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981B1 -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981B1
KR100412981B1 KR10-2000-0042032A KR20000042032A KR100412981B1 KR 100412981 B1 KR100412981 B1 KR 100412981B1 KR 20000042032 A KR20000042032 A KR 20000042032A KR 100412981 B1 KR100412981 B1 KR 100412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d
tool
driving
ram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170A (ko
Inventor
김한경
임송자
Original Assignee
김한경
임송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경, 임송자 filed Critical 김한경
Priority to KR10-2000-0042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981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16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purposes
    • B21F45/2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purposes of springs hooks; of spring safety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04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by means of press-type t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21F23/005Feeding discrete lengths of wire or r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래지어등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해 최종적으로 결속시키거나 또는 그 이외 각종 밴드의 착용을 위해 최종적으로 잠금시키는 암수의 후크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후크 제조장치는 별도로 설치되어 후크 제조를 위한 선재가 소정길이 감아져 있는 보빈과; 프레임의 상부에 제1,제2,제3,제4구동캠이 각기 설치되며,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제1구동축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제5, 제6구동캠이 각기 설치되며,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제2구동축과; 상기 보빈에 감아져 있는 상기 선재를 간헐적으로 구동하면서 일방향으로 일정길이식 연속적으로 공급시키는 선재공급수단과; 상기 제1구동축의 제1구동캠에 의해 승강구동 하면서, 상기 선재공급수단에의해 일정길이로 공급된 상기 선재를 절단시키는 절단날을 일측에 가지는 제1공구대를 갖는 제1램과; 상기 제1구동축의 제2구동캠에 의해 승강구동 하면서, 상기 제1공구대의 절단날과 높이차를 가지고 시차적으로 연동하여 상기 선재 양단부의 1차 절곡공정을 수행하는 한쌍의 제1밀핀과 상기 선재 중앙부의 3차 절곡공정을 수행하는 U자형상의 금형툴을 갖는 제2램과; 상기 제1 및 제2램의 직하부 양측에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축의 제3, 제4구동캠에 의해 가위식으로 구동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작동암에 의해 연동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선재 양 단부의 2차 절곡공정을 각기 수행하는 한쌍의 제2밀핀을 갖는 제2 및 제3공구대와; 상기 제2 및 제3공구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구동축의 제6구동캠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2차 절곡공정을 마친 상기 선재에 3차 절곡공정을 수행하는 제3밀핀과, 상기 3차 절곡공정을 완료한 가공소재에 누름력을 가하여 평활도를 잡아주는 누름툴을 포함하는 제4공구대를 갖는 제3램 및; 상기 제1, 제2램과 제3램 및 제2, 제3공구대들의 사이에서 평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제6 및 제7구동캠과 연동하는 제3, 제4작동암에 의해 각기 그 면상에서 출몰하는 한쌍의 받침핀 및 받침겸용 추출핀을 갖는 가공다이를 포함하여서, 기계적이고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암수의 후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Apparatus for making hooks used in woman's underwears}
본 발명은 브래지어등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해 최종적으로 결속시키거나 또는 그 이외 각종 밴드의 착용을 위해 최종적으로 잠금시키는 암수의 후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암,수의 후크를 기계적이고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한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성용 내의 착용시 또는 착용되는 각종 밴드를 최종적으로 결속시키게 하는 후크는 통상 암수 한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끼워맞춤결합되는 것으로 착용을 이루게 된다.
암수의 후크는 통상 적당한 탄성을 유지하는 가는 철사를 소재로 하여서 일련의 연속적인 프레스공정을 통해 적당한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암수의 후크 제조장치는 현재까지 여러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근래에와 봉재산업의 자동화 추세에 의해서 의류 착용을 위한 부속물인 후크의 부착작업 또한 일련의 연속적인 자동화 공정에 의해서 이루고 있는 것으로, 그 후크 제조에 정밀도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밀한 후크의 제조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암수의 후크를 기계적이고 일련의 연속적인 공정으로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한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래지어등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해 최종적으로 결속시키거나 또는 그 이외 각종 밴드의 착용을 위해 최종적으로 잠금시키는 암수의 후크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후크 제조장치는 별도로 설치되어 후크 제조를 위한 선재가 소정길이 감아져 있는 보빈과; 프레임의 상부에 제1,제2,제3,제4,제6,제7구동캠이 각기 설치되며,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제1구동축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제5, 제8구동캠이 각기 설치되며,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제2구동축과; 상기 보빈에 감아져 있는 상기 선재를 간헐적으로 구동하면서 일방향으로 일정길이식 연속적으로 공급시키는 선재공급수단과; 상기 제1구동축의 제1구동캠에 의해 승강구동 하면서, 상기 선재공급수단에의해 일정길이로 공급된 상기 선재를 절단시키는 절단날을 일측에 가지는 제1공구대를 갖는 제1램과; 상기 제1구동축의 제2구동캠에 의해 승강구동 하면서, 상기 제1공구대의 절단날과 높이차를 가지고 시차적으로 연동하여 상기 선재 양단부의 1차 절곡공정을 수행하는 한쌍의 제1밀핀과 상기 선재 중앙부의 3차 절곡공정을 수행하는 U자형상의 금형툴을 갖는 제2램과; 상기 제1 및 제2램의 직하부 양측에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축의 제3, 제4구동캠에 의해 가위식으로 구동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작동암에 의해 연동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선재 양 단부의 2차 절곡공정을 각기 수행하는 한쌍의 제2밀핀을 갖는 제2 및 제3공구대와; 상기 제2 및 제3공구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구동축의 제6구동캠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2차 절곡공정을 마친 상기 선재에 3차 절곡공정을 수행하는 제3밀핀과, 상기 3차 절곡공정을 완료한 가공소재에 누름력을 가하여 평활도를 잡아주는 누름툴을 포함하는 제4공구대를 갖는 제3램 및; 상기 제1, 제2램과 제3램 및 제2, 제3공구대들의 사이에서 평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제6 및 제7구동캠과 연동하는 제3, 제4작동암에 의해 각기 그 면상에서 출몰하는 한쌍의 받침핀 및 받침겸용 추출핀을 갖는 가공다이를 포함하여서, 기계적이고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암수의 후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후크 제조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후크 제조장치의 요부확대도,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 후크 제조장치의 성형과정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12은 본 발명 후크 제조장치에 의해 완성된 제품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보빈 2 :프레임
10 :선재공급수단 20 :제1램
30 :제2램 40 :제3램
50 :제1작동암 52 :제2작동암
54 :제2공구대 56 :제3공구대
60 :제3밀핀 62 :제4밀핀
70 :가공다이 80 :제1구동축
90 :제2구동축
다음 본 발명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크 제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측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 후크 제조장치는 크게 나누어 별도 설치되어 후크 제조를 위한 선재(L)가 소정길이 감아진 보빈(1)과, 이 보빈(1)으로 부터 풀려나오는 선재(L)를 간헐적으로 구동하며 일정길이식 공급시키게 하는 선재공급수단(10)과, 이 선재공급수단(10)을 통하여 공급된 선재(L)를 프레임(2)의 적당한 위치에 각기 배치되어서 소정의 형태로 절곡공정을 수행하는 제1램(20), 제2램(30), 제3램(40) 및 제1작동암(50)과 제2작동암(52)과 각기 연동하는 제2공구대(54)와 제3공구대(56), 그리고 한쌍의 제3밀핀(60)과, 가공다이(70)로 이룬 성형부를 갖추고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조장치를 이용해 선재(L)를 간헐적으로 공급시키면서 여러단계의 절곡공정을 통해 소기의 후크를 자동적이고 일련의 연속공정을 통해 제조하게 될 것이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크 제조를 위한 선재(L)는 가는 철사로서 다소의 탄성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선재(L)는 통상에서와 같이 보빈(1)을 이용하여 공급시키게 된다. 이 보빈(1)은 프레임(2)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는 턴테이블(1a) 상에 탑재되어 선재공급수단(10)에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적당히 풀려나오게 될 것이다.
선재공급수단(10)은 프레임(2)의 일측 중간위치에서 보빈(1)으로 부터 풀려나오는 선재(L)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서 별도의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선재의 공급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왕복동하면서 전진방향에서 선재를 공급시키게 하는 견인대(12)를 가지며, 여기서 견인대(12)의 직후방에 선재의 공급이 일방향성으로 이루도록하는 역진방지구조(14)를 갖추어서 선재를 간헐적으로 일정길이식 공급을 이루게 함과 아울러, 선재공급수단(10)의 전방측에는 보빈(1)으로부터 풀려나오는 선재(L)를 곧게 펴내는 정선수단(16)을 갖추고 있다.
또 선재공급수단(10)의 끝단으로 부터 후크 성형을 위한 선재(L)의 절곡공정을 수행하는 성형장치들이 설치된다. 먼저, 선재공급수단(10)으로 부터 공급되는 선재(L)의 공급경로와 동일 선상에서 선재의 절곡공정을 위한 가공면적을 평면적으로 제공하는 가공다이(70)가 프레임(2)상에서 고정부재들을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가공다이(70)는 선재(L)의 가공을 위한 면적을 제공함과 아울러, 선재의 절곡공정을 이루게 하는 한쌍의 받침핀(72)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받침핀(72)은 선재(L)의 공급경로와 동일 수평선상 양측에 적당한 간격을 가지고 양측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들 한쌍의 받침핀(72) 사이 중간위치에 받침겸용 추출핀(74)이 설치된다. 여기서, 받침핀(72)과 받침겸용 추출핀(74)은 이후에 설명할 제1 및 제2작동바에 의해 가공다이(70) 면에서 출몰하며 목적하는 소재의 절곡공정을 이룬다.
이렇게 프레임(2)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가공다이(70)을 중심으로 하여 제1램(20), 제2램(30), 제3램(40) 및 제2 및 제3공구대(54)(56), 그리고 제3, 제4밀핀(60)(62)들이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먼저, 제1램(20)과 제2램(30)은 프레임(2)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구동축(80)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캠(82)와 제2구동캠(84) 각각에 의해 가공다이(70)의 상부측에서 승강구동을 이루게 되는데, 이렇게 설치되는 제1램(20)과 제2램(30)은 각기 복원부재(89)들에 의해 복귀동작을 이루게 된다.
제1램(20)과 제2램(30)은 프레임(2)의 전면에서 서로 자유로이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춤결합되어 제1 및 제2램들이 함께 동시적으로 승강되게 하거나, 개별적으로 승강작용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램들이 함께 또는 개별적인 승강작용은 제1 및 제2구동캠(82)(84) 각기의 캠곡선도에 의해서 이루게 될 것이다. 이렇게 설치되는 제2램(30)에는 선재공급수단(10)의 끝단을 바로지난 위치에서 승강하는 절단날(32)을 가지는 제1공구대(36)를 갖추고 있고, 제1램(20)에는 가공다이(70)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받침핀(72) 외향측으로 인접해 승강하며 소재(L)의 1차절곡을 수행하는 한쌍의 밀핀(22)과 선재(L)를 U자형상으로 3차 절곡해내는 몰드(34)를 갖추고 있다. 이때 제2램(30)의 절단날(32)과 제1램(20)의 밀핀(22)들은 높이차를 가지고 시차적으로 절단공정과 절곡공정을 연속적으로 이루게 될 것이다.
또 가공다이(70)의 양측으로는 적당한 구배를 가지고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쌍의 제2공구대(54)와 제3공구대(56)들이 설치되는데, 이 제2 및 제3공구대(54)(56)들은 프레임(2)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구동축(80)에 설치되는 제3 및 제4구동캠(85)(86)의 캠곡선도에 의해 가위식으로 구동하는 한쌍의 제1작동암(50)과 제2작동암(52)들에 의해 각기 구동하면서 가공다이(70) 면상으로 돌출되는 받침핀(72) 직하부로 제1밀대(54a)와 제2밀대(56a)들을 밀어넣었다 빼내는 작용을 이루어 선재(L)의 2차 절곡공정을 이루게 된다.
제3램(40)은 가공다이(70) 하부측 양측에 설치된 제2공구대(54)와 제3공구대(56) 사이의 중앙부분에서 제1및 제2램들과 동일수직선상에서 프레임(2)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구동축(90)에 설치되는 제8구동캠(92)에 의해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제3램(40)에는 제2구동축(90)에 설치되는 제5구동캠(94)의 캠곡선도에 의해 시이소식으로 구동하면서 절곡공정을 통해 후크형태를 거의 갖춘 선재의 전면에서 내려눌러 평활도를 잡아주는 누룸툴(96)이 탑재된 제4공구대(9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4공구대(98)은 복원부재(99)에 의해 복귀작용을 이루게 될 것이다.
한쌍의 제3밀핀(60)은 제2공구대(54)와 제3공구대(56) 사이에 설치되는 제3램(40)의 내향측에 설치되어서, 제4공구대(98)와 함께 승강함과 동시에, 제2 및 제3공구대(54)(56)가 가공다이(70)측으로 밀어들오는 밀음력에 의해 구동하여 선재의 4차절곡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3밀핀(60)과 제4밀핀(62)은 복원부재(63)에 의해 복귀작용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가공다이(70)에 설치되는 한쌍의 받침핀(72)와 받침겸용 추출핀(74)는 프레임(2)의 중간위치에서 자유로이 전후진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제1구동축(80)의 제6구동캠(87)과 제7구동캠(88)에 의해 구동하는 제3작동암(81)과 제4작동암(83)들에 의해서 구동하는 제1작동바(3)와 제2작동바(4)들의 전후진운동에 따라서 각기 가공다이(70) 전면상으로 출몰하는 작용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때 각기의 제1작동바(3)과 제2작동바(4)들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복원부재(6)들에 의해서 복귀작용을 이룬다.
그러면 도 4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 후크 제조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겠다. 먼저 도 4a은 선재(L)가 후크 제조장치의 가공다이(70) 전면으로 일정길이 공급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이때 가공다이(70)에 설치된 한쌍의 받침핀(72)과 받침겸용 추출핀(74)들은 그 가공다이(70) 면상에서 도 4b와 같이 돌출되어서 그 받침,추출핀들 상에 선재가 얹혀져 공급된다.
이와같은 선재의 공급이 완료되면 바로이어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제1구동축(80)의 제2구동캠(84)의 캠곡선도에 의해서 제2램(30)이 하강작용을 이루고, 이러한 하강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제2램(30)의 제1공구대(36)에 설치되어 있는 절단날(32)이 높이차를 가지고 선행적으로 선재의 절단공정을 수행한다.
이렇게 선재의 절단공정을 이룬 다음, 연이어서 제1구동캠(82)의 캠곡선도에 의해서 제1램(20)이 하강함과 동시에, 한쌍의 밀핀(22)들이 가공다이(70)의 받침핀(72)들의 외향측으로 하강하여서 제6에서와 같이 선재(L)의 양단부를 하향으로 90도 1차절곡공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공구대(36)의 U자형상의 몰드(34)가 받침겸용 추출핀(74)상에서 가압력을 가하여 선재(L)의 중앙 부분이 만곡상태로 일부 절곡된다.
1차절곡공정을 마친후, 후속하여 제1구동축(80)의 제3구동캠(85)와 제4구동캠(86)의 캠곡선도에 의한 제1작동암(50)과 제2작동암(52)의 시이소 운동으로 제2공구대(54)와 제3공대(56) 각기들의 제2밀대(54a)(56a)가 가공다이(70)측으로 밀려들어오면서 도 7에서와 같이 1차절곡된 선재(L)의 양단을 다시 90도 2차절곡공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1,2차 절곡공정에 의해서 후크의 고리부분 성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1,2차 절곡공정을 마친 선재(L)는 제1구동축(80)의 제2구동캠(84)의 캠곡선도에 의해서 재하강하면서 제1공구대(36)에 갖는 U자형상의 몰드(34)에 의해 도 8a에서와 같이 선재(L)가 U자형상으로 3차 절곡공정을 이룬다. 이때 도 8b에서와 같이 가공다이(70)의 양 받침핀(72)들은 제1구동축(80)의 제6구동캠(87)에 의하여 가공다이(70) 면 외측에서 내측으로 끌어들려와 선재(L)의 3차절곡에 지장을 주지 않을 것이다.
또 3차 절곡공정을 마친후, 후속하여 제2구동축(90)의 제8구동캠(92)의 캠곡선도에 의해서 제3램(40)이 상승과 동시에 제1구동축(80)의 제3 및 제4구동캠(85)(86)들의 캠곡선도에 의해 제1작동암(50)과 제2작동암(52)를 재구동시키어 제2 및 제3공구대(54)(56)들을 재구동되게 하면서, 그 제2 및 제3공구대(54)(56)의 이동력에 의해서 제3밀핀(60)과 제4밀핀(62)들을 간접적으로 밀어넣어 3차절곡 된 부분에 다시 4차 절곡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9에서와 같이 선재가 거의 후크형태를 갖추게 된다.
이렇게 4차공정을 마치어 거의 후크형태를 갖춘 것을 도 10에서와 같이 제2구동축(90)의 제5구동캠(94)의 캠곡선도에 의해서 시이소식으로 구동하는 누룸툴(96)로 그 전면을 내려눌러 제품 측면에서의 평활도를 강제적으로 잡아주는 것으로 성형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도 11은 완성된 제품이 제조장치로부터 흘러나오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때 가공다이(70)의 받침겸용 추출핀(74)이 제1구동축(80)의 제7구동캠(88)의 캠곡선도에 의해 구동하는 제2작동바(4)에 의해서 가공다이(70)의 면 외측에서 내측으로 끌어드리면서 완성된 후크 제품을 떨어뜨리게 될 것이다.
도 12은 본 발명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후크를 보이고 있다. 이 후크는 암형의 후크이다.
그러면 본 발명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기계적이고 일련의 연속인 자동공정을 통해 일률적이고 균일하고도 정밀한 제품을 제조하고, 따라서, 제품에 정밀도를 높이어 봉재의 자동화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별도로 설치되어 후크 제조를 위한 선재가 소정길이 감아져 있는 보빈;
    프레임의 상부에 제1,제2,제3,제4,제6,제7구동캠이 각기 설치되며,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제1구동축;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제5, 제8구동캠이 각기 설치되며,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제2구동축;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에 감아져 있는 상기 선재를 간헐적으로 구동하면서 일방향으로 일정길이식 연속적으로 공급시키는 선재공급수단;
    상기 제1구동축의 제2구동캠에 의해 승강구동 하면서, 상기 선재공급수단에의해 일정길이로 공급된 상기 선재를 절단시키는 절단날과, 상기 선재 중앙부의 3차 절곡공정을 수행하는 U자형상의 몰드를 가지는 제1공구대를 갖는 제2램;
    상기 제1구동축의 제1구동캠에 의해 승강구동 하면서, 상기 제2공구대의 절단날과 높이차를 가지고 시차적으로 연동하여 상기 선재 양단부의 1차 절곡공정을 수행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밀대를 갖는 제1램;
    상기 제1 및 제2램의 직하부 양측에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축의 제3, 제4구동캠에 의해 가위식으로 구동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작동암에 의해 연동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선재 양 단부의 2차 절곡공정을 각기 수행하는 한쌍의 제2밀핀을 갖는 제2 및 제3공구대;
    상기 제2 및 제3공구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구동축의 제8구동캠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2차 절곡공정을 마친 상기 선재의 양측에 3차 절곡공정을 수행하는 한쌍의 제3, 제4밀핀을 포함하는 제4공구대를 갖는 제3램; 및
    상기 제1, 제2램과 제3램 및 제2, 제3공구대들의 사이에서 선재의 가공을 위한 가공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1구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제6 및 제7구동캠과 연동하는 제3, 제4작동암에 의해 각기 상기 가공면의 내외측으로 출몰하는 한쌍의 받침핀과 이 받침핀들의 사이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받침겸용 추출핀을 갖는 가공다이를 포함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구대상에 탑재되고 상기 3차 절곡공정을 완료한 가공소재의 전면에서 상기 제5구동캠에 의해 시이소식으로 구동하여 가공소재에 누름력을 가하여서 가공소재의 평활도를 잡아주는 누름툴을 더 포함하는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
  3. 삭제
KR10-2000-0042032A 2000-07-21 2000-07-21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 KR100412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032A KR100412981B1 (ko) 2000-07-21 2000-07-21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032A KR100412981B1 (ko) 2000-07-21 2000-07-21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955U Division KR200216148Y1 (ko) 2000-09-26 2000-09-26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170A KR20010000170A (ko) 2001-01-05
KR100412981B1 true KR100412981B1 (ko) 2003-12-31

Family

ID=1967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032A KR100412981B1 (ko) 2000-07-21 2000-07-21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8464A (zh) * 2014-12-25 2015-05-06 河北科杰电力器材制造有限公司 一种m簧成型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4971B (zh) * 2016-06-08 2017-12-08 国家电网公司 高压电缆多功能恒温控制箱
CN109530575A (zh) * 2018-09-29 2019-03-29 佛山市顺德区奔蓝五金机械有限公司 单车座包的骨线成型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299A (ko) * 1994-05-28 1995-12-18 랴오 씨.엔. 훅 스프링 제조장치
KR970068833A (ko) * 1996-04-10 1997-11-07 정태선 릴낚시대용 가이드링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299A (ko) * 1994-05-28 1995-12-18 랴오 씨.엔. 훅 스프링 제조장치
KR970068833A (ko) * 1996-04-10 1997-11-07 정태선 릴낚시대용 가이드링의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8464A (zh) * 2014-12-25 2015-05-06 河北科杰电力器材制造有限公司 一种m簧成型机
CN104588464B (zh) * 2014-12-25 2018-07-17 河北科杰电力器材制造有限公司 一种m簧成型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170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2981B1 (ko)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
CN101783552B (zh) 线圈成型装置及线圈成型方法
KR100360304B1 (ko) 낚시바늘 제조기
KR200216148Y1 (ko)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
US20090007621A1 (en) Method to Feed Bars to a Working Machine and Relative Device
JPH08132164A (ja) 金網折曲げ型及び金網折曲げ機
JPH11239840A (ja) 鎖の製造装置
CN210648096U (zh) 一种冲压模具
CN107952850B (zh) 一种钢制瓦楞形工件自动成型的折弯方法
KR200205878Y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KR100382157B1 (ko) 여성용 내의 착용을 위한 후크 제조장치
US5940954A (en) Apparatus for producing molded article and method therefor
KR101116625B1 (ko) 리프트 핀 결합 방식의 가이드 핀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 프레스 장치
CN108565792B (zh) 自动剥线机及剥线方法
CN214226734U (zh) 一种电感线圈引线折脚装置
CN219025778U (zh) 线材连续加工模及具有其的回位挂簧销加工装置
SU93517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U-образных деталей гибкой пр молинейных заготовок проталкиванием
CN105642711B (zh) 一种基于悬臂式变高度辊模成形装置的悬臂式变高度辊模成形方法
JPS5884620A (ja) 絞りプレス型
JP4524778B2 (ja) 金網フェンスの端部曲げ装置および金網フェンスの端部加工方法
CN216065136U (zh) 一种冲孔落料装置
CN217990762U (zh) 一种定子线头折弯成型装置
CN210160323U (zh) 一种扣钩组件中带勾眼勾圈的全自动生产设备
CN213469306U (zh) 一种适用于冲压模具的模内移料机构
CN209336030U (zh) 裁切摆盘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