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634B1 -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및 이에 의한 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및 이에 의한 세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634B1
KR100416634B1 KR20010073377A KR20010073377A KR100416634B1 KR 100416634 B1 KR100416634 B1 KR 100416634B1 KR 20010073377 A KR20010073377 A KR 20010073377A KR 20010073377 A KR20010073377 A KR 20010073377A KR 100416634 B1 KR100416634 B1 KR 100416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ank
oil
main
heavy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7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642A (ko
Inventor
홍병열
Original Assignee
엘지칼텍스정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칼텍스정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칼텍스정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1007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63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9/0936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using rotating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6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 B08B7/0071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by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를 적재하기 위한 돌출부를 갖는 메인 탱크와 상기 탱크에 적재된 유류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게이지를 구비하는 기준기 탱크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탱크에 잔류하는 중질유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유를 저장하는 세척유탱크, 일 단부에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을 통하여 상기 세척유탱크에 저장된 세척유를 상기 메인 탱크의 내부 벽에 분사하기 위한 세척 봉, 상기 세척유탱크와 상기 세척 봉을 연결하고, 상기 세척유탱크에 저장된 세척유를 상기 세척 봉으로 이송하는 메인 라인 및 상기 메인 라인 가운데에 형성되고, 상기 세척유탱크에 저장된 세척유를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세척 봉으로 공급하기 위한 세척유공급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탱크 일 측에 상기 세척 봉이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및 이를 이용한 세척 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및 이에 의한 세척 방법{Automatic Washing Prover Tank for Heavy Oil and Automatic Washing Method thereby}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정유사의 출하적재기에 설치된 유량계를 점검하기 위한 기준기 탱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중질유를 공급하는 출하적재기에 설치된 유량계를 검정한 후 기준기 탱크 내부 및 게이지에 잔류하는 중질유를 자동 세척함으로써 또 다른 유량계를 연속하여 검정할 수 있는 기준기 탱크 및 이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정유사는 소비자에게 유류를 공급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곳이다. 이를 위하여 정유사에는 유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저장된 유류를 출하하는 출하적재기, 및 상기 출하적재기를 통하여 출하된 유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정유사에서는 통상 대량의 유류가 그것도 빈번하게 출하되므로 이러한 유량계는 출하적재기를 통과하는 유류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에 대한 신뢰성과 기업 윤리의 측면에서도 이는 당연할 것이며, ISO 규정에서도 1년에 2회씩 유조차에 유류를 적재하는 출하적재기에 설치된 유량계를 검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유량계를 검정하기 위한 장치로 개발된 기존의 측정 기준기(prover)는 출하적재기를 통하여 출하된 유류를 적재하는 탱크를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이 용이하게 한 것이다. 즉 사전에 정해진 양(일반적으로는 2,000 L)을 정확하게 검정할 수 있는 기준선을 갖는 탱크에 상기 유량계를 통하여 사전에 정해진 양만큼 상기 탱크에 출하 적재한 뒤에 상기 기준선과 비교할 수 있게 한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검정장치는 경질유를 출하하는 출하적재기에 설치된 유량계를 검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질유, 즉 벙커 C유를 공급하는 출하적재기에 설치된 유량계를 검정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경질유와는 달리 중질유는 점성이 높은 특성을 지님으로써 종래의 검정장치를 이용하여 유량계를 1회 검정하면 탱크 내부 벽에 중질유가 고착되어 이를 세척하지 않고는 다른 유량계를 검정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다만 경질유의 경우는 점성이 낮아 탱크 내부 벽에 고착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문제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벙커 C유와 같은 중질유를 공급하는 출하적재기에 설치된유량계를 검정할 수 있고 아울러 검정과정에서 탱크 내부 벽에 고착된 중질유를 자동 세척함으로써 복수개의 유량계를 연속하여 검정할 수 있는 기준기와 이를 구비한 차량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에게 정확한 양의 기름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출하적재기의 유량계를 검정할 수 있는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및 이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유사의 중질유를 공급하는 출하적재기의 유량계를 검정할 수 있는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및 이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준기 탱크 내부에 남는 중질유 잔량이 최소화할 수 있는 중질유용 기준기 탱크 및 이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질유를 검정하는 기준기 탱크를 자동 세척함으로써 다수의 유량계를 연속적으로 검정할 수 있는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및 이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탱크에 적재된 중질유가 점성으로 인하여 고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히팅 장치를 구비한 기준기 탱크 및 이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달성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차량의 정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기준기 탱크 차량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질유용 기준기 탱크에 형성되는 세척 봉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세척 봉에 형성되는 노즐의 일 구체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 메인 탱크 2 : 게이지
3 : 세척 봉 4 : 세척유 탱크
5 : 세척유공급펌프 6 : 메인 라인
7 : 방출구 8 : 돌출부
9 : 계단 10 : 히터
11 : 이중 프레임 12 : 밸런스 게이지
13 : 온도 게이지 14 : 짐 칸
15 : 방출 펌프 16 : 고정 프레임
200 : 보조 라인 201, 201′: 연결 관
202 ; 밸브 203 : 기준선
300 ; 파이프 301 : 파이프 홀더
302 : 노즐 303 : 노즐 볼
304 : 노즐 드럼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유류를 적재하기 위한 돌출부를 갖는 메인 탱크와 상기 탱크에 적재된 유류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게이지를 구비하는 기준기 탱크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탱크에 잔류하는 중질유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유를 저장하는 세척유탱크, 일 단부에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을 통하여 상기 세척유탱크에 저장된 세척유를 상기 메인 탱크의 내부 벽에 분사하기 위한 세척 봉, 상기 세척유탱크와 상기 세척 봉을 연결하고, 상기 세척유탱크에 저장된 세척유를 상기 세척 봉으로 이송하는 메인 라인 및 상기 메인 라인 가운데에 형성되고, 상기 세척유탱크에 저장된 세척유를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세척 봉으로 공급하기 위한 세척유공급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탱크 일 측에 상기 세척 봉이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및 이를 이용한 세척 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기준기 탱크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질유용 기준기 탱크는기본적으로 메인 탱크(1), 게이지(2), 세척유 탱크(4), 및 세척 봉(3)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탱크(1)는 저유소의 출하적재기에 설치된 유량계를 검정하기 위하여 상기 출하적재기로부터 유량계를 통하여 공급된 중질유를 적재하는 탱크이다. 상기 게이지(2)는 상기 메인 탱크(1)에 적재된 중질유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정한 높이를 갖는 투명관에 눈금을 메긴 것이다. 상기 세척유탱크(4)는 상기 메인 탱크(1)에 적재된 중질유를 방출하고 난 뒤에 메인 탱크 내부 벽에 잔류하는 중질유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유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이다. 일반적으로 벙커 C유와 같은 중질유는 점성이 높아 탱크 내부 벽에 쉽게 고착되므로 이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세척유가 필요하다. 이러한 세척유로는 중질유보다 밀도와 점성이 낮은 경유, 등유, 휘발유 등의 사용이 가능하나, 가격과 안전성을 고려할 때 경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탱크(1)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몸체와 그 위로 일정한 높이의 돌출부(8)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8)는 중질유가 출하적재기에서 메인 탱크로 공급될 때 상기 메인 탱크 밖으로 튀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울러 하기에 설명할 게이지(2)를 통하여 적재된 중질유의 양을 측정하기 쉽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 탱크는 일반적으로 2,000L의 중질유를 적재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다.
사전에 정해진 양만큼의 중질유를 상기 메인 탱크에 적재하면 일반적으로 중질유의 최고위는 상기 돌출부(8)의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8)에는 사전에 정해진 양(예를 들면, 2,000L)에 해당하는 최고위를 지정하는기준선(203)이 있으며, 이는 적재된 양이 정확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아울러 상기 메인 탱크의 하부에는 적재된 중질유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구(7)가 형성된다. 본 그림에서는 상기 메인 탱크의 몸체가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구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다만 몸체와 돌출부를 연결함에 있어서 일정한 각도로서 경사를 형성하여 하기에서 설명할 세척유가 흘러내리면서 세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메인 탱크의 상부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세척 봉(3)이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본 그림에서는 메인 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세척 봉이 삽입되고 있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구체예일 뿐이며, 상기 메인 탱크의 측부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필요에 따라 그 위치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게이지(2)는 상기 메인 탱크(1)의 돌출부(8)의 측면에 상기 돌출부와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는 연결 관(201, 201′)이 게이지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연결 관(201)이 상기 돌축부(8)에 형성된 기준선(203)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중질유가 상기 돌출부에 적재될 때 동시에 상기 게이지의 하부 연결 관(201)을 통하여 게이지(2)에도 적재되도록 한다. 다만, 상기 기준선(203)은 사전에 상기 게이지(2)에 적재되는 양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중질유는 일반적으로 검은 색을 띠는 점성이 강한 기름으로써, 상기 게이지(2)의 투명관을 통하여 쉽게 그 적재된 양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게이지(2)에는 상기 기준선(203)에 대응하는 기준 눈금과 그 상하로 일정 단위의눈금을 새김으로써 적재된 중질유가 정확한 양인지, 즉 기준선에 비하여 얼마나 부족한지 또는 많은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연결 관(201, 201′)에는 밸브(202)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메인 탱크에 중질유를 적재할 때 하부 연결 관에 설치된 밸브를 열어서 상기 게이지(2)에도 중질유가 적재되게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탱크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탐지할 수 있는 밸런스 게이지(12)를 더 설치하여, 전체 기준기 탱크가 기울어짐에 따른 측정 오차를 줄인다.
상기 세척 봉(3)은 상기 메인 탱크(1) 내부 벽에 잔류하는 중질유를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단부는 세척유탱크(4)에 저장된 세척유를 이송하는 메인 라인(6)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는 세척 노즐이 형성되나. 메인 탱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유는 세척유탱크(4)에 저장되며, 상기 세척유탱크(4)에 저장된 세척유를 상기 세척 봉(3)에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세척유공급펌프(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유공급펌프(5)는 메인 라인(6)의 어느 한 지점에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게이지(2)의 벽에도 중질유가 잔류하므로 어느 한 유량계를 검정하고 난 뒤에는 게이지 또한 세척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일 단부는 상기 메인 라인(6)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게이지(2)의 상부 연결 관(201′)에 연결되는 보조 라인(200)을 더 설치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세척유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척유는 메인 탱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봉(3) 뿐만이 아니라 동시에 상기 게이지(2)에도 공급된다. 상기 게이지(2)의 상부 연결 관(201′)에 공급된 세척유는 상기 게이지(2)를 따라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게이지의 벽에 잔류하는 중질유를 세척하게 된다.
중질유는 일반적으로 점성이 높아서 상온에서는 쉽게 엉김이 생기고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탱크의 내부 벽에 고착되기가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준기 탱크는 상기 메인 탱크(1)를 둘러싸는 이중 프레임(11)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 탱크와 이중 프레임 사이에 히터(10)를 설치한다. 상기 히터에 의하여 상기 메인 탱크를 가열함으로써 그 내부에 적재된 중질유의 온도를 높여 점성을 낮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질유의 온도가 50∼70℃가 되도록 한다.
상기 히터(10)는 코일을 감아서 사용하는 열선 방식의 히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탱크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하여 적재된 중질유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탱크(1) 내부에 적재된 중질유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게이지(13)를 더 설치하여, 상기 히터(10)를 작동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질유용 기준기 탱크에 형성되는 세척 봉의 부분 단면도이다. 상기 세척 봉(3)은 세척유를 이송하기 위한 파이프(300), 상기 파이프를 통하여 이송된 세척유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302), 및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고 상기 메인 탱크에 고정되는 파이프 홀더(301)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300)의 일 단부는 메인 라인(6)에 연결되어 메인 라인을 통하여 공급된 세척유를 노즐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300)의 다른 단부는 노즐(302)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을 통하여 탱크 내부 벽에 세척유가 분사된다.
상기 세척 봉(3)은 메인 탱크(1)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세척 봉(3)을 상기 메인 탱크(1)에 고정하기 위한 파이프 홀더(301)가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홀더(301)는 파이프(300)를 수용하여 지지하며 동시에 상기 메인 탱크에 고정된다. 상기 파이프(300)를 지지하면서 메인 탱크에 고정되는 파이프 홀더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 개스킷, 플랜지 등을 사용하는 기술은 본 발명에 대응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그림에서는 상기 세척 봉(3)이 비스듬하게 메인 탱크 내부로 삽입되고 있는 바, 이는 상기 메인 탱크 천장의 세척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경사를 형성함에 따른 것이다. 다만 상기 세척 봉의 노즐(302)을 메인 탱크의 중심부에 위치시킴에 따라 메인 탱크 내부에 세척유가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도는 제3도의 세척 봉에 형성되는 노즐의 일 구체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준기 탱크에 삽입되는 세척 봉(3)에 형성되는 노즐(302)은 파이프(300)에 연결되는 노즐 드럼(304)과 상기 노즐 드럼에 결합되는 노즐 볼(303)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 볼(303)은 상반구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을 통하여 세척유가 분사된다. 상기 노즐을 통하여 세척유가 메인 탱크 천장과 벽면에 분사되고, 상기 세척유가 흘러내리면서 잔류하는 중질유를 세척하므로, 원칙적으로는 상기 노즐 볼(303)의 하반구에는 구멍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상기 노즐 볼(303)에 형성되는 구멍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분사 압력과 분사량을 고려하여 6개의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노즐 드럼(304)은 노즐 볼(302)과 파이프(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노즐 볼(302)이 상기 노즐 드럼(30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드럼(304) 내부에는 기어 또는 베어링(도시되지 아니함)이 장착되어 있다. 세척유가 상기 드럼을 통과할 때 별도의 동력없이 유압에 의해 상기 노즐 볼(302)이 상기 노즐 드럼(30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기어 또는 베어링이 장착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준기 탱크에 있어서는 기준기 탱크를 1회 세척함에 대략 30L 정도의 세척유가 분사되고 상기 노즐은 2∼4 회전을 하며, 상기 노즐 볼(302)이 1회 회전함에 있어서는 15∼30 초의 시간으로 걸리도록 설정한다. 이는 2,000L를 적재하는 메인 탱크를 기준으로 충분한 세척과 작업 효율을 고려하여 결정된 것으로서 다른 사이즈의 메인 탱크의 경우에는 변경이 가능하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준기 탱크는 메인 탱크에 잔류하는 중질유를 자동 세척함으로써 다수의 유량계를 연속적으로 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저유소의 유량계를 검정하기 위하여 상기 기준기 탱크를 차량에 설치함으로써 기준기 탱크 차량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준기 탱크 차량은 짐칸을 구비하는 통상의 차량에 상기 기준기 탱크, 상기 기준기 탱크의 메인 탱크를 짐칸에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및 차량에 올라가서 상기 기준기 탱크의 게이지를 확인하기 위한 계단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고정 프레임(16)은 메인 탱크(1)를 상기 짐칸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탱크의 주위 4곳에 형성되어 차량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탱크에 적재된 중질유를 더욱 효율적이고 완전하게 방출하기 위하여 방출펌프(15)를 더 구비한다. 다만, 상기 방출펌프(15)는 통상의 화물 차량에 설치된 펌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중질유를 적재하는 메인 탱크 및 기준기를 자동으로 세척하고, 메인 탱크에 공급된 중질유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중질유를 공급하는 다수의 출하적재기의 유량계를 연속적으로 검정할 수 있고, 아울러 소비자에게 정확한 양의 중질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정유사의 출하적재기의 유량계를 정확하게 검정할 수 있는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및 이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유류를 적재하기 위한 돌출부를 갖는 메인 탱크와 상기 탱크에 적재된 유류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게이지를 구비하고, 출하적재기의 유량계를 검정하기 위한 기준기 탱크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탱크에 잔류하는 중질유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유를 저장하는 세척유탱크;
    일 단부에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을 통하여 상기 세척유탱크에 저장된 세척유를 상기 메인 탱크의 내부 벽에 분사하기 위한 세척 봉;
    상기 세척유탱크와 상기 세척 봉을 연결하고, 상기 세척유탱크에 저장된 세척유를 상기 세척 봉으로 이송하는 메인 라인; 및
    상기 메인 라인 가운데에 형성되고, 상기 세척유탱크에 저장된 세척유를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세척 봉으로 공급하기 위한 세척유공급펌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탱크 일 측에 상기 세척 봉이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의 상부와 상기 메인 라인을 연결하는 보조 라인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라인을 통하여 중질유가 상기 게이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탱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상기 메인 탱크 주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봉은
    일 단부가 상기 메인 라인에 연결되고, 중질유를 이송하기 위한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다른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를 통하여 이송된 중질유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 및
    상기 파이프를 수용하여 지지하고, 상기 메인 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탱크에 고정되는 파이프 홀더;
    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이 상기 메인 탱크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기 탱크가 차량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6. 출하적재기의 유량계를 검정하기 위한 기준기 탱크를 세척함에 있어서,
    세척유탱크에 저장된 세척유를 메인 라인을 통하여 세척 봉으로 이송하고;
    상기 메인 라인을 통하여 이송되는 세척유의 일부를 보조라인을 통하여 게이지에 이송하고;
    상기 게이지로 이송된 세척유로서 상기 게이지의 벽에 잔류하는 중질유를 세척하고; 그리고
    상기 세척 봉으로 이송된 세척유를 상기 세척 봉의 단부에 형성된 노즐을 통하여 메인 탱크 내부 벽에 분사하여 상기 메인 탱크 내부 벽에 잔류하는 중질유를 세척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척유탱크에 저장된 세척유를 세척유공급펌프를 통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세척 봉으로 이송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메인 탱크의 중심부에 위치하면서 세척유를 상기 메인 탱크의 내부 벽에 균일하게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질유용 기준기 탱크의 자동세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히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탱크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메인 탱크 내부 벽에 잔류하는 중질유의 온도를 높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질유용 기준기 탱크의 자동세척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봉으로 이송되는 세척유의 유압에 의하여 상기노즐이 회전하면서 세척유를 상기 메인 탱크 내부 벽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질유용 기준기 탱크의 자동 세척 방법.
KR20010073377A 2001-11-23 2001-11-23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및 이에 의한 세척 방법 KR100416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73377A KR100416634B1 (ko) 2001-11-23 2001-11-23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및 이에 의한 세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73377A KR100416634B1 (ko) 2001-11-23 2001-11-23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및 이에 의한 세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642A KR20030042642A (ko) 2003-06-02
KR100416634B1 true KR100416634B1 (ko) 2004-02-05

Family

ID=2957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73377A KR100416634B1 (ko) 2001-11-23 2001-11-23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및 이에 의한 세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6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7438A1 (en) * 2008-09-03 2010-03-11 Gamajet Cleaning Systems, Inc. Rotary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liquid storage tank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01308B1 (es) * 2005-11-22 2009-05-01 Albemarna, S.L. Procedimiento para el control, la desgasificacion y la eliminacion de atmosferas explosivas en recintos confinados de almacenamiento de productos petroliferos liquidos y similares y dispositivo correspondien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7438A1 (en) * 2008-09-03 2010-03-11 Gamajet Cleaning Systems, Inc. Rotary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liquid storage ta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642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80055A (en) Tank system tightness tester
JP5450413B2 (ja) 光ファイバ燃料検出システム
US7258098B2 (en) Vehicle mounted type fuel testing apparatus
US10994984B2 (en) Level sensing apparatus
US7584644B2 (en) Calibrator for fuel pump
US7461541B2 (en) Leak detection method for a primary containment system
JP2010014435A (ja) 沈下測定装置及び沈下測定方法
KR100416634B1 (ko) 중질유용 자동세척 기준기 탱크 및 이에 의한 세척 방법
CN104973554A (zh) 瓶子供应系统和瓶盖适配器
US5975132A (en) Preassembled underground secondary containment system for containing fuel
KR20100008201A (ko) 액체 높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체 높이 측정 방법
CN109716091A (zh) 罐测试装置和方法
JP2006264766A (ja) 燃料管理システム
BR112020003904A2 (pt)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combustível, e, conjunto de detecção de corrosão para uso em um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combustível.
JP4137330B2 (ja) 液体流量計の試験装置
KR20090048101A (ko) 약액 공급 장치
JPH09301491A (ja) 液体燃料タンク
RU2314501C1 (ru) Способ калибровки резервуаров
WO2014081335A1 (ru) Передвижная установка контроля налива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KR100758629B1 (ko) 액화가스 기화기용 플로트밸브의 검사장비
CN113120442A (zh) 液体供应系统
EP1231506B1 (en) Photographic processor having a replenishment delivery system
CN219161412U (zh) 一种水表校验装置
JP2008180664A (ja) 飲料用ディスペンサの保密検査方法と保密検査装置
RU2795843C1 (ru) Мер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