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968B1 - 코일형 부품 공급기 및 이것을 이용한 코일형 부품 검사기 - Google Patents

코일형 부품 공급기 및 이것을 이용한 코일형 부품 검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968B1
KR100414968B1 KR10-2001-0073172A KR20010073172A KR100414968B1 KR 100414968 B1 KR100414968 B1 KR 100414968B1 KR 20010073172 A KR20010073172 A KR 20010073172A KR 100414968 B1 KR100414968 B1 KR 100414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omponent
loader
float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508A (ko
Inventor
전병희
장병수
Original Assignee
전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희 filed Critical 전병희
Priority to KR10-2001-007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96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1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형 부품 공급기와 이것을 이용한 코일형 부품 검사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코일형 부품을 수용하는 로딩체임버를 갖는 로더와, 로더의 입구를 열고 닫는 리드수단과, 로더의 로딩체임버로부터 공급되는 부품을 수용하여 부상시킬 수 있는 플로팅체임버를 가지며 부품을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부상시킬 수 있도록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에어노즐과 부상하는 부품을 하나씩 방출하는 이젝션노즐이 구성되어 있는 이젝팅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젝팅수단의 이젝션노즐을 통하여 방출되는 부품을 활강시키는 정렬수단과, 정렬수단을 통과하는 부품을 감지하는 센싱수단과, 센싱수단을 통과하는 부품의 이미지를 투영시키는 조명수단과, 부품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와, 부품의 이미지데이터를 프로그램에 의하여 처리하여 부품을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하는 컴퓨터와, 양품과 불량품을 분류하는 셀렉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젝터의 플로팅체임버로부터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코일형 부품을 하나씩 방출시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으며, 코일형 부품의 엉킴과 꼬임 등 공급불량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원활하게 공급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형 부품의 공급, 선별 및 분류 등 일련의 검사과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고, 카메라의 촬영에 의하여 획득되는 이미지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형 부품 공급기 및 이것을 이용한 코일형 부품 검사기{COIL TYPE PARTS FEEDING MACHINE AND COIL TYPE PARTS INSPECTION MACH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일형 부품 공급기 및 이것을 이용한 코일형 부품 검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형 부품을 하나씩 공급하면서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하기 위한 코일형 부품 공급기 및 이것을 이용한 코일형 부품 검사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필라멘트(Filament), 코일스프링(Coil Spring) 등과 같은 코일형 부품은 가는 선재를 일정한 피치(Pitch)로 권선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코일형 부품에 대한 정밀성과 신뢰성의 확보를 위하여 코일의 평균지름, 안지름, 유효감김수, 총감김수, 감김방향, 길이와 피치 등 여러 가지 항목에 대하여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코일형 부품의 검사는 검사자가 광학현미경(Optical Microscope)을 이용한 샘플링검사(Sampling Inspection)에 의하여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샘플링검사는 검사의 신뢰성을 완전히 보장할 수 없는 단점을 수반하고 있다. 또한, 검사자마다 보유하고 있는 오차에 의하여 정확성에 매우 큰 차이가 나타나며,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 제품의 정밀성과 신뢰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 필라멘트 등의 코일형 부품에 대해서는 전수검사(Total Inspection)의 실시가 요구되고 있다. 코일형 부품의 전수검사에 있어서는 자동화를 위하여 부품정렬공급장치에 의하여 코일형 부품을 하나씩 공급하고, 공급되는 코일형 부품의 이미지를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한다. 그리고 카메라의 촬영에 의하여 획득되는 코일형 부품의 이미지데이터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처리하여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코일형 부품의 전수검사에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부품정렬공급장치는 다량의 코일형 부품을 수용하여 나선운동시킬 수 있는 원통형 보울(Bowl)을 진동발생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진동시키고, 진동하는 보울의 내면을 따라 나선운동하는 코일형 부품을 어태치먼트(Attachment)에 의하여 정렬시켜 하나씩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부품정렬공급장치에 있어서는 보울의 진동에 의하여 코일형 부품이 서로 엉키거나 꼬이면서 코일형 부품이 하나씩 공급되지 못하는 공급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또한, 부품정렬공급장치의 기계적 진동이 카메라에 전달되면서 카메라의 촬영에 의하여 획득되는 이미지데이터가 선명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미지데이터의 오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어 검사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카메라의 촬영에 의한 이미지데이터의 처리로 코일형 부품의 전수검사를 실시하는데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형 부품을 하나씩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는 코일형 부품 공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형 부품의 엉킴과 꼬임 등 공급불량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원활하게 공급시킬 수 있는 코일형 부품 공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일형 부품의 공급 및 선별 등 일련의 검사과정을 간편하게 자동화시킬 수 있는 코일형 부품 검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의 촬영에 의하여 획득되는 이미지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일형 부품 검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량의 코일형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로딩체임버를 갖는 로더와; 로더의 로딩체임버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입구를 열고 닫는 리드수단과; 로더의 로딩체임버로부터 공급되는 부품을 수용하여 부상시킬 수 있는 플로팅체임버를 가지며, 부품을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부상시킬 수 있도록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에어노즐과 프로팅체임버로 부상하는 부품을 하나씩 방출하는 이젝션노즐이 구성되어 있는 이젝팅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코일형 부품 공급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량의 코일형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로딩체임버를 갖는 로더와; 로더의 로딩체임버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입구를 열고 닫는 리드수단과; 로더의 로딩체임버로부터 공급되는 부품을 수용하여 부상시킬 수 있는 플로팅체임버를 가지며, 부품을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부상시킬 수 있도록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에어노즐과 프로팅체임버로 부상하는 부품을 하나씩 방출하는 이젝션노즐이 구성되어 있는 이젝팅수단과; 이젝팅수단의 이젝션노즐을 통하여 방출되는 부품이 정렬되도록 활강시키는 정렬수단과; 정렬수단을 통과하는 부품을 감지하는 센싱수단과; 센싱수단을 통과하는 부품을 조명하여 이미지를 투영시키는 조명수단과; 부품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와; 센싱수단으로부터의 감지신호와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데이터를 프로그램에 의하여 처리하여 부품을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하는 컴퓨터와; 컴퓨터의 제어에 의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분류하는 셀렉터로 이루어지는 코일형 부품 검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부품 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부품 공급기에서 로더와 리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부품 공급기에서 이젝터,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부품 공급기에서 이젝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부품 검사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부품 검사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코일형 부품 10: 로더
11: 로딩체임버 13: 호퍼
20: 리드장치 21: 리드
22: 액츄에이터 23: 중공형 로드
30: 이젝터 33: 에어노즐
34: 플로팅체임버 36: 이젝션노즐
40: 공기공급장치 50: 가이드
60: 회수장치 61: 슬로프
62: 스토퍼 64: 에어슈터
70: 슈트 80: 센서
90: 조명장치 100: 카메라
110: 컴퓨터 120: 셀렉터
121: 에어블로워 122: 투웨이박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부품 공급기 및 이것을 이용한 코일형 부품 검사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부품 공급기는 필라멘트, 코일스프링 등의 코일형 부품(1)을 다량으로 수용할 수 있는 직립형 로더 (Loader: 10)를 구비한다. 로더(10)는 부품(1)을 수용하는 로딩체임버(Loading Chamber: 11)를 가지며, 로더(10)의 상부에는 로딩체임버(11)로 다량의 부품(1)을투입할 수 있도록 로딩체임버(11)와 연통되어 있는 입구(12)를 갖는 호퍼(13)가 구성된다. 호퍼(13)의 하면에 입구(12)와 동심을 이루는 원추형 밸브시트(Valve Seat: 14)가 형성되어 있다. 로더(10)의 하부에는 로딩체임버(11)로부터 부품(1)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로딩체임버(11)와 연통되는 출구(15)를 갖는 보울(16)이 형성되어 있고, 보울(16)의 출구(15)에는 출구(15)를 통하여 배출되는 부품(1)의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이송관(17)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일형 부품 공급기는 부품(1)의 투입을 위하여 로더(10)의 입구(12)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리드장치(20)를 구비한다. 리드장치(20)는 로더(10)의 밸브시트(14)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리드(Lid: 21)를 가지며, 리드(21)의 중앙에는 에어젯(Air Jet: 21a)이 형성되어 있다. 리드(21)는 액츄에이터(22)의 중공형 로드(23)와 연결되어 있고, 중공형 로드(23)의 에어벤트(Air Vent: 23a)는 리드 (21)의 에어젯(21a)과 연결되어 있다. 중공형 로드(23)의 에어벤트(23a)와 리드 (21)의 에어젯(21a)을 통해서는 로더(10)의 로딩체임버(11)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액츄에이터(22)는 에어실린더나 솔레노이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일형 부품 공급기는 로더(10)로부터 다량으로 공급되는 부품(1)을 수용하여 하나씩 방출하는 직립형 이젝터(Ejector: 30)를 구비한다. 이젝터(30)의 하부에 로더(10)의 이송관(17)을 통하여 공급되는 부품(1)을 수용하는 보울(31)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송관(17)의 하단은 보울(31)의 경사구멍(32)에 결합되어 있다. 보울(31)의 중앙에는 보울(31)에 수용되어 있는 부품(1)을 부상시킬 수 있는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에어노즐(33)이 형성되어 있다. 보울(31)의 상부에는 에어노즐(33)을 통하여 토출되는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부상되는 부품(1)을 수직상방으로 유도시킬 수 있는 플로팅체임버(Floating Chamber: 34)를 형성하는 실린더(35)가 연장되어 있다. 실린더(35)의 상부에는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부상되는 부품(1)을 유도하여 하나씩 방출할 수 있는 이젝션노즐(Ejection Nozzle: 36)을 갖는 펀넬(Funnel: 37)이 구성되어 있으며, 펀넬(37)은 꼭지점의 이젝션노즐(35)을 향하여 부상되는 부품(1)을 집중시키는 원추형 유도면(37a)을 갖는다. 이젝션노즐(36)의 직경은 코일형 부품(1)을 하나만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젝터(30)의 보울(31)과 펀넬(37)은 포스트(38)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한편, 리드장치(20)의 중공형 로드(23)와 이젝터(30)의 에어노즐(33) 각각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40)가 연결되어 있다. 공기공급장치(40)는 잘 알려진 에어컴프레서(Air Compressor)와, 규정의 압력으로 압축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에어컨트롤러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리드장치(20)의 중공형 로드(23)와 이젝터(30)의 에어노즐(33)은 공기공급장치(40)와 에어라인에 의하여 연결할 수 있다.
도 1, 도 3, 도 5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펀넬(37)의 이젝션노즐(36)을 통하여 방출되는 하나의 부품(1)은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가이드(50)에 의하여 소망하는 위치로 유도된다. 가이드(50)의 출구(51)에 부품(1)의 활강을 유도하면서 부품(1)중 일부를 로더(10)의 호퍼(13)로 회수시키는 회수장치(60)가 설치되어 있다.회수장치(60)는 가이드(50)의 출구(51)에 연속하여 배치되는 슬로프(Slope: 61)와, 슬로프(61)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고 슬로프(61)를 따라 활강하는 부품(1)을 차단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통과시키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스토퍼(62)와, 스토퍼(62)의 좌측으로 통과되는 부품(1)을 수용하는 호퍼(63)와, 호퍼(63)로부터 공급되는 부품(1)을 수용하여 로더(10)의 호퍼(13)로 송출하는 에어슈터(Air Shooter: 64)로 구성된다. 에어슈터(64)와 로더(10)의 호퍼(13)는 이송관(6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일형 부품 공급기는 슬로프(61)의 하단에 스토퍼(62)의 우측으로 통과되어 낙하되는 부품(1)의 활강을 유도하여 소망하는 위치로 정렬시키는 정렬수단으로 슈트(Chute: 70)가 설치되어 있다. 슈트(70)는 길이가 긴 부품(1)의 활강이 원활하도록 "V"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코일형 부품 공급기에 의해서는 코일형 부품을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는 코일형 부품 검사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일형 부품 검사기에는 슈트(70)의 하류에 배치되어 슈트(70)를 통과하는 부품(1)을 감지하는 센서(80)가 구비되어 있으며, 센서(80)는 광신호를 발신하는 발광소자(81)와, 발광소자(81)로부터 발신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소자 (82)로 이루어지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나 근접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센서 (80)의 하류에는 부품(1)으로부터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부품(1)을 조명하여 이미지를 투영시키는 평판형 조명장치(90)와, 부품(1)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100)가 설치되어 있다. 조명장치(90)는 LED(LightEmitting Diode), 할로겐램프(Halogen Lamp)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카메라 (100)는 CCD 카메라(Charge Coupled Device Camera)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코일형 부품 검사기에 있어서 센서(80)의 감지신호와 카메라(100)로부터 출력되는 부품(1)의 이미지데이터는 컴퓨터(110)에 실시간으로 입력된다. 컴퓨터(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모니터(111), 프린터 등의 출력장치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갖추고 있다. 컴퓨터(110)는 카메라(100)로부터 입력되는 부품(1)의 이미지데이터를 프로그램에 의하여 모니터(111)에 디스플레이하고 부품(1)을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한다.
본 발명의 코일형 부품 검사기는 컴퓨터(110)의 제어에 의하여 부품(1)을 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류하는 셀렉터(Selector: 120)를 구비한다. 셀렉터(120)는 컴퓨터(110)에 의하여 불량품으로 선별된 부품(1)에 대하여 공기를 분사하여 양품(1a)과 불량품(1b)을 분류하는 에어블로워(Air Blower: 121)와, 에어블로워(121)의 작동에 의하여 분류되는 양품(1a)과 불량품(1b)을 개별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양품배출관(122a)과 불량품배출관(122b)이 분기되어 있는 투웨이박스(Two Way Box: 122)와, 투웨이박스(122)의 양품배출관(122a)과 불량품배출관(122b)으로부터 배출되는 양품(1a)과 불량품(1b)을 각각 수납하는 양품박스(123)와 불량품박스(124)로 구성된다. 코일형 부품 검사기에 있어서는 자동화를 위하여 잘 알려진 로봇의 작동에 의하여 로더(10)의 호퍼(13)에 1로트(Lot), 예를 들어 100∼200개 정도로 용기에 수납되어 있는 코일형 부품(1)을 공급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부품 공급기와 이것을 이용한 코일형 부품 검사기에 대한 작용을 병행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로봇의 작동에 의하여 용기에 수납되어 있는 1로트의 코일형 부품(1)을 로더(10)의 호퍼(13)에 공급한 후, 리드장치(20)의 액츄에이터(22)를 작동시켜 중공형 로드(23)를 전진시킨다. 이때, 1로트로 공급되는 코일형 부품(1)은 필라멘트 또는 코일스프링 제조장치로부터 제조되는 즉시 용기에 수납하고 있다. 따라서, 용기에 기계적 진동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일형 부품(1)의 꼬임과 엉킴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로드(23)의 전진에 의하여 호퍼(13)의 밸브시트(14)로부터 리드 (21)가 이격되어 입구(12)가 개방되면, 호퍼(13)의 부품(1)은 입구(12)를 통하여 로딩체임버(11)로 투입되어 보울(16)에 수용된다. 로더(10)의 로딩체임버(11)에 부품(1)의 투입이 완료된 후, 액츄에이터(22)의 작동에 의하여 로드(23)를 후퇴시키면, 호퍼(13)의 밸브시트(14)에 리드(21)가 밀착되어 입구(12)를 폐쇄한다. 그리고 공기공급장치(40)의 작동에 의하여 중공형 로드(23)의 에어벤트(23a)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압축공기는 리드(21)의 에어젯(21a)을 통하여 로딩체임버(11)에 분사된다. 따라서, 로더(10)의 보울(16)에 수용되어 있는 부품(1)은 이송관(17)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이젝터(30)의 보울(31)에 수용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젝터(30)의 보울(31)에 부품(1)의 공급이 완료된 후, 공기공급장치(40)의 작동에 의하여 보울(31)의 에어노즐(33)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토출시키면, 토출되는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부품(1)은 일직선을 이루며 실린더(35)의 플로팅체임버(34)로 부상된다. 부상되는 부품(1)의 상단은 펀넬(37)의 원추형 유도면(37a)에 접촉되면서 펀넬(37)의 꼭지점으로 유도되며, 펀넬 (37)의 꼭지점으로 유도되는 부품(1)은 이젝션노즐(36)을 통하여 하나씩 방출된다. 이와 같이 코일형 부품(1)이 이젝터(30)의 플로팅체임버(34)에서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부상되면서 이젝션노즐(36)을 통하여 하나씩 방출되므로, 부품(1)은 엉킴과 꼬임이 없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이젝터(30)의 이젝션노즐(36)을 통하여 하나씩 방출되는 부품(1)은 가이드(50)의 출구(51)를 통과하여 회수장치(60)의 슬로프(61)를 따라 활강하며, 활강되는 부품(1)은 스토퍼(62)의 방해를 받아 도 5의 화살표 "A"와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62)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통과된다. 스토퍼 (62)의 우측으로 통과되는 부품(1)은 슈트(70)로 진입되어 활강하게 되며, 센서 (80)는 슈트(70)를 통과한 부품(1)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컴퓨터(110)에 입력한다. 조명장치(90)는 그 상면을 따라 활강하는 부품(1)을 조명하여 부품(1)의 이미지를 투영하고, 카메라(100)는 조명장치(90)의 조명에 의하여 투영되는 부품(1)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카메라(100)의 촬영에 의하여 획득되는 부품(1)의 이미지데이터는 컴퓨터(110)에 입력된다. 컴퓨터(110)는 부품(1)의 이미지데이터를 모니터(111)에 디스플레이하고 프로그램에 의하여 분석하여 양품(1a)과 불량품(1b)으로 선별하며 그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여 저장한다. 컴퓨터(110)의 프로그램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필라멘트에 대하여 코일의 평균지름, 안지름, 유효감김수, 총감김수, 감김방향, 길이와 피치 등에 대하여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1로트에 대한 부품(1)의 불량률이 클 경우, 검사자는 컴퓨터(110)의 분석결과를 필라멘트 또는 코일스프링의 제조공정에 신속하게 반영하여 불량의 발생을 조치한다.
컴퓨터(110)는 불량품(1b)에 대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컴퓨터(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셀렉터(120)의 에어블로워(121)가 작동되어 조명장치(90)를 통과한 불량품(1b)에 대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에어블로워(121)의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불량품(1b)은 도 5의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투웨이박스(122)의 불량품배출관(122b)으로 송풍되고, 투웨이박스(122)의 불량품배출관(122b)을 통과한 불량품(1b)은 불량품박스(124)에 수집된다. 컴퓨터(110)의 분석에 의하여 부품(1)이 양품(1a)으로 선별될 경우, 셀렉터(120)의 에어블로워(121)는 작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양품(1b)은 조명장치(90)를 통과하여 투에이박스(122)의 양품배출관(122a)으로 진입된 후 양품박스(123)에 수집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에어블로워(121)의 작동에 의한 양품(1a)과 불량품(1b)의 분류, 배출과 수집동작은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회수장치(60)의 슬로프(61)를 따라 활강하던 부품(1)중 스토퍼(62)의 우측으로 통과되는 부품(1)은 호퍼(63)에 수용되어 에어슈터(64)로 공급된다. 에어슈터(64)는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부품(1)을 송출하며, 송출되는 부품(1)은 이송관 (65)을 통하여 로더(10)의 호퍼(13)로 회수된다. 이와 같이 이젝터(30)로부터 방출되는 부품(1)중 일부를 회수장치(60)에 의하여 로더(10)로 회수시킴으로써, 카메라 (100)와 컴퓨터(110)에 의한 이미지데이터의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 예를 들어 초당 4개의 부품(1)을 선별할 수 있도록 검사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부품 공급기와 이것을 이용한 코일형 부품 검사기에 의하면, 이젝터의 플로팅체임버로부터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코일형 부품을 하나씩 방출시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으며, 코일형 부품의 엉킴과 꼬임 등 공급불량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원활하게 공급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형 부품의 공급, 선별 및 분류 등 일련의 검사과정을 간편하게 자동화시킬 수 있고, 카메라의 촬영에 의하여 획득되는 이미지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다량의 코일형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로딩체임버를 갖는 로더와;
    상기 로더의 로딩체임버에 상기 부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입구를 열고 닫는 리드수단과;
    상기 로더의 로딩체임버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부품을 수용하여 부상시킬 수 있는 플로팅체임버를 가지며, 상기 부품을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부상시킬 수 있도록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에어노즐과 상기 프로팅체임버로 부상하는 상기 부품을 하나씩 방출하는 이젝션노즐이 구성되어 있는 이젝팅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코일형 부품 공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수단은,
    상기 로더의 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에어젯이 형성되어 있는 리드와;
    상기 리드의 에어젯과 연결되어 있는 중공형 로드를 갖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중공형 로드를 통하여 상기 로더의 로딩체임버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으로 구성되는 코일형 부품 공급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팅수단은,
    상기 로더의 로딩체임버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부품을 수용하며, 상기 에어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보울과;
    상기 보울의 상부에 연장되어 있고, 부상하는 상기 부품을 수직상방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플로팅체임버를 형성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이젝션노즐을 통하여 부상하는 상기 부품을 하나씩 방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펀넬로 구성되는 코일형 부품 공급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팅수단의 이젝션노즐을 통하여 방출되는 상기 부품을 유도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로부터 상기 부품의 활강을 유도하는 슈트를 더 구비하는 코일형 부품 공급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 상기 슈트 사이에 상기 이젝팅수단의 이젝션노즐을 통하여 방출되는 상기 부품중 일부를 상기 로더로 회수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회수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회수수단은 상기 가이드로부터 유도되는 상기 부품을 활강시키는 슬로프와, 상기 슬로프를 따라 활강하는 상기 부품중 일부를 상기 슈트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우회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의하여 상기 슈트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유도되는 상기 부품을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부품을 상기 로더에 송출하는 에어슈터로 구성되는 코일형 부품 공급기.
  6. 다량의 코일형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로딩체임버를 갖는 로더와;
    상기 로더의 로딩체임버에 상기 부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입구를 열고 닫는 리드수단과;
    상기 로더의 로딩체임버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부품을 수용하여 부상시킬 수 있는 플로팅체임버를 가지며, 상기 부품을 압축공기력에 의하여 부상시킬 수 있도록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에어노즐과 상기 프로팅체임버로 부상하는 상기 부품을 하나씩 방출하는 이젝션노즐이 구성되어 있는 이젝팅수단과;
    상기 이젝팅수단의 이젝션노즐을 통하여 방출되는 상기 부품이 정렬되도록 활강시키는 정렬수단과;
    상기 정렬수단을 통과하는 상기 부품을 감지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을 통과하는 상기 부품을 조명하여 이미지를 투영시키는 조명수단과;
    상기 부품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와;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의 감지신호와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데이터를 프로그램에 의하여 처리하여 상기 부품을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하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양품과 불량품을 분류하는 셀렉터로 이루어지는 코일형 부품 검사기.
KR10-2001-0073172A 2001-11-23 2001-11-23 코일형 부품 공급기 및 이것을 이용한 코일형 부품 검사기 KR100414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172A KR100414968B1 (ko) 2001-11-23 2001-11-23 코일형 부품 공급기 및 이것을 이용한 코일형 부품 검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172A KR100414968B1 (ko) 2001-11-23 2001-11-23 코일형 부품 공급기 및 이것을 이용한 코일형 부품 검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508A KR20030042508A (ko) 2003-06-02
KR100414968B1 true KR100414968B1 (ko) 2004-01-13

Family

ID=2957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172A KR100414968B1 (ko) 2001-11-23 2001-11-23 코일형 부품 공급기 및 이것을 이용한 코일형 부품 검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9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2240A (en) * 1980-12-29 1982-07-13 Sony Corp Parts feeder
JPH0741148A (ja) * 1993-06-15 1995-02-10 Nec Corp 電子部品供給装置
KR19990010644A (ko) * 1997-07-18 1999-02-18 조희재 전자부품 공급 호퍼
KR0174952B1 (ko) * 1995-07-31 1999-05-01 배순훈 부품 자동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2240A (en) * 1980-12-29 1982-07-13 Sony Corp Parts feeder
JPH0741148A (ja) * 1993-06-15 1995-02-10 Nec Corp 電子部品供給装置
KR0174952B1 (ko) * 1995-07-31 1999-05-01 배순훈 부품 자동공급 장치
KR19990010644A (ko) * 1997-07-18 1999-02-18 조희재 전자부품 공급 호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508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9108B1 (en) Image based defect detection system
US8220657B2 (en) Unit for filling containers with products in particular pharmaceutical products
JP7124913B2 (ja) 鉱石選別方法及びその装置
US74038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ng manufactured parts and sorting the inspected parts
KR100527211B1 (ko) 전자부품 검사 시스템
US10118201B2 (en) Inspection and sorting machine
JP2003530993A (ja) シガレット包装工程を視覚的に検査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2137433A1 (ja) 光学式選別機
JP2011059114A (ja) 容器蓋を調査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6142236A (ja) 選別装置
US5848706A (en) Sorting apparatus
JPH07504272A (ja) 繊維試料試験のための装置と方法
KR101226124B1 (ko) 형상검사부가 구비된 계수장치
KR100414968B1 (ko) 코일형 부품 공급기 및 이것을 이용한 코일형 부품 검사기
CN205550880U (zh) 螺丝检测机
JPH06167323A (ja) 部品検査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検査方法
KR102040095B1 (ko) 비전 선별기
CN105618385A (zh) 螺丝检测机
JP2008062116A (ja) 莢果選別装置
GB2271846A (en) Inspecting parts.
JP2006110516A (ja) 色彩選別機
CN205397376U (zh) 送料装置及具有其的螺丝检测机
KR20220097916A (ko) 광학식 선별기
JPH05278838A (ja) 良品選別方法及びその装置
US2776747A (en) Color sor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