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466B1 -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 - Google Patents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466B1
KR100414466B1 KR10-2001-0055505A KR20010055505A KR100414466B1 KR 100414466 B1 KR100414466 B1 KR 100414466B1 KR 20010055505 A KR20010055505 A KR 20010055505A KR 100414466 B1 KR100414466 B1 KR 100414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upply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numbe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1931A (ko
Inventor
원주희
Original Assignee
원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주희 filed Critical 원주희
Priority to KR10-2001-005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4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04M1/272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using electronic memo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과, 키입력부와, 출력부와, 제1단자컨넥터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공급부와, 외부의 이동통신중계국을 향하여 음성신호를 제1주파수로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이동통신중계국으로부터 제2주파수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에게 신호처리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부로부터 이동통신중계국의 음성신호를 인출하여 재생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전화번호가 지정된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며 제2단자컨넥터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비상전원공급부와, 상기 비상전원공급부사에 연결되어 오프상태를 유지하며, 온상태일 경우 비상전원공급부의 직류전원이 제2단자컨넥터를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스위칭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온보턴이 눌러지면 주전원공급부의 전압을 소정범위의 기준전압과 비교하도록 된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 의하여 주전원공급부의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제1스위칭부를 온시킴과 동시에 메모리부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인출하고, 사용자 선택 시 다이얼링부가 인출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통신기기를 분실하여 배터리가 방전된다 하더라도 이 분실물을 습득한 사람이 지정된 전원온버턴이나 비상보턴을 누르면 내장된 비상전원공급부의 전원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지정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습득사실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회수와 제품의 회수율을 향상시켜 경쟁력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dialing metho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a recalling function}
본 발명은 케이싱과, 키입력부와, 출력부와, 제1단자컨넥터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공급부와, 외부의 이동통신중계국을 향하여 음성신호를 제1주파수로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이동통신중계국으로부터 제2주파수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에게 신호처리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부로부터 이동통신중계국의 음성신호를 인출하여 재생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전원공급부를 케이스에 내장시켜 주전원공급부의 전원이 방전된 상태에서도 지정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기기를 습득한 사람이 매우 손쉽게 습득사실을 분실물의 주인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여 고가의 이동통신기기의 회수율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기기는 1.8GHz의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는 개인휴대통신 서비스를 위한 것으로써, 신속한 정보수용을 위하여 통신기기의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입자는 개인 전화번호가 설정되어 있으며, 그 가입자가 언제 어디서든지 일반전화는 물론 타 개인휴대통신기기와 전화접속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어서 그 활용도가 매우 높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웹서핑을 즐길 수 있어 그 활용도와 호환성 및 확장성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넓혀져 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기기는 매우 고가로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소비자는 고가에 구매하지 않을 수 없다.
아울러, 상기 고가의 이동통신기기는 사용자가 손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매우 경량이면서 소형으로 제작되어지고 있으며, 현재까지 지속적인 업그레이드와 발전을 통해 점점 소형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동통신기기가 소형화되어가고 디자인과 색상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기기를 분실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분실된 이동통신기기는 그 회수율이 매우 저조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분실된 이동통신기기는 그 회수를 포기하고 새로운 이동통신기기를 구매하여야 하는 이중고를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기기의 회수율이 저조한 이유중의 하나로 이동통신기기를 분실하였을 경우, 이 분실물을 습득자가 사용자에게 되돌려주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 제품의 대리점이나 영업점까지 직접 방문하여 습득사실과 함께 습득물을 맡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대부분의 습득자는 습득물을 찾아주는 데 적극적이지가 못하였다.
아울러, 이동통신기기를 습득하였을 때,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은 상태라면 습득자에 따라서, 습득물의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주인을 찾아줄 수도 있으나,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라면 이 방법 역시 그 활용도가 매우 높지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분실된 이동통신기기를 습득하는 사람은 배터리의 방전상태에 관계없이 소정의 보턴을 누름으로써 메모리부에 지정된 전화번호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습득사실을 분실물 주인이나, 이 주인과 관계있는 사람에게 신속히 알려 고가의 이동통신기기를 신속히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 이동통신기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2는 본 발명 이동통신기기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링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링방법의 상세 플로우챠트.
도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링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링방법의 상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1-제1단자컨넥터 112-주전원공급부 116-메모리부
117-제2단자컨넥터 118-비상전원공급부 119-제1스위칭부
120-비교부 121-다이얼링부 122-제어부
123a,b-충전단자 124-제2스위칭부 125-제3스위칭부
126-비상보턴 127-인터럽트요청부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케이싱(도시하지 않음)과, 키입력부(128)와, 출력부(129)와, 제1단자컨넥터(111)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공급부(112)와, 외부의 이동통신중계국을 향하여 음성신호를 제1주파수로 송출하는 송신부(113)와, 상기 이동통신중계국으로부터 제2주파수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4)와, 상기 송신부(113)에게 신호처리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부(114)로부터 이동통신중계국의 음성신호를 인출하여 재생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15)를 포함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에 있어서; 소정의 전화번호가 지정된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116)와;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며 제2단자컨넥터(117)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비상전원공급부(118)와;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18)사이에 연결되어 오프상태를 유지하며, 온상태일 경우 비상전원공급부(118)의 직류전원이 제2단자컨넥터(117)를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스위칭부(119)와; 상기 키입력부(128)의 온보턴이 눌러지면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압을 소정범위의 기준전압과 비교하도록 된 비교부(120)와; 상기 비교부(120)에 의하여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제1스위칭부(119)를 온시킴과 동시에 메모리부(116)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인출하고, 사용자 선택 시 다이얼링부(121)가 인출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2)를 포함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18)에 연결되며, 제1단자컨넥터(111)를 통해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원이 비상전원공급부(118)로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단자(123a)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싱(도시하지 않음)과, 키입력부(128)와, 출력부(129)와, 제1단자컨넥터(111)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공급부(112)와, 외부의 이동통신중계국을 향하여 음성신호를 제1주파수로 송출하는 송신부(113)와, 상기 이동통신중계국으로부터 제2주파수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4)와, 상기 송신부(113)에게 신호처리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부(114)로부터 이동통신중계국의 음성신호를 인출하여 재생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15)를 포함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에 있어서; 소정의 전화번호가 지정된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116)와;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며 제2단자컨넥터(117)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비상전원공급부(118)와; 상기 제1단자컨넥터(111)에 연결되어 온상태를 유지하며, 오프상태일 경우 주전원공급부(112)의 직류전원을 차단하도록 된 제2스위칭부(124)와;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18)사이에 연결되어 오프상태를 유지하며, 온상태일 경우 비상전원공급부(118)의 직류전원이 제2단자컨넥터(117)를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스위칭부(125)와; 상기 제3스위칭부(125)에 연결됨과 더불어 케이싱의 소정위치에 마련되어 제3스위칭부(125)를 온상태로 절환시키는 비상보턴(126)과; 상기 제3스위칭부(125) 온되어 비상전원공급부(118)의 전원이 공급되면 인터럽트를 요청하는 인터럽트요청부(127)와; 상기 인터럽트요청부(127)에 의하여 인터럽트신호가 수신되면 제2스위칭부(124)를 오프상태로 절환시키며, 메모리부(116)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인출하여 다이얼링부(121)가 인출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2)를 포함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18)에 연결되며, 제1단자컨넥터(111)를 통해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원이 비상전원공급부(118)로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단자(123b)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다이얼링방법에 있어서, 메모리부(116)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기억단계(S1)와; 전원이 온(on)되면 비교부(120)에서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압과 기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도록 하는 전압비교단계(S2)와; 상기 전압비교단계(S2)에서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크면 제어부(122)에 의해 통화대기모드로 전환하고,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제어부(122)에 의해 비상전원공급부(118)의 제1스위칭부(119)를 온(on)하여 제2단자컨넥터(117)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비상전원공급단계(S3)와; 상기 비상전원공급단계(S3)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22)가 메모리부(116)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서 저장된 전화번호를 인출하도록 하는 전화번호인출단계(S4)와; 상기 전화번호인출단계(S4)에서 인출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하는 다이얼링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다이얼링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인출단계(S5)에 의해 전화번호가 인출되면 인출된 전화번호로의 통화선택과 통화취소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요청하는 통화선택단계(S6)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다이얼링방법에 있어서; 메모리부(116)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기억단계(S11)와; 통화대기모드와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비상보턴(126)을 누르면 제3스위칭부(125)를 온(on)하여 제2단자컨넥터(117)를 통하여 비상전원공급부(118)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비상전원공급단계(S12)와; 상기 비상전원공급단계(S12)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인터럽트요청부(127)에서 제어부(122)로 인터럽트를 요청하는 인터럽트요청단계(S13)와; 상기 인터럽트요청단계(S13)에 의해 제어부(122)에 인터럽트신호가 수신되면 제2스위칭부(124)를 오프(off)시키는 주전원공급차단단계(S14)와; 상기 주전원공급차단단계(S14)가 수행되면 제어부(122)가 메모리부(116)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서 저장된 전화번호를 인출하도록 하는 전화번호인출단계(S15)와; 상기 전화번호인출단계(S15)에서 인출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하는 다이얼링단계(S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다이얼링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구성은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등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128)와, 제1단자컨넥터(111)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공급부(112)와, 외부의 이동통신중계국을 향하여 음성신호를 제1주파수로 송출하는 송신부(113)와, 상기 이동통신중계국으로부터 제2주파수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4)와, 상기 송신부(113)에게 신호처리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부(114)로부터 이동통신중계국의 음성신호를 인출하여 재생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15)로 구비되며, 수신부(114)와 송신부(113)는 각각 안테나(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소정의 주파수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도시하지 않음)에 내장된 비상전원공급부(118)는 제2단자컨넥터(117)와 연결되어 비상전원공급부(118)의 전원이 각 구성요소에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있는 바, 여기서, 상기 제2단자컨넥터(117)와 비상전원공급부(118)사이에는 제1스위칭부(119)가 연결되어 평상시에는 항상 오프(off)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비상전원공급부(118)의 전원이 누설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압을 기설정한 기준전압과 비교하도록 된 비교부(120)가 제1단자컨넥터(111)에 연결되며, 상기 비교부(120)와 제1스위칭부(119)는 제어부(122)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제어부(122)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22)는 메모리부(116)에 지정된 회수번호기억번지의 전화번호를 인출할 수 있으며, 인출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수 있도록다이얼링부(121)를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18)에는 충전단자(123a)를 연결하고, 이 충전단자(123a)는 제1단자컨넥터(111)에 연결되도록 하여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원이 비상전원공급부(118)로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실시예로 상기 충전단자(123a)는 단방향스위치로 사용되는 다이오드를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그 소자의 종류는 한정하지는 않으며, 이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일 경우 0.7V 이상일 경우에만 전류를 흘려보내는 소자이기 때문에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압이 약 3.7V~ 약 4.2V이면서 비상전원공급부(118)가 방전되어 약 3.7V~ 약 4.2V보다 낮을 경우 충전이되며, 주전원공급부(112)가 방전된 상태에서는 약 3.2V 이하로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압이 떨어지기 때문에 비상전원공급부(118)의 전압이 약 3.2V보다 높게 될 경우에는 역방향 바이어스이기 때문에 비상전원공급부(118)의 전류가 주전원공급부(112)로 흘러들어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참조로 하여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다이얼링방법을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다이얼링방법은 사용자에 의하여 메모리부(116)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저장단계(S1)가 선행되어야 하며, 전원온보턴에 의하여 전원이 온(on)(130)됨과 동시에 제어부(122)는 제1단자컨넥터(111)에 연결된 비교부(120)를 제어하여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압과 기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전압비교단계(S2)(131)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압비교단계(S2)에 의하여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같거나 높을 경우에는 통화대기모드로 전환(132)하며, 기준전압보다 낮을 경우에는 제1스위칭부(119)를 온(on)시켜(133) 비상전원공급부(118)의 전원이 제2단자컨넥터(117)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전원공급단계(S3)가 수행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원전압은 주지된 바와 같이 약 3.7V~ 약 4.2V이며, 주전원공급부(112)는 내부적으로 전압이 약 3.2V 이하일 경우 전류공급을 자체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기준전압보다 주전원공급부(112)가 높게 비교될 것이고, 방전된 상태에서 전원 온(on) 보턴이 입력되면 주전원공급부(112)에 남아 있던 전류가 잠시 흐르다가 자체적으로 전류가 더이상 흐르지 못하도록 회로를 차단하기 때문에 비교부(120)는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기준전압보다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압이 더 낮게 비교되면 제어부(122)는 제1스위칭부(119)를 온(on)(133)시켜 비상전원공급부(118)의 전원이 제2단자컨넥터(117)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상기 비상전원공급단계(S3)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22)는 메모리부(116)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서 저장된 전화번호를 인출(134)하는 전화번호인출단계(S4)를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122)는 다이얼링부(121)를 제어하여 전화번호인출단계(S4)에서 인출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135)하는 다이얼링단계(S5)가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주전원공급부(112)가 방전되더라도 전원 온(on) 보턴을 누르게 되면 이동통신기기의 메모리부(116)에 지정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통화를 할수 있게 되어 분실물 습득사실을 이동통신기기의 소유주에게 알려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인출단계(S4)에 의해 전화번호가 인출되면(134) 인출된 전화번호로의 통화선택과 통화취소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요구(136)하는 통화선택단계(S6)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주전원공급부(112)의 교체작업 시에는 제1스위칭부(119)를 오프(off)시켜(137) 자동으로 다이얼링단계(S5)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2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번호 등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128)와, 제1단자컨넥터(111)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공급부(112)와, 외부의 이동통신중계국을 향하여 음성신호를 제1주파수로 송출하는 송신부(113)와, 상기 이동통신중계국으로부터 제2주파수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4)와, 상기 송신부(113)에게 신호처리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부(114)로부터 이동통신중계국의 음성신호를 인출하여 재생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15)로 구비되며, 수신부(114)와 송신부(113)는 각각 안테나(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소정의 주파수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도시하지 않음)에 내장된 비상전원공급부(118)는 제2단자컨넥터(117)와 연결되어 비상전원공급부(118)의 전원이 각 구성요소에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있는 바, 여기서, 상기 제2단자컨넥터(117)와 비상전원공급부(118)사이에는 제3스위칭부(125)가 연결되어 평상시에는 항상 오프(off)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비상전원공급부(118)의 전원이 누설되지 않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3스위칭부(125)는 케이싱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비상보턴(126)에 의하여 스위칭 온(on)과 오프(off)가 제어된다.
또한, 상기 주전원공급부(112)는 제1단자컨넥터(111)에 연결되고, 이 제1단자컨넥터(111)에는 제2스위칭부(124)가 연결되는 바, 이 제2스위칭부(124)는 온(on)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제어부(122)의 제어에 의하여 온(on)과 오프(off)가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22)는 메모리부(116)에 지정된 회수번호기억번지의 전화번호를 인출할 수 있으며, 인출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수 있도록 다이얼링부(121)를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18)에는 충전단자(123b)를 연결하고, 이 충전단자(123b)는 제1단자컨넥터(111)에 연결되도록 하여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원이 비상전원공급부(118)로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구성을 참조로 하여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다이얼링방법을 도5와 도6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다이얼링방법은 사용자에 의하여 메모리부(116)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저장단계(S11)가 선행되어야 하며, 전원의 온/오프상태와 관계없이 케이싱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비상보턴(126)을 사용자가 누르면 도2에 도시된 제3스위칭부(125)가 온(on)되면서(141) 제2단자컨넥터(117)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비상전원공급단계(S12)가 수행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3스위칭부(125)에 연결된 인터럽트요청부(127)에서는 인터럽트신호를 제어부(122)로 송신(142)하여 인터럽트를 요청하는 인터럽트요청단계(S13)가 수행된다.
아울러, 상기 인터럽트요청단계(S3)에 의하여 인터럽트신호를 제어부(122)가 수신하면, 제어부(122)는 제2스위칭부(124)를 오프(off)(143)시켜 주전원공급부(112)에서 제1단자컨넥터(111)를 통하여 공급되는 주전원을 차단하는 주전원공급차단단계(S14)를 수행한다.
여기서는 상기 주전원공급부(112)가 방전되지 않은 상태이면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주전원공급부(112)가 방전되어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라 하더라도 동작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주전원공급부(112)의 방전상태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상기 주전원공급차단단계(S14)에 의해 주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제어부(122)는 메모리부(116)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서 저장된 전화번호를 인출(144)하는 전화번호인출단계(S15)를 수행하며, 아울러, 다이얼링부(121)를 제어하여 전화번호인출단계(S15)에서 인출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145)하도록 하는 다이얼링단계(S16)가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주전원공급부(112)에서 전원이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는 상태임에 관계없이 비상보턴(126)을 누르게 되면 인터럽트요청에 의하여 제어부(122)는 주전원공급부(112)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공급되는 비상전원공급부(118)의 전원을 이용하여 인터럽트요청 시 수행되는 일련의 수행절차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기기의 소유주에게 습득사실이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싱내부에 비상전원공급부를 내장시켜 주전원공급부의 방전 시 습득자가 이동통신기기의 소유주가 지정한 전화번로로 전화를 걸어 습득사실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회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아울러, 습득한 사람도 이동통신기기를 대리점이나 영업점에 전달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이동통신기기의 소유주에게 습득사실을 알릴 수 있게 함으로써, 회수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분실자는 고가에 이동통신기기를 재구매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매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기기의 신뢰성과 가치가 상승하게 되어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7)

  1. 케이싱과, 키입력부(128)와, 제1단자컨넥터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공급부와, 외부의 이동통신중계국을 향하여 음성신호를 제1주파수로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이동통신중계국으로부터 제2주파수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에게 신호처리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부로부터 이동통신중계국의 음성신호를 인출하여 재생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에 있어서;
    소정의 전화번호가 지정된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며 제2단자컨넥터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비상전원공급부와,
    상기 비상전원공급부사에 연결되어 오프상태를 유지하며, 온상태일 경우 비상전원공급부의 직류전원이 제2단자컨넥터를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스위칭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온보턴이 눌러지면 주전원공급부의 전압을 소정범위의 기준전압과 비교하도록 된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 의하여 주전원공급부의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제1스위칭부를 온시킴과 동시에 메모리부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인출하고, 사용자 선택 시 다이얼링부가 인출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원공급부에 연결되며, 제1단자컨넥터를 통해 주전원공급부의 전원이 비상전원공급부로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3. 케이싱과, 키입력부와, 제1단자컨넥터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공급부와, 외부의 이동통신중계국을 향하여 음성신호를 제1주파수로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이동통신중계국으로부터 제2주파수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에게 신호처리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부로부터 이동통신중계국의 음성신호를 인출하여 재생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에 있어서;
    소정의 전화번호가 지정된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며 제2단자컨넥터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비상전원공급부와,
    상기 제1단자컨넥터에 연결되어 온상태를 유지하며, 오프상태일 경우 주전원공급부의 직류전원을 차단하도록 된 제2스위칭부와,
    상기 비상전원공급부사에 연결되어 오프상태를 유지하며, 온상태일 경우 비상전원공급부의 직류전원이 제2단자컨넥터를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스위칭부와,
    상기 제3스위칭부에 연결됨과 더불어 케이싱의 소정위치에 마련되어 제3스위칭부를 온상태로 절환시키는 비상보턴과,
    상기 제3스위칭부 온되어 비상전원공급부의 전원이 공급되면 인터럽트를 요청하는 인터럽트요청부와,
    상기 인터럽트요청부에 의하여 인터럽트신호가 수신되면 제2스위칭부를 오프상태로 절환시키며, 메모리부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인출하여 다이얼링부가 인출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원공급부에 연결되며, 제1단자컨넥터를 통해 주전원공급부의 전원이 비상전원공급부로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5.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다이얼링방법에 있어서,
    메모리부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기억단계와,
    전원이 온(on)되면 비교부에서 주전원공급부의 전압과 기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도록 하는 전압비교단계와,
    상기 전압비교단계에서 주전원공급부의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크면 제어부에의해 통화대기모드로 전환하고,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제어부에 의해 비상전원공급부의 제1스위칭부를 온(on)하여 제2단자컨넥터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비상전원공급단계와,
    상기 비상전원공급단계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가 메모리부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서 저장된 전화번호를 인출하도록 하는 전화번호인출단계와,
    상기 전화번호인출단계에서 인출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하는 다이얼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다이얼링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인출단계에 의해 전화번호가 인출되면 인출된 전화번호로의 통화선택과 통화취소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요청하는 통화선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다이얼링방법.
  7.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다이얼링방법에 있어서,
    메모리부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기억단계와,
    통화대기모드와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비상보턴을 누르면 제3스위칭부를 온(on)하여 제2단자컨넥터를 통하여 비상전원공급부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비상전원공급단계와,
    상기 비상전원공급단계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인터럽트요청부에서 제어부로 인터럽트를 요청하는 인터럽트요청단계와,
    상기 인터럽트요청단계에 의해 제어부에 인터럽트신호가 수신되면 제2스위칭부를 오프(off)시키는 주전원공급차단단계와,
    상기 주전원공급차단단계가 수행되면 제어부가 메모리부의 회수번호기억번지에서 저장된 전화번호를 인출하도록 하는 전화번호인출단계와,
    상기 전화번호인출단계에서 인출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하는 다이얼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다이얼링방법.
KR10-2001-0055505A 2001-09-10 2001-09-10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 KR100414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505A KR100414466B1 (ko) 2001-09-10 2001-09-10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505A KR100414466B1 (ko) 2001-09-10 2001-09-10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931A KR20030021931A (ko) 2003-03-15
KR100414466B1 true KR100414466B1 (ko) 2004-01-13

Family

ID=2772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505A KR100414466B1 (ko) 2001-09-10 2001-09-10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4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182B1 (ko) * 2004-01-19 2008-05-3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0746548B1 (ko) * 2006-01-09 2007-08-06 주식회사 팬택 내장 배터리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931A (ko)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6404A (en) Security arrangement for cordless telephone system
JP3134802B2 (ja) 移動体通信装置、移動体通信装置の電源供給装置および電源供給方法、および、移動体通信装置に接続可能なデータ端末接続モデムカード
US20020016188A1 (en) Wireless transceiver set
JPH0815267B2 (ja) 無線電話機
US73797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and computer product
AU3070799A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feature c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U2209516C2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вязи в ждущем режиме и сотовый радиотелефон
JP2004304521A (ja) アンテナ回路及び無線送受信装置
US6408020B1 (en) Dual-mode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function for selectively using analog or digital mode
KR100498941B1 (ko) 외부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복합휴대단말장치 및 그 방법
KR100414466B1 (ko)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
US20040235537A1 (en) Radio communications apparatus
KR200257698Y1 (ko)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KR101082569B1 (ko) 저전압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US20010053702A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mins
KR100262653B1 (ko) 씨디엠에이(cdma) 방식의 단말기에 백 라이트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EP1204261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selective power supply function
KR19990085489A (ko)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
JP3622655B2 (ja) 移動端末、移動端末の消費電力低減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5499829B2 (ja) 移動無線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621750B1 (ko) 통화 목록 저장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0253593A (ja) 携帯型無線電話装置とその電源制御方法
JPS63222526A (ja) 無線電話装置
KR20090006291A (ko) 전원절약기능의 휴대폰용 acr장치
KR100251562B1 (ko) 무선전화기의소비전력절약장치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