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128B1 -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 - Google Patents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128B1
KR100413128B1 KR10-2001-0019520A KR20010019520A KR100413128B1 KR 100413128 B1 KR100413128 B1 KR 100413128B1 KR 20010019520 A KR20010019520 A KR 20010019520A KR 100413128 B1 KR100413128 B1 KR 100413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width
height
width detecto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2484A (ko
Inventor
김창하
Original Assignee
(주)한석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석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석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1-0019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3128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5/04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L13/02Draughting machines or drawing devices for keeping parallel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깊이를 갖는 구조물의 검측업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된 상태에서 형상 유지가 가능하게 일체화된 측정장비로 구조물의 상단폭·높이(깊이) 및 저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구조물 계측기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신축조절이 가능하고 수평선상으로 배치되는 상단폭 검측자(10)와, 스틸띠(22)가 수직의 아래방향으로 뽑아 내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21)이 상기 상단폭 검측자(10)의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착설되는 높이 검측자(20)와,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상단폭 검측자(10)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높이 검측자(20)의 최하단에 착설되는 저폭 검측자(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휴대가 간편하고 검측시간이 대폭 단축되며 1인 검측작업이 가능하고 개인오차가 발생치 않아, 감리업무의 효율성 및 신뢰도를 제고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Measuring Instrument for Structure}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서 구조물의 검측업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계측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측구·배수로 또는 맨홀 등과 같이 깊이를 갖는 구조물의 측대가 용이하고 상단폭·높이(깊이) 및 저폭을 동시에 검측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감리업무의 효율성 및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시공되어지는 각종 구조물이 설계된 도면대로 시공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감리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감리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측구·배수로 또는 맨홀 등과 같이 깊이를 갖는 구조물의 경우에는 상단폭·높이(깊이) 및 저폭을 검측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검측작업은 3개의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3단계로 나누어 수행하는 것이 통례이다.
도1a 내지 도1c는 측구 구조물(A)을 검측하기 위해 3단계로 나누어 수행하고 있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즉, 상단폭 검측은 도1a의 도시와 같이 수준 측량 또는 스타디아 측량에서 사용되는 스태프(staff)(1)를 측구 구조물(A)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거치하여서 측정하고 있다.
높이(깊이)검측은 도1b의 도시와 같이, 상단폭을 검측하기 위해 먼저 설치된 스태프(1)에 다른 스태프(2)를 기대어서 수직하게 세운 후 측정하고 있다.
저폭 검측은 도1c의 도시와 같이, 줄자(3)나 스틸자를 이용하여서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3단계로 나누어 수행하고 있는 종래의 검측방법은 3개의 측정장비가 필요하여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상단폭·높이(깊이) 및 저폭을 각각 따로 검측함으로써 검측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감리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는 검측결과를 사진으로 남겨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검측방법은 높이를 계측하기 위한 스태프와 저폭을 측정하기 위한 줄자의 부동상태를 자체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촬영하는 사람과 검측자 (尺)를 부동상태로 유지시키는 사람 등 최소 2인이상이 필요하고, 더욱이 사람의 양팔을 벌렸을 때 보다 긴 저폭으로 된 구조물을 측정할 경우에는 검측자(尺)의 선단부를 붙잡아 주는 사람, 말단부를 붙잡아 주는 사람, 촬영하는 사람 등 최소 3인이상이 동원되어야 함으로써, 현재 대부분의 감리 현장에서 예산 형편상 1~2명 밖에 안되는 감리요원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임을 감안할 때에 감리요원의 업무를 가중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검측방법은 상단폭·높이(깊이) 및 저폭을 각각 따로 검측함으로써 감리요원에 따라 개인오차가 크게 발생되게 되므로, 시공자들 사이 이견이나 분규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측구·배수로 또는 맨홀 등과 같이 깊이를 갖는 구조물의 검측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나타나는 상기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축 조절이 가능하게 제작되는 상단폭 검측자와 높이 검측자 및 저폭 검측자를 일체화시켜서, 보관 및 휴대시에는 컴팩트하게 축소시킬 수 있고 사용시에는 각각 펼쳐서 상단폭·높이(깊이) 및 저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상태에서 형상 유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검측시간이 대폭 단축될 뿐만 아니라, 1인 검측작업이 가능하고 개인오차가 발생치 않아, 감리업무의 효율성 및 신뢰도를 제고시켜 주는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측정눈금이 표시된 함형 단면의 막대자들이 다단계로 삽입되어서 길이방향으로 신축조절이 가능하게 제작되고, 수평선상으로 배치되는 상단폭 검측자와; 하우징의 내부에서 복원력을 갖고 감겨져 있고 상하방향을 따라 측정눈금이 표시되는 스틸띠가 수직의 아래방향으로 뽑아 내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상단폭 검측자의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착설되는 높이 검측자와; 길이방향을 따라 측정눈금이 표시된 함형 단면의 막대자들이 다단계로 삽입되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조절이 가능하게 제작되며, 상기 상단폭 검측자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높이 검측자의 최하단에 착설되는 저폭 검측자로; 구성되고,상기 상단폭 검측자는 수준 측량 또는 스타디아 측량에서 사용되는 스태프 (staff)를 이용하고, 상기 높이 검측자는 강제 줄자(steel-tape)를 이용하며, 상기 저폭 검측자는 상기 상단폭 검측자로 이용되는 스태프보다 소형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상단폭 검측자의 배면에는 "ㅓ"자 형상의 홈을 갖는 안내레일이 전체길이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높이 검측자의 하우징 전면에는 상기 안내레일의 홈에 정합되는 걸침고리가 설치되어서, 그것들의 결합에 의해 상기 높이 검측자가 상단폭 검측자의 배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를 제공한다.
도1a 내지 도1c는 종래 방식에 따른 측구 구조물의 검측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계측기의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계측기의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계측기의 분리 사시도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계측기를 이용한 측구 구조물의 검측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기를 이용한 측구 구조물의 저폭 검측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상단폭 검측자 11:안내레일
20:높이 검측자 21:하우징
22:스틸띠 23:걸침고리
30:저폭 검측자 A:측구 구조물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도2a 내지 도4에 도시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본 발명의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는, 상단폭 검측자(10)와 높이 검측자(20)와 저폭 검측자(30)로 구성된다.
상단폭 검측자(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측정눈금이 표시된 함형 단면의 막대자들이 다단계로 삽입되어서 길이방향으로 신축조절이 가능하게 제작되고, 수평선상으로 배치된다.
높이 검측자(20)는 하우징(21)의 내부에서 복원력을 갖고 감겨져 있고 상하방향을 따라 측정눈금이 표시되는 스틸띠(22)가 수직의 아래방향으로 뽑아 내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21)이 상기 상단폭 검측자(10)의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착설된다.
저폭 검측자(30)는 길이방향을 따라 측정눈금이 표시된 함형 단면의 막대자들이 다단계로 삽입되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조절이 가능하게 제작되며, 상기 상단폭 검측자(10)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높이 검측자(20)의 최하단에 착설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계측기는 보관하거나 휴대할 때에는 도2a의 도시와 같이 완전히 축소되고, 구조물이 있는 현장에서 검측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도2b의 도시와 같이 펼쳐짐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을 제작함에 있어서, 상기 상단폭 검측자(10)는 수준 측량 또는 스타디아 측량에서 사용되는 기존 제품의 스태프(staff)를 이용한다.
상기 높이 검측자(20)는 하우징의 내부에 스틸띠가 감겨져 있는 일명 스틸테이프(steel-tape)라 불리우는 기존제품의 강제 줄자를 이용한다.
상기 저폭 검측자(30)는 기존제품의 스태프와 거의 유사한 형태의 함형자로서, 상단폭 검측자(10)로 이용되는 스태프보다 소형으로 특수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계측기에서 이러한 저폭 검측자(30)는 전방면에 측정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측정눈금을 표시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상단폭 검측자(10)의 배면에는 "ㅓ"자 형상의 홈을 갖는 안내레일(11)이 전체길이에 걸쳐 부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 검측자(20)의 하우징(21) 전면에는 상기 안내레일(11)의 홈에 정합되는 걸침고리(2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안내레일(11)과 걸침고리(23)는 그것들의 결합에 의해 상기 높이 검측자(20)가 상단폭 검측자(10)의 배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착설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레일(11)의 양측 단부에는 결합되어진 걸침고리(23)가 이탈됨을 방지하여 주는 캡(미도시)을 씌워놓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단폭 검측자(10), 높이 검측자(20) 및 저폭 검측자(30)는 그것들에 표시된 측정눈금이 전방면으로 배치되는 것이 한 방향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계측기를 이용하여 깊이를 갖는 구조물의 검측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계측기를 이용한 측구 구조물(A)의 검측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계측기는 완전히 축소된 상태에서, 도5a의 도시와 같이 측구 구조물(A)의 상면에 상단폭 검측자(10)를 폭방향으로 거치한다. 이때 측구 구조물(A)의 폭이 길어 외측자 만으로 거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내측에 다단계로 삽입되어 있는 내측자를 인출시켜 거치한다.
그리고 나서, 도5b의 도시와 같이 높이 검측자(20)의 스틸띠(22)를 수직의 아래방향으로 뽑아 내어 그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저폭 검측자(30)가 측구 구조물(A)의 바닥면에 접지될 때까지 내린다.
다음으로, 도5c의 도시와 같이 저폭 검측자(30)의 내측자를 폭방향으로 뽑아내어 측구 구조물(A)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에 길이를 맞춘다. 이때 상단폭 검측자(10)의 배면에 부착된 안내레일(11) 상에서 높이 검측자(20)를 이동시켜 가며 저폭 검측자(30)의 양측 단면을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에 일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 계측기는 위와 같은 설치과정을 통해 자체적으로 자립하여서 각 검측자(尺)들의 부동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감리요원은 이와 같이 검측자(尺)들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각 검측자(尺)들의 눈금을 읽어 측구 구조물(A)의 상단폭과 높이(깊이) 및 저폭을 한꺼번에 측정할 수 있게 되며, 검측 사진이 필요할 경우에는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혼자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람의 양팔을 벌렸을 때 보다 긴 폭으로 된 구조물의 저폭을 측정할 경우에도 저폭 검측자를 뽑아내어 부동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검측업무를 1사람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6은 측정눈금이 표시되지 않은 저폭 검측자(30)를 이용해 구조물의저폭을 검측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측정눈금이 없는 저폭 검측자(30)는 먼저 구조물의 바닥면에 양끝을 맞춘 다음 위로 끌어올린 후, 상단폭 검측자(10)의 눈금에 대고 검측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는 상단폭 검측자·높이 검측자·저폭 검측자 등이 하나의 유니트로 컴팩트하게 일체화되고, 측정한 상태에서 부동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단폭·높이(깊이) 및 저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검측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고 1인 검측작업이 가능하여서 감리요원의 업무능률을 대폭 향상시켜 준다.
적기에 검측을 수행할 수 있고 개인오차가 거의 발생치 않아 시공자와의 분규가 사전에 방지되며, 검측업무가 충실히 수행됨으로써 견실시공을 유도하여 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감리업무의 효율성 및 신뢰도를 제고시켜 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길이방향을 따라 측정눈금이 표시된 함형 단면의 막대자들이 다단계로 삽입되어서 길이방향으로 신축조절이 가능하게 제작되고, 수평선상으로 배치되는 상단폭 검측자(10)와; 하우징(21)의 내부에서 복원력을 갖고 감겨져 있고 상하방향을 따라 측정눈금이 표시되는 스틸띠(22)가 수직의 아래방향으로 뽑아 내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21)이 상기 상단폭 검측자(10)의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착설되는 높이 검측자(20)와; 길이방향을 따라 측정눈금이 표시된 함형 단면의 막대자들이 다단계로 삽입되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조절이 가능하게 제작되며, 상기 상단폭 검측자(10)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높이 검측자(20)의 최하단에 착설되는 저폭 검측자(30)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폭 검측자(10)는 수준 측량 또는 스타디아 측량에서 사용되는 스태프(staff)를 이용하고, 상기 높이 검측자(20)는 강제 줄자(steel-tape)를 이용하며, 상기 저폭 검측자(30)는 상기 상단폭 검측자(10)로 이용되는 스태프보다 소형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상단폭 검측자(10)의 배면에는 "ㅓ"자 형상의 홈을 갖는 안내레일(11)이 전체길이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높이 검측자(20)의 하우징(21) 전면에는 상기 안내레일(11)의 홈에 정합되는 걸침고리(23)가 설치되어서, 그것들의 결합에 의해 상기 높이 검측자(20)가 상단폭 검측자(10)의 배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폭 검측자(10) 및 높이 검측자(20)는 그것들에 표시된 측정눈금이 전방면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
KR10-2001-0019520A 2001-04-12 2001-04-12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 KR100413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520A KR100413128B1 (ko) 2001-04-12 2001-04-12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520A KR100413128B1 (ko) 2001-04-12 2001-04-12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452U Division KR200232672Y1 (ko) 2001-03-10 2001-03-10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484A KR20020072484A (ko) 2002-09-16
KR100413128B1 true KR100413128B1 (ko) 2003-12-31

Family

ID=27700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520A KR100413128B1 (ko) 2001-04-12 2001-04-12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3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539Y1 (ko) 2019-01-29 2019-11-28 박삼근 감리용 측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6902U (ko) * 1978-12-08 1980-06-16
JPS55174109U (ko) * 1979-05-31 1980-12-13
JPS55175801U (ko) * 1979-06-04 1980-12-17
KR19990000377U (ko) * 1997-06-09 1999-01-15 김종진 사다리꼴 요홈의 형상 측정장치
KR200207112Y1 (ko) * 2000-07-06 2000-12-15 주식회사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휴대용 감리 수평수직 검측 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6902U (ko) * 1978-12-08 1980-06-16
JPS55174109U (ko) * 1979-05-31 1980-12-13
JPS55175801U (ko) * 1979-06-04 1980-12-17
KR19990000377U (ko) * 1997-06-09 1999-01-15 김종진 사다리꼴 요홈의 형상 측정장치
KR200207112Y1 (ko) * 2000-07-06 2000-12-15 주식회사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휴대용 감리 수평수직 검측 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484A (ko) 200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8374Y1 (ko) 도로의 측구 감리용 검측기
JP5325883B2 (ja) 測量用標尺
KR100413128B1 (ko)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
CN104776780B (zh) 一种汽车换挡拉索测量检测装置
KR200232672Y1 (ko) 감리용 구조물 계측기
CN110274585A (zh) 一种建筑工程垂直度检测装置
CN210346563U (zh) 一种公路桥梁施工监理用钢筋间距检测装置
KR102232861B1 (ko)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CN214666554U (zh) 一种裂缝宽度检测仪
CN214039757U (zh) 一种建筑检测用水平尺
CN110219294B (zh) 适用软土区的土压力盒埋设装置
CN207556410U (zh) 一种多功能测量工具
CN207423048U (zh) 引张线法用测量装置
CN214470593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平面度检测设备
CN218211033U (zh) 一种工程质量检测垂直度检测仪
CN114705154A (zh) 一种用于室内模型试验的隧道结构变形量测及固定装置
CN218822129U (zh) 建筑施工用平整度检测装置
KR100866637B1 (ko) 도로 구조물 측벽 안전진단장치
CN215173500U (zh) 一种具备数据存储功能的土体压力监测装置
CN216012954U (zh) 一种市政工程建筑材料检测装置
CN213481336U (zh) 一种工程检测安全围护装置
CN210004892U (zh) 一种建设工程用多功能检测装置
CN210122711U (zh) 一种基坑变形测量装置
CN213538926U (zh) 一种基坑施工用地面沉降监测装置
CN218628065U (zh) 一种质检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