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031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15031B1 KR100415031B1 KR1019960035054A KR19960035054A KR100415031B1 KR 100415031 B1 KR100415031 B1 KR 100415031B1 KR 1019960035054 A KR1019960035054 A KR 1019960035054A KR 19960035054 A KR19960035054 A KR 19960035054A KR 100415031 B1 KR100415031 B1 KR 1004150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flow
- flow control
- control means
- washer
- concav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4—Supply, recirculation or draining of washing liquid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세탁조의 저면으로부터 세탁액을 흡입하고, 세탁조의 상부로부터 토출하는 물 순환기능을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대폭적인 비용 증가를 피하고, 또한 토출 구멍부로의 토출 효율을 향상시켜 순환 수량을 증대시킨다.
세탁조(1)의 내측 저부에 펄세이터(2)를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세탁조(1)에 설치된 토출 구멍부(9)에 펄세이터(2)의 하부에 설치된 오목부(3)를 연통시키고, 토출 구멍부(9)에 토출 수로(11)의 일단측을 연통시키며, 토출 수로(11)의 타단측을 세탁조(1)의 상방부로 도출한다. 펄세이터(2)에 의한 수류의 방향에 대응하여 자유로이 회전 운동하는 수류 제어 부재(14)를 오목부(3)에 설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조의 저면으로부터 세탁액을 흡입하여 세탁조의 상부로부터 토출하는 물 순환기능을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는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었다.
이하, 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세탁조(1)의 내측 저부에는 펄세이터(pulsator)(2)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이 펄세이터(2)의 하부에 오목부(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3)는 펄세이터(2)의 회전에 의해 펄세이터(2)의 하부로 흡입되는 물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이다. 펄세이터(2)의 내면에는 블레이드(4)가 설치되며, 이 펄세이터(2)는 모터(5)에 의해 벨트(6), 풀리(7), 감속기어(8)를 거쳐서 회전한다. 오목부(3)의 가장자리의 일부분에 연통하는 토출 구멍부(9)는 세탁조(1)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다. 세탁조(1)의 상부에 파이프(10)가 설치되고, 토출 구멍부(9)와 파이프(10)가 토출 수로(11)에 의해 연통되며, 세탁조(1)내로 세탁액을 주입하는 노즐(12)이 파이프(10)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하, 상기 구성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세탁조(1)내에 세제와 세탁물을 넣고 소정 수위까지 급수한 후, 모터(5)를 회전시키면 벨트(6), 풀리(7), 감속기어(8)를 거쳐서 펄세이터(2)가 회전한다. 이 펄세이터(2)의 회전에 따른 블레이드(4)의 펌프 작용에 의해, 오목부(3) 내의 세탁액이 토출 구멍부(9)로부터 토출되고, 토출 수로(11) 및 파이프(10)를 통해 노즐(12)로부터 세탁조(1)내로 세탁액이 주입된다. 이와 같이 세탁조(1)의 상부로부터 세탁조(1)내로 세탁액을 순환시키기 때문에 세제가 신속히 용해되어 세정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신속히 더러움을 없애기 때문에, 세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제를 충분히 용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에 세제 가루가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오목부(3)는 세탁액의 흡입체적을 조금이라도 크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3)에 들어간 물은 토출 구멍부(9)로 인도되고, 토출 수로(11) 및 파이프(10)를 통하여 세탁조(1)의 상부로 인도된 후, 노즐(12)로부터 세탁조(1)내로 주입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오목부(3)에 들어간 물의 전부가 토출 구멍부(9)로 인도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하면, 펄세이터(2)의 회전에 의해 오목부(3)로 흡입되어 인도된 물이 토출 구멍부(9)로 흘러가지 않고 그대로 지나가버렸다. 이 때문에, 토출 효율이 향상되지 않고, 따라서 순환 수량(水量)을 증대시킬 수 없었다. 토출 구멍(9)으로의 토출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터(5)의 토크를 증대시키고 펄세이터(2)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토출량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취하였다. 그 결과 비용이 증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펄세이터(2)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 물이 쉽게 비산되기 때문에, 펄세이터(2)의 회전수의 증가에도 제한이 있으며, 양자의 균형 때문에 회전수의 증가도 용이하게 할 수 없다. 또한, 토출 구멍부(9)로 물을 인도하기 위하여, 오목부(3)의 중앙부에 종방향 리브를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에, 현재의 세탁기는 대부분이 펄세이터(2)를 좌우로 반전시키는 방식을 채용하므로 반전 수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오목부(3)의 물은 오목부(3)의 절반의 면적부분밖에 토출 구멍부(9)로 인도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토출 효율이 향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대폭적인 비용 증가를 피하고, 또한 토출 구멍부로의 토출 효율을 향상시키며, 순환 수량을 증대시키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토출 구멍부를 형성한 오목부를 내측 저부에 가지며 세탁액과 피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의 상기 오목부를 덮으며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교반 수단과, 상기 오목부내부에서 상기 교반 수단의 하측에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수류(水流) 제어 수단과, 일단이 상기 토출 구멍부와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세탁조의 상방부로 도출된 토출 수로로 구성된다. 상기 교반 수단이 회전 또는 반전할 때, 상기 세탁액의 수류가 상기 오목부내부에서 발생하고, 상기 수류 제어 수단은 상기 수류의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 운동한다.
상기 세탁액은 상기 교반 수단의 상측 영역과 상기 오목부의 내측 영역 사이에서 자유로이 유동 가능하고, 상기 세탁액은 상기 오목부의 상기 토출 구멍부와 상기 토출 수로를 통해 상기 세탁조의 상방부로 주입되어 순환된다.
상기 교반 수단은 세탁조내의 세탁액과 피세탁물을 움직이게 함과 동시에, 오목부내의 세탁액에 수류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수류 제어 수단은 상기 수류를 제어하고, 그 제어된 수류를 상기 토출 구멍부에 모으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오목부는 그의 저부에 고정핀을 갖고, 상기 수류 제어 수단은 그의 일단에 회전 운동 가능한 베어링부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부를 상기 고정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상기 수류의 힘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고정식 수류 제어 부재를 구성한 경우에 비하여 물 저항이 대폭 감소된다. 따라서, 수류 제어 부재가 없는 때 또는 수류 제어 부재가 고정식인 때에 비하여, 토출 구멍부로의 토출 효율은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교반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토크 증대나 다른 동력을 거친 경우의 비용증가 없이 토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의 사양 결정이나 펄세이터 형상의 결정 등에서 영향 인자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제품의 개발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류 제어 부재가 수류의 움직임에 맞추어 좌우로 자유로이 회전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세탁조의 오목부로 인도된 물은 거의 100%에 가까운 비율로 토출 구멍으로 인도될 수 있다. 또한, 토출 손실 및 유동 저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모터의 토크 증대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감소되고, 그에 따라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다.
전술한 수류 제어 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한 판 형상 부재이고, 그 수류 제어 부재의 단부측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설치되고, 세탁조의 고정핀에 그의 베어링부가 지지된 구성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류 제어 부재를 판 형상으로 하고 베어링부를 설치함으로써 강도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이 원활한 동작을 확보할 수 있고, 실밥 막힘 등으로 정비가 필요한 때에 수류 제어 부재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전술한 수류 제어 부재는 매끈한 곡선을 갖는 활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판형상 부재를 조합한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류 제어 부재를 매끈한 곡선을 갖는 조합 구조로 함으로써, 오목부내의 세탁액을 토출 구멍부로 원활하게 토출할 수 있고, 저항 손실이 감소되며, 이들의 상승 효과에 의해 토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수류 제어 부재는 수직한 평면을 형성하는 판과 그 상단면에 부채꼴의 판을 갖는 부재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수류 제어 부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피하는 수류를 부채꼴의 판으로 억제하여 토출 구멍부로 인도하기 때문에 토출 효율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횡방향 리브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수류 제어 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하는 판과, 그의 상단 표면에 부채꼴로서 단면 형상이 역익형(逆翼形)인 판을 갖는 부재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부채꼴의 판의 단면 형상을 역익형으로 함으로써, 수류 제어 부재의 근방에 발생하는 난류에 의한 제어 부재의 부상(浮上)을 방지하고, 과도한 부상에 의한 펄세이터에의 간섭을 방지하며,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수류 제어 부재는 양측면에 상자 형상의 격벽을 설치한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구조적으로 더욱 강도를 높이고, 상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수류의 유로(流路)를 형성하고, 수류 제어 부재를 단체(單體)로 설치한때보다 더욱 토출 구멍부로의 물의 흐름을 촉진할 수 있어, 토출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세탁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의 주요부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의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세탁기의 주요부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세탁기의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세탁기의 주요부의 횡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세탁기의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세탁기의 주요부의 횡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세탁기의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세탁기의 주요부의 횡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세탁기의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세탁기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세탁기 2 : 펄세이터
3 : 오목부 3a : 오목부의 측단부
4 : 블레이드 5 : 모터
6 : 벨트 7 : 풀리
8 : 감속기어 9 : 토출 구멍부
10 : 파이프 11 : 토출 수로
12 : 노즐 13 : 고정핀
14, 16, 18, 20, 22 : 수류 제어 부재
15 : 베어링부 16a, 16b : 제 1 및 제 2 활 형상 부재
19 : 부채꼴 판 21 : 부채꼴 판
23 : 상자형 격벽
본 발명의 세탁기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기의 종단면도를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의 주요부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세탁기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세탁조(1)의 내측 저부 부근에 토출 구멍부(9)가 형성되어 있다. 세탁조(1)의 내측 저부 부근에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는 토출 구멍부(9)와 연통하고 있다. 오목부(3)는 세탁조(1)의 내측 저부의 중앙 부근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부채꼴의 형상이고, 그의 양단부에 경사진 벽을 갖는 측단부(3a)를 형성하고 있다. 토출 구멍부(9)에 일단을 연통하도록 토출 수로(11)가 설치되고, 토출 수로(11)의 타단은 세탁조(1)의 상방부로 도출되어 있다. 토출 수로(11)는 세탁조(1)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세탁조(1)의 내측 저부의 중앙 부근에 고정핀(13)이 설치되어 있다. 수류 제어 수단으로서의 수류 제어 부재(14)가 오목부(3)에 설치되어 있다. 수류 제어 부재(14)는 세탁조(1)의 높이 방향으로 평면을 갖는 판 형상이고, 그의 일단에 베어링부(15)를 갖는다. 이 베어링부(15)가 고정핀(13)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있다. 즉, 수류 제어 부재(14)는 베어링부(15)를 중심으로 하여 오목부(3)의 영역을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수류 제어 부재(14)는 베어링부(15)를 중심으로 하여 토출 구멍부(9)를 포함하는 조정의 각도의 범위내를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류 제어 부재(14)는 고정핀(13)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세탁조(1)의 오목부(3)에 대응하는 상측에 교반 수단으로서의 펄세이터(2)가 설치되어 있다. 펄세이터(2)의 내면에는 블레이드(4)가 설치되어 있다. 펄세이터(2)는 모터(5), 벨트(6), 풀리(7) 및 감속기어(8)의 작용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 및 반전한다. 오목부(3)는 펄세이터(2)의 회전에 의해 펄세이터(2)의 하부로 토출되는 물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이 된다. 수류 제어 부재(14)는 펄세이터(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고, 오목부(3)의 범위내에서 고정핀(13)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펄세이터(2)의 회전에 따른 블레이드(4)의 펌프작용에 의해, 오목부(3) 내의 물이 토출 구멍부(9)로 토출되고, 토출 수로(11) 및 파이프(10)를 통하여 노즐(12)에 의해 세탁조(1) 내로 주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세탁조(1)내부의 물이 순환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작용과 효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교반 수단으로서의 펄세이터(2)가 회전할 때, 그 펄세이터(2)의 회전에 기인한 수류가 발생한다. 그 수류에 의한 힘으로 인해, 수류 제어 부재(14)는 오목부(3)의 측단부(3a)와 접촉하는 곳까지 이동하고, 그 측단부와 접촉한 곳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수류 제어 부재(14)는 펄세이터(2)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수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벽이 된다. 따라서, 종래의 토출 구멍부(9)의 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그냥 지나쳤던 수류가 수류 제어 부재(14)에 부딪쳐서 토출 구멍부(9)의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에 의해, 토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수류 제어 부재(14)는 고정핀(13)을 지점으로 하여 오목부(3)의 범위에서 좌우로 가동하므로, 펄세이터(2)의 반전에 의해 수류 방향이 변하여도 완전히 동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고정식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저항 손실이 생기지 않게 되고, 그 결과 토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류 제어 부재(14)를 세탁조(1)의 높이 방향으로 평면을 갖는 곧바른 판 형상으로 하고, 베어링부(15)를 고정핀(13)에 의해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손실이 적은 상태에서 수류 제어 부재(14)를 원활하게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베어링부(15)를 고정핀(13)에 삽입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만일 오목부(3)나 수류 제어 부재(14)가 실밥으로 막힌 때에도, 수류 제어 부재(14)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어 정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수류 제어 부재(14)는 소정의 각도의 범위를 가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정핀(13) 또는 베어링부(15)에 회전 가능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오목부(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세탁조(1)의 내측 저부의 중앙 부근을 중심으로 하여 180°이내의 각도를 갖는 대략 부채꼴 형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세탁기의 주요부의 횡단면도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세탁기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수류 제어 부재(16)는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갖고 횡단면으로 활 형상을 갖는 제 1 활 형상 부재(16a)와 제 2 활 형상 부재(16b)를 등을 맞대도록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교반 수단으로서의 펄세이터(2)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수류의 힘에 의해 제 1 활 형상 부재(16a)와 제 2 활 형상 부재(16b)가 구부러지고, 오목부(3)의 측단부(3a)에 접촉할 때에 오목부(3)로부터 토출 구멍부(9)를 향하여 매끈한 곡선의 유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유동 저항이 보다 적은 상태로 되어, 오목부(3) 내의 세탁액이 토출 구멍부(9)로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다. 그 결과, 물의 저항 손실이 감소되고 이로 인한 상승 효과에 의해 토출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수류 제어 부재(16)를 단지 활 형상으로만 한 구성에서는, 펄세이터(2)의 회전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 수류 제어 부재(16)에 의해 형성되는곡선의 방향이 변하기 때문에, 이 수류 제어 부재(16)가 저항으로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2매의 활 형상 부재(16a, 16b)를 등을 맞대도록 조합하면, 펄세이터(2)의 회전 방향에 의존하는 일이 없이 수류의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도 완전히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세탁기의 주요부의 횡단면도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한 세탁기의 주요부의 종단면도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수류 제어 부재(18)는 수직 방향으로 면을 갖고, 그의 상단면에 부채꼴의 판(19)을 구성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교반 수단으로서의 펄세이터(2)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수류는 수류 제어 부재(18)에 부딪친다. 그 부딪친 수류가 수류제어 부재(18)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피하는 것을 부채꼴의 판(19)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수류 제어 부재(18)를 타고 넘어간 수류도 토출 구멍부(9)로 인도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부채꼴의 판(19)이 없는 경우에는, 수류 제어 부재(18)는 횡방향의 비틀림 힘 대한 보강이 없고, 따라서 횡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비틀리는 경우가 있다.
이것과 관련하여 부채꼴의 판(19)을 설치하면, 그 부채꼴의 판(19)은 횡방향 보강 리브의 역할도 수행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수류 제어 부재(18)의 뒤틀림을 억제하고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 4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세탁기의 주요부의 횡단면도를 도 8에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한 세탁기의 주요부의 종단면도를 도 9에 도시한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수류 제어 부재(20)는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한 판과 그의 상단면에 부채꼴로서 단면 형상이 역익형(逆翼形)인 판(21)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펄세이터(2)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수류는 수류 제어 부재(20)에 부딪친다. 그 부딪친 수류가 토출 구멍부(9)의 방향으로 흘러가는 흐름내부에서, 부채꼴 판(21)을 경계로 하여 그의 상하로 유속의 차이가 발생하여, 부채꼴 판(21)을 하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수류 제어 부재(20)의 근방에서 발생하는 난류에 의해 수류 제어 부재(20)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과도하게 부상한 경우에 발생하는 펄세이터(2)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부채꼴 판(21)에는 항상 하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수류 제어 부재(2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지 않으므로, 수류 제어 부재(20)의 보다 안정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세탁기의 주요부의 횡단면도를 도 10에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주요부의 종단면도를 도 11에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수류 제어 부재(22)는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한 판과 그의 양측면에 형성된 상자형의 격벽(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수류 제어 부재(22)의 양측면에 상자형의 격벽(23)을 설치하면 수류 제어 부재(22) 전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수류가 수류 제어 부재(22)에 부딪칠 때,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수류가 회피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동시에, 수류의 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토출 효과가 보다 향상되며 토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류 제어 부재(22)를 상자형으로 함으로써, 수직 및 수평 방향을 불문하고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비틀림 및 압력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물의 토출부로의 토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토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펄세이터 등의 교반 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의 토크를 크게 하거나 또는 다른 동력을 개입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모터의 토크를 증가시킨 경우나 다른 동력을 개입시킨 경우의 비용상승 없이 토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의 토크 증대 및 교반 수단의 회전수 증가에 의한 물 비산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모터의 사양결정이나 교반 수단 형상의 결정 등에 있어서의 영향 인자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제품의 개발기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류 제어 부재가 수류의 동작에 따라서 좌우로 자유로이 회전 운동할 수 있기때문에, 세탁조의 오목부로 인도된 물은 거의 100%에 가까운 비율로 토출 구멍부로 인도될수 있다. 또한, 토출 손실과 유동 저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모터의 토크를 증대시키는 영향 인자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른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류 제어 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곧바른 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의 일단측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베어링부를 설치하고, 세탁조의 고정핀에 베어링부로 지지한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세탁조의 고정핀에서 베어링부를 지지한 수류 제어 부재를 장착하기 때문에, 항상 손실이 적은 상태로 수류 제어 부재의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과 베어링부와의 끼워맞춤에 의한 구성이기 때문에, 만일 수류 제어 부재나 세탁조의 오목부가 실밥으로 막힌 때에도, 용이하게 그 수류 제어 부재를 탈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류 제어 부재는 매끈한 곡선을 갖는 활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부재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류 제어 부재를 매끈한 곡선을 갖는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활 형상의 부재가 오목부의 측단부에 접촉할때 오목부로부터 토출 구멍부까지 매끈한 곡선으로 유로를 형성하여, 토출 구멍부로 흘러가는 수류의 저항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토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류 제어 부재를 활 형상으로 한 것만으로 교반 수단의 회전 방향에 의해 토출 효과에 차이가 생기고 토출량이 교반 수단의 회전 방향에 의해 달라져 버리지만, 이에 대하여 2개의 활 형상 부재를 조합함으로써, 교반 수단의 회전 방향에 의한 토출 효과의 차이를 없게 하고, 교반 수단 회전 방향에 관계 없이 순환 수량의 안정된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류 제어 부재는 그의 상단면에 부채꼴의 판을 설치한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수류 제어 부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피했던 수류를 억제함과 아울러 그 수류를 토출 구멍부로 인도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 효율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교반 수단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힘이 어느 일정 이상의 세기로 된 경우에, 단체인 수류 제어 부재는 수류의 세기를 견디지 못하고 비틀려 버리며, 그 결과 토출 효과가 감소한다. 이에 대하여 부채꼴의 판을 배치함으로써, 횡방향의 보강 리브가 추가된 형태로 되어 수류 제어 부재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으며, 구조적 강도가 높아지고, 수류 제어 부재의 비틀림에 의한 토출 효과의 손실을 없앨 수 있고, 토출 효율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류 제어 부재는 그의 상단면에 부채꼴로서 단면 형상이 역익형인 판을 배치한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류 제어 부재에 부딪친 수류가 토출 구멍부의 방향으로 흘러가는 흐름내부에서, 수류 제어 부재의 근방에서 발생하는 난류에 의한 수류 제어 부재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과도하게 부상한 경우에서의 교반 수단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류 제어 부재는 그의 양측면에 상자형의 격벽을 설치한 구성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류 제어 부재 전체의 강도를 높이고, 수류가 수류 제어 부재에 부딪칠 때에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수류가 회피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수류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토출 효과를 더욱 높이고 토출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자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직 및 수평 방향을 불문하고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비틀림이나 압력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8)
- 세탁기에 있어서,토출 구멍부를 형성한 오목부를 내측 저부에 가지며 세탁액과 피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상기 세탁조의 오목부를 덮으며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교반 수단과,상기 오목부내에서 상기 교반 수단의 하측에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수류 제어 수단과,일단이 상기 토출 구멍부와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세탁조의 상방부로 도출되는 토출 수로로 구성되며,상기 교반 수단이 회전 또는 반전할 때, 상기 오목부에서 상기 세탁액의 수류가 발생하고, 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상기 수류의 방향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세탁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세탁액이 상기 교반 수단의 상측 영역과 상기 오목부의 내측 영역 사이에서 자유로이 유동가능하고, 상기 세탁액이 상기 오목부의 토출 구멍부와 상기 토출 수로를 통하여 상기 세탁조의 상방부로 주입되어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교반 수단이 상기 세탁조내부의 피세탁물을 움직이게 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내의 상기 세탁액에 상기 수류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상기 수류를 제어하고, 그 제어된 상기 수류를 상기 토출 구멍부에 모으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오목부가 그의 저부에 고정핀을 갖고, 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그의 일단에 회전 운동 가능한 베어링부를 가지며 그 베어링부를 상기 고정핀에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상기 수류의 힘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상기 베어링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토출 구멍부를 포함하는 소정 각도의 범위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오목부가 그의 저부에 고정핀을 갖고, 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그의 일단을 상기 고정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한 판 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갖고 횡단면으로 활 형상을 갖는 2개의 판 부재를 그의 볼록면이 서로 등을 맞대도록 조합한 형상의 판 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하는 판과 그의 상단부에 대략 부채꼴 형상의 판을 갖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하는 판과 그의 상단부에 평면 형상이 부채꼴이고 단면 형상이 역익형인 판을 갖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하는 판과 그의 양측면에 대략 상자형의 격벽을 갖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교반 수단이 그의 하측에 블레이드를 갖는 펄세이터(pulsa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 세탁기에 있어서,토출 구멍부를 형성한 오목부를 내측 저부에 가지며 세탁액과 피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상기 세탁조의 오목부를 덮으며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교반 수단과,상기 오목부내에서 상기 교반 수단의 하측에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수류 제어 수단과,일단이 상기 토출 구멍부와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세탁조의 상방부로 도출되는 토출 수로로 구성되며,상기 교반 수단은 상기 세탁조내부의 상기 피세탁물을 움직이게 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내부의 상기 세탁액에 수류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고,상기 교반 수단이 회전 또는 반전할 때, 상기 수류 제어 수단은 상기 수류의 방향에 대응하여 움직여 상기 수류를 제어하고 그 제어된 상기 수류를 상기 토출 구멍부에 모으는 기능을 가지며,상기 세탁액은 상기 교반 수단의 상측 영역과 상기 오목부의 내측 영역 사이에서 자유로이 유동가능하며, 상기 오목부의 토출 구멍부와 토출 수로를 통해 상기 세탁조의 상방부에 주입되어 순환하는세탁기.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오목부가 그의 저부에 고정핀을 갖고, 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그의 일단에 회전 운동 가능한 베어링부를 가지며, 그 베어링부를 상기 고정핀에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상기 수류의 힘에 의해 움직이며, 상기 수류를 상기 토출 구멍부에 모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상기 베어링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토출 구멍부를 포함하는 소정 각도의 범위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한 판 형상 부재,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한 판과 그의 상단부에 부채꼴 형상의 판을 갖는 부재,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한 판과 그의 상단부에 평면 형상이 부채꼴이고 단면 형상이 역익형인 판을 갖는 부재, 및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한 판과 그의 양측면에 대략 상자 형상의 격벽을 갖는 부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수류 제어 수단이 수직 방향으로 평면을 갖고 횡단면으로 활 형상을 갖는 2개의 판 부재를 그의 볼록면이 서로 등을 맞대도록 조합한 형상의 판 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2129496A JP3728800B2 (ja) | 1996-05-16 | 1996-05-16 | 洗濯機 |
JP96-121294 | 1996-05-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75087A KR970075087A (ko) | 1997-12-10 |
KR100415031B1 true KR100415031B1 (ko) | 2004-04-13 |
Family
ID=1480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35054A KR100415031B1 (ko) | 1996-05-16 | 1996-08-23 | 세탁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JP (1) | JP3728800B2 (ko) |
KR (1) | KR100415031B1 (ko) |
CN (1) | CN1103393C (ko) |
IN (1) | IN191567B (ko) |
MY (1) | MY134797A (ko) |
TW (1) | TW417701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2003203729B2 (en) | 2002-04-17 | 2005-10-13 | Lg Electronics Inc. | Pulsator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58805A (ja) * | 1984-08-30 | 1986-03-26 | 三井三池化工機株式会社 | So2含有ガス中のnh3を除去する方法 |
-
1996
- 1996-05-16 JP JP12129496A patent/JP372880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8-23 KR KR1019960035054A patent/KR10041503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09-10 IN IN1609CA1996 patent/IN191567B/en unknown
- 1996-09-12 CN CN96112586A patent/CN110339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9-12 MY MYPI96003767A patent/MY134797A/en unknown
- 1996-09-13 TW TW089200913U patent/TW417701U/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75087A (ko) | 1997-12-10 |
JP3728800B2 (ja) | 2005-12-21 |
IN191567B (ko) | 2003-12-06 |
MY134797A (en) | 2007-12-31 |
TW417701U (en) | 2001-01-01 |
CN1165887A (zh) | 1997-11-26 |
CN1103393C (zh) | 2003-03-19 |
JPH09299682A (ja) | 1997-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3202813B2 (en) | Apparatus for supplying detergent in washer | |
JP3124903B2 (ja) | 洗濯機の水流生起装置 | |
KR100315625B1 (ko) | 상향분출수류를형성하는세탁기용펄세이터조립체 | |
KR20110043906A (ko) |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 |
KR20090098673A (ko) | 드럼식 세탁기 | |
KR100415031B1 (ko) | 세탁기 | |
JP3098234B2 (ja) | 洗濯機 | |
TWI475139B (zh) | washing machine | |
JP3744724B2 (ja) | 攪拌翼およびこれを備えた洗濯機 | |
JP2011055923A (ja) | ドラム式洗濯機 | |
KR100229471B1 (ko) | 세탁기 | |
KR102686950B1 (ko) | 소스 제조장치 및 시스템 | |
KR100213611B1 (ko) | 세탁기 | |
KR19980078453A (ko) | 세탁기용 펄세이터 | |
KR100213612B1 (ko) | 세탁기 | |
KR100213616B1 (ko) | 세탁기 | |
KR100291030B1 (ko) | 세탁기의가이드워터플로워 | |
KR200241488Y1 (ko) | 세탁기의펄세이터 | |
KR100218966B1 (ko) | 세탁기 | |
KR100186739B1 (ko) | 세탁기 | |
KR100213620B1 (ko) | 세탁기 | |
CN114134682A (zh) | 一种洗衣机注水盒及洗衣机 | |
KR200182888Y1 (ko) | 세탁기의 펄세이터장치 | |
KR19980078455A (ko) | 세탁기용 펄세이터 | |
JPH08332296A (ja) | 洗濯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208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