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953B1 - 스피커용 요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스피커용 요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953B1
KR100415953B1 KR10-2001-0085906A KR20010085906A KR100415953B1 KR 100415953 B1 KR100415953 B1 KR 100415953B1 KR 20010085906 A KR20010085906 A KR 20010085906A KR 100415953 B1 KR100415953 B1 KR 100415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frame
coupling
speaker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819A (ko
Inventor
조성일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5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95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5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용 요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트와, 폴피스와, 보이스코일과, 진동판 및 댐퍼를 포함하는 스피커에 있어서, 중앙부에 하측 절곡된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단에서 양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결합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날개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의 내측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지지판이 절곡 형성되는 원형의 요크와, 상기 저면의 중앙부에 상기 요크의 날개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요크의 지지판에 상기 마그네트 및 폴피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요크의 결합 돌기를 상기 프레임의 결합홀에 결합 후 코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요크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스피커를 경량화시키고, 스피커의 프레임과 요크의 결합을 코킹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력을 증진시키며, 스피커의 프레임을 일반 프레임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범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용 요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YOKE AND FRAME FOR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용 요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요크 및 플레이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요크를 형성하여 스피커를 경량화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요크를 프레임과 코킹 결합을 통해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스피커용 요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마그네트로부터 자계가 발생되어 플레이트 및 요크를 통해 자기루프가 형성되고, 자기회로 갭(gap) 내에 놓인 보이스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 전류와 자계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음성코일이 진동하게 되고, 이 진동에 따라 보이스코일에 결합된 진동판(일명 '콘지')이 음향 신호를 발생하여 소리를 내게 된다.
상기 동작을 이루는 종래의 스피커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커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로서, 중앙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는 U자형 요크(1)와, 요크(1)의 공간부 저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2)와, 플레이트(2)의 상면에 부착되는 마그네트(3)와, 마그네트(3)의 상면에 부착된 폴피스(4)와, 스피커의 외관을 이루며, 요크(1)가 결합되는 사출 프레임(5)과, 요크(1) 및 폴피스(4)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된 권선부 및 보빈으로 구성된 보이스코일(6)과, 보이스코일(6)의 상부에 형성된 보빈의 측면에 각각 일단이 접착됨과 동시에 타단은 사출 프레임(5)에 결합된 진동판(7) 및 댐퍼(8)로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9는 센터캡이고, 10은 개스켓 어셈블리이다.
한편 요크와 사출 프레임의 결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출 프레임(5)의 저면에는 요크(1)의 결합이 가능한 결합홈(5-1)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요크(1)의 끝단, 즉 외주면에는 결합 돌기(1-1)가 형성되어 있어 사출 프레임(5)의결합홈(5-1)에 요크(1)의 결합 돌기(1-1)를 끼워 본드 접합하거나 또는 사출 인서트의 방식으로 접합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스피커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마그네트(3)로부터 발생된 자계가 폴피스(4)를 통해 요크(1)와 폴피스(4)사이의 공간부인 자기회로 갭을 통과하여 요크(1)를 지나 자속을 형성하고, 자기회로 갭 내에 놓인 보이스코일(6)에 전류가 흘러 구동력이 발생되어 진동판(7) 및 댐퍼(8)에 전달되면, 이 진동판(7) 및 댐퍼(8)는 보이스코일(6)의 구동력에 대응되어 진동을 하게 되고, 이 진동판(7) 및 댐퍼(8)의 진동으로 결국 음향 신호가 발생되어 음파를 생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피커는 요크 상에 플레이트를 부착시키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의 사용으로 인해 스피커의 중량을 어느 이상 경량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피커의 사출 프레임의 경우 요크와 결합시 본드 결합 또는 사출 인서트 결합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사출 프레임과 요크의 열특성(수축, 팽창률)이 서로 달라 고온 및 저온에서 결합 부위에 크랙이 발생되어 파손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피커의 사출 프레임을 사용함에 있어 철판으로 제작된 일반 프레임보다는 범용성이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레이트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요크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스피커를 경량화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피커의 프레임과 요크의 결합을 코킹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력을 증진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피커의 프레임을 일반 프레임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범용성을 증진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커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마그네트 4 : 폴피스
6 : 보이스코일 7 : 진동판
8 : 댐퍼 110 : 요크
111 : 공간부 113 : 날개부
115 : 결합 돌기 117 : 지지판
120 : 프레임 121 : 결합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마그네트와, 폴피스와, 보이스코일과, 진동판 및 댐퍼를 포함하는 스피커에 있어서,중앙부에 하측 절곡된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단에서 양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 4개 이상의 결합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날개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의 내측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지지판이 절곡 형성되는 원형의 요크와,상기 저면의 중앙부에 상기 요크의 날개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상기 요크의 지지판에 상기 마그네트 및 폴피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요크의 결합 돌기를 상기 프레임의 결합홀에 결합 후 코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용 요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스피커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스피커(100)는, 중앙부에 하측 절곡된 공간부(111)가 구비되고, 공간부(111)의 상단에서 양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결합 돌기(115)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날개부(113)를 가지며, 공간부(111)의 내측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지지판(117)이 절곡 형성되는 원형의 요크(110)와, 요크(110)의 지지판(117)에 부착되는 마그네트(3)와, 마그네트(3)의 상면에 부착된 폴피스(4)와, 저면의 중앙부에 요크(110)의 날개부(113)에 형성된 결합 돌기(115)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121)이 형성되는 프레임(120)과, 요크(110) 및 폴피스(4)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된 권선부 및 보빈으로 구성된 보이스코일(6)과, 보이스코일(6)의 상부에 형성된 보빈의 측면에 각각 일단이 접착됨과 동시에 타단은 프레임(120)에 결합된 진동판(7) 및 댐퍼(8)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결합 돌기(115) 및 결합홀(121)은 4개로 형성되고,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에서 또한 프레임(120)은 기존에 사용된 일반 프레임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스피커의 결합 공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요크(110)의 결합 돌기(115)를 프레임(120)의 결합홀(121)에 결합 후 코킹시켜 요크(110)와 프레임(120)을 상호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요크(110)의 지지판(117)에 마그네트(3) 및 폴피스(4)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보이스코일(6)에 각각의 일단이 결합된 진동판 및 댐퍼의 타단을 프레임(120)의 내측에 결합시킨다. 이때 보이스코일(6)은 요크(110)와 폴피스(4) 사이의 공간부인 자기회로 갭내에 위치된다.
한편, 이러한 스피커(100)는 종래의 동작과 동일하게 동작된다.
따라서 플레이트가 일체화된 요크를 사용함으로써 스피커의 무게를 경량화시키고, 요크와 프레임의 결합 방식을 코킹 결합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결합력을 제공하며, 일반 철판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스피커의 범위를 확대, 즉 범용성을 증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용 요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플레이트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요크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스피커를 경량화시키고, 스피커의 프레임과 요크의 결합을 코킹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력을 증진시키며, 스피커의 프레임을 일반 프레임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범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마그네트와, 폴피스와, 보이스코일과, 진동판 및 댐퍼를 포함하는 스피커에 있어서,
    중앙부에 하측 절곡된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단에서 양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 4개 이상의 결합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날개부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의 내측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지지판이 절곡 형성되는 원형의 요크와,
    상기 저면의 중앙부에 상기 요크의 날개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요크의 지지판에 상기 마그네트 및 폴피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요크의 결합 돌기를 상기 프레임의 결합홀에 결합 후 코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요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1-0085906A 2001-12-27 2001-12-27 스피커용 요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 KR100415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906A KR100415953B1 (ko) 2001-12-27 2001-12-27 스피커용 요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906A KR100415953B1 (ko) 2001-12-27 2001-12-27 스피커용 요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819A KR20030055819A (ko) 2003-07-04
KR100415953B1 true KR100415953B1 (ko) 2004-01-24

Family

ID=3221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906A KR100415953B1 (ko) 2001-12-27 2001-12-27 스피커용 요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424760U (zh) * 2018-12-19 2019-01-22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扬声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6697A (en) * 1981-05-29 1982-12-02 Pioneer Electronic Corp Dynamic type speaker
KR890004014Y1 (ko) * 1987-08-24 1989-06-15 장창충 실왁스용 왁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6697A (en) * 1981-05-29 1982-12-02 Pioneer Electronic Corp Dynamic type speaker
KR890004014Y1 (ko) * 1987-08-24 1989-06-15 장창충 실왁스용 왁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819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594B1 (ko) 다기능 스피커
US20070189577A1 (en) Ferrofluid Centered Voice Coil Speaker
US8094867B2 (en) Speaker, yoke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yoke
KR100415953B1 (ko) 스피커용 요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
KR102085840B1 (ko) 음향 변환 장치
KR200404313Y1 (ko) 스피커
KR20100067914A (ko) 프레임과 요크의 결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피커
KR100488654B1 (ko) 두개의 자기회로부를 가지는 스피커
JP4894520B2 (ja) 振動板,振動体及び電気音響変換器
KR100491644B1 (ko) 스피커
KR101152646B1 (ko) 음향 변환 장치
KR101364670B1 (ko) 아마츄어 타입 스피커
KR101725763B1 (ko) 스피커 및 이의 조립 방법
KR19990041872A (ko) 이중 보이스코일을 가지는 스피커 구조
KR200234420Y1 (ko) 스피커의 프레임 결합구조
KR200207889Y1 (ko)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 구조
JP3631389B2 (ja) スピーカ用磁気回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54302B1 (ko) 스피커
KR200194944Y1 (ko) 요크 분리형 스피커
KR20040070532A (ko) 스피커
KR100507700B1 (ko) 이중 자기 회로 구조를 가지는 스피커
JP2022022826A (ja) 加振器
KR900003716Y1 (ko) 스피커
JP2000036997A (ja) スピーカ装置
JP2002271892A (ja) スピー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