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860B1 -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860B1
KR100419860B1 KR10-2001-0032918A KR20010032918A KR100419860B1 KR 100419860 B1 KR100419860 B1 KR 100419860B1 KR 20010032918 A KR20010032918 A KR 20010032918A KR 100419860 B1 KR100419860 B1 KR 100419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neutralizing agent
toluene diisocyanate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4606A (ko
Inventor
김종수
김병철
Original Assignee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860B1/ko
Publication of KR2002009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착제로 활성백토 대신 표면특성에 기인하여 활성반응 특성을 보이는 초미분실리카를 사용하여 중화제를 제조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활성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단시간 내에 활성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불활성 우레아로 전환시켜 반응을 종결시키는 중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A neutralizer composition of toluenediisocyanate}
본 발명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착제로 활성백토 대신 표면특성에 기인하여 활성반응 특성을 보이는 초미분실리카를 사용하여 중화제를 제조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활성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단시간 내에 활성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불활성 우레아로 전환시켜 반응을 종결시키는 중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주로 폴리우레탄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는 가장 범용으로 사용되며 폼, 탄성체, 페인트, 바닥재 및 합성피혁 등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는 취급시 많은 이소시아네이트 폐기물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폐기물은 폐기물의 양과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한다. 먼저, 폐폴리올과의 반응을 통해 용기에 담긴 폐이소시아네이트를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폐이소시아네이트의 소각에 의한 처리방법도 있으며, 중화제에 의해 폐이소시아네이트를 처리하는 방법도 있다. 이 중 중화제에 의해 폐이소시아네이트를 처리하는 경우 작업자들은 방독면, 고무장화 등과 같은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중화용액을 제조하여 오염된 부분에 뿌려 우레아 반응을 시킨 다음, 약 24시간정도 방치후 반응물(우레아)을 처리한다. 그러나, 이의 경우 미반응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를 흡입하게 되면 호흡기(코, 목구멍, 폐)의 점막을 심하게 자극할 수 있으며,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의 증기에 폭로되면 호흡곤란, 가슴답답함 그리고 심폐기능의 저하가 일어난다. 그러므로 중화제를 사용하여 폐이소시아네이트를 처리하는 작업자들은 각별한 주의를 하여야만 하고, 또한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누출이 발생하면 이의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I.I.I.(International Isocyanate Institute)에서는 흡착제(Oil-dri) 30 중량부, 백토(Fuller's earth) 30 중량부, 30% 암모니아 25 중량부, 이소프로판올 15중량부로 구성된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중화제를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상기 중화제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중화에는 효과적이지만, 이소프로판올의 인화성이 높아 화재발생 가능성이 있는 곳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NOHSC(National Occupational Health Safety Commission)에서는 물 90 중량부, 비이온계면활성제 2 중량부, 농축 암모니아 8 중량부로 구성된 활성용액 40중량부, 백토(Fuller's earth) 40 중량부, 톱밥 20 중량부로 구성된 중화제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생산업체들은 물과 암모니아와 같은 염기성 물질로 구성되는 활성용액과 활성백토, 톱밥 등으로 구성되는 중화제들을 추천하고 있으나, 상기 중화제들은 중화반응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누출시 오염지역을 빠른 시간 내에 중화시켜 환경오염 및 작업자들의 건강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에서 초미분실리카가 흡착제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중화제의 활성용액과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여 짧은 시간 내에 활성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불활성 우레아로 전환시키는 것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화반응시간이 빠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2에 따른 중화제 조성물과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30분 후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중화제 조성물과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시간에 따른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활성용액과 흡착제로 이루어진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암모니아용액, 트리에탄올아민, 에탄올 및 물로 구성된 활성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초미분실리카가 3 ∼ 50 중량부 포함된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으로 사용되는 초미분실리카는 흡착제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중화제의 활성용액과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초미분실리카는 합성실리카로서 결정구조는 무정형이며, 분말의 입도가 2 ∼ 20 μm인 다공성의 실리카 분말로써, 각 분말입자의 다공성, 입자표면의 실라놀기(silanol group) 및 표면의 물분자, 분말입자의 입도 등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진다. 초미분실리카의 다공성은 제조공정 중 숙성공정에서 대부분 결정되며, 표면의 실라놀기의 농도는 수세공정, 건조공정, 표면처리공정에서 결정되고, 입도는 분쇄공정에서 조절되므로 원하는 특성을 갖는 초미분실리카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초미분실리카 중 본 발명에 사용된 초미분실리카는 평균입도가 2.5 ∼ 15 μ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5 μm이고, 비표면적이 300 ∼ 900 m3/g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 400 m3/g이 좋다. 만일 초미분실리카의 평균입도가 2.5 μm 미만이면 우레아 반응물이 바람에 날려 처리하는데 문제가 있으며, 15 μm를 초과하면 우레아 반응물이 덩어리져 간단하게 처리하기 어렵다. 그리고, 비표면적이 300 m3/g 미만이면 표면특성을 나타내기 어렵고, 900 m3/g를 초과하면 활성용액이 초미분실리카에 과량 흡수되어 활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초미분실리카는 활성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 5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3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좋다. 만일 그 함유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중화시간이 길어지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활성용액이 굳어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하기 어렵다.
초미분실리카는 동양제철화학(주)의 ML-369, ML-381, ML-384, ML-385, ML-386, ML-388, ML-389, ML-686, ML728, ML-839,ML-562, ML-812 중에서 선택된 것을 단독 또는 2 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활성용액은 종래 중화제 조성물로서 에틸알코올, 트리에탄올아민, 암모니아용액 및 물로 이루어져 있다[MDI TDI: Safety, Health and the Environment, John Wiley Sons, ltd, pp 40∼47; TDI Transportation Guidelines, Allience for the Polyurethanes Industry(API), p. 8].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중화제 조성물은 다른 흡착제인 톱밥을 활성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 60 중량부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톱밥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우레아 반응물이 바람에 날리거나, 덩어리져 처리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중화제 조성물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단시간 내에 활성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불활성 우레아로 전환시켜 반응을 종결시킴으로써,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누출시 오염지역을 빠른 시간 내에 중화시켜 환경오염 및 작업자들의 건강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알코올 50.29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9.83 중량부, 농축암모니아용액 9.83 중량부 및 물 30.05 중량부로 이루어진 활성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초미분실리카카(MICLOID-362, 동양제철화학(주)제품, 평균입도 10 μm, 비표면적 300 m3/g)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알코올 50.29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9.83 중량부, 농축암모니아용액 9.83 중량부 및 물 30.05 중량부로 이루어진 활성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초미분실리카(MICLOID-386, 동양제철화학(주)제품, 평균입도 3 μm, 비표면적 300 m3/g) 30.0 중량부로 이루어진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에틸알코올 50.29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9.83 중량부, 농축암모니아용액 9.83 중량부 및 물 30.05 중량부로 이루어진 활성용액만으로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에틸알코올 50.29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9.83 중량부, 농축암모니아용액 9.83 중량부 및 물 30.05 중량부로 이루어진 활성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활성백토 18.5 중량부로 이루어진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2에 따른 중화제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비율을 무게비 1.2/1로 하고, 약 20초 동안 아주 완벽하게 혼합한 다음, 약 20초 정도 방치하여 반응을 진행시켰다. 상기 반응물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확인하기 위해, 소량의 반응물을 브롬화칼륨과 혼합하여 펠렛을 만든 후 반응시간이 30분이 되면 퓨리에변환 적외선분광기(FT-IR)를 측정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기는 특징적으로 2270cm-1부근에서 날카롭게 피크를 나타낸다. 따라서 중화제 중의 CH기(2980cm-1)가 일정하므로 NCO기/CH기의 상대비율로서 반응의 진행정도를 판단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중화제는 기존 활성백토를 사용한 비교예 2에 비해 사용량이 훨씬 적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반응시간에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중화효과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초미분실리카 30부를 사용한 실시예 2는 같은 반응시간에서 활성백토 18.5 중량부를 사용한 비교예 2에 비해 중화효과가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중화제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비율을 무게비 1.2/1로 하고, 약 20초 동안 아주 완벽하게 혼합한 다음, 약 20초 정도 방치하여 반응을 진행시켰다. 상기 중화제를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켰을 때 반응시간에 따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감소를 확인하기 위해, 소량의 반응물을 브롬화칼륨과 혼합하여 펠렛을 만든 후 반응시간에 따라 퓨리에변환 적외선분광기(FT-IR)를 측정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기는 특징적으로 2270cm-1부근에서 날카롭게 피크를 나타낸다. 따라서 중화제 중의 CH기(2980cm-1)가 일정하므로 NCO기/CH기의 상대비율로서 반응의 진행정도를 판단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중화제 조성물은 반응시간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반응이 시작된지 약 30분 정도가 경과하면 잔존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화제 조성물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의 활성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단시간 내에 활성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불활성 우레아로 전환시켜 반응을 종결시키므로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누출시 오염지역을 빠른 시간 내에 중화시켜 환경오염 및 작업자들의 건강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2)

  1. 암모니아용액, 트리에탄올아민, 에탄올 및 물로 구성된 활성용액과, 흡착제로 이루어진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로는 평균입도가 2.5 ∼ 15 μm이고, 비표면적이 300 ∼ 900 m3/g인 초미분실리카가 활성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 50 중량부 범위로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
  2. 삭제
KR10-2001-0032918A 2001-06-12 2001-06-12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 KR100419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918A KR100419860B1 (ko) 2001-06-12 2001-06-12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918A KR100419860B1 (ko) 2001-06-12 2001-06-12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606A KR20020094606A (ko) 2002-12-18
KR100419860B1 true KR100419860B1 (ko) 2004-02-25

Family

ID=2770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918A KR100419860B1 (ko) 2001-06-12 2001-06-12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8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1806A (en) * 1986-10-06 1988-01-26 Uop Inc. Process for separating 2,4-toluene diisocyanate from isomers of toluene diisocyanate
KR910014355A (ko) * 1990-01-18 1991-08-31 귄터 슈마허, 클라우스 댄너 이합체화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유동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1806A (en) * 1986-10-06 1988-01-26 Uop Inc. Process for separating 2,4-toluene diisocyanate from isomers of toluene diisocyanate
KR910014355A (ko) * 1990-01-18 1991-08-31 귄터 슈마허, 클라우스 댄너 이합체화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유동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606A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94984A1 (en) Poly(oxyalkylene)poly(aliphatic isocyanate)prepolymer and polyurea polymer derived therefrom by reaction with polyamine
JP2004504426A5 (ko)
BR9907058B1 (pt) pasta de pigmento, processo de preparação e uso da mesma, processo para preparar uma pasta de resina para proporcionar uma pasta de pigmento, pasta de resina e agente de revestimento superficial aquoso.
US5034367A (en) Supported catalysts for decomposing ozone, method of producing such catalysts and method of catalytically decomposing ozone
KR100419860B1 (ko)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조성물
ES2193056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elastomeros de poliuretano microcelulares con un procesamiento mejorado.
AU4560300A (en) Polymer-modified polyols, their use for the manufacture of polyurethane products
PL178567B1 (pl) Sposób usuwania materiału niepożądanego z materiału pożądanego
CN107603287A (zh) 纳米复合矿物质除甲醛剂
CN114247742A (zh) 一种治理污染土壤异味的泡沫复合修复材料及治理方法
JP3336002B1 (ja) 固着したバラスト道床の崩解工法
JPS61133127A (ja) ガス状酸性ハロゲン化合物の除去方法
CN112169244B (zh) 一种快速处理泄漏甲苯二异氰酸酯的方法
JPS5538862A (en) Ground stabilization with complex grout
Gilbert Fate of TDI and MDI in air, soil, and water
JPS5622363A (en) Polyurethane elastic cover material
JPH02120335A (ja) 発泡合成樹脂の製造方法
BR0007540A (pt)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espumas depoliuretano flexìveis
KR100521304B1 (ko) 폴리우레탄계 각질 제거용 스폰지
JP3515835B2 (ja) 屋外建造物表面の処理剤及びそれを用いた処理方法
JPS5633044A (en) Polyurethane foam containing cationic group for treating waste water
KV et al. Methods of Decontamination of Toluene Di-Isocyanate (TDI) spills and leftovers
DE10320314A1 (de) Verfahren zur Abtrennung von Schwefeloxifluoriden aus Gasgemischen
JPH0812880A (ja) 硬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体の製造方法
JP3092183B2 (ja) 水硬性無機質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