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130A -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130A
KR20010044130A KR1020000068542A KR20000068542A KR20010044130A KR 20010044130 A KR20010044130 A KR 20010044130A KR 1020000068542 A KR1020000068542 A KR 1020000068542A KR 20000068542 A KR20000068542 A KR 20000068542A KR 20010044130 A KR20010044130 A KR 20010044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orker
shock
seat bel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천
Original Assignee
유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천 filed Critical 유재천
Priority to KR1020000068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4130A/ko
Publication of KR20010044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1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고소작업중 추락시 작업자의 체중에 따른 충격이 안전벨트를 통해 작업자에게 곧바로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단이 작업자의 허리벨트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로프에 고정되어 추락사고시 작업자가 작업바닥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용 벨트와, 추락방지용 벨트 양단부에 복수의 날개부가 각각 고정되어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체중에 의한 충격력으로 복수개로 이중직조부로 분리되면서 작업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충격흡수용 벨트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각종 고소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추락사고로 부터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예방하며, 고소작업중 추락사고시 안전벨트를 착용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키는 완충기능을 갖는 별도의 부재가 불필요하여 구조간단화로 인해 사용자에게 저가로 공급하며, 작업자의 허리벨트와 안전로프 사이에 고정되는 안전벨트를 최소부피로 포장함에 따라 보관이 용이하고 착용후 작업시 외부물체와 걸림으로 인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충격흡수용 안전벨트{safety belt for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각종 고소작업장에서 착용하게되는 안전벨트의 완충력을 증가시켜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이 작업자의 허리벨트에 고정되며 그 타단이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로프에 고정되어 고소작업중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체중에 따른 충격력에 의해 안전벨트가 이중직으로 엮어진 복수개의 이중직조부로 분리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작업자의 허리부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의 고층의 지상 또는 지하구조물에서 고소작업하는 경우 작업자를 실족 등에 의한 추락사고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및 안전모 등의 개인용 안전보호장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도록 하고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벨트는, 소정의 장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안전벨트(1)의 일단은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2)에 고정되며 그 타단은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난간 또는 지지간등의 안전구조물에 후크(3)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전술한 안전벨트(1)를 착용한 상태에서 실족으로 인한 추락사고시 외줄로 형성된 안전벨트(1)에 작업자의 허리가 메달리게되므로 작업장 바닥면에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떨어져 다치는 추락사고를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안전벨트를 사용하는 경우, 추락사고시 작업자 체중의 약 2∼5배(약 350∼400㎏정도임)에 해당하는 충격력이 순간적으로 외줄의 안전벨트(1)를 통하여 작업자의 허리 또는 척추부위에 곧바로 전달되므로 척추탈골과 같은 중상을 당하는 우려가 매우 높게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허리부위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별도의 부재를 전술한 안전벨트(1)에 대해 추가로 장착하는 경우, 부품수 증가로 인한 구조복잡화로 제작하는 작업성이 떨어지며, 원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체중에 따른 충격력으로 안전벨트가 이중직으로 엮어진 복수개의 이중직조부로 분리(Y자 형상으로 분리됨)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소작업중 추락사고시 안전벨트를 착용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별도의 부재가 불필요하여 구조간단화로 인해 사용자에게 저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허리벨트와 안전로프 사이에 고정되는 안전벨트를 최소부피로 포장함에 따라 보관이 용이하고, 착용후 작업시 외부물체와 걸림으로 인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소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추락사고로 부터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벨트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전개시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작업자의 허리벨트에 고정시킨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발췌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가 반복적으로 제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허리벨트
11; 후크
12; 안전로프
13; 직조연결부
14; 충격흡수용 벨트
15; 포장재
16,17; 이중직조부
18; 추락방지용 벨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단이 작업자의 허리벨트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로프에 고정되어 추락사고시 작업자가 작업바닥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용 벨트와, 추락방지용 벨트 양단부에 복수의 날개부가 각각 고정되어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체중에 의한 충격력으로 복수개로 이중직조부로 분리되면서 작업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충격흡수용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안전벨트는 외부로 부터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로프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 파열되는 포장재에 의해 포장되어 전술한 허리벨트와 안전로프 사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충격흡수용 벨트는 추락방지용 벨트 양단부에 각각 봉제고정되는 복수개의 날개부와, 날개부가 직조연결부에 의해 단일의 이중직조부로 엮어져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체중에 의한 충격력으로 직조연결부가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어 복수의 이중직조부로 분리되는 몸통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작업자의 허리벨트(10)에 고정되며 그 타단이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후크(11)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로프(12)에 고정되며, 고소작업중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체중에 의한 충격력에 의해 이중직으로 엮어진 이중직조부(16,17)의 직조연결부(13)가 절단(이중직조부(16,17)길이의 약 40∼50㎝길이에 걸쳐서 진행됨)되어 직조연결부(13)의 절단된 구간에 걸쳐 복수개의 이중직조부(16,17)로 분리(Y자 형상으로 분리됨)되면서 작업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충격흡수용 벨트(14)와, 일단이 이중직조부(16) 일단에 봉제되고 그 타단이 이중직조부(17)의 타단에 봉제되며, 추락시 작업자의 체중에 따른 충격력에 의한 이중직조부(16,17)의 직조연결부(13)가 이중직조부(16,17) 길이의 전구간에 걸쳐 절단되어 완전하게 분리시 작업자가 작업장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떨어지는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추락방지용 벨트(18)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허리벨트(10)와 안전로프(12) 사이에 고정되는 안전벨트(14,18)는 외부로 부터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형상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안전로프(12)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 파열될 수 있는 합성수지재등의 포장재(15)에 의해 포장된다.
한편,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충격흡수용 벨트(14)는 소정의 직조기에 의해 이중직으로 엮어진 이중직조부(16,17)가 직조연결부(13)에 의해 단일체로 엮어지는 몸통부(19)와, 이중직조부(16,17)가 복수개로 분리되어 엮어지는 날개부(16a,17a)가 연속적으로 교대로 반복하여 직조됨에 따라, 몸통부(19)와 날개부(16a,17a)가 접하는 부위를 절단하여 날개부(16a,17a)를 전술한 추락방지용 벨트(18)에 제봉하여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의 사용방법을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부터 먼지, 빗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형상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 등의 포장재(15)에 의해 포장된 추락방지용 벨트(18)의 일단을 작업자의 허리벨트(10)에 고정하며, 추락방지용 벨트(18)의 타단은 후크(11)에 의해 작업장에 설치되는 난간 등의 안전구조물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로프(12)에 고정한 후 고소작업장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안전벨트(14,18)가 포장재(15)에 의해 포장되어 최소 부피를 차지하게 되므로 허리벨트(10)와 안전로프(12) 사이에 고정하여 작업중 외부물체와 걸림으로 인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벨트(14,18)가 고정되는 허리벨트(10)를 착용한 상태에서 고소작업중 실족 등으로 인해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체중으로 인한 충격이 작업자의 허리, 요추부위에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락사고시 작업자 체중의 약 2∼5배(약 350∼400㎏정도임)에 상응하는 충격이 안전로프(12)를 통해 전술한 충격흡수용 벨트(14)에 전달되어 안전로프(12)에 발생되는 인장력에 의해 충격흡수용 벨트(14)를 감싼 비닐재 등의 포장재(15)가 파열된다.
이와 동시에 충격흡수용 벨트(14)의 이중직조부(16,17)의 직조연결부(13)가 충격흡수용 벨트(14)의 길이방향으로 절단(이중직조부(16,17)의 약 40∼50㎝길이에 걸쳐서 진행됨)되며, 직조연결부(13)의 절단된 구간에 걸쳐 단일의 몸통부(19)가 복수개의 이중직조부(16,17)로 분리(Y자 형상으로 분리됨)되면서 충격을 흡수함에 따라, 안전로프(12)를 통해 작업자의 허리부위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자의 체중이 평균치 이상으로서 과체중인 경우 또는 높이가 높은 고소작업장에서 추락 등으로 인해 전술한 충격흡수용 벨트(14)의 이중직조부(16,17)의 직조연결부(13)가 이중직조부(16,17)길이의 전구간에 걸쳐 절단되어 복수의 이중직조부(16,17)로 완전하게 분리되는 경우, 전술한 충격흡수용 벨트(14)외측으로 형성되는 추락방지용 벨트(18)와 이음연결되는 안전로프(12)에 의해 작업자를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메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됨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장 바닥면에 직접 떨어져 다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안전로프(12)와 추락방지용 벨트(18)의 길이를 합한 전체 길이가 고소작업장의 높이보다 짧도록 조절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게 된다.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체중에 따른 충격력으로 안전벨트가 이중직으로 엮어진 복수개의 이중직조부로 분리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소작업중 추락사고시 안전벨트를 착용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별도의 부재가 불필요하여 구조간단화로 인해 사용자에게 저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의 허리벨트와 안전로프 사이에 고정되는 안전벨트를 최소부피로 포장함에 따라 보관이 용이하고, 착용후 작업시 외부물체와 걸림으로 인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종 고소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추락사고로 부터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일단이 작업자의 허리벨트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로프에 고정되어 추락사고시 작업자가 작업바닥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용 벨트; 및
    상기 추락방지용 벨트 양단부에 복수의 날개부가 각각 고정되어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체중에 의한 충격력으로 복수개로 이중직조부로 분리되면서 작업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충격흡수용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는 외부로 부터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로프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 파열되는 포장재에 의해 포장되어 상기 허리벨트와 안전로프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용 벨트는 상기 추락방지용 벨트 양단부에 각각 봉제고정되는 복수개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가 직조연결부에 의해 단일의 이중직조부로 엮어져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체중에 의한 충격력으로 상기 직조연결부가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어 복수의 이중직조부로 분리되는 몸통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KR1020000068542A 2000-11-17 2000-11-17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KR20010044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542A KR20010044130A (ko) 2000-11-17 2000-11-17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542A KR20010044130A (ko) 2000-11-17 2000-11-17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130A true KR20010044130A (ko) 2001-06-05

Family

ID=19699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542A KR20010044130A (ko) 2000-11-17 2000-11-17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1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031A (ko) 2014-08-21 2016-03-03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20160061949A (ko) 2016-05-20 2016-06-01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CN109675220A (zh) * 2019-02-28 2019-04-26 刘柏辰 消防员多功能救助带
KR102311823B1 (ko) 2021-04-28 2021-10-12 김정석 안전 죔줄의 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031A (ko) 2014-08-21 2016-03-03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20160061949A (ko) 2016-05-20 2016-06-01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CN109675220A (zh) * 2019-02-28 2019-04-26 刘柏辰 消防员多功能救助带
KR102311823B1 (ko) 2021-04-28 2021-10-12 김정석 안전 죔줄의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3981A (en) Safety line shock absorber
US5487444A (en) Shock-absorbing safety harness
EP0034458B1 (en) An energy absorbing lanyard and a safety belt or harness comprising such a lanyard
US10799731B2 (en) Harness with integrated energy absorber
EP1220704A1 (en) Full-body safety harness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CA2752418A1 (en) Shock absorbing lanyard
KR101797672B1 (ko)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101237196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1883269B1 (ko) 슬라이딩 하우스 내 안전벨트 시스템
KR10151053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44130A (ko)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KR101213795B1 (ko) 신축안전로프원단
EP431755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ock absorption lanyard including partially-oriented yarn having easily adjustable length
KR101893009B1 (ko) 탄력성을 갖는 벨트 끈
US2910702A (en) Energy absorption device
KR101882742B1 (ko) 안전대 죔줄
KR102428779B1 (ko) 추락 방지용 안전대
KR101637149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200438945Y1 (ko)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KR200222171Y1 (ko) 낙석방지용 안전조끼
KR20180047799A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JPH0810317Y2 (ja) 緩衝帯を設けた墜落防止用安全帯
KR20080005176U (ko)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KR200354542Y1 (ko) 산업안전대용 신축안전로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