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305B1 - 분말금속제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말금속제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305B1
KR100420305B1 KR10-2001-0026967A KR20010026967A KR100420305B1 KR 100420305 B1 KR100420305 B1 KR 100420305B1 KR 20010026967 A KR20010026967 A KR 20010026967A KR 100420305 B1 KR100420305 B1 KR 100420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iron
mns
metal product
granu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7582A (ko
Inventor
마사아키 사토
히로노리 스즈키
노부아키 아카기
신야 가와이
미카엘이 루터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010107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2Making 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33/0207Using a mixture of prealloyed powders or a master alloy
    • C22C33/0221Using a mixture of prealloyed powders or a master alloy comprising S or a sulfur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2Making 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33/0207Using a mixture of prealloyed powders or a master alloy
    • C22C33/0228Using a mixture of prealloyed powders or a master alloy comprising other non-metallic compounds or more than 5% of graph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분말금속제품은 철 분말을 포함하는 구성물로 이루어지고, 이 철 분말은 철과립에서 기계가공성 향상요소를 갖는 철과립을 포함하며, 이 기계가공성 향상요소는 분말금속제품의 기계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피닝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기계가공성 향상요소의 량(Q)은 미분계수(dS/dQ)의 절대치가 미리 지정된 값 이상이 되도록 조정되며, 여기에서 (S)는 분말금속제품에서의 과립크기로 되는 분말금속제품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말금속제품 및 그 제조방법{Powder Metallurgy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말금속제품(powder metallurgy product)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분말금속에 있어서는, 여러 종류의 분말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이 혼합분말을 일정압력으로 소정의 형태로 성형하고, 다음 최종금속제품으로 소결하는 형태를 취하여 왔다.
이 들 분말금속제품이 가진 한 가지의 장점으로서는, 기계가공작업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인데, 그 이유는 분말금속제품 그 자체가 실질적으로 기계가공작업 없이도 다이스에서 만들어지는 최종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금속제품의 경우 보다 높은 정밀도와 보다 복잡한 형상을 요구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보면 분말금속제품조차도 일부 기계가공을 필요로 할 정도이긴 하나, 대체적으로 분말금속제품은 기계가공을 심히 요구하지는 않는다.
일본 특허공고 56-45964호(이하 " ’964공고"라 함)에서는 양호한 기계가공성을 가진 강철분말을 개시하고 있다. 이 출원의 내용은 그 요지전체가 여기에 참고문헌으로 소개되어 있다.
’964공고의 내용을 보면, 강철분말은 0.15∼0.5중량(wt.)%의 유황(S)분을 함유하고, Mn/S 바란스보다 큰 Mn량을 0.3중량%정도 함유하고 있음이 나타나 있다 . Mn은 S와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MnS는 Mn이 S와 결합하면 그 후에는 쉽게 산화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분말금속제품은 열등한 기계강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분말금속제품이 다공질의 것이라는 점과, 또한 분말금속제품은 일정압력과 소결작업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로강도를 거의 악화시키지 않고도 기계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분말금속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양태를 보면, 분말금속제품은 철분을 함유하는 성분구성으로 부터 제조한다는 것이다. 이 철분에는 철과립을 포함하는데, 철과립(iron grains)에서는 기계가공성 향상요소(machinability improving element)를 갖는 철과립을 포함한다. 이 기계가공성 향상요소는 분말금속제품의 기계가공성을 향상시키도록 배치되며, 전위(轉位)의 근방에 불순물이 집적되어 전위의 운동을 방해하는 소위 피닝효과(pinning effect)를 가지게 한다. 기계가공성 향상 엘레멘트의 량 (Q)은 미분계수(dS/dQ)의 절대값이 적어도 미리 지정된 값이 되도록 조정하여 주는데 , 여기에서 (S)는 분말금속제품에서의 철분 입도 크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분말금속제품의 제조방법에는 철 분말의 철분 과립에 기계가공성 향상요소(machinability improving element)를 가하는 공정이 포함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철과립에 기계가공성 향상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 일정압력하에 철 분말을 예비제품으로 성형하고 ; 다음 이 예비제품을 소결한다. 이 기계가공성 향상요소는 분말금속제품의 기계가공성을 향상하는데 기여하고 이는 피닝효과(pinning effect)를 가진다. 상기 요소를 향상케 하는 기계가공성의 량(Q)은 미분계수(dS/dQ)의 절대치가 적어도 미리 지정된 값으로 조정되며 , 여기에서(S)는 분말금속제품에서의 철과립 크기(grain size of iron)를 뜻한다.
본 발명을 보다 완전히 파악하고 그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의 상세설명, 특히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400MS-A급 분말의 입자(P)의 확대횡단면도이다.
제 2 도는 기계가공성, 피로강도, 또는 철과립 크기(iron grain size) 및 철과립에 함유되어 있는 MnS의 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최량의 형태로서의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분말금속에서, 몇 가지 요소(elements)를 철 분말에 가하고 혼합한 후에, 이 혼합분말을 소정의 형상을 가진 예비제품으로 일정압력으로 성형한 다음, 예비제품을 최종금속제품이 되도록 소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분말금속제품의 기계가공성 향상을 위한 기계가공성 향상요소(machinability improving element)는 분말금속제품의 기계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철 분말 입자에 실질적으로 균일히 포함된다. 기계가공성 향상요소로서, 예컨데 기계가공성 향상효과와 피닝효과를 가진 요소(element)가 이용된다. 또한, 기계가공성 향상요소는, 예컨데, 금속적으로 석출된 재료(함입 : inclusion)또는 철보다 용융점이 높은 재료이다. Al, Si, Mg, Mn 또는 Ca의 산화물이 그것인데 예를 들면 CaO, SiO2로 사용되든가,2CaO-Al2O3-SiO2의 형태로 사용된다. 또한, MnS, BN등과 같이 사용되기도 한다. 철보다 더 높은 용융점을 가진 세라믹분말이 사용되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MnS가 사용되었다. MnS외에도, 분말금속제품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요소, 예컨데 철 입자에 Ni 또는 Mo등이 함유된 것이 사용되기도 한다. Ni이나 Mo은 단순히 철 분말에 혼합하여 사용하고, 또한, Ni이나 Mo을 철 입자와 확산접착(diffusion bonding)으로 결합케 하기도 한다.
먼저, 이 들 3가지 분말금속제품의 시편 A, B, C와 피로강도와 기계가공성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시편 A : 기초재료(모재)는 순철분이고, MnS가 철분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
시편 B : 기초재료는 순철분이고, MnS를 철분에 가하여 혼합함.
시편 C : 기초재료는 예비합금처리된 철 분말로서 철분내에 MnS를 함유함.
표 1
* MnS는 예비합금처리된 철 분말의 철분입자에 함유되어 있음
표 2
* Mn과 S의 일부는 약 0.7중량%정도의 MnS로 존재함
표 1 은 세가지 시편 A, B 및 C의 특정성분중량%를 나타낸 것이다. 표 2 는 순철(pure iron) 및 예비합금처리된 철(pre-alloyed iron)의 특정성분중량%를 나타낸 것이다. 순철분말의 예로서는 고베스틸 리미티드사의 300M급 소재가 있고, 예비합금처리된 철 분말의 예로서는 역시 고베스틸 리미티드사의 400MS-A급 소재를 들 수 있다. 이 400MS-A급 분말은 각 분말입자내에 균일히 MnS입자를 포함하는데, 예비합금처리된 철의 제조방법에서는, Mn과 S가 종래의 용융 및 정련공정중 용융강에 투입된다. 다음, 철 분말을 종래공정으로 제조한다.
제 1 도는 400MS-A급 분말의 하나의 입자(P)를 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 입자(P)는 그 결정립계를 관측할 수 있도록 나이탈(nital)로 엣칭시킨 것이다. MnS입자는 철 입자 전체에 걸쳐 골고루 분산석출되어 있다. 이 철 분말에는 상당량의 철 입자가 있다. 예비합금처리된 철 분말에는 제 1 도를 보면, 하나의 철분입자 (iron particle : P)가 다수의 철과립(iron grains), 즉 알갱이(g)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점으로 나타낸 MnS는 실질적으로 철분과립(g)에 균일하게 석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리분말은 150메쉬(105㎛)로 스크린처리되고, 그 90%는 200메쉬(75㎛)를 통해 빠져나간다. 흑연(Gr)분말은 9.1㎛의 D50, 20.9㎛의 D90을 갖는다. 윤활제(Lub)는 순수왁스급(pure wax grade)으로 부터 선정된다. MnS분말은 8.5㎛의 D50, 32.4㎛의 D90을 갖는다. 이 혼합물은 대표적인 Fe-Cu-C성분이다. 이 혼합물 B는 MnS분말을 포함하는데, 이 분말은 철 분말에 간단히 혼합하여 만든다. 이 혼합물 A는 MnS를 갖지 않는다. 혼합물 C는 철과립(iron grains) MnS입자(particle)를 가진다.
모든 혼합물 A, B, C는 588MPa로 단위축수압(uni-axis hydraulic press)을 이용하여 90㎜외경, 45㎜높이를 가진 시제품으로 성형하였다. 이 시제품의 밀도는 각각 7.04Mg/㎥(시편 A)이었고, 7.02Mg/㎥(시편 B) 및 6.96Mg/㎥(시편 C)이었다. 이 들 시제품은 순 질소분위기 하에서 미는형 소결기(pusher type sintering furnace)내에서 40분간 1140℃(2084℉)의 온도로 소결하였다. 소결밀도는 각각 6.98Mg/㎥(시편 A), 6.96Mg/㎥(시편 B), 6.86Mg/㎥(시편 C)였다.
단조를 위해 이 들 시편들을 예열함에 앞서, 흑연윤활제를 소결재료와 단조다이벽(forging die wall) 사이의 마찰을 줄이고 산화(또는 탄화)를 줄이기 위하여 소결재료의 표면에 도포하였다. 이 소결된 재료는 단조를 위해 예열로 30분간 1050℃(1922℉)에서 예열하였다. 단조는 1600톤 기계단조프레스를 이용하여 980MPa의 압력으로 수행하였다.
(1) 피로강도
일본공업표준 1974년도 JIS Z 2274에 규정되어 있는 1 타입 회전굴곡 피로 (1 type rotating bending fatigue)시편을 피로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준비하였다. 이 JIS Z 2274의 내용에는 시험방법 모든 것이 들어 있다. 오노 회전굴곡 피로시험방법으로 피로강도를 측정하였다. 회전속도는 3,600rpm 이었다. 피로한계는 107사이클로 정하였다.
(2) 기계가공성
기계가공성은 스러스트력(thrust force), 즉 드릴가공중의 항 절단력 (cutting resistance during drilling)으로 정하였다. 따라서 스러스트력의 감소는 기계가공성의 향상을 뜻한다. 드릴가공조건은 다음과 같다.
드릴 : 5㎜경을 가진 고속도강 드릴(drill)
속도 : 800rpm
드릴가공 구멍의 깊이 : 100㎜
공급속도 : 0.05㎜/회전
윤활제 : 윤활제사용 없음
표 3
시편 B에서 표 3 을 참조하면, 스러스트력은 시편 A의 그것에 비하여 19kgf까지 감소된다. 소위, 기계가공성이 그 만큼 향상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피로강도는 10N/㎟ 만큼 감소된다. 즉, MnS와 철 분말의 단순한 혼합물이 기계가공성을 향상시키나 피로강도는 더 떨어지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반면, 시편 C에서는, 시편 A에 비하여 스러스트력을 34.2kgf만큼 줄여주면서도 시편 A에 비해 피로강도는 같게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말하자면, 철과립에 MnS를 함유하는 예비합금처리된 철 분말은 기계강도를 실질적으로 악화시키지 않고도 기계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시편 C에서, 피로강도가 왜 열화하지 않는가에 대한 이유는 다수의 철과립이 서로 다른 예컨데 취약한 요소, 즉 MnS등과 견고히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철 입자가 철 립계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론으로는 결코 설명될 수 없다. 철 입자내에 MnS 0.7중량%를 함유하는 예비합금처리된 철 분말로 부터 성형되는 분말금속제품이 순철분(pure iron powder)로 부터 성형되는 분말금속제품(시편 A)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강도를 갖는다고 가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분말금속제품의 철과립의 크기에 주목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1977년도 일본공업규격 JIS G 0552의 "강의 페라이트 과립크기 시험방법"에 따라 시편 A, C의 분말금속제품의 과립크기를 측정하였다. 이 JIS G 0552(1997년)에 따르면 과립크기 (grain size)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있다.
(1)과립크기(Grain size)과립크기는 강의 페라이트 결정립의 크기로서 과
립크기번호(grain size number)로 표시된다.
(2)과립크기번호과립크기번호는 과립크기 결정후 다음의 (a)방법 또는 (b)방법중 어느 하나로 표시한다.
(a)비교법으로 측정하여 표 4 에 따라 과립크기번호(grain size number)의 표시를 한다.
표 4 과립크기번호(Grain Size Number)
(b)간섭방법(intercept method)으로 측정함에 있어, 다음 공식은 과립크기번호의 표시에 적용된다.
과립크기번호는 제 십진법으로 환산하였다.
여기에서 N : 과립크기번호
n : 100배 크기 현미경으로 보았을 때의 여기에 나타난 25㎟의 면
적에 존재하는 과립수
M : 현미경크기 배수
L1(또는 L2) : 서로 직교하는 세그먼트의 선길이의 총 길이(㎜)
l1(또는 l2) : L1(또는 L2)으로 간섭된 결정립의 총 수
JIS G 0552(1977)의 내용은 참조하여 여기에 적용하였다. 1㎟당 결정립수 (crystal grains)는 과립크기번호의 크기와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과립크기 (grain size)는 과립크기번호(grain size number)가 커지면 감소된다.
표 5
표 5 를 보면, 시편 C에서, 즉 철과립(iron grains)에 MnS를 함유하는 예비합금처리된 철 분말로 부터 성형되는 분말금속제품에 있어, 과립크기는 시편 A 즉, 순철분으로 부터 성형되는 분말금속제품의 그것보다 더 작다. 시편 C에서의 분말금속제품의 금속학적 도표를 보면, 많은 MnS입자가 철의 결정립계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MnS입자는 피닝포인트(pinning point)들과 같이 작용하여 철과립의 성장을 억제하게 된다.
표 6
기계가공성 또는 피로강도와 측정결과 서로 다른 MnS량(중량%)을 함유하는 철 분말금속제품의 과립크기 사이의 관계에 대해 연구한 바, 비교예 1 의 기초재료 (또는 모재)는 표 2 에서와 같이 순철분이었고, 실시예 1-6 및 비교예 2-8은 MnS량을 제외하고는 표 2 에서 나타나 있는 바의 예비합금처리된 철 분말이었다. 각 실시예 1-6 및 비교예 1-8에서, Cu 2.00중량%, Gr 0.60중량% 및 윤활제 0.75중량%가 기초재료에 가해졌다. 다른 조건들은 전술한 시험조건과 동일하였다.
제 2 도 및 표 6 을 참조하면, 철과립내에 함유되어 있는 MnS의 량이 증가할수록 항절단력(cutting resistance force)을 뜻하는 스러스트력(thrust force)은 감소된다. 다시 말하면, 기계가공성은 철 입자내에 석출되어 있는 MnS의 량이 증가하면 향상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피로강도는 철과립내에 함유되는 MnS의 량이 증가하면 감소된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자들은 예컨데 MnS와 같은 기계가공성 향상요소는 피닝효과를 나타내고, 분말금속제품에서의 철과립의 성장을 억제하며, 이는 MnS입자가 피닝효과를 가져오는 작용하는데 기인하는 것임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MnS의 제한적인 량 범위내에서, 피로강도를 거의 열화시키지 않고도 기계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분말금속제품을 얻을 수 있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기계가공성은 철 분말이 적어도 약 0.1%(중량%)이상의 MnS를 함유할 경우, 실질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피로강도는 철 분말이 최대 약 1.4(중량%)의 MnS까지는 이를 함유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열화되지 않음도 알 수 있다. 따라서, 철 분말이 MnS를 약 0.1%(중량%)이상 약 1.4%(중량%)이하로 함유하면, 기계가공성이 향상된 분말금속제품을 피로강도를 실질적으로 열화시키지 않고도 얻을 수 있고, 특히 철 분말이 함유하는 MnS는 약 0.1중량%∼약 1.0중량%의 범위로 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분말금속제품의 피로강도가 분말금속제품의 과립크기가 줄어들면 향상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피로강도는 MnS량의 증가에 따른 철과립크기의 감소에 의한 강화효과와 MnS량의 증가에 따른 약화효과(weakening effect) 사이의 균형이 어느 쪽으로 기우느냐에 따라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S)가 철과립의 과립크기이고 (Q)가 MnS량으로 되는 피로강도 지수로서의 미분계수 (dS/dQ)를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이 하여, 이 미분계수(dS/dQ)의 절대치는 적어도 소정의 값으로 미리 정한다.
예를 들면, 과립크기를 1977년도 JIS G 0552 "강의 페라이트 과립크기 시험방법"에 따라 과립번호라 정의할 때, 그 미리 지정된 값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표 7
표 7 은 MnS의 량(Q)와 dS/dQ 값과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dS/dQ 값은 제 2 도에서와 같이 MnS량(Q)과 과립크기번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서의 기능에 기하여 계산된다.
표 5, 표 7 를 보면, 미분계수(dS/dQ)는 MnS가 2.0%중량(%)일 때 거의 0에 가깝고, 이 미분계수(dS/dQ)가 약 0.2 이상이면, 철과립의 성장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가급적, 미분계수(dS/dQ)는 약 0.2 이상이 된다.
또한, 철 분말에서 철과립이 JIS G 0552(1977)의 "강의 페라이트 과립크기 시험방법"에 따라 약 6.5∼7.6의 과립크기를 가지면, 실질적으로 피로강도를 열화시키지 않고도 향상된 기계가공성을 가지는 분말금속제품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단조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즉, 표 1 에서의 시편 A, B, 표 6에서의 실시예 5에 관해, 피로강도를 단조 전·후로 측정하였다.
표 8
표 8 은 단조 전·후의 각 시편의 피로강도를 나타낸다. 표 8 을 참조하면, 시편 B에서, 단조의 수행에 따라 피로강도향상은 시편중에서 가장 작다. 시편 B에서는, MnS입자는 철 입자의 계면에 존재한다. 따라서, 이 들 MnS 입자는 단조를 수행하므로써 피로강도의 향상을 억제한다. 그 반면, 실시예 5 에서, 피로강도의 향상은 단조를 행하므로써 이 들 시편중 최고에 이르게 된다. 시편 C에서, 철과립에서의 MnS입자는 철과립의 성장을 억제한다. 따라서, 단조를 수행하므로써 피로강도의 향상이 증가된다. 따라서, 피로강도는 단조에 의해 예비합금처리된 철 분말로 부터 분말금속제품을 단조하므로써 더욱 증가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계가공성은 피로강도의 실질적 열화없이도 향상된다.
분명한 것은, 본 발명의 여러가지 변경이나 수정은 상술한 바에 비추어 본다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에 따라, 여기에 특정적으로 기술한 바 외에도 실시할 수가 있을 것이나, 이는 당연히 본 발명에 속한다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분말금속제품의 구성물은 철과립에 기계가공성 향상요소를 포함하도록 하고, 철과립크기와 MnS의 함유량 사이의 관계를 미분식으로 정립케 하므로서 철과립의 성장을 효율적으로 조정하므로써 실질적으로 피로강도를 열화시키지 않고도 향상된 기계가공성을 가질 수 있는 분말금속제품을 얻을 수가 있게 되었다.

Claims (23)

  1. 구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분말금속제품에 있어서, 그 구성물은 철과립에 유화망간(MnS)을 포함하는 철과립(iron grain) 함유 철 분말(iron powder)로 이루어지고, 이 유화망간은 분말금속제품의 기계가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되고, 피닝효과(pinning effect)를 가지며, 이 유화망간의 량(Q)은 미분계수(dS/dQ)의 절대치가 미리 0.2 이상이 되도록 조정되며, 여기에서 (Q)는 상기 MnS 의 조정량, (S)는 분말금속제품에서의 철분입자크기로 되어 미분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금속제품(A powder metallurgy product)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 분말은 0.1중량%∼1.4중량%의 MnS를 함유하는 분말금속제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철 분말은 특히 0.1중량%∼1.0중량%의 MnS를 함유하는 분말금속제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금속제품에서의 철과립은 1977 일본공업표준규격 JIS G 0552의 "강의 페라이트 과립크기 시험방법"에 따라 크기측정되어 6.5∼7.6의 과립크기번호를 가지게 되는 분말금속제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금속제품에서의 철과립은 1977 일본공업표준규격 JIS G 0552의 "강의 페라이트 과립크기 시험방법"에 따라 6.5∼7.5의 과립크기번호를 가지게 되는 분말금속제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계수(dS/dQ)의 절대치는 0.2 이상이고, 여기에서 과립크기는 1977 일본공업표준규격 JIS G 0552의 "강의 페라이트 과립크기 시험방법"에 따라 과립크기번호로 표시되는 분말금속제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물(constituent)은 일정압력하에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후에 단조되는 분말금속제품
  9. 분말금속제품의 제조방법은, 철 분말의 철분과립에 유화망간(MnS)을 가하여 철분과립에 기계가공성 향상요소를 함유하도록 하고, 이 유화망간(MnS)은 분말금속제품의 기계가공성을 향상하도록 형성되고, 피닝효과(pinning effect)를 가지게 하며, 이 MnS 의 량(Q)은 분말금속제품의 철분과립크기(S)와의 관계에서 정립된 그 미분계수(dS/dQ)의 절대치가 미리 정해진 값 0.2 이상으로 되도록 조정되는 단계와 ;
    상기 철 분말을 일정압력하에 예비합금처리제품(pre-product)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
    상기 예비제품을 소결(sintering)하는 단계로 구성되도록 한 분말금속제품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소결된 상기 예비제품을 단조하여서 되는 단계가 구성되도록 한 분말금속제품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powder metallurgy product)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MnS는 기계가공성 향상요소로서 첨가되도록 한 분말금속제품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철 분말은 0.1∼1.4중량%의 MnS를 함유하도록 한 분말금속제품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철 분말은 특히 0.1∼1.0중량%의 MnS를 함유하도록 한 분말금속제품의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금속제품에서의 철과립은 1977년도 일본공업표준규격 JIS G 0552의 "강의 페라이트 과립크기 시험방법"에 따라 그 과립크기가 6.5∼7.6으로 분포되도록 한 분말금속제품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금속제품에서의 철과립은 1977년도 일본공업표준규격 JIS G 0552의 "강의 페라이트 과립크기 시험방법"에 따라 그 과립크기가 6.5∼7.5으로 분포되도록 한 분말금속제품의 제조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계수(dS/dQ)의 절대치는 그 과립크기가 1977 일본공업표준규격 JIS G 0552의 "강의 페라이트 과립크기 시험방법"에 따른 그 과립크기로 나타나도록 할 때 0.2 이상으로 되는 분말금속제품의 제조방법
  17. 구성물로 이루어지는 분말금속제품은, 그 구성물이 철과립에 0.1∼1.4
    중량%의 MnS를 함유하는 철과립 함유 철 분말로 되는 분말금속제품(A powder metallurgy product)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철 분말은 특히 0.1∼1.0중량%의 MnS를 함유하는 분말금속제품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1-0026967A 2000-05-26 2001-05-17 분말금속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420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80,926 2000-05-26
US09/580,926 US6264718B1 (en) 2000-05-26 2000-05-26 Powder metallurgy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582A KR20010107582A (ko) 2001-12-07
KR100420305B1 true KR100420305B1 (ko) 2004-03-04

Family

ID=2432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967A KR100420305B1 (ko) 2000-05-26 2001-05-17 분말금속제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64718B1 (ko)
JP (1) JP2002003980A (ko)
KR (1) KR100420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1083B1 (en) * 2000-11-09 2002-05-21 Kobeico Metal Powder Of America, Inc. Mixture for powder metallurgy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030033904A1 (en) * 2001-07-31 2003-02-20 Edmond Ilia Forged article with prealloyed powder
KR101111151B1 (ko) * 2003-03-10 2012-04-12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야멧트 피삭성이 뛰어난 철기소결합금
US7300489B2 (en) * 2004-06-10 2007-11-27 Hoeganaes Corporation Powder metallurgical compositions and parts made therefrom
US20060086204A1 (en) * 2004-10-18 2006-04-27 Edmond Ilia Impact of copper and carbon on mechanical properties of iron-carbon-copper alloys for powder metal forging applications
JP2006233771A (ja) * 2005-02-22 2006-09-07 Mitsubishi Materials Pmg Corp ポンプロータ
JP4839275B2 (ja) * 2007-07-13 2011-12-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粉末冶金用混合粉末および鉄粉焼結体
JP5260913B2 (ja) * 2007-08-03 2013-08-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粉末冶金用鉄系混合粉末および鉄粉焼結体
CN101918162B (zh) * 2008-01-04 2014-11-12 Gkn烧结金属有限公司 预合金铜粉锻造的连接杆
JP5552032B2 (ja) 2010-11-22 2014-07-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粉末冶金用混合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051671A1 (ja) * 2016-02-08 2017-03-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鉄基焼結体
JP6392797B2 (ja) * 2016-02-08 2018-09-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粉末冶金用鉄系粉末、及び粉末冶金用鉄系粉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07139D0 (en) * 1992-04-01 1992-05-13 Brico Eng Sintered materials
SE9201678D0 (sv) * 1992-05-27 1992-05-27 Hoeganaes Ab Pulverkkomposition foer tillsats i jaernbaserade pulverblandningar
US5571305A (en) * 1993-09-01 1996-11-05 Kawasaki Steel Corporation Atomized steel powder excellent machinability and sintered steel manufactured therefrom
US5501728A (en) * 1994-07-22 1996-03-26 Brake Pro, Inc. Friction material
JP3469347B2 (ja) * 1995-03-24 2003-1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被削性に優れた焼結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3862392B2 (ja) * 1997-02-25 2006-12-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粉末冶金用鉄基混合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582A (ko) 2001-12-07
US6264718B1 (en) 2001-07-24
JP2002003980A (ja)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734B1 (ko) 철기 혼합 분말 그리고 철기 분말 성형체 및 철기 분말 소결체의 제조 방법
US20190177820A1 (en) Method of producing a diffusion alloyed iron or iron-based powder, a diffusion alloyed powder, a composition including the diffusion alloyed powder, and a compacted and sintered part produced from the composition
TWI392747B (zh) Iron powder for powder metallurgy and powder sintered body
KR102014620B1 (ko) 분말 야금용 합금강분 및 소결체
EP1619263B1 (en) Sintered valve gui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300490B2 (en) Iron-based mixed powder for powder metallurgy and sintered body
KR100420305B1 (ko) 분말금속제품 및 그 제조방법
US6391083B1 (en) Mixture for powder metallurgy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SE533866C2 (sv) Höghållfast järnpulversammansättning samt sintrad detalj tillverkad därav
JP3449110B2 (ja) 粉末冶金用鉄系混合粉末およびこれを用いた焼結体の製法
JP5504963B2 (ja) 粉末冶金用混合粉および切削性に優れた金属粉末製焼結体
US6648941B2 (en) Iron-based mixed powder for powder metallurgy and iron-based sintered compact
JP4640162B2 (ja) 粉末冶金用鉄基混合粉および鉄基焼結体
SE528421C2 (sv) Stålpulver legerat med molybden för pulvermetallurgi
JP4121383B2 (ja) 寸法精度、強度および摺動特性に優れた鉄基燒結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37126B2 (ja) 快削性鉄系焼結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819403A (ja) 鋳鉄組織を有する焼結材料の製造法
JP3336949B2 (ja) 鉄基焼結合金製シンクロナイザーリング
CA3089506A1 (en) Mixed powder for powder metallurgy
JP2007211329A (ja) 粉末冶金用鉄基混合粉
CN112449655A (zh) 拉延模具
JPH0835044A (ja) 被研削性に優れた焼結超硬質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