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453B1 -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453B1
KR100412453B1 KR10-2001-0053937A KR20010053937A KR100412453B1 KR 100412453 B1 KR100412453 B1 KR 100412453B1 KR 20010053937 A KR20010053937 A KR 20010053937A KR 100412453 B1 KR100412453 B1 KR 100412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late
exhaust gas
floo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196A (ko
Inventor
곽수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45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배기 플레이트에 보조 플레이트를 구성하여 완성차가 움직임에 따라 이 보조 플레이트를 연장시켜 배기 가스를 작업장으로부터 거의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한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로어의 하부에 장착된 덕트와, 상기 플로어에 힌지고정되어 덕트의 단부를 개폐시켜 주는 배기 플레이트와, 차량의 진행 여부에 따라 이 배기 플레이트를 개폐시켜 주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기 플레이트에는 이 플레이트가 개구됨에 따라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보조 플레이트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배기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측면에 힌지로 고정되어 탄성지지를 받아 바깥쪽으로 펼쳐지도록 장착되고, 바깥쪽측면에는 배기 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배기 가스의 유입 방향에 대해서 직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익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Gas exhausting system for test lines}
본 발명은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성된 차량의 테스트 도중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효율적으로 라인 밖으로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성된 차량(이하, 완성차라 함)은 테스트 라인을 거치면서 여러가지 검사를 하게 된다. 일예로, 상기 테스트 라인에서 검사하는 항목으로는 시동 공정, 가진기 공정, 휠얼라이먼트 공정, T/R과 H/L 공정, 롤(roll)과 브레이크 공정, 에미션 공정 등이 있다. 이러한 테스트 라인은 실내에서 시동을 켠 상태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문에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을 필요로 하게 된다.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은, 첨부도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어(100)의 하부에 장착되는 덕트(10)와, 이 덕트(10)를 개폐시켜 주는 배기 플레이트(20)와, 상기 배기 플레이트(20)를 개폐시켜 주기 위한 에어 실린더와 같은 작동수단(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작동수단(30)은 플로어(100)에 장착되어 차량의 휠 위치를 검출하는 휠 검출 센서(미도시됨)에 의해 작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 플레이트(20)에는 전면에 메쉬(21)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은 상기 완성차가 플로어(100)를 따라 움직이임에 따라 4개의 휠위치를 검출하게 되고, 이렇게 검출된 신호에 의해 상기 작동수단(30)이 배기 플레이트(20)를 첨부도면에서와 같이 개구시켜 배기 가스를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은 진행중인 완성차가 멀어짐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1) 완성차가 진행중에 배기 가스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 플레이트와 머플러 사이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배기가스가 작업장 실내에 잔류하게 된다.
2) 배기 플레이트에 메쉬 처리가 되어 있어 이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으나 배기 가스의 직진성을 방해하게 되어 배기 가스의 배출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같은 배출 효과를 얻기 위해 배출 팬이 용량이 커지게 되었다.
3) 배기 가스가 작업장 내에 잔류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으며 팬의 용량 증대로 작업장 내부의 소음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종래의 배기 플레이트에 보조 플레이트를 구성하여 완성차가 움직임에 따라 이 보조 플레이트를 연장시켜 배기 가스를 작업장으로부터 거의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한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배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보조 플레이트의 전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4-4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배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덕트 20 : 배기 플레이트
21 : 메쉬 22 : 받침판
23 : 보조 플레이트 24 : 가이드
25 : 유입 구멍 26 : 익선형 날개
27 : 탄성스프링 30 : 작동수단
100 : 플로어 110 : 아이들 롤러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로어의 하부에 장착된 덕트와, 상기 플로어에 힌지고정되어 덕트의 단부를 개폐시켜 주는 배기 플레이트와, 차량의 진행 여부에 따라 이 배기 플레이트를 개폐시켜 주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기 플레이트에는 이 플레이트가 개구됨에 따라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보조 플레이트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배기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측면에 힌지로 고정되어 탄성지지를 받아 바깥쪽으로 펼쳐지도록 장착되고, 바깥쪽측면에는 배기 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배기 가스의 유입 방향에 대해서 직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익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종래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본 발명은 완성차의 테스트 라인에서 발생된 배기 가스를 작업장 밖으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을 포함하게 된다. 즉, 종래의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은 테스트 라인이 설치되는 플로어(100)와, 이 플로어(100)의 하부에 외부로 배기 가스를 배출시켜 주기 위해 배관된 덕트(1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덕트(10)에는 완성차가 테스트 중에 발생되는 배기 가스를 이 덕트(10)로 안내해 주고 미사용시 밀폐시켜 주기 위한 배기 플레이트(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기 플레이트(2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는 각각 부채꼴 형상의 받침판(22)이 구비되어 있으며, 첨부도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10)의 상단 전면부를 개폐가능하도록 중심점 부분이 플로어(100)에 힌지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받침판(22)에는 배기 플레이트(20)와 마주보는 형태로 보조 플레이트(23)가 장착되어 있다.
보조 플레이트(23)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배기 플레이트(20) 내에 삽입가능한 소정의 폭을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는 가이드(24)가 부착되어 있고, 후면에는 유입구멍(25)이 절개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24)는 배기 가스가 직접 분출되는 머플러(미도시됨)의 위치와 갯수에 따라 1개 또는 2개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 도 3에서는 2개의 가이드(24)가 형성된 예를 보여 주고 있다. 특히 이 가이드(24)에는 배기 가스의 직진서을 향상시켜 배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첨부도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익선형 날개(2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보조 플레이트(23)는 그 중심점 부분이 상기 배기 플레이트의 힌지점과 마주하는 위치에 오도록 받침판(22)에 힌지 고정하게 되며, 이때상기 보조 플레이트(23)는 탄성스프링(27)의 지지를 받아 첨부도면 도 2에서와 같이, 바깥쪽으로 펼침가능한 구조로 장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23)가 탄성력을 받아 회전함에 따라 맞닿게 되는 플로어(100)에는 아이들 롤러(1100를 장착하여 이 보조 플레이트(23)가 쉽게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23)는 배기 플레이트(2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이 배기 플레이트(20)에 삽입되어 수납된 상태로 있게 된다(이때 상기 보조 플레이트(23)는 탄성스프링(27)의 탄성력을 저장한 상태로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배기 플레이트(20)가 위로 젖혀짐에 따라 탄성스프링(27)의 탄성력에 의해 이 배기 플레이트(20)와 반대 방향으로 첨부도면 도 2에서와 같이 회전하게 되어, 종래의 배출 시스템에 비해 배기 플레이트(20)의 전체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보조 플레이트(23)는 상기 배기 플레이트(20)를 탄성 스프링(27)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닫게 되면 강제로 이 배기 플레이트(20) 내부로 수납된 형태가 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는 상기 배기 플레이트(20)를 작동시켜 주기 위한 작동수단(30)을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라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작동수단(30)은 에어 실린더를 사용한 예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 작동수단(30)은 종래의 구성과 같이 플로어(100) 상에 장착된 휠 감지 센서(미도시됨)에 의해 완성차가 배출 시스템에 인접하였음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배기 플레이트(20)를 개구시켜 주게 되고, 반대로 완성차가 배출 시스템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배기 플레이트(20)를 닫아 주게 된다. 이때, 구동력은 상기 탄성스프링(27)보다 큰 힘으로 작용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기 플레이트에 보조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이 보조 플레이트와 완성차의 머플러 사이의 거리를 줄여 줄 수 있게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1) 테스트 라인에서 발생되는 배기 가스의 배출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고, 이는 작업장 내부의 환경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2) 가이드로 배기 가스의 직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배기 가스의 배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배기 팬의 용량을 크게 설정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3) 이러한 팬의 용량 감소는 작업장 내부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이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Claims (3)

  1. 플로어의 하부에 장착된 덕트와, 상기 플로어에 힌지고정되어 덕트의 단부를 개폐시켜 주는 배기 플레이트와, 차량의 진행 여부에 따라 이 배기 플레이트를 개폐시켜 주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기 플레이트에는 이 플레이트가 개구됨에 따라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보조 플레이트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배기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측면에 힌지로 고정되어 탄성지지를 받아 바깥쪽으로 펼쳐지도록 장착되고, 바깥쪽측면에는 배기 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배기 가스의 유입 방향에 대해서 직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익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
KR10-2001-0053937A 2001-09-03 2001-09-03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 KR100412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937A KR100412453B1 (ko) 2001-09-03 2001-09-03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937A KR100412453B1 (ko) 2001-09-03 2001-09-03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196A KR20030020196A (ko) 2003-03-08
KR100412453B1 true KR100412453B1 (ko) 2003-12-31

Family

ID=2772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937A KR100412453B1 (ko) 2001-09-03 2001-09-03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4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627B1 (ko) * 2008-10-29 2011-02-16 심이성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196A (ko) 200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491B1 (ko) 팬장치 및 슈라우드
EP197821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ngine exhaust sound for vehicles
JP2002186572A5 (ko)
EP1887147A2 (en) Construction machine
EP0888742A1 (en) Noise absorb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JP5564280B2 (ja) 建設機械用レインハット装置
KR100412453B1 (ko) 테스트 라인용 엔진 배기 가스 배출 시스템
KR200488036Y1 (ko) 양말편직기용 흡입력 발생장치
GB2294657A (en) Silencer for pneumatic machines
GB2520638A (en) Construction machine on which counterweight provided with muffler is mounted
CN110243540B (zh) 转子动平衡试验用防护罩及具有其的动平衡试验机
KR100507811B1 (ko) 차량 소음기용 가변 밸브
JP3929641B2 (ja) 航空機用エンジンテスト設備
KR100774416B1 (ko) 자동차용 공기배출구 작동소음 방지 구조
JP2001182097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室
JP2928770B2 (ja) エンジンの消音装置
JPH05256140A (ja) 内燃機関の排気促進装置
JP4347194B2 (ja) 作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熱排気構造
JPH05131378A (ja) 固着具打撃工具の排気消音装置
KR100290018B1 (ko) 보조 머플러
KR950002478B1 (ko) 내연기관의 배기촉진장치
KR100461455B1 (ko) 응축수 배출장치
JPH0655290A (ja) ヒュームおよび排煙の集塵装置
KR100664341B1 (ko) 러버 스프링
JP2008128078A (ja) 作業機械の冷却装置の清掃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