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873B1 - 부호화데이터재생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부호화데이터재생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873B1
KR100416873B1 KR1019960004108A KR19960004108A KR100416873B1 KR 100416873 B1 KR100416873 B1 KR 100416873B1 KR 1019960004108 A KR1019960004108 A KR 1019960004108A KR 19960004108 A KR19960004108 A KR 19960004108A KR 100416873 B1 KR100416873 B1 KR 100416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ed data
frames
data
frame
de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446A (ko
Inventor
아끼히로 뮤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32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by assembling picture element blocks in an intermediate memo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004Predictors, e.g. intraframe, interfram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목적) 디코더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을 고속으로 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특수 재생 화상을 얻는다.
(구성) 디스크 드라이브(1)로부터 판독된 부호화 데이터는 코드 버퍼(2-1)에 일시 축적되고, 코드 버퍼(2-1)로부터 판독된 데이터가 디코딩 프로세스 수단(2-2)에서 디코딩된다. 특수 재생시에는, I 픽처 및 P 픽처를 우선해서 허용하는 한 데이터가 연속하여 디코딩되도록 하고, 디코딩된 데이터를 프레임 버퍼(2-3)에 격납고, 프레임 버퍼(2-1)로부터 표시 순으로 판독해서 디스플레이(3)에 표시한다.

Description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layback compressed video data}
본 발명은 통신 매체 등을 통해 축적된 부호화 데이터나,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화상 또는 음성 등의 부호화 데이터를 특수 재생하기에 적합한 부호화 데이터의 특수 재생 방법 및 특수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역방향 재생에 적합한 것이다.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다루는 디지털·비디오·디스크(이하, DVD라고 함) 등의 기록 매체, LAN 등의 통신 매체, 또는 위성 등의 방송 매체에서는, 효율적으로 음성 신호 및 화상 신호를 취급할 수 있도록 디지털 압축 부호화되고 있다. 이 압축 부호화를 행하는 방식으로서 MPEG(Motion Picture coding Experts Group)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며, MPEG의 부호화기의 일예를 제 3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MPEG의 부호화기는 화상 입력 신호로 3종류 중 어느 하나의 예측 부호화를 행함으로써 데이터 압축을 행하도록 한 부호화기이며, 디지털화된 화상 입력 신호는 우선 움직임 검출 회로(101)에서 움직임 보상 예측의 최소 단위마다 움직임 보상 예측을 위한 움직임 벡터의 검출이 행해진다.
또한, 계속된 예측 부호화부에서 예측 부호화되며, (1) 화상 입력 신호를 프레임내에서 부호화를 행하는 프레임내(Intra) 부호화 화상(I 픽처), (2) 전방향에서만 예측하는 프레임간 순방향 예측(Predictive) 부호화 화상(P 픽처), (3) 전방향 및 후방향의 양방향에서 예측하는 양방향 예측(Bidirectionally predictive) 부호화 화상(B 픽처)의 3 종류 중 어느 하나의 예측 부호화가 행해진다.
즉, 예측 부호화부의 DCT(103)에서 감산기(102)를 통해 입력된 화상 입력 신호에 푸리에 변환의 일종인 DCT가 실시되며, 이어서 그 결과의 DCT 계수의 양자화가 양자화 회로(Q)(104)에서 행해진다. 또한, 양자화가 행해진 후, 가변 길이 부호화 수단(VLC)(109)에서 생기(生起) 확률에 따라 상이한 길이의 부호가 할당됨으로써 가변 길이 부호화된다.
또한, 양자화된 부호 신호는 역양자화 회로(IQ)(105)에서 역양자화가 행해지며, 또한, 역 DCT(IDCT)(106)에서 역 DCT되어 프레임 메모리 예측기(108)로부터의 출력이 가산됨으로써 원화상 신호가 재생된다. 재생된 화상 신호는 예측 신호로서 감산기(102)에 공급되어 입력 화상 신호에서 감산된다. 이에 의해, 감산기(102)로부터는 입력 화상 신호와 예측 신호와의 차분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양자화 회로(104)로부터 출력되는 부호 신호는 차분 신호로 되어 있는 동시에, 차분 신호에 DCT가 실시되어 양자화되기 때문에 압축 부호화된다.
또한, 이 압축 부호화된 부호 신호에 가변 길이 부호화 수단(109)에서 출현빈도의 치우침을 이용하여 엔트로피 부호화가 행해지고, 또한 부호가 압축된다.
그리고, 다중화 수단(110)에서 I 픽처, P 픽처, B 픽처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예측 모드 정보, 및 움직임 벡터 정보와 다중화되지만, 다중화된 이들 데이터는 불규칙인 레이트로 발생되기 때문에 버퍼(111)에 일시 축적되어 부호화 레이트가 일정하게 되어 출력된다.
또한, 부호화 레이트의 평균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버퍼(111)에 축적된 부호량에 따라 양자화 수단(104)의 양자화 스케일 인자(q)를 변화시킴으로써 부호량 제어를 행하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서, 예측 부호화된 프레임간 예측의 구조의 일예를 제 33 도의 (a)에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15프레임으로 GOP(Group of Picture)라고 하는 데이터 단위를 구성해도 좋으며, 이 경우에 1 GOP에서 랜덤 액세스를 필요로 하므로, I 픽처를 GOP 내에 적어도 1 프레임 필요하기 때문에, I 픽처를 1 프레임, 시간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I 픽처 또는 P 픽처로부터 예측을 행하는 P 픽처를 4 프레임, 나머지 10 프레임을 시간적으로 양방향에 위치하는 I 픽처 또는 P 픽처로부터 예측을 행하는 B 픽처로 하고 있다. 또한, GOP는 동화상의 1 시퀀스를 분할한 부호화의 단위이다.
즉,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I 픽처(11)는 그 프레임내에서만 예측 부호화되어 있고, P 픽처(4P)는 I 픽처(11)를 참조해서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되어 있고, P 픽처(7P)는 P 픽처(4P)를 참조해서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되어 있고, P 픽처(10P)는 P 픽처(7P)를 참조해서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되어 있고, P 픽처(13P)는 P 픽처(10P)를 참조해서 프레임간 예측되어 있다. 또한, B 픽처(2B, 3B)는 I 픽처(1I)와 P 픽처(4P)의 2개를 참조해서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되어 있고, B 픽처(5B, 6B)는 P 픽처(4P)와 P 픽처(7P)의 2개를 참조해서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되어 있다. 이하, 마찬가지로 화살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측 부호화되어 이후의 픽처가 작성되어 있다.
또한, I, P, B의 번호는 원화상의 순번을 나타내는 번호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예측 부호화된 픽처를 디코딩하려면, I 픽처는 프레임 내에서의 예측 부호화가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그 I 픽처만으로 디코딩할 수 있지만, P 픽처는 시간적으로 앞의 I 픽처 또는 P 픽처를 참조하여 예측 부호화되고 있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앞의 I 픽처 또는 P 픽처가 디코딩시 필요하게 되며, B 픽처는 시간적으로 전후의 I 픽처 또는 P 픽처를 참조하여 예측 부호화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전후의 I 픽처 또는 P 픽처가 디코딩시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디코딩시에 필요로 되는 픽처를 먼저 디코딩해 둘 수 있도록, 제 33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처를 대체하고 있다.
이 대체는 제 34 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픽처(1B, 0B)는 디코딩시에 I 픽처(1I)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B 픽처(1B, 0B)보다 I 픽처(1I)가 선행하도록 배치 변경하고, B 픽처(2B, 3B)는 디코딩시에 I 픽처(1I)와 P 픽처(4P)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B 픽처(2B, 3B)보다 P 픽처(4P)가 선행하도록 배치 변경하며, 마찬가지로 B 픽처(5B, 6B)는 디코딩시에 P 픽처(4P)와 P 픽처(7P)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B 픽처(5B, 6B)보다 P 픽처(7P)가 선행하도록, B 픽처(8B, 9B)는 디코딩시에 P 픽처(7P)와 P 픽처(10P)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B 픽처(8B, 9B)보다 P 픽처(10P)가 선행하도록 대체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B 픽처(11B, 12B)보다 P 픽처(13P)가 선행하도록 대체되어 있다.
그리고,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가 제 34 도의 (b)에 도시한 순서로 되어, 예를 들어, DVD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도록, 제 34 도의 (c)에 도시한 매체 상의 화상 부호화 데이터로 된다. 그리고, 이 매체 상의 화상 부호화 데이터가 판독되고, 제 34 도의 (d)에 도시한 순서의 복호 화상 데이터가 된다. 이어서, 통상 재생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는, 복호 화상 데이터가 원화상의 픽처 순서인 제 34 도의 (c)에 도시한 서픽스(suffix)로 나타내는 번호순으로 재배치되고 디스플레이에 통상의 화상이 표시된다.
그런데, 특수 재생 화상인 역방향 재생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는, 제 34도의 (a)에 도시한 원화상의 역의 순서, 예를 들어, 12B, 11B, 10P, 9B . . . 라고 하는순서로 표시해야 된다. 그래서, B 픽처(12B)를 디코딩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면, B 픽처(12B)는 P 픽처(10P, 13P)로부터 예측된 부호화 화상이므로, P 픽처(10P, 13P)가 디코딩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디코딩된 P 픽처(10P)를 얻기 위해서는 P 픽처(7P)가 필요하고, P 픽처(7P)를 얻기 위해서는 P 픽처(4P)가 필요하며, P 픽처(4P)를 얻기 위해서는 I 픽처(11)가 필요하다.
따라서, 역방향 재생의 경우에도, 우선, I 픽처(11)를 판독해서 디코딩하고, 이어서 P 픽처(4P)를 디코딩하고, 이어서 P 픽처(7P)를 디코딩하고 P 픽처(10P)를 디코딩해야 된다. 또한, P 픽처(10P)로부터 픽처(13P)를 디코딩함으로써 P 픽처(10P, 13P)로부터 B 픽처(12B)를 마침내 디코딩할 수 있다.
계속해서, B 픽처(11B)는 P 픽처(10P, 13P)로부터 디코딩할 수 있고, 또한, P 픽처(10P)는 디코딩 완료이기 때문에 바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B 픽처(9B, 8B)를 디코딩하려면 P 픽처(7P)가 필요하므로, 재차 I 픽처(1I)를 판독하고, 또한 순차 P 픽처를 디코딩함으로써 P 픽처(7P)를 디코딩해야 된다.
이와 같이, MPEG된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원화상의 역의 순서로 역방향 재생하려면 통상 재생에 비해 많은 디코딩 스텝이 필요하며, 화상이 표시되기까지 긴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 지연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디코더로의 데이터 전송속도 등을 고속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프레임 메모리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I 픽처나 P 픽처는 여러 번 디코딩해야 된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는 역방향 재생시에 I 픽처만을 디코딩하여 표시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I 픽처만의 표시에 있어서는, 제 3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15 프레임마다 1매의 화상밖에 얻어지지 않고, 화상이 두드러지게 간인(間引)되어 표시되게 되어, 부자연스러운 표시 화상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디코더로의 부호화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고속으로 하는 일이 없고, 게다가 프레임 메모리의 용량을 크게 하지 않고, 표시한 경우에 자연스러운 특수 재생 화상이 얻어지는 역방향 재생 등의 특수 재생을 행할 수 있는 부호화 데이터의 특수 재생 방법 및 특수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부호화 데이터 특수 재생 방법은 단위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간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 및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가 판독되어 디코딩되고, 디코딩된 각각의 부호화 데이터가 프레임 버퍼 수단에 기록되고, 상기 프레임 버퍼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가 표시되는 데이터의 특수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독된 단위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및 프레임간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의 일부가 연속적으로 디코딩되는 동시에, 나머지 부호화 데이터가 간헐적으로 디코딩된 후, 상기 프레임 버퍼 수단에 기록되고, 그 프레임 버퍼 수단으로부터 원화상의 역전된 화상 순서로 판독되어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 특수 재생 방법에 있어서, 또한,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의 일부도 간헐적으로 디코딩하도록 한 것이고, 또한, 상기 단위 데이터에서의 초기에 표시되는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까지의 그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및 프레임간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우선하여 디코딩하도록 한 것이며, 또한, 상기 단위 데이터를 2 이상의 단위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상기 단위 데이터로 하도록 한 것이며, 또한 다음에 표시하는 화상이 상기 프레임 버퍼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표시중인 화상을 연속해서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 특수 재생 방법을 구현화한 본 발명의 부호화 데이터 특수 재생 장치는, 단위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간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 및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가 판독되어 기억되는 버퍼와, 그 버퍼로부터의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각각의 부호화 데이터가 기록되는 프레임 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버퍼로부터 상기 단위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간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 및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의 일부가 연속적으로 판독되어 디코딩되는 동시에, 나머지 부분이 간헐적으로 판독되어 디코딩된 후, 상기 프레임 버퍼에 기록되고, 상기 프레임 버퍼로부터 원화상의 역전된 화상 순서로 판독되어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 특수 재생 장치에 있어서, 또한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의 일부도 간헐적으로 디코딩하도록 한 것이며, 또한, 상기 단위 데이터에 있어서의 최초에 나타나는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까지의 상기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및 프레임간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우선하여 디코딩하도록 한 것이며, 또한, 상기 단위 데이터를 2 이상의 단위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상기 단위 데이터로 하도록 한 것이며, 또한, 다음에 표시하는 화상이 상기 프레임 버퍼에기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 표시중인 화상을 연속하여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수 재생시에 단위 데이터를 구성하는 I 픽처, P 픽처 데이터의 일부가 연속적으로 디코딩되는 동시에, 나머지 픽처 데이터가 간헐적으로 디코딩되어 표시 수단에 전송됨으로써 디코딩의 스텝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고속으로 할 필요가 없어지고, 데이터 흐름에 있어서의 파탄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특수 재생을 행할 때 필요한 프레임 버퍼의 용량을 크게 하지 않고, 재생된 화상을 표시 지연 시간을 개선해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데이터의 특수 재생 방법을 실현하는 데이터의 특수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제 1 도에 도시하며, 이 실시예에서는 매체가 디스크를 사용한 기록 매체로 되어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1은 동화상의 화상 신호 등이 MPEG에 의해 압축 부호화되어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2는 디스크 드라이브(1)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코드 버퍼(2-1), 디코딩 프로세스 수단(2-2), 및 프레임 버퍼(2-3)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디코딩하는 디코더, 3은 디코더(2)에 의해 디코딩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4는 특정 데이터 액세스 수단(5)을 제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디스크 드라이브(1)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판독함과 동시에, 통상 재생 신호나 특수 재생 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디코더를 제어하는 제어기, 5는 제어기(4)의 제어의 기초로 특정 데이터를 디스크로부터 판독하도록 디스크 드라이브(1)를 구동하는 특정 데이터 액세스 수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데이터의 특수 재생 장치의 통상 재생시의 동작을 설명하면, 디스크에는 상기 제 34 도의 (c)에 도시한 포맷에 의해 MPEG된 I 픽처, P 픽처, B 픽처가 기록되어 있다. 이 픽처의 데이터가 상기 제 34 도의 (d)에 도시한 순서로 디코딩될 수 있도록 화상 데이터 중 특정 픽처의 데이터가 특정 데이터 액세스 수단(5)에 의해 판독되고, 디코더(2)의 코드 버퍼(2-1)에 보내져 1차 축적된다. 그리고, 코드 버퍼(2-1)로부터 판독되어 디코딩 프로세스 수단(2-2)에 의해 디코딩됨으로써 제 34 도의 (d)에 도시한 순서로 픽처의 데이터가 디코딩된다. 이 디코딩된 픽처는 프레임 버퍼(2-3)에 보내진다.
이 프레임 버퍼(2-3)는 통상 에어리어 1, 에어리어 2, 에어리어 3으로 이루어지는 3매의 프레임을 격납할 수 있는 메모리 용량을 갖도록 되어 있고, 프레임 버퍼(2-3)에 보내진 디코딩된 픽처는 어느 하나의 소정의 에어리어에 격납된다.
그리고, 프레임 버퍼(2-3)로부터 제 34 도의 (c)에 도시한 순서로 픽처가 판독되고 디스플레이(3)에 의해 표시됨으로써, 원화상의 순서로 재생된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다음에, 특수 재생시의 동작을 역방향 재생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MPEG2에서는 상기한 GOP 구조를 갖는 경우와 갖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MPEG된 픽처가 그룹 데이터(GD)라고 하는 복수의 픽처로 이루어지는 단위로 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 2도는 1 GD가 15 픽처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GD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데,n은 I 픽처와 P 픽처 또는 P 픽처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고, m은 I 픽처와 I 픽처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 2 도의 (a)에는 4개의 GD에 배치된 픽처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통상 재생시의 디코딩 순으로 배치 변환된 기록 매체 상의 실제 비트 스트림(bit stream)을 제 2 도의 (b)에 도시한다.
이와 같이, 기록 매체 상에 배치되어 있는 MPEG된 픽처로부터 역방향 재생하는 경우의 디코더에 공급되는 데이터 공급 패턴 및 디코더로부터 판독되어 표시되는 데이터 출력 패턴의 일예를 제 3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프레임 버퍼(2-3)는 4매의 픽처를 격납할 수 있는 에어리어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제 3 도에서, (a)는 코드 버퍼(2-1)에 디스크 드라이브(1)로부터 판독된 픽처를 기록하는 타이밍인 Dsync이고, Dsync는 수직 동기 신호 V 싱크 배의 주기인 2V의 주기, 즉, 1 프레임의 주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코드 버퍼(2-1)는 Dsync로 트리거되어 디스크 드라이브(1)로부터 판독된 픽처가 2V의 주기로 제 3 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된다. 즉, 이 경우에는 디스크 드라이브(1)로부터는 특정 데이터 액세스 수단(5)의 제어에 의해, 제 3 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I, 19P, 22P, 25P, 28P, 27B, 16I, 19I, 24B, ...의 순서로 픽처가 판독된다.
그리고, 코드 버퍼(2-1)에 격납된 픽처는 디코딩 프로세스 수단(2-2)에 의해 디코딩되며, 각각의 픽처는 디코딩 개시로부터 2V 이내에서 디코딩이 완료되고, 디코딩 후의 픽처가 프레임 버퍼(2-3)에 제 3 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 격납된다.
즉, td1의 타이밍에서 디코딩이 개시된 I 픽처(161)는 프레임내 부호화 화상이므로 I 픽처(161)만으로 디코딩할 수 있고, 2V 후의 td2의 Dsync에 의해 디코딩후의 I 픽처(161)의 데이터의 프레임 버퍼(2-3)의 에어리어(1)에의 격납이 개시된다.
그리고, 그 2V 후의 td3의 타이밍에서 I 픽처(161)를 참조하여 디코딩된 P 픽처(19P)의 에어리어(2)에의 격납이 개시되고, 또한 2V 후의 td3의 타이밍에서 P 픽처(19P)를 참조하여 디코딩된 P 픽처(22P)의 에어리어(3)에의 격납이 개시되며, 또한, 2V 후의 td5의 타이밍에서 P 픽처(22P)를 참조하여 디코딩된 P 픽처(25P)의 에어리어(4)에의 격납이 개시되고, 또한, 2V 후의 td6의 타이밍에서 P 픽처(25P)를 참조하여 디코딩된 P 픽처(28P)가 에어리어 1을 중복 기록하는 것에 의한 격납이 개시된다.
또한, B 픽처(27B)는 에어리어 4에 격납되어 있는 P 픽처(25P)와 에어리어 1에 기억되어 있는 P 픽처(28P)를 참조하여 디코딩되고, td7의 타이밍에서 에어리어 2에의 격납이 개시된다.
이하, 제 3 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 프레임 버퍼(2-3)의 각 에어리어가 중복 기록되어 디코딩 후의 픽처가 격납된다.
이 프레임 버퍼(2-3)에 격납된 디코딩 후의 픽처는 원화상의 역의 순서로 되도록 디스플레이(3)에 보내져 표시되며, 프레임 버퍼(2-3)로부터 판독되는 타이밍은 상기 Dsync와는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 V, 즉 1 필드만큼 상이한 제 3 도의 (d)에 도시한 Vsync의 타이밍으로 된다.
예를 들어, Dsync td6의 타이밍에 의해 에어리어 1로의 격납이 개시된 P 픽처(28P)는 타이밍 td6의 V 시간 후의 Vsync tv1의 타이밍에서, 디스플레이(3)에 그 데이터가 전송되기 시작한다. 이 경우, 에어리어 1에의 P 픽처(28P)의 격납이 완료되는 것은 2V 후의 td7의 타이밍이 가장 늦은 경우가 되지만, td7의 시점에서는 디스플레이(3)에는 P 픽처(28P)의 1 필드분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3)에는 지장 없이 표시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도의 (b)에 도시한 픽처의 순서로 디스크 드라이브(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디코딩함으로써, 디스플레이(3)에 제 3 도의 (c)에 도시한 순서로 디코딩된 픽처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Vsync tv1의 타이밍에서 P 픽처(28P)가 에어리어 1로부터 디스플레이(3)에 전송 개시되고, tv2의 타이밍에서 B 픽처(27B)가 에어리어 2로부터 디스플레이(3)에 전송 개시되며, tv4의 타이밍에서 P 픽처(25P)가 에어리어 4로부터 디스플레이(3)에 전송 개시되고, tv5의 타이밍에서 B 픽처(24B)가 에어리어 2로부터 디스플레이(3)에 전송 개시되고, tv7의 타이밍에서 P 픽처(22P)가 에어리어 3으로부터 디스플레이(3)에 전송 개시되고, 이하, B 픽처(21B), P 픽처(19P), B 픽처(18B), I 픽처(16I). . .의 순서로 소정의 에어리어로부터 디스플레이(3)에 전송된다.
이에 의해, P 픽처(28P), B 픽처(27B), P 픽처(25P), B 픽처(24B), P 픽처(22P), B 픽처(21B), P 픽처(19P), B 픽처(18B), I 픽처(16I)...의 순서로 화상 신호가 디스플레이(3)에 표시되기 때문에, 역방향 재생된 화상을 디스플레이(3)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의 제어기(4)의 흐름도가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다.
역방향 재생 모드가 되면, 이 흐름도가 시작되어, 단계 S10에서 16I, 19I, 22P, 25P의 각 픽처 데이터를 순차 디코더로 보내 디코딩을 행하고, 그 결과를 각각 디코더의 프레임 버퍼의 에어리어 1, 에어리어 2, 에어리어 3, 에어리어 4 중 어느 하나에 기록한다. 이어서, 단계 S20에서 P 픽처(28P)의 데이터를 디코더에 전송하여 디코딩을 행하고, 디코딩된 데이터를 표시 프레임 버퍼의 에어리어에 기록한다. 이 기록 에어리어의 선택에 있어서는, 제어기가 미리 각 에어리어의 픽처의 미표시, 표시중, 표시 완료의 구분을 기억해 두고, 다시 한번 디코딩한 경우에 가장 적은 디코딩 회수로 재현할 수 있는 픽처의 판정을 행하고, 그 에어리어에 중복 기록을 행하도록 한다. 즉, 이 경우는 I 픽처(161)가 기록되어 있는 에어리어 1로 판정하고, 에어리어 1에 디코딩 후의 P 픽처(28P)를 중복 기록한다.
또한, 단계 S30에서 픽처(28P)의 디코딩 개시의 V 싱크(Dsync)로부터 1V 후의 Vsync를 트리거로 하여 P 픽처(28P)의 표시를 시작하도록 제어기(4)는 디코더(2)를 제어한다.
그리고, 단계 S40에서 P 픽처(28P)의 표시 개시로부터 1V 후의 V 싱크(Dsync)를 트리거로 하여 B 픽처(27B)의 픽처 디코딩을 할 수 있도록 제어기(4)는 디스크 드라이브(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시에, 디코딩시에 프레임 버퍼(2-3)로부터 P 픽처(25P, 28P)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디코딩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한다.
계속해서, 단계 S50에서 B 픽처(27B)의 디코딩 개시의 Dsync로부터 1V 후의 Vsync를 트리거로 하여 B 픽처(27B)의 픽처 표시를 개시하도록 제어기(4)는 디코더(2)를 제어한다.
또한, 단계 S60에서 B 픽처(27B)의 표시 개시로부터 1V 후의 Dsync를 트리거로 하여, I 픽처(16I)를 재차 디코딩할 수 있도록 제어기(4)는 디스크 드라이브(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디코더(2)에서 디코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단계 S70에서 이하 제 3 도에 도시한 타이밍으로 디코딩할 수 있도록 제어기(4)는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특수 재생시에 I 픽처와 P 픽처를 연속해서 디코딩하고 있는 데이터 부분과, 간헐적으로 디코딩하고 있는 데이터 부분이 있다. 또한, B 픽처는 간헐적으로 디코딩되고 있다. 이는 디코더(2)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고속으로 하지 않고, 데이터 흐름에 있어서의 파탄을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제어기(4)가 디코더(2) 및 특정 데이터 액세스 수단(5)을 제어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경우에 단독으로 디코딩할 수 있는 I 픽처, 및 직전의 순방향의 I 픽처 또는 P 픽처만을 참조하여 디코딩할 수 있는 P 픽처가 우선해서 디코딩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3)에 보낼 다음 화상 데이터가 프레임 버퍼(2-3)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표시중인 화상을 연속해서 디스플레이에 보내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제 3 도에 도시한 디코더에 공급되는 데이터 공급 패턴 및 디코더로부터 판독되어 표시되는 데이터 출력 패턴은 일예이며, 특수 재생을 행할 때여러 가지의 패턴으로 할 수 있다. 그래서, 특수 재생을 행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패턴을 다음에 나타내며, 상기 제 3 도에 도시된 패턴을 제 5 도에 도시하도록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즉, 제 5 도 내지 제 31 도에서 「코드 버퍼 판독 Dsync」의 란에는 제 3 도의 (a)에 도시한 Dsync의 타이밍에 의해 코드 버퍼(2-1)로부터 판독되는 픽처가 표시되어 있고, 「프레임 버퍼」의 란은 프레임 버퍼(2-3)의 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숫자의 란으로 세분화되고, 제 3 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에어리어에 Dsync의 타이밍에서 기록되는 픽처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Vsync」의 란은 제 3 도의 (d)에 도시한 Vsync의 타이밍에서, 프레임 버퍼(2-3)로부터 판독되어 디스플레이(3)에서 표시되는 픽처가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제 6 도 내지 제 31 도의 각 도면의 개략 설명을 행한다.
제 6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3매로 되어 있다.
제 7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다른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3매로 되어 있다.
제 8 도는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3매로 되어 있다.
제 9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3매로 되어 있다.
제 10 도는 모든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3매로 되어 있다.
제 11 도는 모든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다른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4매로 되어 있다.
제 12 도는 거의 하나 건너의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3매로 되어 있다.
제 13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3매로 되어 있다.
제 14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 동일 픽처를 계속해서 표시한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5매로 되어 있다.
제 15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3매로 되어 있다.
제 16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3매로 되어 있다.
제 17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3매로 되어 있다.
제 18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2매로 되어 있다.
제 19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또 다른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2매로 되어 있다.
제 20 도는 모든 I 픽처와 P 픽처와, 하나 건너의 B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3매로 되어 있다.
제 21 도는 모든 I 픽처와 P 픽처와, 몇 개의 B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 동일 픽처를 계속해서 표시하지 않는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6매로 되어 있다.
제 22 도는 연속하는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의 역방향 재생이 행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의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3매로 되어 있다.
제 23 도 내지 제 25 도는 모든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의 역방향 재생이 행해지는 경우의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4매로 되어 있다
제 26 도 내지 제 28 도는 거의 모든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의 역방향 재생이 행해지는 경우의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3매로 되어 있다.
제 29 도 내지 제 31 도는 거의 모든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의 역방향 재생이 행해지는 경우의 다른 예이며, 프레임 버퍼(2-3)의 매수(에어리어 수)는 3매로 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매체 및 방송 매체를 통해 축적된 부호화 데이터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특수 재생시에 단위 데이터를 구성하는 I 픽처 및 P 픽처의 일부가 연속적으로 디코딩되는 동시에, 나머지 픽처 데이터가 간헐적으로 디코딩되어 표시 수단에 전송됨으로써, 디코딩의 스텝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고속으로 할 필요가 없어지며, 데이터 흐름에 있어서의 파탄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특수 재생을 행할 때 필요한 프레임 버퍼의 용량을 크게 하지 않고, 재생된 화상을 표시 지연 시간을 개선해서 표시할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부호화 데이터의 특수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 2 도는 그룹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제 3 도는 특수 재생을 행하는 일예의 각종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
제 4 도는 특수 재생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제 5 도는 제 4 도에 도시하는 특수 재생을 행하는 일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6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7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8 도는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9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10 도는 모든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예를도시하는 도표.
제 11 도는 모든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12 도는 거의 하나 건너의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13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14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 동일 픽처를 계속해서 표시하지 않은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15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16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17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또 다른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18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19 도는 I 픽처와 P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20 도는 모든 I 픽처와 P 픽처와 하나 건너의 B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21 도는 모든 I 픽처와 P 픽처와 몇 개의 B 픽처에 의해 역방향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 동일 픽처를 계속해서 표시하지 않은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22 도는 모든 I 픽처, P 픽처 및 몇 개의 B 픽처의 역방향 재생이 행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23 도는 모든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의 역방향 재생이 행해지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 24 도는 모든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의 역방향 재생이 행해지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표의 계속.
제 25 도는 모든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의 역방향 재생이 행해지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표의 계속.
제 26 도는 거의 모든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의 역방향 재생이 행해지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표의 계속.
제 27 도는 거의 모든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의 역방향 재생이 행해지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표의 계속.
제 28 도는 거의 모든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의 역방향 재생이 행해지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표의 계속.
제 29 도는 거의 모든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의 역방향 재생이 행해지는 경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표의 계속.
제 30 도는 거의 모든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의 역방향 재생이 행해지는경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표의 계속.
제 31 도는 거의 모든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의 역방향 재생이 행해지는 경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표의 계속.
제 32 도는 MPEG 부호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 33 도는 프레임간 예측의 구조 및 매체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제 34 도는 원화상, 부호화 화상, 매체상 화상, 복호 화상, 통상 재생 화상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디스크 드라이브 2 : 디코더
2-1 : 코드 버퍼 2-2 : 디코딩 프로세스
2-3 : 프레임 버퍼 3 : 디스플레이
4 : 제어기 5 : 특정 데이터 액세스 수단

Claims (32)

  1.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 및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로 구성되는 프레임들의 미리 결정된 단위 그룹으로 형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그룹으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1, 5);
    상기 공급된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2-2);
    역방향 재생 모드에서, 상기 공급 수단(1, 5) 및 상기 선택적 디코딩 수단(2-2)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상기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와 간헐적으로 선택된 나머지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 및 선택된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들을 역방향 순서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디코딩하도록 제어 가능하게 동작하는 제어기(4); 및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를 역방향 순서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4)는 상기 단위 그룹으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 중 일부를 선택하고 디코딩하여 상기 역방향 순서를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제어기(4)의 제어 하에서, 상기 역방향 재생 모드에서 선택되는 상기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에 의존하여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고 공급하고 간헐적으로 디코딩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의 다수의 프레임들을 저장하기 위한 한정된 수의 디코딩된 프레임들의 메모리 저장 용량을 갖는 프레임 저장 수단(2-3)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역방향 순서로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을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저장 수단(2-3)은, 상기 선택된 나머지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와 상기 선택된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간헐적으로 디코딩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들 중 어떤 프레임이 필요한지에 의존하여, 선택된 디코딩 프레임들을 저장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4)는, 상기 프레임 저장 수단에 저장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수의 프레임들과 상기 선택된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들을 디코딩하기 위해 다른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들 중 어떤 프레임이 필요한지에 의존하여 선택 및 디코딩 순서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단위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적어도 하나의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기 위한 재생 수단(5), 및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판독된 부호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 저장 수단(2-1)을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광학 디스크인,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그룹은 15 프레임들로 이루어지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9.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 및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로 구성되는 프레임들의 미리 결정된 단위 그룹으로 형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역방향 재생 모드에서 상기 단위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내 부호화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된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단위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고 공급하고 간헐적으로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단위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고 공급하고 간헐적으로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를 역방향 순서로 출력하는 단계로서, 상기 역방향 순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부호화 데이터 중 일부가 선택되는 상기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재생 모드에서 선택되는 상기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에 의존하여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가 선택되고 공급되고 간헐적으로 디코딩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의 다수의 프레임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역방향 순서로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의 다수의 프레임들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나머지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와 상기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간헐적으로 디코딩하기 위해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들 중 어떤 프레임이 필요한지에 의존하여, 선택된 디코딩 프레임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선택된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간헐적으로 선택하고 공급하고 디코딩하는 단계는, 저장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수의 프레임들 및 상기 선택된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들을 디코딩하기 위해 다른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들 중 어떤 프레임이 필요한지에 의존하여, 선택 및 디코딩 순서를 생성하도록 배열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14.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 및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로 구성되는 프레임들의 미리 결정된 단위 그룹으로 형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그룹으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1, 5);
    상기 공급된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2-2);
    한정된 수의 디코딩된 프레임들의 메모리 저장 용량을 갖는 프레임 저장 수단(2-3);
    역방향 재생 모드에서, 상기 공급 수단(1, 5) 및 상기 선택적 디코딩 수단(2-2)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들을 역방향 순서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디코딩하며, 상기 프레임 저장 수단에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들을 선택적으로 저장함으로써, 상기 역방향 순서로 상기 단위 그룹의 선택된 프레임들을 재생하도록 제어 가능하게 동작하는 제어기(4); 및
    상기 프레임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들을 역방향 순서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3)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4)는 상기 프레임 저장 수단(2-3)에 저장될 수 있는 상기 한정된 수의 프레임들에 의존하여 상기 역방향 순서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단위 그룹으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고 디코딩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4)는 상기 역방향 재생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선택된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들을 디코딩하기 위해 다른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들 중 어떤 프레임이 필요한지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1, 5)은 단위 시간에 상기 단위 그룹으로부터 상기 부호화데이터 프레임들 중 하나를 재생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상기 하나의 재생된 부호화 데이터는 상기 프레임들의 상기 역방향 순서 및 상기 프레임 저장 수단(2-3)에 저장된 상기 한정된 수의 프레임들에 의존하여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3)은 상기 단위 그룹 중의 다음 디코딩된 데이터 프레임들이 상기 프레임 저장 수단(2-3)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을 경우, 디코딩된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4)는, 상기 역방향 재생 모드에 따라, 상기 프레임 저장 수단(2-3)에 저장된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 프레임들 중 어떤 프레임이 표시되지 않았는지, 표시되었는지 및 표시중인지를 결정하고, 이미 표시된 디코딩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 저장 수단(2-3)의 에어리어에 디코딩된 데이터 프레임을 저장하고, 상기 프레임 저장 수단 내의 어떠한 디코딩된 프레임들도 이미 표시되지 않았다면 표시되지 않은 프레임이 저장되어 있는 에어리어에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4)는, 표시되지 않은 프레임이 저장되어 있는 상기 프레임 저장 수단의 상기 에어리어에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 프레임을 저장할 때, 다수의 표시되지 않은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 상기 각각의 표시되지 않은 프레임을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한 디코딩 동작들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수에 따라, 최저 수의 디코딩 동작들을 갖는 표시되지 않은 프레임이 저장되어 있는 에어리어에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 프레임을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19.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들 중 한 프레임의 디코딩은 상기 단위 시간의 주기를 갖는 제 1 타이밍 신호와 관련하여 수행되고, 상기 프레임 저장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 프레임의 출력은 상기 단위 시간의 주기를 갖는 제 2 타이밍 신호와 관련하여 수행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이밍 신호는 수직 동기 신호의 기간만큼 상기 제 2 타이밍 신호로부터 오프셋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21.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1, 5)은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재생 수단(5), 및 상기 재생 수단이 판독한 재생된 부호화 데이터를 저장하기위한 부호화 데이터 저장 수단(2-1)을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광학 디스크인,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그룹은 15 프레임들로 이루어지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24.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3)은 상기 역방향 순서에 따라 상기 프레임 저장 수단(2-3)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을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25.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 및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로 구성되는 프레임들의 미리 결정된 단위 그룹으로 형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역방향 재생 모드에서, 상기 단위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내 부호화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된 부호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디코딩하는 단계;
    역방향 순서에 따라 부호화 데이터의 공급 및 디코딩을 제어하고, 한정된 수의 디코딩된 프레임들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디코딩 프레임들을 상기 역방향 순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공급 및 디코딩은, 저장될 수 있는 상기 한정된 수의 프레임들과 상기 역방향 순서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선택된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들을 디코딩하기 위해 상기 다른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들 중 어떤 프레임이 필요한지에 의존하는 상기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는 단위 시간에 상기 단위 그룹으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들 중 하나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재생된 부호화 데이터는 상기 프레임들의 상기 역방향 순서와 상기 한정된 수의 저장된 프레임들에 의존하여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그룹 중의 다음 디코딩된 데이터 프레임들이 상기 한정된 수의 저장된 프레임들로부터 이용 가능하지 않을 경우, 디코딩된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28.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된 수의 프레임들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역방향 재생 모드에 따라 상기 한정된 수의 저장된 디코딩 데이터 프레임들 중 어떤 프레임이 표시되지 않았는지, 표시되었는지 및 표시중인지 결정하고, 이미 표시된 디코딩 프레임을 대체하여 다음 디코딩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한정된 수의 저장된 디코딩 프레임들 어느 것도 표시되지 않았을 경우 표시되지 않은 프레임을 대체하여 다음 디코딩된 프레임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공급 및 디코딩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표시되지 않은 프레임을 대체하여 상기 다음 디코딩된 데이터를 저장할 때, 다수의 표시되지 않은 저장된 디코딩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 각각의 상기 표시되지 않은 프레임을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한 디코딩 동작들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수에 따라, 최저 수의 디코딩 동작들을 갖는 표시되지 않은 프레임을 대체하여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 프레임을 저장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 프레임들 중 한 프레임의 상기 디코딩은 상기 단위 시간의 주기를 갖는 제 1 타이밍 신호와 관련하여 수행되고,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의출력은 상기 단위 시간의 주기를 갖는 제 2 타이밍 신호와 관련하여 수행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이밍 신호는 수직 동기 신호의 기간만큼 상기 제 2 타이밍 신호로부터 오프셋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32.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순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고 공급하고 간헐적으로 디코딩하여 상기 역방향 순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KR1019960004108A 1995-02-15 1996-02-15 부호화데이터재생방법및장치 KR100416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927995A JP3591033B2 (ja) 1995-02-15 1995-02-15 符号化データの特殊再生方法および特殊再生装置
JP95-049279 1995-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446A KR960032446A (ko) 1996-09-17
KR100416873B1 true KR100416873B1 (ko) 2004-04-29

Family

ID=1282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108A KR100416873B1 (ko) 1995-02-15 1996-02-15 부호화데이터재생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99129A (ko)
EP (1) EP0727912B1 (ko)
JP (1) JP3591033B2 (ko)
KR (1) KR100416873B1 (ko)
CN (1) CN1135841C (ko)
DE (1) DE69620937T2 (ko)
ES (1) ES2172634T3 (ko)
MY (1) MY1144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1046B (en) * 1996-10-31 1999-06-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ynamic picture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coding dynamic picture image
US6259739B1 (en) * 1996-11-26 2001-07-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ving picture variable bit rate coding apparatus, moving picture variable bit rate 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moving picture variable bit rate coding program
US6201927B1 (en) 1997-02-18 2001-03-13 Mary Lafuze Comer Trick play reproduction of MPEG encoded signals
GB9703470D0 (en) 1997-02-19 1997-04-0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Trick play reproduction of MPEG encoded signals
JPH10322665A (ja) * 1997-05-07 1998-12-04 Lsi Logic Corp Gopデータの反復読出し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121590B2 (ja) * 1997-10-30 2008-07-23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特殊再生制御装置
US6353700B1 (en) * 1998-04-07 2002-03-05 Womble Multimedi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n MPEG data file backward
EP1078518B1 (en) * 1998-05-05 2003-01-08 Thomson Licensing S.A. Trick play reproduction of mpeg encoded signals
JP3097665B2 (ja) * 1998-06-19 2000-10-10 日本電気株式会社 異常検出機能を備えたタイムラプスレコーダ
EP1005226A3 (en) * 1998-11-25 2001-03-21 Sony Corporation MPEG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s
JP3552929B2 (ja) * 1998-11-27 2004-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復号化装置及び復号化方法
US7317866B1 (en) * 1999-08-17 2008-01-08 Thomson Licensing Reproducing a digital datastream containing program information for trick mode display
US6707778B1 (en) 1999-11-10 2004-03-16 Thomson Licensing S.A. Edit to picture without decoding and re-encoding of MPEG bit stream for recordable DVD
US6778265B1 (en) 1999-11-10 2004-08-17 Thomson Licensing S.A. Copy feature for recordable DVD editing
US6804449B1 (en) * 2000-01-05 2004-10-12 Genesis Microchip Inc. DVD reverse playback methods and apparatus
US7164844B1 (en) * 2000-03-02 2007-01-16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reverse playback
JP2002010216A (ja) * 2000-04-20 2002-01-11 Canon Inc 復号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GB2364459B (en) * 2000-06-30 2004-03-31 Nokia Mobile Phones Ltd Video error resilience
US7231138B1 (en) 2001-11-26 2007-06-12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VD single frame stepping backwards
US7221851B1 (en) 2001-11-26 2007-05-22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VD smooth search transitions
US8958688B2 (en) * 2001-11-26 2015-02-17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VD smooth rewind
JP3951839B2 (ja) * 2002-07-15 2007-08-0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
US7729590B2 (en) * 2004-08-03 2010-06-01 Sony Corporation Digital video stream trick play
KR100790980B1 (ko) * 2006-02-09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신호의 주파수 성분에 따라 후처리를 달리하는 영상신호의 후처리 회로
JP2007312002A (ja) * 2006-05-17 2007-11-29 Toshiba Corp Mpegビデオ再生装置、およびmpegビデオ再生方法
JP2012009934A (ja) * 2010-06-22 2012-01-12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処理方法
US9456383B2 (en) 2012-08-27 2016-09-27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 rate multimedia communications on a wireless network
US9247448B2 (en) * 2012-08-27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 rate multimedia communications on a wireless network
US8644691B1 (en) * 2012-11-29 2014-02-04 Nvidia Corporation Adaptively and accurately seeking a video frame of a video sequence rendered on a data process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45323A1 (en) * 1991-11-30 1993-06-09 Sony Corporation Motion picture decod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9989A (ja) * 1986-01-08 1987-07-15 Sony Corp テレビジヨン受像機
CA1307340C (en) * 1987-04-30 1992-09-08 Toshio Koga Image processing system for a coded signal sequence subjected to predictive coding in different manners
JPH01314080A (ja) * 1988-06-13 1989-12-19 Hitachi Ltd 画像データ転送方式
JP3264290B2 (ja) * 1992-09-22 2002-03-11 ソニー株式会社 復号方法および復号装置
US5535008A (en) * 1993-03-16 1996-07-09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ethod for jump-reproducing video data of moving picture coded with high efficienc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45323A1 (en) * 1991-11-30 1993-06-09 Sony Corporation Motion picture deco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91033B2 (ja) 2004-11-17
DE69620937T2 (de) 2002-11-28
EP0727912A3 (en) 1998-01-07
US5799129A (en) 1998-08-25
KR960032446A (ko) 1996-09-17
ES2172634T3 (es) 2002-10-01
EP0727912A2 (en) 1996-08-21
JPH08223586A (ja) 1996-08-30
CN1141558A (zh) 1997-01-29
CN1135841C (zh) 2004-01-21
DE69620937D1 (de) 2002-06-06
MY114417A (en) 2002-10-31
EP0727912B1 (en) 200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6873B1 (ko) 부호화데이터재생방법및장치
JPH089319A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3277713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装置、記録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
KR100941388B1 (ko) 비디오 신호 발생 방법
JP3147792B2 (ja) 高速再生のためのビデオデータの復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US5327173A (en) Moving image coding apparatus and moving image decoding apparatus
KR100975170B1 (ko) 화상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US7058280B2 (en)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high-speed reproducing function
US5841935A (en) Coding method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0154890B1 (ko) 화상신호 복호화방법 및 화상신호 복호화장치
US6128340A (en) Decoder system with 2.53 frame display buffer
JP3061125B2 (ja) Mpeg画像再生装置およびmpeg画像再生方法
US6754272B2 (en) Pictur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picture signal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5710859A (en) Image data recorder wherein compressed data recording is stopped/started at a different time than commanded
KR100373602B1 (ko) 비디오디코더및디코딩방법
JP4069823B2 (ja) 特殊再生用データ作成装置
JP2000023096A (ja) データ符号化方法、復号化方法及び装置
JP2001128125A (ja) 動画像再生装置
JPH08265759A (ja) 圧縮信号切換装置
JP2003037818A (ja) 特殊再生用データ作成装置
JP2000197058A (ja) 動画像符号化/復号装置
JP2002305723A (ja) データ記録装置
JP2002305722A (ja) データ生成装置
JP2002305725A (ja) データ再生装置
JP2002305726A (ja) 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