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471B1 - 가축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축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471B1
KR100417471B1 KR10-2001-0032255A KR20010032255A KR100417471B1 KR 100417471 B1 KR100417471 B1 KR 100417471B1 KR 20010032255 A KR20010032255 A KR 20010032255A KR 100417471 B1 KR100417471 B1 KR 100417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livestock
weight
antibiotics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3479A (ko
Inventor
이두식
육현희
문순구
Original Assignee
육현희
이두식
문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현희, 이두식, 문순구 filed Critical 육현희
Priority to KR10-2001-0032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471B1/ko
Publication of KR20020093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황토 0.72중량% - 1.45중량%, 활성탄 0.72중량% - 1.45중량% 및 미강 7.25 중량%로 이루어진 사료첨가제와 사료 90.58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축 사료 조성물은 사육되는 가축에게 항생제를 투여하더라도 체내의 항생제 잔류시간을 급격히 감소시킴으로써, 이 사료에 의해 사육된 가축의 육류 제품은 항생제로 인한 비린내가 나지 않고 맛이 좋은 등 제품 성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고, 가축사육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축 사료 조성물{feed composite for cattle}
본 발명은 가축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 가축사료에 첨가사용시 해당 가축의 육질 내에 항생제가 잔류하는 것을 막고, 기존 항생제 사용시 휴약기간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의 사료는 옥수수, 수수, 밀, 귀리, 보리, 쌀 등의 곡류 사료, 밀제분 부산물 등의 부산물 사료, 대두박 등의 단백질 사료, 유지 사료, 광물질, 비타민 등을 원료로 한다. 그외 첨가제로서 항생제, 항균제, 효소제, 착색제 등이 포함된다.
이 때, 항생제 등과 같은 동물용 의약품은 예방약으로 방어하지 못한 질병이나 사양관리상의 문제로 인하여 가축의 체내에 비정상적으로 침투된 병원성 미생물을 죽임으로써 가축이 정상적이 상태로 돌아오도록 만들어 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동물용 의약품들은 과량으로 사용시 가축에서 치명적인 독성을 나타내거나 축산물 중이나 우유 등에 잔류 되어 식품으로써 가치를 상실하여 페기처분되는 등의 경제적 손실을 유발시킨다. 또한 약물의 사용법을 지키지 않거나 치료용량 이하로 사용시에는 사용 약물 및 유사 약물에 대한 내성을 유발하여 약물의치료효과를 감소시킴으로써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이러한 동물성 의약품 중 항생물질은 병원성 세균에 작용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우선, 정균성 항생물질로 세균의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인데 여기에는 설파제, 테트라사이클린게약물, 클로람페니콜, 에리스로마이신 등이 포함되며, 두번 째는 살균성 항생물질로서 이러한 약물은 활발히 성장하고 있는 세균을 직접 죽이는 기능을 하며, 여기에는 젠타마이신 등의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 계열의 약물, 페니실린류, 폴리믹신 등이 해당되며, 이러한 약물은 성장이 억제되어 있는 세균에 대해서는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실제로 동물약품 중에는 두 가지 이상의 항생물질이 혼합되어 있거나 사용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다. 한편, 약물은 투여방법에 따라 크게 경구제(음수에 녹여 투여되거나 직접 먹이는 제제), 주사제(정맥, 근육 및 피하), 주입제(유방재 주입제), 외용제(연고제나 스프레이 제제), 사료 첨가제 등으로 나뉜다. 이러한 약물의 사용시 특히 주의할 점으로서 휴약기간의 준수가 요망된다. 휴약기간이란 투여된 약물이 가축의 생체 내에서 대사되거나 배출되어 가식 부위에 투여된 약물이 허용기준 이하로 남게 되기까지의 기간을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특정한 약물의 휴약기간이 10일 이라고 하면 축주는 가축을 출하하기 10일 이전에 약물의 사용을 중지하여야 한다. 보통 이러한 이러한 휴약기간은 사용설명서에 명시되어 있다.
식육 중의 항생물질, 합성 항균제 및 합성 호르몬제의 잔류허용기준은 다음과 같다.(자료 출처 : 농촌진흥청 수의학연구소 안정성과)
1) 항생물질의 잔류치 허용기준 (단위: mg/kg)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 고기
젠타마이신 0.1 이하 0.1 이하 - 0.1 이하
네오마이신 ` 0.25 이하 0.25 이하 0.25 이하 0.25 이하
노보비오신 1.0 이하 - 1.0 이하 1.0 이하
모넨신 0.05 이하 - 0.05 이하 -
암피실린 0.01 이하 0.01 이하 0.1 이하 0.1 이하
설파티아졸 0.01 이하 0.01 이하 0.01 이하 0.01 이하
2) 항생물질의 휴약기간
닭 : 울트라마이신 7일 록시스로마이신 10일 노플로삭신 5일
돼지 ; 폴리마이신(암피실린, 콜리스틴) 6일,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7일,
설파티아졸 7일, 록시스로마이신 10일
육질 내에 남아 있는 항생제는 내성 효과의 유발이라는 면 뿐 아니라, 고기에 냄새를 발생시키고, 고기 맛을 열화시킨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을 경우, 각동 가축 전염병의 발병 우려가 있어, 이러한 잔류 위험에도 불구하고 항생제 사용을 피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다량의 항생제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고기 맛의 저하를 우려하여 항생제 양을 필요한 칸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활성탄을 사료에 첨가하는 경우, 살균 효과 및 냄새 제거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기는 하나, 활성탄의 강한 흡착력으로 인하여 장기 복용시 위벽을 해할 염려가 있고, 다량 복용시 항생제의 항생효과를 저해할 수도 있다. 따라서, 활성탄의 사용시는 사용량에 매우 주의를 가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가축의 사육과정 중에 항생제의 가축 체내 잔류를 감소시키고 특히 동물용 의약품의 휴약기간을 급격히 감소시킴으로써, 사육과정 중 발생하는 각종 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예방함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계육이나 계란, 돈육 등의 제품의 맛과 냄새를 개선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황토 0.72중량% -1.45중량%, 활성탄 0.72중량% - 1.45중량% 및 미강 7.25중량%로 이루어진 사료 첨가제와 일반사료 90.58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방법을 더욱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축은 닭 또는 돼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방법을 더욱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의 주 성분은 황토, 활성탄 및 미강이다. 이중 활성탄은 섭씨 1000℃ 정도의 고온에서 목재를 가열하여 얻어진 미세한 분말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를 어느 정도의 고온으로 가열시 숯의 형태가 되고, 더욱 고온으로 가열시 활성탄의 형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활성탄은 일반적으로 '활성탄'이라고 불려지는 정도의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면 기존의 판매되는 제품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예: 축산용 챠코리지- 우리 숯 농법 농업회사 제조).
미강은 일반적으로 정미소의 쌀도정 과정에서 나오는 미세한 가루와 쌀눈의 고체형태의 것으로서, 정미소에서 흔히 얻을 수 있다. 황토는 깨끗한 지역에서 채취한 일반 황토를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자는 양계 사료로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농협중앙회 안산공장에서 출시되는 제품명 "알무리"를 사용하였다. 이 제품은 실중량 25kg 중 조단백질이 15.00%이상, 조지방이 3.00% 이상, 조섬유가 6.00% 이상, 조회분이 15.00% 이상, 칼슘이 3.20% 이상, 인이 0.38% 이상 및 메치오닌+시스틴이 0.58%의 성분량을 가지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사료 주성분에 배합되는 미강, 황토 및 활성탄의 비율은 황토 0.72중량% - 1.45중량%, 활성탄 0.72중량% - 1.45중량% 및 미강 7.25중량% 이다. 이러한 중량 비율의 첨가제는 상기 백분율(%)에 대하여 사료 전체 90.58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 3 : 항생제 잔류억제 효과의 시험
1. 시험 가축 및 적용 항생제 : 닭/ 울트라마이신
(1) 일반 사료('알무리' 농협중앙회 제조) 5 kg에 미강 400g, 활성탄((주) 우성테크 제품으로서 수분 10% 이하 함량. 섭씨 1000℃에서 스팀으로 부활시킨 미송의 활성탄) 80g 및 황토 40g 을 혼합하여 사료로서 급여한 지 6 개월 정도가 된 토종닭 5마리를 격리 수용하여 울트라마이신(바이엘 약품 제조)을 물 20리터에 60g을 혼합하여 27일간 투여시켰다.
닭의 시험 사육환경으로서, 사료는 사료통에 1일 2회씩 1회에 1 마리당 75-85g을 주었고, 음수는 항생제가 혼합된 물을 물통에 1 - 1.5 리터를 공급하였다. 음수용 물을 매일 동일한 항생제 농도의 물을 갈아 넣었다. .
이후 1일 휴약한 후, 2마리를 도계한 후, 다리살, 가슴살을 각각 (주)과학기술분석센타에 의뢰하여 시험분석한 결과, 상기 항생제의 잔류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시험성적서 번호 : SLC-2550호. 발급일자 : 2000. 8. 19)
(2) 상기 사료를 급여한 지 1년 정도가 된 토종닭 2마리를 격리 수용하여 울트라마이신(바이엘 약품 제조)을 물 20리터에 60g을 혼합하여 15일간 투여시켰다. 1일 휴약 후 2마리의 혈액을 채취하여 (주)과학기술분석센타에 의뢰하여 시험분석한 결과, 상기 항생제의 잔류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시험성적서 번호 : 01-2-120호 발급일자 : 2001.2.12)
(3) 상기 사료를 급여한 지 1년 정도가 된 토종닭 2마리를 격리 수용하여 울트라마이신(바이엘 약품 제조)을 물 20리터에 60g을 혼합하여 7일간 투여시켰다. 1일 휴약 후 2마리의 혈액을 채취하여, (주)과학기술분석센타에 의뢰하여 시험분석한 결과, 상기 항생제의 잔류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시험성적서 번호 : 01-2-783호 발급일자 : 2001.3.8)
(4) 결과의 분석
상기 울트라마이신은 일반적으로 휴약기간이 8 일 정도 이고, 허용 잔류량이 정도임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한 사료 첨가제의 사용시 단지 1일의 휴약기간으로도 잔류량이 검출되지 않아, 휴약기간이 급격히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시험 가축 및 적용 항생제 : 닭/ 엔로프로삭신 및 노플로삭신
(1) 실시예 1와 동일한 사료 및 사료 첨가제를 사용하여 10평의 계사에 20수를 사육하였다. 이 때, 엔로프로삭신 및 노플로삭신을 물 20리터에 각각 15cc 혼합하고 30일간 급여한 후, 1일의 휴약기간 후, 2 마리의 가슴살과 다리살을 (주) 과학시술분석센타에 시험분석한 결과, 엔로프로삭신은 6.47ppm이 검출되었고, 노플로삭신은 검출되지 않았다. (시험성적서 번호 : SLC- 4369호 발급일자 : 2000.11.30)
(2) 실시예 1와 동일한 사료 및 사료 첨가제를 1년 이상 사용하여 10평의 계사에 20수를 사육하였다. 이 때, 록시스로 마이신을 물 20리터에 각각 20cc 혼합하고 20일간 급여한 후, 1일의 휴약기간 후, 2 마리의 혈액을 채취한 결과 검출되지 않았다. (시험성적서 번호 : 01-2-121호. 발급일자 : 2001.2.9)
(3) 결과의 분석
엔프로삭신, 노플로삭신 및 록시스로 마이신은 각각 잔류 허용치가이고, 휴약기간이 각각 7일, 5일 및 10일인데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료 첨가제의 사용시 이들 엔프로삭신을 제외한 두 항생물질에 대한 휴약기간이 급격히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시험 가축 및 적용 항생제 : 돼지/폴리마이신(암피실린제, 콜리스틴제 혼합제품),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설파티아졸, 록시스로마이신
(1) 5 평의 돈사에 2마리를 사육하여 사료 25Kg에 미강 2kg, 활성탄 300g, 황토 300g을 혼합하여, 1마리당 1일 5-5.5kg을 6개월 이상 급여시켰다. 시험 분석일 41일 전부터 폴리마이신 50g,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50g, 설파티아졸 80g, 록시스로마이신 80g을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40일간 복용 시킨 후, 1일 동안 휴약기간을 둔 후, 도축하여 목살 1kg, 삼겹살 1kg의 샘플을 채취하여 (주)과학기술분석센타에 시험분석을 의뢰한 결과, 암피실린만 약 348.35ppm이 검출되었고, 그외의 항생물질은 잔량이 검출되지 않았다(시험성적서 번호 : SLC-4368호. 발급일자 : 2000.11.30)
(2) 상기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사육된 돼지 2마리에 상기한 동일한 사료 및 항생제를 47일간 급여 후, 39일차-42일차 까지는 4일 동안 매일 15cc의 엔로프로삭신 주사제를 주사한 후 5일의 휴약기간 후, 엔로프로삭신과 암피실린의 잔류량을 시험분석한 결과, 엔로프로삭신은 0.99ppm이 검출되었고, 암피실린은 검출되지 않았다.(시험성적서 번호 : 01-2-124호 발급일자 : 2001.2.12)
(3) 결과의 분석
사용된 항생제의 휴약기간은 폴리마이신 6일,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7일, 설파티아졸 7일, 록시스로마이신 10일임에 비해,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의해 사육된 돼지의 경우, 대부분 1일 정도로(암피실린은 약 5일 정도)로 휴약기간이 대폭 단축되어, 과다한 량의 항생제가 투여되더라도 짧은 휴약기간 내에 육질 내에 항생제가 모두 배설되어 잔류효과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 계육/돈육의 육질과 맛의 관능성 시험
육계 6마리를 격리수용하여 3마리는 사료 5 kg에 미강 400g, 황토 80g, 활성탄 40g을 혼합한 사료를 급여시키고, 나머지 3 마리는 일반 사료만을 급여시키고, 6마리 모두에게 울트라마이신, 노플로마이신 및 록시스로 마이신을 각각의 약품 설명서에 주어진 양만큼 음수복용시켰다. 또 돼지 6마리에 대하여 3마리는 사료에 상기 성분의 첨가제를 첨가시켜 급여하고, 나머지 3 마리는 일반 사료만을 급여시키면서, 폴리마이신,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설파티아졸 및 록시스로마이신을 각각의 약품 설명서에 주어진 양만큼 사료에 첨가복용시였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사육된 닭 및 돼지를 전자의 경우는 휴약 기간 1일 후, 후자의 경우는 해당 항생제의 휴약기간 이후에 도축하여 식육을 제조하였다.
또한, 일반사료 및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은 토종닭 및 돼지의 고기를 조리한 후, 이들 3 종류의 닭고기 및 돼지고기의 맛과 냄새에 50명에게 맹검 조사를 행하였다(각각 다른 인원으로 4 회 실시). 조사 결과 95%의 응답자들이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를 급여시킨 닭 및 돼지고기와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은 닭 및 돼지의 고기의 경우 냄새가 없고 육질이 쫄깃거리며 고소하고 부드럽다고 평가하였고, 양자를 정확히 구별하지 못하였다. 또, 일반사료만을 급여하고 항생제를 복용시킨 고기에 대해서는 휴약기간을 보다 길게 설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냄새 및 맛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으며, 다른 고기들과 즉시 구별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축 사료 조성물은 일반 가축사료에 천연 재료의 첨가제를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는 것만으로 가축의 체내로부터 항생제 배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가축 사육을 보다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질병으로 인한 가축의 손실 등을 예방할 수 있고, 해당 가축의 고기와 계란의 맛이나 냄새를 더욱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상식으로는 활성탄의 장기 급여시 가축의 폐사의 확률이 매우 높았다고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는 활성탄 외에 다른 성분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활성탄의 장기복용에 의한 독성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황토 0.72중량% - 1.45중량%, 활성탄 0.72중량% - 1.45중량% 및 미강 7.25중량%로 이루어진 사료 첨가제와 사료 90.58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료 조성물.
  3. 제2항의 사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닭 또는 돼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방법.
KR10-2001-0032255A 2001-06-09 2001-06-09 가축 사료 조성물 KR100417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255A KR100417471B1 (ko) 2001-06-09 2001-06-09 가축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255A KR100417471B1 (ko) 2001-06-09 2001-06-09 가축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479A KR20020093479A (ko) 2002-12-16
KR100417471B1 true KR100417471B1 (ko) 2004-02-11

Family

ID=2770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255A KR100417471B1 (ko) 2001-06-09 2001-06-09 가축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4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229A (ko)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솔담바이오 소나무 껍질을 함유한 무항생제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10367384A (zh) * 2019-07-15 2019-10-25 天津亚德尔生物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植物炭黑添加剂的牛饲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479A (ko) 200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jiboye et al. A perspective on the ingestion and nutritional effects of feed additives in farmed fish species
KR19990082623A (ko) 동물 사료
NZ508056A (en) Use of a natural substance containing thymol in the manufacture of animal feed
TWI228975B (en) A composition containing carvacrol and thymol for use as a bactericide
Adel et al. Effects of dietary prebiotic grobiotic®‐a on growth performance, plasma thyroid hormones and mucosal immunity of great sturgeon, huso huso (linnaeus, 1758)
Shapawi et al. Improving dietary red seaweed Kappaphycus alvarezii (Doty) Doty ex. P. Silva meal utilization in Asian seabass Lates calcarifer
CN101011107A (zh) 一种抗病促生长的药物预混剂及其应用
CN101406249B (zh) 一种动物疾病预防饲料添加剂及应用
JP2542655B2 (ja) 動物用混合飼料
KR100417471B1 (ko) 가축 사료 조성물
Del Alamo et al. The use of short and medium chain fatty acids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 growth promoters in broilers infected with malabsorption syndrome
JP3534792B2 (ja) 抗病性飼料
CA3225779A1 (en) Use of furancarboxylic acids in the preparation of additives for animal feeds
CN109418540A (zh) 一种畜禽用促生长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CA2989391C (en) Fish feed compositions containing a neonicotinoi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arasite infections
US4258031A (en) Feed composition containing ronnel and antibiotic A3823 complex and use thereof
KR880002183B1 (ko) 동물 성장 자극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3338928B2 (ja) 抗コクシジウム剤
JP5009521B2 (ja) 動物の飼育方法
JP3285630B2 (ja) 鶏用飼料
RU2759605C2 (ru)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из древесины для животных для ингибирования чувства кворума
JPH01247046A (ja) ニワトリ用飼料
Nur et al. The Effect of Giving Turmeric Flour (Curcuma domestica) on Performance and Relative Weight of Lymphoid Organs of Super Native Chicken
Habib et al. The Effect of Halquinol (HAL)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Blood-lipid Profile in Broiler Chickens
JP2874633B2 (ja) 飼料添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