율이 적어 정확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본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은, 객차의 승객들에게 정류장 안내나 각종 생활정보, 광고 등을 제공하는데 이용하면 유용하다.

Claims (4)

  1. 트레인카(1)에 설치되어 현재 열차의 위치를 추정하여 정차역을 안내하는 자동행선안내기(30)와;
    트레인카(1)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행선안내기(3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정차역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기지국에서 전송한 정보를 자체에 내장된 단말기로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정보와 각종 생활정보 및 동영상 광고 등의 멀티미디어정보를 승객들에게 모니터(11)를 통해 디스플레이해주는 마스터 인포비젼(10)과;
    상기 트레인카(1)에 연결된 각 객차(2)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행선안내기(3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정차역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마스터 인포비젼(10)의 모니터(11)에 출력되는 것과 동일한 정보를 전송매체를 통해 받은 후 승객들에게 모니터(11)를 통해 디스플레이해주는 슬레이브 인포비젼(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매체는, 광케이블(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인포비젼(10)은, 정보를 광케이블(4)을 통해 슬레이브 인포비젼(20)으로 전송하기 전에 VGA신호를 NTSC 또는 컴포지트신호로 변환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엔코더와 광송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인포비젼(10)의 단말기는,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KR10-2000-0042321A 2000-07-24 2000-07-24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KR100420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321A KR100420705B1 (ko) 2000-07-24 2000-07-24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321A KR100420705B1 (ko) 2000-07-24 2000-07-24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017U Division KR200211779Y1 (ko) 2000-07-24 2000-07-24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562A KR20000063562A (ko) 2000-11-06
KR100420705B1 true KR100420705B1 (ko) 2004-03-04

Family

ID=1967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321A KR100420705B1 (ko) 2000-07-24 2000-07-24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963A (ko) * 2006-04-20 2007-10-25 주식회사 로템 전동차 실내 안내표시기의 보조전원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807B1 (ko) * 2000-11-09 2003-10-17 온세울(주) 잔상효과를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100399077B1 (ko) * 2001-02-06 2003-09-26 코모넷 주식회사 열차 방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0848B1 (ko) * 2001-04-12 2003-10-08 (주)디와이 전동차 내의 실시간 정보표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963A (ko) * 2006-04-20 2007-10-25 주식회사 로템 전동차 실내 안내표시기의 보조전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562A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1465B2 (ja) 列車内通信システム
JP3859954B2 (ja) 列車搭載映像情報配信表示システム
US201303448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tier automatic transit system updating
JP4102548B2 (ja) 列車搭載映像情報配信表示システム
KR200211779Y1 (ko)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EP1404063A2 (en) Communication circuit for a vehicle
KR100420705B1 (ko) 열차용 인포비젼시스템
KR100840977B1 (ko) 전동차량의 동영상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259945A1 (en) Communication circuit for a vehicle
US20040012539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by using residual image effect
KR20020014848A (ko) 지하철 전동차용 정보전달 시스템
KR100374932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동차 내의 정보 표시 시스템
KR200211958Y1 (ko) 지하철 전동차용 정보전달 시스템
KR100579942B1 (ko) 광선로를 이용한 열차 방송 시스템
KR100400848B1 (ko) 전동차 내의 실시간 정보표시 시스템
KR100723462B1 (ko) 디지털 영상신호의 광전송시스템
KR100787961B1 (ko) 전동차용 동영상 신호 전달 장치
KR200357534Y1 (ko) 무선 정보 제공 장치
US9532081B2 (en) In-vehicl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image-contents distribution method of in-vehicl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KR100755867B1 (ko) 차량 목적지 안내 시스템 및 그에 이용되는 이동단말기
KR20020028577A (ko) 차량용 정보전달 시스템
KR19990061958A (ko) 쌍방향 통신을 이용한 버스 안내방송 시스템
CN201986154U (zh) 定位监控装置及车辆定位监控系统
KR200355528Y1 (ko) 궤도 차량용 정보 제공 시스템
RU2360299C2 (ru) Система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