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087B1 -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087B1
KR100413087B1 KR10-2001-0038666A KR20010038666A KR100413087B1 KR 100413087 B1 KR100413087 B1 KR 100413087B1 KR 20010038666 A KR20010038666 A KR 20010038666A KR 100413087 B1 KR100413087 B1 KR 100413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incident
delete delete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3343A (ko
Inventor
윤인현
Original Assignee
(주)월드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텔레콤 filed Critical (주)월드텔레콤
Priority to KR10-2001-003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30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03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7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using the near-field effec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류들의 기본 I/O거리를 만족시키면서 광원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광픽업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광디스크로 입사되도록 하고, 광디스크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광디스크로 입사시키는데 필요한 I/O 거리를 유지하면서 광원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반사블록을 구비한다. 이 반사블록은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이 다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면 및 반사면을 통하여 반사된 광이 렌즈로 출사되도록 하는 출사면을 갖는다.

Description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OPTICAL DEVICE FOR OPTICAL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등의 광학디스크 플레이어에 사용되는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k player),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Digital video disk player) 또는 이들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와 같은 광학디스크 플레이어는 광기록매체인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또는 디지탈 다기능 복합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k)(이하, 콤팩트 디스크와 디지탈 다기능 복합디스크를 통칭하여 광디스크라 함)를 구동시켜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독출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이다. 이와 같은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광디스크의 수직하방에서 디스크의 래디얼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면서 디스크상의 원하는 트랙위치를 검출하고, 디스크면상에 기록된 피트(pit)에 레이저광을 광학계를 통하여 입사시킨 다음 그 반사광을 광학계를 통하여 검출하며, 검출된 반사광을 신호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디스크면상의 기록내용을 재생하는 광픽업장치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광픽업장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서 제한적으로 주어지는 공간에 구성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광픽업장치의 광학계는 렌즈류들의 기본 I/O거리를 만족시켜야 하므로, 두께가 얇아지고 크기가 점점 더 작아지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대응하여 광픽업장치를 구성하기가 더욱 어려워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렌즈류들의 기본 I/O거리를 만족시키면서 광학계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디바이스의 반사블록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반사블록에서 광이 다반사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반사블록을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반사블록을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에 적용한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바이스를 광픽업장치에 설치하는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디바이스를 광픽업장치에 설치하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 반사블록 12, 14 : 반사면
16 : 입사면 18 : 출사면
20, 20' : 홀로그램 픽업모듈 26, 26' : 레이저 다이오드
30 : 스플리터 36 : 콜리메이터 렌즈
50 : 포커스 렌즈(대물렌즈) 56, 56' : 포토 다이오드
90 : 광디스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렌즈류들의 기본 I/O거리를 만족시키면서 광원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광픽업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광디스크로 입사되도록 하고,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상기 광디스크로 입사시키는데 필요한 I/O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광원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반사블록을 구비한다. 이 반사블록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이 다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면 및 상기 반사면을 통하여 반사된 광이 상기 광학계의 렌즈로 출사되도록 하는 출사면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광디바이스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블록은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바로 입사되도록 상기 광원 앞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블록과 상기 광원 사이에는 격자판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광디바이스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블록은 상기 광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반사블록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외면이 코팅되는 한쌍의 반사면 및 상기 입사면과 출사면은 상기 반사면들과 연결되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반사블록는 육면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반사면은 상기 입사면 및 출사면보다 길이가 긴 두면에 형성되고, 상기 입사면과 출사면은 상기 반사면에 대하여 일정한 내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입사면과 출사면은 AR코팅(anti-reflect coating)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홀로그램 픽업모듈(Hologram Pickup Module;HPM), 반사블록, 스플리터(Polarization Beam Splitter;PBS),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or Lens), 포커스 렌즈(Focuse Lens) 등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홀로그램 픽업모듈은 광을 발생하여 광디스크상에 광스폿을 형성시키고, 상기 형성된 광스폿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반사블록은 상기 홀로그램 픽업모듈 앞에 설치되고, 상기 홀로그램 픽업모듈에서 발생된 광이 다반사되도록 한다.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반사블록에서 다반사되어 출사된 광의 방향에 따라 광의 투과경로를 변경시킨다.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는 상기 스플리터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수평광으로 변환출력시킨다. 상기 포커스 렌즈는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를 통하여 변환출력된 수평광을 광디스크상에 집광시킨다. 이때, 상기 홀로그램 픽업모듈은 발광 다이오드, 홀로그램, 수광 다이오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특정 파장범위를 갖는 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홀로그램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된 광을 광디스크로 입사시키고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반사된 광을 형성된 패턴에 맞게 분포시킨다. 상기 수광 다이오드는 상기 홀로그램의 분포특성에 따라 출력되는 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광디바이스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블록은 상기 홀로그램 픽업모듈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반사블록은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이 다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면 및 상기 반사면을 통하여 반사된 광이 상기 스플리터로 출사되도록 하는 출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반사블록는 육면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반사면은 상기 입사면 및 출사면보다 길이가 긴 두면에 형성되고, 상기 입사면과 출사면은 상기 반사면에 대하여 일정한 내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반사블록, 스플리터, 콜리메이터 렌즈, 포커스 렌즈, 수광 다이오드 등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는 광을 발생시킨다. 반사블록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 앞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된 광이 다반사되도록 한다. 스플리터는 상기 반사블록에서 다반사되어 출사된 광의 방향에 따라 광의 투과경로를 변경시킨다. 콜리메이터 렌즈는 상기 스플리터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수평광으로 변환출력시킨다. 포커스 렌즈는 상기 콜리메이터를 통하여 변환출력된 수평광을 광디스크상에 집광시킨다. 수광 다이오드는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광디바이스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블록은 상기 홀로그램 픽업모듈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반사블록은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이 다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면 및 상기 반사면을 통하여 반사된 광이 상기 스플리터로 출사되도록 하는 출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반사블록는 육면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반사면은 상기 입사면 및 출사면보다 길이가 긴 두면에 형성되고, 상기 입사면과 출사면은 상기 반사면에 대하여 일정한 내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디바이스는 특별하게 설계된 반사블록을 사용한다. 이 반사블록은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다반사를 통하여 광학계의 렌즈에 입사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다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블록을 사용하여 렌즈류들의 기본 I/O거리를 만족시키면서 광원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광픽업장치의 소형화를 어렵게 하는 광원(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콜리메이터 렌즈까지의 거리(I/O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반사블록을 사용하여 맴돌이 광학계를 구성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광디바이스를 광픽업장치에 적용하는 방법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유사한 분야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주 요소들의 연결, 결합, 고정을 위한 기구물, 볼트 및 나사, 홀, 와셔, 너트, 등의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일반적인 광픽업장치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기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반사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반사블록(10)은 반사면(12,14), 입사면(16), 출사면(18)을 갖도록 형성된다. 홀로그램 픽업모듈(20)과 같은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빔)은 입사면(16)을 통하여 반사블록(10)에 입사되고, 반사면(12,14)에 의해 다반사되어 출사면(18)을 통하여 광학계의 렌즈로 출사된다. 이와 같은 반사블록(1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반사블록(10)은 입사면(16)을 통하여 입사된 광이 수회 반사되어 상기 출사면(18)을 통하여 광학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렌즈로 출사된다. 따라서, 실시예로 설명하지는 않지만, 상기 반사블록(10)은 입사면(16), 출사면(18),반사면(12,14)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다면체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블록(10)은 반사면(12,14)들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입사면(16)과 출사면(18)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육면체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입사면(16)과 출사면(18)은 상기 반사면(12,14)들에 대하여 일정한 내각을 갖도록 한다. 물론, 상기 반사면(12,14)에 대한 상기 입사면(16)과 출사면(18)이 이루는 내각은 상기 반사블록(10)이 설치되는 위치 또는 광의 입사각 등에 따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반사면(12,14)들은 육면체의 길이가 긴 두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반사면(12,14)의 길이는 얻고자 하는 광의 반사경로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반사면(12,14)에는 코팅처리를 한다. 이 코팅처리는 사용되는 광의 종류에 맞추어 이루어진다. 예컨대, DVD용은 650nm, 광디스크용은 780nm의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코팅처리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입사면(16)과 출사면(18)에는 광의 입출사가 잘되도록 AR코팅(anti-reflect coating)처리를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반사블록을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에 적용한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반사블록(10)은 광픽업장치을 위한 광디바이스(광학계)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반사블록(10)은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바로 입사되도록 광원 앞에 설치된다. 상기 광원은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홀로그램 픽업모듈(20,20')일 수 있으며,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26,26')일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 보인바와 같이 상기 홀로그램 픽업모듈(20,20')은 특정 파장범위를 갖는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다이오드(26), 상기 발광 다이오드(laser diode)(26)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광디스크로 입사시키고,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반사된 광을 형성된 패턴에 맞게 분포시키는 홀로그램(22), 상기 홀로그램(22)의 분포특성에 따라 출력되는 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수광 다이오드(photo diode)(56)를 집적화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디바이스는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두개의 홀로그램 픽업모듈(20,20'), 이 홀로그램 픽업모듈(20,20')의 앞에 각각 설치되는 반사블록(10,10'), 스플리터(30), 콜리메이터 렌즈(36), 포커스 렌즈(50)(대물렌즈) 등으로 이루어지며, 설계사양이나 필요에 따라서 각종 부가적인 구성들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픽업모듈(20,20')은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사양에 따라서 그 개수가 결정될 것이다. 상기 홀로그램 픽업모듈(20,20')은 특정 파장범위(780㎚ 또는 680㎚)의 광을 발광하여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광스폿을 형성시키고, 형성된 광스폿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스플리터(30)는 상기 반사블록(10,10')에서 다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의 방향에 따라 광의 투과경로를 변경시키고, 콜리메이터 렌즈(36)는 입사되는 광을 수평광으로 변환출력한다. 여기서 변환출력되는 수평광은 포커스 렌즈(50)에 의해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광스폿으로 집광된다.
이와 같은 광디바이스는 광디스크가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인 경우 780㎚의 광을 발광하는 레이저 다이오드(22)로부터 발광된 광이 780㎚용 홀로그램(22)을 투과하여 상기 홀로그램 픽업모듈(20)로부터 출력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 광은 상기 반사블록(10)을 통하여 다반사되어 상기 스플리터(30)로 입사되고 콜리메이터 렌즈(50)를 투과한 후 수평광으로 변환된다. 이 변환된 수평광은 포커스 렌즈(35)에 의해 집광되어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90)의 기록면에 직경 1㎛ 이하의 광스폿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광스폿은 광디스크로부터 반사되어 전술한 바 있는 과정의 역과정을 거치게 되고, 상기 홀로그램 픽업모듈(20)내로 입력된 후 780㎚ 홀로그램(22)을 거쳐 780㎚용 수광 다이오드(56)에 수광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한편, 이와 같은 광디바이스는 광디스크가 디지탈 다기능 복합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k)인 경우 홀로그램 픽업모듈(20')로부터 발생되는 650㎚의 광빔은 650㎚용 홀로그램(22; 도 5 및 도 6의 홀로그램 픽업모듈은 780nm과 그 구성이 유사하므로 동일하게 표현)을 투과하여 상기 홀로그램 픽업모듈(11)로부터 출력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 광은 상기 반사블록(10')을 통하여 다반사되어 스플리터(30)로 입사되고 콜리메이터 렌즈(36)를 차례로 투과한 후 수평광으로 변환된다. 이 변환된 수평광은 포커스 렌즈(50)에 의해 집광되어 광디스크(디지탈 다기능 복합디스크)의 기록면에 직경 1㎛ 이하의 광스폿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광스폿은 광디스크로부터 반사되어 전술한 과정의 역과정을 거쳐 상기 홀로그램 픽업모듈(20')내로 입력되고, 650㎚ 홀로그램(22)을 거쳐 650㎚용 수광 다이오드(56)에 수광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디바이스는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26,26'), 반사블록(10,10'), 스플리터(30), 콜리메이터 렌즈(36), 포커스 렌즈(50), 수광 다이오드(56,56') 등으로 이루어지며, 설계사양이나 필요에 따라서 각종 부가적인 구성들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26,26') 및 수광 다이오드(56,56')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사양에 따라서 그 개수가 결정될 것이다. 이와 같은 광디바이스는 전술한 홀로그램 픽업모듈을 사용하는 광디바이스와 거의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그에 따른 작용도 거의 유사하다. 이와 같은 광디바이스는 고가의 홀로그램 픽업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780nm 또는 650㎚용 발광 다이오드(26,26')와 780nm 또는 650㎚용 수광 다이오드(56,56')로 구성한 형태이다. 이와 같은 광디바이스는 비점수차(astigmatism)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가능한 반투명 거울(60)과 이 반투명 거울(60)의 회전각에 따라 변경되는 광의 경로를 보상하기 위한 센서 렌즈(6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광디바이스에서 650㎚용 발광다이오드(26')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반투명 거울(60)에 의해 광의 경로가 변경되어 스플리터(30)로 입사되고(물론, 종류에 따라서 이 과정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스플리터(30)를 통과한 광은 콜리메이터 렌즈(36)와 포커스 렌즈(50)를 차례로 거쳐 광디스크(DVD)(90)의 기록면에 광스폿으로 형성된다. 이 광스폿은 광디스크(90)로부터 반사되고 상기 포커스 렌즈(50)와 콜리메이터 렌즈(36)를 다시 차례로 투과한 후, 반투명 거울(60)과 센서 렌즈(66)을 거쳐 650㎚용 수광 다이오드(56')에 입사된다. 이때, 미설명 부호 70은 회절격자판(grating plate)으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26)로부터 발생된 광을 1개의 주 광(main light(beam))과 2개의 부 광(sub light)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디바이스를 광픽업장치에 설치하는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디바이스는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광픽업장치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반사블록(10)을 사용하여 광의 경로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광픽업장치에서 공간 문제로 인하여 발생되는 광디바이스의 설치상의 애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상기 반사블록(10)은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광원(홀로그램 픽업모듈)(20)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은 홀로그램 픽업모듈(20)로 제시하였지만, 전술한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광디바이스와 같이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26,26')일 수 있다. 상기 반사블록(10)을 광원과 일체로 형성시키는 구성은 광디바이스의 위치를 세팅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광원과 반사블록을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광원의 조립시 반사블록의 위치도 함께 세팅되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블록(10)은 광원과 분리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공간제약에 따라 광의 경로를 변경가능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공간의 확보가 유리한 점이 있다.
이때, 미설명 부호 80은 광픽업장치의 베이스이고, 86은 보빈(bobbin)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디바이스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류들의 기본 I/O거리를 만족시키면서 광원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광픽업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광디스크 구동장치에서 제한적인 크기가 요구되는 광픽업장치의 적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4)

  1.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광디스크(90)로 입사시키고, 상기 광디스크(90)로 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데 필요한 I/O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광원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반사블록(10,10')이 구비된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반사블록(10,10')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16)과, 상기 입사면(16)으로 입사된 광이 다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면(12,14) 및 상기 반사면(12,14)을 통하여 반사된 광이 렌즈로 출사되도록 하는 출사면(18)을 갖는 육면체형상을 이루되, 상기 반사면(12,14)은 외면이 AR코팅된 상태로 상호 평행하게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입사면(16)과 출사면(18)은 각각 상기 반사면(12,14)과 연결되어 상호 평행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1-0038666A 2001-06-30 2001-06-30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 KR100413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666A KR100413087B1 (ko) 2001-06-30 2001-06-30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666A KR100413087B1 (ko) 2001-06-30 2001-06-30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343A KR20030003343A (ko) 2003-01-10
KR100413087B1 true KR100413087B1 (ko) 2003-12-31

Family

ID=2771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666A KR100413087B1 (ko) 2001-06-30 2001-06-30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30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433A (ko) * 1994-12-07 1996-07-20 김주용 광디스크 기록장치용 빔정형프리즘
JPH09223325A (ja) * 1996-02-16 1997-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20083739A (ko) * 2001-04-30 2002-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합 반사프리즘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433A (ko) * 1994-12-07 1996-07-20 김주용 광디스크 기록장치용 빔정형프리즘
JPH09223325A (ja) * 1996-02-16 1997-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20083739A (ko) * 2001-04-30 2002-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합 반사프리즘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343A (ko) 200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7939B2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optical pickup device using the same
JP2000353332A (ja) 光出力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採用した互換型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1110081A (ja) 非点収差防止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6980505B2 (en) Optical head apparatus including two light sources and one photodetector
US7251209B2 (en) Optical pickup and a wedge beam splitter
JPH11149652A (ja) 光学ピックアップ
KR100295102B1 (ko) 광픽업
KR20010050641A (ko) 복합광학유닛
US20010050933A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laser diode chip
KR100413087B1 (ko)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디바이스
US6081497A (en) Optical pickup having compatibility with a digital versatile disk and a compact disk-recordable
KR100294886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US7358470B2 (en) Optical pickup
JP2004213766A (ja) 光ヘッド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20040076328A (ko) 위상이동 코팅막이 형성된 광학소자를 구비하는 광픽업장치
JPH10247338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1011794A (ja) 光ピックアップ
JPH103691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421458B1 (ko) 광 픽업장치
JPH11144284A (ja) 光学ピックアップ
KR100486291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JP3120780B2 (ja) 光ヘッド
KR20000009846A (ko) 광픽업
KR100413088B1 (ko) 광픽업장치
JP2002163836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