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307B1 - 레이져를 이용한 수평계 - Google Patents

레이져를 이용한 수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307B1
KR100418307B1 KR10-2001-0064804A KR20010064804A KR100418307B1 KR 100418307 B1 KR100418307 B1 KR 100418307B1 KR 20010064804 A KR20010064804 A KR 20010064804A KR 100418307 B1 KR100418307 B1 KR 100418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uge
horizontal
laser
cas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3274A (ko
Inventor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이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호 filed Critical 이기호
Priority to KR10-2001-0064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3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3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01C2009/06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op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게이지를 이용하여 수평을 유지한 채로 레이져를 조사하여 수평게이지에서 일정거리를 이격시킨 지점 또는 면의 수평과 각도를 정확히 선택 및 지정 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져를 이용한 수평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레이져를 발생시키는 레이져 포인터의 일측에 수평게이지를 부착시켜 한 지점에서 수평을 잡은채로 레이져를 조사하여 레이져 불빛 위치를 표시하면 두 지점사이의 수평을 정확히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레이져 마커가 부착된 수평게이지의 일측에 회동되는 또다른 수평게이지를 설치하되 상기 수평게이지끼리의 연결부위에 눈금을 새겨 두 개의 수평게이지가 이루는 각도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한 지점에서 원하는 각도를 갖은 다른 지점을 쉽게 확인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져를 이용한 수평계{Water level using laser}
본 발명은 수평 게이지를 이용하여 수평을 유지한 채로 레이져를 조사하여 수평 게이지에서 일정거리를 이격시킨 지점 또는 면의 수평과 각도를 정확히 선택 및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져를 이용한 수평계에 관한 것이다.
바닥의 수평상태를 기포가 이동되는 것을 관찰하여 확인할 수 있는 수평 게이지는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된 수평 게이지는 받침의 수평상태는 기포의 움직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반면 받침과 떨어진 두 지점 사이의 수평높이는 확인할 수 없는 것이었다.
즉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있는 두 지점 사이의 수평높이를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하여는 직경이 작은 관안에 물을 기포없이 채우고 관의 양끝은 두 지점에 각각 위치시킨 후 관안의 수면이 가르키는 곳을 찾아 표시를 해주어야만 이격된 거리에 위치한 두 지점의 수평높이를 맞추어 줄 수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특정의 곳에서 원하는 각도로 이격된 곳을 찾을 경우 특정지점에서 각도기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각을 찾고 이에 연장선을 그어 원하는 곳을 찾아주고 있으나, 이 경우 기준이 되는 곳에서 가까운 곳은 가능하나 거리가 멀은 곳은 실시하기 곤란하며, 각도기를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한편 원하는 각도를 연장시키기가 곤란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레이져를 발생시키는 레이져 포인터의 일측에 수평 게이지를 부착시켜 한 지점에서 수평을 잡은 채로 레이져를 조사하여 레이져 불빛 위치를 표시하면 두 지점사이의 수평을 정확히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레이져 포인터가 부착된 수평 게이지의 일측에 회동되는 또 다른 수평 게이지를 설치하되 상기 수평 게이지끼리의 연결부위에 눈금을 새겨 두 개의 수평 게이지가 이루는 각도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한 지점에서 원하는 각도를 갖은 다른 지점을 쉽게 확인 표시하는 한편 두면의 교차점에 대한 내각과 외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레이져 포인터의 일측에 수평 게이지가 수납된 게이지 케이스를 결합 고정시키고, 상기 게이지 케이스의 일측에 돌기부가 형성된 고정캡을 결합시키거나 연결체를 매개로 하여 수평게이지가 수납된 연결케이스를 결합시키되 상기 연결체에는 눈금을 새겨 게이지 케이스와 연결 케이스 사이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게이지 케이스 단면을 보인 실시예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사용상태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사용상태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눈금 표시 상태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 연결 케이스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 연결 케이스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 9 는 본 발명의 스위치 확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이져 포인터 20 : 게이지 케이스 21 : 암나사부
22 : 투시공 23 : 수평 게이지 30 : 고정캡
32 : 돌기부 40 : 연결체 42 : 결합돌기
43 : 눈금 50 : 연결 케이스 51 : 결합돌기
52 : 투시공 53 : 수평 게이지 55 : 눈금
60 : 자석 65 : 고정침 66 : 스프링
본 발명은 스위치(11)가 눌릴 때 레이져를 조사하는 레이져 포인터(10)와, 상기 레이져 포인터(10)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부(13)에 나사부(25)가 끼워져 결합 고정되고 내부에 수평게이지(23)가 수납되며 투시공(22)이 형성된 게이지 케이스(20)와, 상기 게이지 케이스(20)의 일측에 나합되고 돌기부(32)가 형성된 고정캡(30)을 구비하므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위치(11)가 눌릴 때 레이져를 조사하는 레이져포인터(10)와, 상기 레이져 포인터(1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고 내부에 수평게이지(23)가 수납되며 투시공(22)이 형성된 게이지 케이스(20)와, 상기 게이지 케이스(20)에 나합되고 연결 케이스(5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눈금(43)(55)이 새겨진 연결체(40)와, 상기 연결체(40)에 결합되고 수평 게이지(53)가 수납되며 투시공(52)이 형성된 연결 케이스(50)를 구비하므로써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11)가 눌릴 때 레이져를 조사하는 레이져 포인터(10)와, 상기 레이져 포인터(10)에 나합되고 연결 케이스(5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눈금(43)(55)이 새겨진 연결체(40)와, 상기 연결체(40)에 결합되고 수평 게이지(53)가 수납되며 투시공(52)이 형성된 연결 케이스(50)를 구비하므로써 구성된다.
본 발명의 레이져 포인터(10)는 내부에 건전지와 레이져 다이오드가 구비되어 스위치(11)를 눌렀을 때 레이져 불빛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공지의 제품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스위치(11)는 3단스위치를 사용하여 좌,우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연속 또는 오프 상태가 되게 하고, 중앙의 위치에서는 스위치(11)가 눌릴 때만 레이져가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레이져 포인터(10)의 건전지를 교체하는 곳에 나사부(13)를 형성시켜 게이지 케이스(20)의 나사부(25)를 볼트결합 방식으로 나합시켜 고정시키도록 하여 레이져 포인터(10)에 수납되는 건전지를 고정시키는 한편 전류 흐름이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게이지 케이스(20)에는 기포(24)가 형성된 수평 게이지(23)를 수납 고정시키도록 하는 한편 상기 수평 게이지(23)의 기포(24)확인이 용이하도록 사방으로 투시공(22)을 형성시키며, 상기 게이지 케이스(20)에는 고정캡(30)또는 연결체(40)가 나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21)를 형성시킨다.
고정캡(30)은 일측에 게이지 케이스(20)의 암나사부(21)와 나합되는 나사부(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돌기부(3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기부(32)는 레이져 포인터(10)의 레이져 불빛과 동일한 위치를 갖도록 중앙에 형성시킨다.
연결체(40)는 일측에 게이지 케이스(20)의 암나사부(21) 또는 레이져포인터(10)의 나사부(13)와 나합되는 나사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연결케이스(50)를 결합시키는 결합돌기(4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돌기(42)사이에 연결 케이스(50)의 결합돌기(51)를 끼워 결합시키되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돌기(42)(51)의 상부에는 눈금(43)(55)을 새겨 놓아 게이지 케이스(20)와 연결 케이스(50)가 어느정도 어긋나 있는지 눈금(43)(55)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면과 면이 맞닿는 곳의 내각과 외각을 상기 게이지케이스(20)와 연결케이스(50)를 각면에 밀착시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 케이스(50)는 일측에 연결체(40)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돌기(5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기포(54)가 형성된 수평 게이지(53)가 수납되며 외측으로는 기포(54)확인을 위한 투시공(52)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연결 케이스(50)의 일측에 중앙이 파여진 형태의 평편한 자석(60)을 부착시키는 한편 한쪽에 고정침(65)을 설치하여, 연결 케이스(50)를 금속재질에 고정시킬 때 자석(60)의 자력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하고, 연결 케이스(50)를 목재(67)등에 고정시킬 경우는 연결 케이스(50)에 스프링(66)으로 탄지되어 형성된 고정침(65)을 눌러 고정침(65)의 선단이 목재(67)에 박히도록 하므로써 고정시키게 한다.
즉 연결 케이스(50)에는 자석(60)을 부착시키는 한편 스프링(66)에 탄지된 고정침(65)을 형성시켜 연결 케이스(50)를 고정시키는 재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자석(60)의 중앙에 형성된 홈은 고정재질이 금속이고 원통형으로 이루어졌을 때 쉽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레이져 포인터(10)에는 꼿음쇠(12)를 끼워 작업자가 주머니에 꼿고 다닐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이격된 두 지점사이의 수평높이를 일치시켜 표시시키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는 게이지 케이스(20)의 일측에 고정캡(30)을 결합 시켜야 한다.
즉 게이지 케이스(20)의 나사부(21)에 고정캡(30)의 나사부(31)를 결합시켜 준 후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지점에서 게이지 케이스(20)를 놓고 기포(24)의 움직임을 투시공(22)을 통하여 확인하므로써 게이지 케이스(20)의 수평을 잡아주면 고정캡(30)의 돌기부(32)를 이용하여 A 지점을 표시하고, A 지점의 표시가 완료되면 스위치(11)를 눌러 레이져 포인터(10)에서 레이져를 발생시키도록 한 후 상기 레이져 포인터(10)에서 발생된 레이져가 비치는 곳을 표시하면(도 3 의 B 지점), A 와 B 지점이 수평이 일치되는 곳이 된다.
이때 돌기부(32)의 선단과 레이져 포인터(10)에서 발생된 레이져의 중심은 수평 게이지(23)가 수평상태에 놓여있을 경우 정확히 같은 높이를 가르키게 된다.
따라서 이격된 두 지점 즉 A 와 B 지점의 높이를 맞추어주기 위하여 물이 채워진 관을 이용하지 않고도 A 지점과 동일한 높이의 B 지점을 쉽게 찾아 낼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이 이격된 두 지점 사이의 수평위치를 간단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레이져 포인터(10)가 결합된 게이지 케이스(20)에 고정캡(30)을 결합시킨 채로 사용하면 되고, 두 지점을 일정각도가 되게 설정하고 이격된 두 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할 경우를 살펴본다.
이때에는 게이지 케이스(20)에 연결 케이스(50)가 결합된 연결체(40)를 결합시키면 되는 것으로, 게이지 케이스(20)의 암나사부(21)에 연결체(40)의 나사부(41)를 끼워 나합시키면 된다.
게이지 케이스(20)에 연결체(40)를 매개로 하여 연결 케이스(50)를 결합시키면 연결 케이스(50)를 일정장소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이격된 곳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즉 특정장소에 연결 케이스(50)를 놓고 수평 게이지(53)의 기포(54)를 이용하여 수평을 맞추어 준 후 게이지 케이스(20)를 회전시키되 연결체(40)의 눈금(43)(55)을 이용하여 연결 케이스(50)와 게이지 케이스(20)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스위치(11)를 눌러 레이져 포인터(10)에서 조사된 레이져가 가르키는곳을 표시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의 위치를 찾을 수 있게 되며, 이때 수평게이지(53)의 수평을 맞추어 준 상태로 레이져를 발생시키면 두 지점의 수평높이를 일치시킨 상태의 원하는 각도로 이격된 곳을 찾아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 케이스(50)에는 외측에 자석(60)을 부착시키거나 일측에 고정침(65)을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연결 케이스(50)가 놓이는 곳이 금속재질일 경우 자석(60)을 이용하여 연결 케이스(5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 케이스(50)가 놓이는 곳이 목재(67)일 경우 고정침(65)을 눌러 고정침(65)의 선단이 목재(67)에 박히도록 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연결 케이스(50)가 고정될 장소의 재질에 따라 자석(60)이나 고정침(65)을 이용하여 연결 케이스(50)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고정침(65)은 스프링(66)에 탄지 되어 있어 목재(67)에 박힌 후 연결 케이스(50)를 강제로 떼어내면 연결 케이스(50)의 내측으로 수납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레이져 포인터(10)는 스위치(11)를 조작하여 연속으로 레이져를 발생하거나, 오프시키거나, 눌렸을때만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상 편리한 스위치(11)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게이지 케이스(20)에 고정캡(30)을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연결 케이스(50)가 끼워진 연결체(40)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격된 두 지점 사이의 수평높이를 일치시키거나 두 지점사이의 각도를 맞추어 주는데 편리하게 사용되어 진다.
본 발명은 이격된 두 지점 사이의 수평높이를 맞추거나 각도를 맞추어 줄 때 수평 게이지로 수평위치를 잡은 상태에서 레이져 불빛을 이용하여 이격된 지점의 수평위치를 확인 표시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스위치(11)가 눌릴 때 레이져를 조사하는 레이져 포인터(10)와,
    상기 레이져 포인터(1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고 내부에 수평 게이지(23)가 수납되며 투시공(22)이 형성된 게이지 케이스(20)와,
    상기 게이지 케이스(20)에 나합되고 연결 케이스(5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체(40)와,
    상기 연결체(40)에 결합되고 수평 게이지(53)가 수납되며 투시공(52)이 형성된 연결 케이스(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져를 이용한 수평계.
  3. 제2항에 있어서, 연결체(40)는 일측에 게이지 케이스(20)의 나사부(21)와 나합되는 나사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연결 케이스(50)를 결합시키는 결합돌기(4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42)사이에 연결 케이스(50)의 결합돌기(51)를 끼워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돌기(42)(51)의 상부에는 눈금(43)(55)을 새겨 놓아 게이지 케이스(20)와 연결 케이스(50)가 이루는 각도를 표시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져를 이용한 수평계.
KR10-2001-0064804A 2001-10-19 2001-10-19 레이져를 이용한 수평계 KR100418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804A KR100418307B1 (ko) 2001-10-19 2001-10-19 레이져를 이용한 수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804A KR100418307B1 (ko) 2001-10-19 2001-10-19 레이져를 이용한 수평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274A KR20030033274A (ko) 2003-05-01
KR100418307B1 true KR100418307B1 (ko) 2004-02-11

Family

ID=2956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804A KR100418307B1 (ko) 2001-10-19 2001-10-19 레이져를 이용한 수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40B1 (ko) 2004-07-07 2011-03-09 이기호 레이저를 이용한 수평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40B1 (ko) 2004-07-07 2011-03-09 이기호 레이저를 이용한 수평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274A (ko)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305B2 (en) Laser activated audible signal emitting leveler
KR100418307B1 (ko) 레이져를 이용한 수평계
CN202599266U (zh) 多功能钢卷尺
KR100648410B1 (ko) 야간에도 시준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측량용 스태프
WO2017133348A1 (zh) 一种激光水平尺
JPH1194503A (ja) 深さ測定器
KR200403983Y1 (ko) 배관길이 측정용 타겟
KR101020740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수평계
KR200268802Y1 (ko) 레이저관이 구비된 수평계
CN109827555B (zh) 一种激光水平尺
KR200207112Y1 (ko) 휴대용 감리 수평수직 검측 자
JP2002039752A (ja) 水準器
US20220039665A1 (en) Jugular venous pressure measurement devices
JP2005257599A (ja) 受光器の位置決め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受光器
CN201050971Y (zh) 一种具有定位及标记功能的卷尺
JPH09145365A (ja) 水準器
CN212904380U (zh) 一种砂浆稠度仪
KR200207033Y1 (ko) 수직,수평 측정장치
WO1998041817A1 (en) Leveling device
CN213902219U (zh) 一种建筑工程测量用水平尺
CN214010728U (zh) 一种读写台灯测试装置
KR850001251Y1 (ko) 다목적 축정기
KR20110014496A (ko) 수준기(水準器)
CN220418461U (zh) 简易坡度测量支架
KR100246997B1 (ko) 레이저가 부설된 수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