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895B1 -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및 이를 직조하는 직조기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및 이를 직조하는 직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895B1
KR100414895B1 KR10-2001-0009506A KR20010009506A KR100414895B1 KR 100414895 B1 KR100414895 B1 KR 100414895B1 KR 20010009506 A KR20010009506 A KR 20010009506A KR 100414895 B1 KR100414895 B1 KR 10041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ing
drive
chain
drive chai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313A (ko
Inventor
유재천
Original Assignee
유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천 filed Critical 유재천
Priority to KR10-2001-0009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89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9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5/00Smallware looms, i.e. looms for weaving ribbons or other narrow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05Woven fabrics for safety bel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2General arrangements of driv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중 추락사고시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및 이를 연속적으로 직조하는 직조기에 관한 것으로, 구동축 외주연에 복수열을 이루어 일체형으로 장착되며, 이중직조부가 이중직으로 직조되는 몸통부와 이로부터 양분되는 날개부의 이중직조부를 연속적으로 직조하도록 캠롤러와 접촉레벨이 상이한 다수의 링키지가 원형으로 연결되어 해당 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일정한 주기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는 기본바닥직조용 구동체인과, 캠롤러와 접촉레벨이 상이한 다수의 링키지가 일정한 주기를 반복하도록 체인형상으로 연결되어 구동축 구동시 이중으로 포개져 무한궤도운동을 하여 해당 종광을 반스트로크 및 완전 스트로크로 구동시키며, 소정하중이상이 가해질때 이중직으로 직조된 몸통부의 직조연결부용 경사가 절단되어 몸통부의 이중직조부가 안전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분리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통부와 날개부를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직조하는 심사직조용 구동체인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체인형상으로 연결되어 일정한 주기로 반복구동하는 링키지 구동에 의해 몸통부와 이로부터 양분되는 날개부를 교호적으로 연속적으로 직조하여 안전벨트의 원가비용을 낮추며, 안전벨트의 몸통부와 날개부를 교호적으로 연속적으로 직조시 피크수의 증가로 인해 전체의 길이가 늘어나는 구동체인이 복층을 이루어 무한궤도운동을 하도록하여 구동체인이 설치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및 이를 직조하는 직조기{shock absorber safety belt and weaving machine thereof}
본 발명은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고소작업중 추락사고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충격하중으로 인해 안전벨트의 이중직으로 엮어진 직조연결부가 절단되어 복수개의 이중직조부로 분리되면서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및 이를 직조하는 직조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추락사고시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해 안전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분리되면서 충격하중을 흡수하도록 복수개의 이중직조부로 엮어지는 소정길이의 몸통부와, 일측을 사용자의 허리벨트에 고정하며 타측을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로프에 고정하는 날개부를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갖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및 이를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직조하는 직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벨트는, 소정의 인장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안전벨트(1)의 일단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2)에 고정되며, 그 타단은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난간 또는 지지간등의 안전구조물에 후크(3)로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전술한 안전벨트(1)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도중 실족 등으로 인해 추락사고를 당하는 경우, 외줄로 형성된 안전벨트(1)에 사용자의 허리부위가 메달리게되므로 작업장 바닥면에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떨어져 다치는 추락사고를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추락사고시 사용자 체중의 약 2∼5배(약 350∼400㎏정도임)에 해당하는 충격하중이 순간적으로 외줄의 안전벨트(1)를 통하여 사용자의 허리 또는 척추부위에 곧바로 전달되므로 척추탈골과 같은 중상(重傷)을 당하는 우려가 매우 높게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한편,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직조기의 구동부는, 함체형의 케이스(4) 외측에 장착되는 구동모터(미도시됨) 구동시 회전할 수 있도록 케이스(4) 내부에 구동축(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축(5) 외주연에 해당 종광(미도시됨)을 소정스트로크내에서 반복하여 승하강시키도록 접촉레벨이 상이한 다수의 링크가 원형을 이루도록 연결된 구동체인(6)이 복수열(예를들어, 3열을 말함)로서 일체형으로 직접 장착된다.
미 설명부호 9는 구동체인(6)의 구동에 따라 접촉으로 연동되어 해당 종광을 승하강시키는 캠롤러 이다.
또한,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직조기의 다른 구동부는, 함체형의 케이스(4) 외측에 장착되는 구동모터(미도시됨) 구동시 회전할 수 있도록 케이스(4) 내부에 구동축(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축(5)과 소정거리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아이들러(idler)상태의 종동축(7)에 해당 종광(heald)을 소정스트로크내에서 반복하여 승하강시키도록 접촉레벨이 상이한 다수의 링크가 일정한 주기를 이루도록 반복하여 구동하도록 체인형상으로 연결된 구동체인(8)이 복수열(예를들어, 3열을 말함)로서 장착된다.
그러나, 전술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스(4) 내부에 설치되는 직조기의 구동부 구조에서는, 구동축(5) 외주연에 직접 장착되는 구동체인(6) 또는 구동축(5)과 소정간격을 유지하는 종동축(7)에 장착되어 트랙구동하는 구동체인(8)의 링키지가 소정피크(예를들어, 56피크를 말함)이상으로 구동이 불가능하게되므로, 고소작업중 추락사고시 복수개의 이중직조부로 분리되면서 충격을 흡수함에 따라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하는 안전벨트를 이중직조부가 이중으로 엮어지는 몸통부와, 몸통부로 부터 양분되어 단일의 이중직조부로 엮어지는 날개부를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직조할 수 없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고소작업중 추락사고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충격하중으로 인해 안전벨트의 이중직으로 엮어진 직조연결부가 절단되어 복수개의 이중직조부로 분리되면서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인형상으로 연결되어 일정한 주기로 반복구동하는 링키지 구동에 의해 몸통부로 부터 양분되는 날개부가 교호적으로 반복하는 안전벨트를 연속적으로 직조할 수 있도록 한 직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벨트의 몸통부와 날개부를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직조시 피크수의 증가로 인해 전체의 길이가 증가되는 구동체인이 복층을 이루어 무한궤도운동을 하도록하여 구동체인이 설치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직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벨트가 허리벨트에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직조기에서 구동부의 개략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직조기에서 다른 구동부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직조기에 의해 연속적으로 직조되는 안전벨트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직조기에 의해 직조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허리벨트와 안전로프 사이에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직조기에 의해 직조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에서 몸통부의 경사가 절단되면서 이중직조부로 분리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직조기를 이용하여 안전벨트의 몸통부와 날개부를 교대로 반복하여 갖도록 연속적으로 직조하도록 무한궤도운동하는 구동체인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직조기에서 직조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직조기에서 직조부의 개략적인 요부발췌도,
도 10(a,b,c,d,e)은 본 발명에 의한 직조기에서 몸통부 및 날개부의 기본바닥직조용 구동체인의 1주기 구간을 전개시킨 상태의 개략도,
도 11(a,b,c,d)은 본 발명에 의한 직조기에서 몸통부의 심사직조용 구동체인의 1주기 구간을 전개시킨 상태의 개략도,
도 12(a,b,c,d)는 본 발명에 의한 직조기에서 날개부의 심사직조용 구동체인의 1주기 구간을 전개시킨 상태의 개략도,
도 13(a,b)은 본 발명에 의한 직조기에서 안전벨트의 몸통부를 직조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 구동축 12; 몸통부
13; 날개부 14,14a,15,15a; 이중직조부
16; 경사 17; 기본심사
18; 보조심사 19; 제1구동체인
20; 제2구동체인 21; 제3구동체인
22; 제4구동체인 23; 제5구동체인
24; 기본심사용 구동체인 25; 보조심사용 구동체인
CR; 캠롤러 H; 종광
C1; 기본바닥직조용 구동체인 C2; 심사직조용 구동체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구동체인이 외주연에 소정간격으로 장착되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과, 구동축 회전시 각각의 구동체인 터치로 인해 승하강되는 캠롤러와, 구동축 회전시 연동되어 피이딩되는 위사를 직조하는 캐리어와, 캠롤러 구동시 각각 승하강되어 피이딩되는 경사를 배열직조하는 종광을 구비하여 이중직조부의 안전벨트를 연속적으로 직조하는 직조기에 있어서, 구동축 외주연에 복수열을 이루어 일체형으로 장착되며, 이중직조부가 이중직으로 직조되는 몸통부와 이로부터 양분되는 날개부의 이중직조부를 연속적으로 직조하도록 캠롤러와 접촉레벨이 상이한 다수의 링키지가 원형으로 연결되어 해당 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일정한 주기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는 기본바닥직조용 구동체인과, 캠롤러와 접촉레벨이 상이한 다수의 링키지가 일정한 주기를 반복하도록 체인형상으로 연결되어 구동축 구동시 이중으로 포개져 무한궤도운동을 하여 해당 종광을 반스트로크 및 완전 스트로크로 구동시키며, 소정하중이상이 가해질때 이중직으로 직조된 몸통부의 직조연결부용 경사가 절단되어 몸통부가 안전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이중직조부로 분리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통부와 날개부를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직조하는 심사직조용 구동체인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직조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기본바닥직조용 구동체인은, 해당 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1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1번 하강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제1구동체인과, 해당 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3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1번 하강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제2구동체인과, 해당 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1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3번 하강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제3구동체인과, 해당 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3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1번 하강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제4구동체인과, 해당 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1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3번 다운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제5구동체인으로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심사직조용 구동체인이 500 ∼ 800피크 구동하여 몸통부를 직조하며, 심사직조용 구동체인이 80 ∼ 120피크 구동하여 날개부를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직조할 수 있도록 캠롤러와 접촉레벨이 상이한 다수의 링키지가 일정한 주기를 반복하여 체인형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심사직조용 구동체인은, 해당 종광을 완전 스트로크로 1번은 상하구동시켜 몸통부를 형성하는 상하부 이중직조부의 외측까지 직조하여 엮어주는 엎구동과 해당 종광을 3번은 반스트로크내에서 구동시켜 상하부 이중직조부의 내부까지만 직조하여 엮어주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기본심사용 구동체인과, 기본심사용 구동체인과 동일주기로서 구동하며, 해당 종광을 3번은 반스트로크내에서 구동시켜 상하부 이중직조부의 내부까지만 직조하여 엮어주는 다운구동과 해당 종광을 완전 스트로크로 1번 상하구동시켜 상하부 이중직조부의 외측까지 직조하여 엮어주는 엎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보조심사용 구동체인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날개부는 기본심사용 구동체인 및 보조심사용 구동체인이 각각 반스트로크내에서 구동하여 기본심사 및 보조심사가 상하부 이중직조부에 각각 흡수되어 직조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추락사고시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충격하중이 가해져 이중직조부의 직조연결부용 경사가 절단되어 이중직조부가 안전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양분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이중직조부가 이중직으로 직조된 소정길이의 몸통부와, 몸통부로 부터 양분되어 단일의 이중직조부로 직조되는 날개부가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동체인이 외주연에 소정간격으로 장착되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11)과, 구동축(11)회전시 각각의 구동체인 터치로 인해 승하강되는 캠롤러(CR)와, 구동축(11)회전시 연동되어 피이딩(feeding)되는 위사를 직조하는 캐리어(30)와, 캠롤러(CR)구동시 접촉으로 인해 각각 승하강되어 피이딩되는 경사를 배열직조하는 종광(H)을 구비하여 이중직조부의 안전벨트를 연속적으로 이중직조하는 직조기에 적용되며, 이들은 통상적으로 직조기 관련분야에서 이미 사용하는 기술내용에 속한다 할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이들에 대한 구성 및 작동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4, 도 6 내지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구동축(11) 외주연에 소정간격으로 복수열을 이루어 일체형으로 장착되며, 이중직조부(14,15)가 이중직으로 직조되는 몸통부(12)와 이로부터 양분되어 낱개의 이중직조부(14a,15a)로 직조되는 날개부(13)를 연속하여 교호적으로 직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캠롤러(CR)와 접촉레벨이 상이한 다수의 링키지가 원형으로 연결되어 해당 종광(H)을 반스트로크내에서 일정한 주기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는 기본바닥직조용 구동체인(C1)을 포함한다.
또한, 캠롤러(CR)와 접촉레벨이 상이한 다수의 링키지가 일정한 주기를 반복하도록 체인형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축(11)구동시 이중으로 포개져 무한궤도운동을 하여 해당 종광(H)을 반스트로크 및 완전 스트로크로 구동시키며, 소정하중이상이 가해질때 이중직으로 직조된 몸통부(12)의 직조연결부용 경사(16)가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어 몸통부(12)가 안전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이중직조부(14,15)로 분리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몸통부(12)와 날개부(13)를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직조하는 심사직조용 구동체인(C2)을 포함한다.
한편, 도 6, 도 8, 도 9 및 도 12(a∼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날개부(13)는 기본심사용 구동체인(C3) 및 보조심사용 구동체인(C4)이 각각 반스트로크내에서 구동하여 기본심사(17) 및 보조심사(18)가 상하부 이중직조부(14,15)에 각각 흡수되어 직조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심사직조용 구동체인(C2)이 500 ∼ 800피크(바람직하기로는, 560피크) 구동하여 몸통부(12)를 소정길이로서 직조하며, 심사직조용 구동체인(C2)이 80 ∼ 120피크(바람직하기로는, 100피크) 구동하여 날개부(13)를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소정길이로서 직조할 수 있도록 캠롤러(CR)와 접촉레벨이 상이한 다수의 링키지가 일정한 주기를 반복하여 체인형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기본바닥직조용 구동체인(C1)은, 해당 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1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1번 하강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해당 캠롤러(CR)와 접촉되는 소정형상의 링키지가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연결(일예로서, 8개의 링크가 1주기를 이루도록 연결됨)된 제1구동체인(19)(도 10(a)에 도시됨)과, 해당 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3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1번 하강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해당 캠롤러(CR)와 접촉되는 소정형상의 링키지가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제2구동체인(20)(도 10(b)에 도시됨)을 구비한다.
또한, 해당 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1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3번 하강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해당 캠롤러(CR)와 접촉되는 소정형상의 링키지가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제3구동체인(21)(도 10(c)에 도시됨)과, 해당 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3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1번 하강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해당 캠롤러(CR)와 접촉되는 소정형상의 링키지가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제4구동체인(22)(도 10(d)에 도시됨)과, 해당 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1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3번 다운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해당 캠롤러(CR)와 접촉되는 소정형상의 링키지가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제5구동체인(23)(도 10(e)에 도시됨)으로서 이루어진다.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심사직조용 구동체인(C2)은, 해당 종광(H)을 완전 스트로크로 1번은 상하구동시켜 몸통부(12)를 형성하는 상하부 이중직조부(14,15)의 외측까지 직조하여 엮어주는 엎구동과, 해당 종광을 3번은 반스트로크내에서 구동시켜 상하부 이중직조부(14,15)의 내부까지만 직조하여 엮어주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해당 캠롤러(CR)와 접촉되는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기본심사용 구동체인(24)(도 11(c,d)에 도시됨)과, 기본심사용 구동체인(24)과 동일주기로서 구동하며, 해당 종광을 3번은 반스트로크내에서 구동시켜 상하부 이중직조부(14,15)의 내부까지만 직조하여 엮어주는 다운구동과 해당 종광을 완전 스트로크로 1번 상하구동시켜 상하부 이중직조부(14,15)의 외측까지 직조하여 엮어주는 엎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해당 캠롤러(CR)와 접촉되는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보조심사용 구동체인(25)(도 11(a,b)에 도시됨)으로 이루어진다.
미 설명부호 50은 구동모터 구동시 연동되어 몸통부(12)와 날개부(13)를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직조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잡아당겨 배출시키는 롤러, 60은 캐리어(30)구동으로 직조되는 위사 및 경사가 촘촘하게 직조되도록 가압하는 압착편 이다.
한편,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같은 직조기에 의해 직조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는, 추락사고시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충격하중이 가해져 상하부 이중직조부(14,15)의 직조연결부용 경사(16)가 절단되어 이중직조부(14,15)가 안전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양분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이중직조부(14,15)가 이중직으로 직조된 소정길이의 몸통부(12)와, 몸통부(12)로 부터 양분되어 단일의 이중직조부(14a,15a)로 직조되는 날개부(13)가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직조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직조기를 이용하여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직조하는 과정을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7,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전원스위치(미도시됨)를 온(ON)시킴에 따라 구동하는 미도시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축(11)이 연동되어 회전하고, 이로 인해 외주연에 스프로킷이 장착된 구동축(11)과 이로부터 구동체인(4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아이들(idle)구동하는 종동축(7)이 회전하여 심사직조용 구동체인(C2)을 지지하며, 심사직조용 구동체인(C2)이 구동시 처지는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아이들구동하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각 구간별로 지지됨에 따라 체인형상으로 연결된 심사직조용 구동체인(C2)이 무한궤도운동을 할 수 있게된다.
이로 인해,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구동축(11) 외주연에 수개의 링키지가 원형을 이루어 일체형으로 장착된 기본바닥직조용 구동체인(C1)구동에 의해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의 몸통부(12)를 이중직으로 형성하는 상하부 이중직조부(14,15)와, 몸통부(12)로 부터 양분되어 단일의 날개부(13)를 형성하는 이중직조부(14a,15a)를 연속적으로 직조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0(a∼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몸통부(12)와 날개부(13)를 형성하는 이중직조부(14,15)(14a,15a)는 전술한 구동축(11) 외주연에 소정간격으로 장착된 제 1 내지 제 5 구동체인(19 내지 23)에 의해 해당 종광(H)을 반스트로크내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을 소정주기로서 구동시킴에 따라 연속적으로 직조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제1구동체인(19)은 해당 종광(H)을 1번 상승시킨후 1번 하강시키는 것을 1주기로서 반복하여 구동시키며(도 10(a)에 도시됨), 제2구동체인(20)은 해당 종광(H)을 3번 상승시킨후 1번 하강시키는 것을 1주기로서 반복하여 구동시키며(도 10(b)에 도시됨), 제3구동체인(21)은 해당 종광(H)을 1번 상승시킨후 3번 하강시키는 것을 1주기로서 반복하여 구동시키며(도 10(c)에 도시됨), 제4구동체인(22)은 해당 종광(H)을 3번 상승시킨후 1번 하강시키는 것을 1주기로서 반복하여 구동시키며(도 10(d)에 도시됨), 제5구동체인(23)은 해당 종광(H)을 1번상승시킨후 3번 다운시키는 것을 1주기로서 반복하여 구동(도 10(e)에 도시됨)시킴에 따라, 이중직조부(14,15)(14a,15a)를 이중직으로 연속적으로 직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궤도운동을 하게되는 심사직조용 구동체인(C2)구동에 의해 안전벨트의 몸통부(12)와 날개부(13)를 반복하여 교호적으로 직조할 수 있게된다. 이때 전술한 심사직조용 구동체인(C2)이 약 500 ∼ 800피크정도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80피크 구동하여 몸통부(12)를 소정길이로서 직조하며, 심사직조용 구동체인(C2) 약 80 ∼ 120피크정도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0피크 구동하여 몸통부(12)로 부터 양분되는 날개부(13)를 소정길이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직조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9, 도 11(a,b,c,d)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기본심사용 구동체인(24)과 보조심사용 구동체인(25)구동에 의해 몸통부(12)는 기본심사용 구동체인(24)이 완전 스트로크 및 반스트로크내에서 상하구동하여 기본심사(17) 및 보조심사(18)에 의해 상하부 이중직조부(14,15)를 겹친상태로 이중직으로 직조할 수 있게되며, 반면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13)는 보조심사용 구동체인(25)이 반스트로크내에서 구동하여 기본심사(17) 및 보조심사(18)가 몸통부(12)로 부터 양분되는 단일의 이중직조부(14a,15a) 내부에 흡수되어 직조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1(a∼d) 및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심사용 구동체인(24) 및 보조심사용 구동체인(25)구동에 따라 몸통부(12)를 이중직의 이중직조부(14,15)로서 직조할 수 있게된다. 즉 보조심사용 구동체인(25)구동에 의해 해당 종광을 완전 스트로크로 1번은 상하구동시켜 상하부 이중직조부(14,15)의 외측까지 엮어주며, 해당 종광을 3번은 반스트로크내에서 구동시켜 상하부 이중직조부(14,15)의 내부까지만 직조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심사용 구동체인(25)과 동일주기로서 구동하는 기본심사용 구동체인(24)구동에 의해 해당 종광을 3번은 완전 스트로크로 구동시켜 상하부 이중직조부(14,15)의 외측까지 엮어주며, 해당 종광을 완전 스트로크로 1번 구동시켜 상하부 이중직조부(14,15)의 외측까지 직조함에 따라, 몸통부(12)를 이중직의 이중직조부(14,15)를 겹쳐지게 직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구동축(11) 외주연에 소정간격으로 장착된 기본바닥직조용 구동체인(C1)과 심사직조용 구동체인(C2)의 구동시 이들 체인과 접촉으로 인해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캠롤러(CR)와, 구동축(11)회전시 연동되어 피이딩되는 위사를 직조하는 캐리어(30)와, 캠롤러(CR)구동시 접촉으로 인해 각각 승하강되어 피이딩되는 경사(16)를 배열직조하는 해당 종광(H) 등의 해당 단위유니트의 구동시 안전벨트를 이중직의 이중직조부로 직조하는 기술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직조기의 당해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내용에 속한다 할 것이므로 생략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게 된다.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고소작업중 추락사고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충격하중으로 인해 안전벨트의 이중직으로 엮어진 직조연결부가 절단되어 복수개의 이중직조부로 분리되면서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사용자를 사고위험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체인형상으로 연결되어 일정한 주기로 반복구동하는 링키지 구동에 의해 몸통부로 부터 양분되는 날개부가 교호적으로 반복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연속적으로 직조하여 안전벨트의 원가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안전벨트의 몸통부와 날개부를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직조시 피크수의 증가로 인해 전체의 길이가 증가되는 구동체인이 복층을 이루어 무한궤도운동을 하도록하여 구동체인이 설치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5)

  1. 다수의 구동체인이 외주연에 소정간격으로 장착되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과, 구동축 회전시 각각의 구동체인 터치로 인해 승하강되는 다수의 캠롤러와, 구동축 회전시 연동되어 피이딩되는 위사를 직조하는 캐리어와, 캠롤러 구동시 각각 승하강되어 피이딩되는 경사를 배열직조하는 종광을 구비하여 이중직조부의 안전벨트를 연속적으로 직조하는 직조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외주연에 복수열을 이루어 일체형으로 장착되며, 이중직조부가 이중직으로 직조되는 몸통부와 이로부터 양분되는 날개부의 이중직조부를 연속적으로 직조하도록 상기 캠롤러와 접촉레벨이 상이한 다수의 링키지가 원형으로 연결되어 해당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일정한 주기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는 기본바닥직조용 구동체인; 및
    상기 캠롤러와 접촉레벨이 상이한 다수의 링키지가 일정한 주기를 반복하도록 체인형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 구동시 이중으로 포개져 무한궤도운동을 하여 해당종광을 반스트로크 및 완전 스트로크로 구동시키며, 소정하중이상이 가해질때 이중직으로 직조된 상기 몸통부의 직조연결부용 경사가 절단되어 상기 몸통부가 안전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이중직조부로 분리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몸통부와 날개부를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직조하는 심사직조용 구동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직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바닥직조용 구동체인은;
    상기 해당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1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1번 하강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제1구동체인;
    상기 해당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3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1번 하강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제2구동체인;
    상기 해당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1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3번 하강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제3구동체인;
    상기 해당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3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1번 하강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제4구동체인; 및
    상기 해당종광을 반스트로크내에서 1번 상승시키는 엎구동과 3번 다운시키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제5구동체인으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직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직조용 구동체인은;
    상기 해당종광을 완전 스트로크로 1번은 상하구동시켜 상기 몸통부를 형성하는 상하부 이중직조부의 외측까지 직조하여 엮어주는 엎구동과, 상기 해당종광을 3번은 반스트로크내에서 구동시켜 상기 상하부 이중직조부의 내부까지만 직조하여 엮어주는 다운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기본심사용 구동체인; 및
    상기 기본심사용 구동체인과 동일주기로서 구동하며, 상기 해당종광을 3번은 반스트로크내에서 구동시켜 상기 상하부 이중직조부의 내부까지만 직조하여 엮어주는 다운구동과, 상기 해당종광을 완전 스트로크로 1번 상하구동시켜 상기 상하부 이중직조부의 외측까지 직조하여 엮어주는 엎구동을 1주기로서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도록 수개의 링키지로 연결된 보조심사용 구동체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직조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직조용 구동체인이 500 ∼ 800피크 구동하여 몸통부를 직조하며, 상기 심사직조용 구동체인이 80 ∼ 120피크 구동하여 날개부를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직조할 수 있도록 상기 캠롤러와 접촉레벨이 상이한 다수의 링키지가 일정한 주기를 반복하여 체인형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직조기.
  5. 삭제
KR10-2001-0009506A 2001-02-24 2001-02-24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및 이를 직조하는 직조기 KR100414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506A KR100414895B1 (ko) 2001-02-24 2001-02-24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및 이를 직조하는 직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506A KR100414895B1 (ko) 2001-02-24 2001-02-24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및 이를 직조하는 직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313A KR20020069313A (ko) 2002-08-30
KR100414895B1 true KR100414895B1 (ko) 2004-01-13

Family

ID=27695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506A KR100414895B1 (ko) 2001-02-24 2001-02-24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및 이를 직조하는 직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24B1 (ko) * 2006-01-12 2007-05-29 김정석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형성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3453U (ko) * 1980-05-08 1981-12-04
US4305434A (en) * 1978-10-25 1981-12-15 Textilma Ag Weaving loom
JPS6088151A (ja) * 1983-09-29 1985-05-17 エリテツクス,コンツエルン テクステイルニホ ストロジレンストビ 複数の製織域を有する織機
KR900008416Y1 (ko) * 1985-10-22 1990-09-15 마사기 야스가 타일 절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5434A (en) * 1978-10-25 1981-12-15 Textilma Ag Weaving loom
JPS56163453U (ko) * 1980-05-08 1981-12-04
JPS6088151A (ja) * 1983-09-29 1985-05-17 エリテツクス,コンツエルン テクステイルニホ ストロジレンストビ 複数の製織域を有する織機
KR900008416Y1 (ko) * 1985-10-22 1990-09-15 마사기 야스가 타일 절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24B1 (ko) * 2006-01-12 2007-05-29 김정석 세폭직기의 튜브직물 주름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313A (ko) 200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97077Y2 (ja) 同期駆動ベルトおよび同期伝導プーリ
KR100414895B1 (ko)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및 이를 직조하는 직조기
KR101237196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CN106687180A (zh) 蹦床和蹦床公园
CN101331982A (zh) 由伸缩性针织物制成的衣服
ES2395425T3 (es) Escalera mecánica o pasillo rodante con entrada de pasamanos, entrada de pasamanos de una escalera mecánica o pasillo rodante de este tipo así como método para reducir una rendija en la entrada de pasamanos
KR100791148B1 (ko) 안전로프원단
SE434692B (sv) Rem for sallkedjeband for potatisupptagningsmaskiner
KR200292886Y1 (ko) 세폭직기의 종광 구동장치
CN207876604U (zh) 一种单纬帘面增强的钢丝绳芯输送带
EP0607317B1 (en) Belt conveyor
EP2222581A2 (en) Slat driven positive displacement sorter
KR101893009B1 (ko) 탄력성을 갖는 벨트 끈
ES2257092T3 (es) Tela de cinta entretejida.
CN115178518A (zh) 跨越式清扫机器人
KR20080092027A (ko)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KR100801830B1 (ko) 세폭직기의 전자식 개구장치
KR20220095111A (ko) 충격 흡수 기구
CA1318923C (en) Treadmill with trampoline-like surface
CN206486645U (zh) 吊带开口机构及塑料编织布织机
KR100258775B1 (ko) 하반신 운동기구
CN219729090U (zh) 一种侧边具有耐磨层的采棉机打包带
CN218662131U (zh) 一种履带行走结构
CN1328023C (zh) 竹麻编织机
CN217863191U (zh) 一种高弹性蹦床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