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417B1 - 과전류계전기의 전류 탭 변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과전류계전기의 전류 탭 변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417B1
KR100420417B1 KR10-2001-0037254A KR20010037254A KR100420417B1 KR 100420417 B1 KR100420417 B1 KR 100420417B1 KR 20010037254 A KR20010037254 A KR 20010037254A KR 100420417 B1 KR100420417 B1 KR 100420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load
relay
overcurrent relay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978A (ko
Inventor
윤상복
김병직
박중익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01-0037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417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5Details with means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redundanc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 H02H1/043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to inrush curr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0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avoiding undesired transient conditions

Landscapes

  • Protection Of Transformer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부하의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수전단부터 부하종합단까지 순차적으로 보호협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전류계전기의 탭 변환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 유도원판형 과전류 계전기 탭을 부하량에 따라 자동으로 변환시켜 각 피더별 최적 보호협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특히 돌입여자전류 및 대용량설비 기동전류가 발생하는 과도현상에서 순시보호가 가능하여 과전류계전기의 오동작이나 부동작으로 인한 정전에 대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변환장치는,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을 부하변동에 맞추어 세팅하기 위한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변환장치에 있어서,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변환장치는 부하용량 변동에 따라 과전류 계전기의 전류탭을 변환하기 위하여 주회로부와 종속회로부가 과전류계전기군과 기저부하군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며, 이 때, 주회로부는 부하에서 전송된 부하별 동작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부하용량을 산출하는 카운터 회로부와, 카운터회로부로부터 부하용량을 입력받아 부하용량의 증감을 판정하여 부하용량의 증감이 탭 변환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부하용량의 증감이 탭변환 범위일 경우 탭변환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주제어회로부 및 보조릴레이제어부와, 보조릴레이제어부의 동작에 의해 동작되는 주릴레이부와, 주릴레이부와 각 과전류계전기로 전기적 회로를 구성시켜 주는 컨넥터와, 컨넥터와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을 연결해주는 탭 결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변환방법은, 전력설비가 일정부하용량에서 다른 부하용량으로 용량 변동을 수반하는 경우 부하 댓수별 증감을 카운터회로부를 통해 연산하는 연산단계; 상기 카운터회로부에 의한 부하댓수 연산과 부하증감을 판정하여 일정부하가 + 또는 -로 증감이 확인될 때 그 부하량이 탭 변환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주제어회로부를 통해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을 통해 부하량이 탭 변환 범위일 경우 기존탭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탭변환을 실행하는 탭 변환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전력설비 부하용량에 따르는 과전류계전기 전류탭의 자동 변환에 따른 조작성과 안정성 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과전류계전기의 전류 탭 변환 방법 및 장치{Apparatus for an electric current tap transformation and method for thereof}
본 발명은 일정부하의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수전단부터 부하종합단까지 순차적으로 보호협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전류계전기의 탭 변환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존 유도원판형 과전류 계전기 탭을 부하량에 따라 자동으로 변환시켜 각 피더별 최적 보호협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특히 돌입여자전류 및 대용량설비 기동전류가 발생하는 과도현상에서 순시보호가 가능하여 과전류계전기의 오동작이나 부동작으로 인한 정전에 대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전기는 입력신호에 따라 전기 회로를 여닫는 장치와 같기 때문에 릴레이(relay)로 볼 수 있다. 계전기를 넓은 의미에서 보는 경우 전기 회로를 여닫기 위해 사용 가능한 입력 신호로서 전류, 전압, 온도, 빛 등에 반응하여 움직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회로를 여닫는 데는 전자석을 쓰는 것이 보통이므로 계전기는 전자석으로 움직이는 스위치라 할 수 있으며, 자동 전화교환기,자동제어장치,자동신호기 등에 많이 쓰인다.
전력계통에 사용되는 보호계전기는 주로 과전류에 의한 전력계통의 이상을감시하여 사고시 전기 회로를 닫아 파급영향을 사전에 예방 또는 감소시킴으로서 전력계통 설비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종의 보호장치로 적용되고 있다.
실제로 전력계통이나 부하측에서 이상이 생기면 그 파급이 다른 전력설비로 옮겨가는 연쇄적 피해로 이어지기 때문에 신속하게 전기 회로를 닫아주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이때 보호계전기는 개회로를 폐회로로 하는데 적합하게 이용되고 있다.
계전기와 비슷한 전류제한기도 알려져 있다. 전류제한기는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전류가 흘렀을 때 작동하는 회로를 차단하는 안전 장치로서 자정 안에서의 단락 사고나 부주의로 아주 큰 전류가 흐르는 부하를 사용하였을 때 과전류를 계속해서 흐르지 않도록 하고, 전선이나 배선 기구의 과열로 화재 등의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보통 전력 회사가 수용가의 인입구 쪽에다 설치한다. 민생용 규정 전류에는 5,10,15,20,30A(암페어)의 5종류가 있으며, 예들 들면 10A의 것은 15A가 넘으면 작동하도록 만들어지고, 20A에서는 2분 이내에, 40A에서는 10초 이내에 동작한다. 산업용 규정 전류도 마찬가지로 용량 차이만 가질뿐 기본적인 과부하나 과전류에 대한 제어는 그 형식이 같다. 현재는 서킷브레이커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민생용 전력인 경우 정격 전압은 110V/220V, 정격 전류는 5~30A이다. 이것은 동작 코일이 내장되어 있어 과전류가 흐르면 그 전자기력에 의해 작동 한다.
한편, 종래에는 전력계통의 이상을 감시하기 위한 보호계전기로서, 유도원판형 과전류계전기를 적용하였다. 유도원판형 과전류계전기는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전류가 흘렀을 때 전류를 차단하는 용도로서 적용되었다. 이 유도원판형 과전류계전기는 미리 전류값을 정해 놓기 위해 전류값 변환을 위한 전류탭이 있으며, 전류탭의 변환은 계산된 전류값에 의거 한번 정정되면 그 값이 그대로 고정되게 되어 있어 부하용량 변동시 용량계산 결과에 따라 수작업으로 전류탭을 일일이 변환해야 되는 불편이 따른다.
전력계통에서 나타나는 이상 징후는 주로 설비나 부하측 이상에 의해 나타나는 간접적 요인과 누전이나 쇼트 등에 의한 직접적인 요인 등이 공존 하지만 누전이나 쇼트 등을 제외하면 부하용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나타나는 문제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부하용량 변동 때 마다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을 부하용량에 추종될 수 있도록 새로운 전류값으로 설정해주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희망하는 사항이고 실제로 기존 유도원판형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을 부하용량에 추종되도록 변환 시키기 위해서는 복잡한 부하용량 계산과 그 결과에 따라 수작업으로 전류탭을 새로 변환 시켜야 하므로 조작도 불편하고 또 부하용량 계산과 그에 따른 전류 탭 변환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설비의 복잡, 다양화에 따라 설비의 설치, 유지 및 보수의 용이성을 유지하기 위해 배선은 줄이고 감시 및 보호 계측기능을 가지며, 감시 및 보호의 중요기능은 과부하, 과부족전류, 결상 그리고 지락에 대한 적절한 대응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디지털 보호계전기가 개발되었으나, 마찬가지로 부하용량 변화에 따른 계층별 보호 협조를 위한 전류탭 자동 변환을 실현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여전히 조작이 불편하고 신뢰성도 검증되지 않은 것이다.
특히, 유도원판형 과전류계전기(제한기)는 부하용량에 대한 보호협조 전류탭을 한번 정정하여 세팅을 마치면 부하용량이 변하여 별도의 수작업으로 보호협조 전류탭을 정정할 때 까지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함으로서 동작에러 가능성이 아주 크거나 반대로 너무 둔감하여 부동작 상태로 유지되는 등 제어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하예측이 가능한 전력설비의 과전류계전기 전류탭을 부하용량 변화에 따라 상호 보호협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하용량 변화에 따라 연동되어 자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전류탭 자동 변환장치와 그 변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 부하 변동이 예상되는 설비에 적용하여 과전류계전기의 동작영역 오차를 최소화 시켜 보호설비의 신뢰성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하예측이 가능한 전력설비의 과전류계전기 전류탭을 부하용량 변화에 따라 상호 보호협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하용량 변화에 따라 연동되어 전류탭을 자동으로 변환시킴으로서 전류탭 변환에 따르는 조작성의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자동 변환장치는,
(1) 일정부하 변동에 따라 예측되는 설비의 부하용량 산출과 설정을 위한 카운터회로부와,
(2) 상기 카운터회로부로부터 설정값을 입력받아 전류탭을 변환시키기 위한 주제어부 및 보조릴레이제어부와,
(3) 상기 보조릴레이제어부의 동작에 의해 동작되는 주릴레이부와,
(4) 상기 주릴레이부와 각 보호계전기로 전기적 회로를 구성시켜 주는 컨넥터와,
(5) 상기 컨넥터와 계전기의 전류탭을 연결해주는 탭 결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자동 변환방법은,
(1) 전력설비가 일정부하용량에서 다른 부하용량으로 용량 변동을 수반하는 경우 부하댓수별 증감을 카운터회로부를 통해 연산하는 연산단계;
(2) 상기 카운터회로부에 의한 부하댓수 연산과 부하증감을 판정하여 일정부하가 + 또는 -로 증감이 확인될 때 그 부하량이 탭 변환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주제어회로부를 통해 판단하는 판단단계;
(3)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을 통해 부하량이 탭 변환 범위일 경우 기존탭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탭변환을 실행하는 탭 변환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자동 변환장치와 그 전류탭 변환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과전류계전기 전류탭을 부하용량 변화에 따라 상호 보호협조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자동으로 변환하고 설정할 수 있으며 그로부터 과전류(보호)계전기의 동작영역 오차를 최소화 시켜 보호설비의 신뢰성도 구축할 수 있게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탭 변환 장치의 주회로부 설치 대상부 및 주회로부 설치 위치 선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회로부와 연결되는 과전류계전기측 결선 구조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회로와 종속회로를 연결하는 연결커넥터의 형상.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탭변환 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과전류계전기 31:전류탭
33.35:컨넥터 40:주회로부
41:카운터회로부 42:주제어회로부
43:보조릴레이제어부 44:주릴레이부
45:컨넥터 46:제어회로소켓
47:소켓 48:주단자대
50:기저부하군 60:종속회로부
70:신호입력부 71:부하인입단자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탭 변환 장치의 주회로부 설치 대상부 및 주회로부 설치 위치 선정의 예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탭 변환장치의 주회로부 및 그 주회로부의 연결구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연결커넥터의 형상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탭변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수전단 과전류 지락 과전류계전기(10)와 변압기 2차측 과전류계전기(20), 그리고 종합반 과전류계전기(30)로 이루어지는 3개의 과전류계전기(10)(20)(30)로 이루어지는 경우, 부하 변동에 따라 이들의 적정 보호협조가 가능하도록 전류탭이 자동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주회로부(40)를 과전류계전기(10)(20)(30)들중 1곳을 선정하여 설치하여 기저부하군(50)에서 신호를 받을 수 있게 구성하고 부하 나머지군에 종속회로부(60)를 설치하여 부하변동에 따라 적정 보호협조가 가능하도록 전류탭이 자동 변환될 수 있게 구성한다.
여기서, 과전류계전기는 각각 부호를 10,20,30으로 표기 하였으나 전력 설비에 따라 과전류계전기의 배열은 더 증가될 수 있다. 종속회로부(60)는 카운터회로부(41)를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서, 카운터회로부(41)를 제외하고 주제어회로부(42)에 있는 소켓(47)과 연결된다.
주회로부(40)의 주요 부분은, 도 2와 같이 부하에서 전송된 부하별 동작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부하용량을 산출하는 카운터회로부(41)와, 카운터회로부(41)로 상기 부하용량을 입력받아 부하용량의 증감을 판정하여 상기 부하용량의 증감이 탭 변환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부하용량의 증감이 탭변환 범위일경우 탭변환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주제어회로부(42) 및 보조릴레이제어부(43)와, 보조릴레이제어부(43)의 동작에 의해 동작되는 주릴레이부(44)와, 주릴레이부(44)와 각 과전류계전기(10)(20)(30)로 전기적 회로를 구성시켜 주는 컨넥터(45)와, 각 컨넥터(45)와 과전류계전기(10)(20)(30)의 탭을 연결해주는 제어회로소켓(46)으로 이루어지는 탭 결선부로서, 이 구조는 기저부하군(50)의 부하용량 변화에 따라 과전류계전기들을 상하단별 보호협조가 이루어지는 적정 전류탭으로 자동 전환해 주는 구조이다.
주제어부(40)와 각 과전류계전기(10)(20)(30)를 연결하기 위한 탭 결선 구조는, 도 2와 같이 설비관리자에 의해 부하용량별로 계산하여 설정된 상하단 및 종합반 등의 보호협조 탭에 대하여 과전류계전기(10)(20)(30) 각각의 전류탭(31)에 단자(32)를 접속하여 컨넥터(33)를 연결하고, 주컨넥터(34)를 각각의 컨넥터(35)에 연결하며, 주컨넥터(34)를 제어회로 소켓(46)에 결선하고, 주회로부(40) 및 종속회로부(60)별 연결커넥터(49)를 결선하여 구성된다. 연결커넥터(49)는 도 3과 같은 원통형 커넥터로서, 양단에는 주제어회로부(42)의 소켓(47)과 접촉되는 단자핀(49a)이 있는 것을 적용하여 단자핀으로 결선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주회로부(40)는 수전단 과전류 및 지락과전류계전기군과 변압기 2차측회로부를 선정하여 설치하고 일정 기저부하군(50)에서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부하측 나머지군에 종속회로부(60)를 설치하여 부하변동에 따라적정 보호협조가 가능하도록 전류탭이 자동 변환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탭 변환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된다. 부하별 각 제어반에서 부하별 동작 입력신호를 입력신호부(70)를 통하여 가동여부 결과가 입력되면, 입력신호부(70)측과 결선된 부하인입단자대(71)를 통해 카운터회로부(41)에 입력신호가 전달되고, 카운터회로부(41)에서는 전달된 입력신호의 부하용량을 산정하여 주제어회로부(42)에 처리값을 보내면 주제어회로부(42)에서 설정자가 지정해 놓은 적정 전류탭으로 변경하기 위한 변경여부 판정이 이루어지며, 그 결과를 보조릴레이(43)를 구동하여 주릴레이(44)를 동작시킨다. 특히 주릴레이(44) 동작은 변류기 2차 회로 개방 방지와 변압기 돌입여자전류 및 대용량설비 기동시 발생하는 과도 현상이 진행동안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서도 순시 보호가 가능하도록 병렬 전류탭을 구성하도록 한다.
주단자대(48)와 과전류계전기(10)(20)(30)를 연결하기 위한 컨넥터(35) 및 주컨넥터(34)와 보조컨넥터(33)와 각 과전류계전기 탭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36)의 결손을 통하여 보호계전기 지정 전류탭(31)으로 연결되어 최종 회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탭변환 방법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력설비가 일정부하용량에서 다른 부하용량으로 용량 변동을 수반하는 경우 부하댓수별 증감을 카운터회로부를 통해 연산하는 연산단계, 카운터회로부(41)에 의한 부하댓수 연산과 부하증감을 판정하여 일정부하가 + 또는 -로 증감이 확인될 때 그 부하량이 탭 변환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주제어회로부(42)를 통해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을통해 부하량이 탭 변환 범위일 경우 기존탭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탭변환을 실행하는 탭변환 단계로 진행된다.
도 4를 참고로 탭 변환 순서나 동작을 구체적으로 보면, 일정부하 동작변화를 인지하고(S100), 카운터회로부(41)를 통해 부하댓수의 증감 상황을 검출하며(S110), 기존부하 댓수의 증감(+/-)여부를 판단하여(S120), 증가된 경우(+)이면 탭변환 범위인가에 따라(S130), 탭 변환 범위내이면 기존탭 ON상태에서 탭변경을 위한 탭 상향 릴레이를 온(ON) 시키고(S140), 연속적으로 일정시간 경과후 기존탭을 오프(OFF) 시키고 변경탭의 업(UP)을 완료함으로서 탭고정을 마친다(S150~S160).
한편 S120단계, 즉 기존부하 댓수의 증감인가에 따라 감소(-)인 경우 탭 변환범위 내인가에 따라(S170), 기존 탭 온(ON)상태에서 탭 변경을 위해 탭을 하향 시켜 릴레이를 온(ON)시키고(S180), 마찬가지로 일정시간 경과후 기존 탭은 오프(OFF)시키고 변경탭은 다운(DOWN)을 완료함으로서 탭고정을 마친다.(S190~S200)
여기서, 탭변환 범위일 경우 기존탭이 지정(ON)되어 있는 상태에서 탭변환을 실행한다. 탭변환 방향은 과전류계전기 탭의 조작 방향이 보통 업-다운 방식이므로 탭 변환 방향은 과전류계전기 탭의 조작방향으로 하는 것이 좋다.
탭변환 실행단계에서 변환시킬 탭을 먼저 접속하여 기존탭과 일정시간 병렬접속이 이루어진 후 기존탭을 해제하고 변경 탭으로 지속적으로 고정하여 과전류계전기를 운영하며, 그 설정 위치는 다음 부하변동이 있을 때 까지를 유효 설정으로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을 일정부하의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수전단부터 부하종합단까지 순차적으로 보호협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각 피더별 최적 보호협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돌입여자전류 및 대용량설비 기동전류가 발생하는 과도현상에서 상시보호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전류계전기의 오동작이나 부동작으로 인한 정전과 같은 전력계통의 이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과전류계전기의 동작영역 오차를 최소화 시켜 보호설비의 신뢰성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하용량 변화에 따라 연동되어 전류탭을 자동으로 변환시킴으로서 전류탭 변환에 따르는 조작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을 부하변동에 맞추어 세팅하기 위한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변환장치는,
    부하용량 변동에 따라 과전류 계전기의 전류탭을 변환하기 위하여 주회로부와 종속회로부가 과전류계전기군과 기저부하군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며,
    상기 주회로부는,
    부하에서 전송된 부하별 동작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부하용량을 산출하는 카운터 회로부와,
    상기 카운터회로부로부터 상기 부하용량을 입력받아 부하용량의 증감을 판정하여 상기 부하용량의 증감이 탭 변환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부하용량의 증감이 탭변환 범위일 경우 탭변환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주제어회로부 및 보조릴레이제어부와,
    상기 보조릴레이제어부의 동작에 의해 동작되는 주릴레이부와,
    상기 주릴레이부와 각 과전류계전기로 전기적 회로를 구성시켜 주는 컨넥터와,
    상기 컨넥터와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을 연결해주는 탭 결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회로부와 종속회로부는, 수전단 과전류 지락 과전류계전기와 변압기 2차측 과전류계전기, 그리고 종합반 과전류계전기로 이루어지는 3개의 과전류계전기로 이루어지는 경우, 부하 변동에 따라 이들의 적정 보호협조가 가능하도록 주회로부를 각 과전류계전기들중 1곳을 선정하여 설치하여 기저부하군에서 신호를 받을 수 있게 구성하고, 부하 나머지군에 종속회로부를 설치하여 부하변동에 따라 적정 보호협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변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와 각 과전류계전기를 연결하기 위한 탭 결선은, 과전류계전기 각각의 전류탭에 단자를 접속하여 컨넥터를 연결하고, 주컨넥터를 각각의 컨넥터에 연결하며, 주컨넥터를 주회로부와 결선하고, 주회로부 및 종속회로부별로 결선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변환장치.
  4. 부하 변동에 대한 변동용량 예측이 가능한 전력설비의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을 부하변동에 맞추어 세팅하기 위한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변환방법은,
    (1) 전력설비가 일정부하용량에서 다른 부하용량으로 용량 변동을 수반하는경우 부하댓수별 증감을 카운터회로부를 통해 연산하는 연산단계;
    (2) 상기 카운터회로부에 의한 부하댓수 연산과 부하증감을 판정하여 일정부하가 + 또는 -로 증감이 확인될 때 그 부하량이 탭 변환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주제어회로부를 통해 판단하는 판단단계;
    (3)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을 통해 부하량이 탭 변환 범위일 경우 기존탭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탭변환을 실행하는 탭 변환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변환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탭변환 판단에서 탭변환 범위일 경우 기존탭이 지정(ON)되어 있는 상태에서 탭변환을 실행하고, 탭변환 방향은 과전류계전기 탭의 조작 방향과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변환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탭변환 실행단계에서 변환시킬 탭을 먼저 접속하여 기존탭과 일정시간 병렬접속이 이루어진 후 기존탭을 해제하고 변경 탭으로 지속적으로 고정하여 과전류계전기를 운영하고 탭 설정 위치는 다음 부하변동이 있을 때 까지를 유효 설정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계전기의 전류탭 변환방법.
KR10-2001-0037254A 2001-06-27 2001-06-27 과전류계전기의 전류 탭 변환 방법 및 장치 KR100420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254A KR100420417B1 (ko) 2001-06-27 2001-06-27 과전류계전기의 전류 탭 변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254A KR100420417B1 (ko) 2001-06-27 2001-06-27 과전류계전기의 전류 탭 변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978A KR20030000978A (ko) 2003-01-06
KR100420417B1 true KR100420417B1 (ko) 2004-03-04

Family

ID=2771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7254A KR100420417B1 (ko) 2001-06-27 2001-06-27 과전류계전기의 전류 탭 변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197B1 (ko) * 2002-11-25 2005-08-05 학교법인 명지학원 보호협조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과전류 계전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7834A (en) * 1977-12-26 1979-07-12 Fuji Electric Co Ltd Protective device for on-load tap changer
JPS54140150A (en) * 1978-04-21 1979-10-31 Hitachi Ltd Tap setting system for digital protective relaying equipment
US5309312A (en) * 1989-09-29 1994-05-03 Basler Electric Company Overcurrent protection relay with communications
JPH08149683A (ja) * 1994-11-21 1996-06-07 Meidensha Corp 誘導形過電流保護継電器
KR980005154U (ko) * 1996-06-12 1998-03-30 신익룡 입력전압 변화에 따른 트랜스포머 1차측 단자 자동 전환장치
KR19980054567U (ko)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전원 트랜스의 전원 선택장치
KR20000003040U (ko) * 1998-07-15 2000-02-15 이종수 전자식 과부하 방지 계전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7834A (en) * 1977-12-26 1979-07-12 Fuji Electric Co Ltd Protective device for on-load tap changer
JPS54140150A (en) * 1978-04-21 1979-10-31 Hitachi Ltd Tap setting system for digital protective relaying equipment
US5309312A (en) * 1989-09-29 1994-05-03 Basler Electric Company Overcurrent protection relay with communications
JPH08149683A (ja) * 1994-11-21 1996-06-07 Meidensha Corp 誘導形過電流保護継電器
KR980005154U (ko) * 1996-06-12 1998-03-30 신익룡 입력전압 변화에 따른 트랜스포머 1차측 단자 자동 전환장치
KR19980054567U (ko)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전원 트랜스의 전원 선택장치
KR20000003040U (ko) * 1998-07-15 2000-02-15 이종수 전자식 과부하 방지 계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978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6433B2 (en) Multi-output device with preset power supply priority
AU2008213827B2 (en) Fuse saving power distribution system fault protection
CN101562325B (zh) 具有分开的限制和无限制区域选择性互锁设置能力的断路器
US8390973B2 (en) Circuit breaker zone selective interlock for differentiated faults and method of operation
KR20200125997A (ko) 상변화 타입 3상 전류 불균형 자동 조절 장치
WO2010017041A2 (en) Autoloop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EP1309059B1 (en) Automatic voltage source selector for circuit breakers utilizing electronics
JPH0993784A (ja) 節電及び過負荷回避装置とそれを用いた節電及び過負荷回避方法
KR100420417B1 (ko) 과전류계전기의 전류 탭 변환 방법 및 장치
RU2377630C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с элементами защиты и резервирования (варианты)
CZ31668U1 (cs) Systém řízení výkonu a jištění zátěží v ostrovních sítích s různými zátěžemi a ostrovnísíť s tímto systémem
CN115280171A (zh) 保护开关装置和方法
JPS58157378A (ja) 電動機の始動制御方法
JP2006094635A (ja) 低圧配電系統の潮流制御方法
Thompson et al. Innovative power flow regulating tap-changer control installed on multiple phase-shifting transformers
JPH04364329A (ja) 分電盤
CN211701092U (zh) 风机供电电路
JP4063224B2 (ja) 過電流保護システム
KR20090109508A (ko) 회로 차단기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Lowsley et al. Automatic low voltage intellegent networks (ALVIN)
CN116914684A (zh) 一种整流变压器低电压保护整定的装置及其方法
CN118020126A (zh) 保护开关设备
JPH08130826A (ja) 接続器
CZ2017546A3 (cs) Způsob řízení výkonu a jištění zátěží v ostrovních sítích s různými zátěžemi
Mennell Protection of LV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