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677B1 -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677B1
KR100411677B1 KR1019960072221A KR19960072221A KR100411677B1 KR 100411677 B1 KR100411677 B1 KR 100411677B1 KR 1019960072221 A KR1019960072221 A KR 1019960072221A KR 19960072221 A KR19960072221 A KR 19960072221A KR 100411677 B1 KR100411677 B1 KR 100411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server
request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2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192A (ko
Inventor
요지 카와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33854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331654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56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원하는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21)를 이용하여 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기지국(22)으로 송신할 때, 소정의 서버가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 네트워크(23)를 통해서 상기 서비스 요구를 수신하고 그 다음에 상기 서비스 요구를 예를 들면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에 응답 가능한 클라이언트(27)에 송신한다. 클라이언트(27)는 서버(24)를 통해서 응답 정보를 휴대 단말기(21)에 송신한다. 사용자는 응답 정보를 기초하여 원하는 서비스가 클라이언트(27)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판단할 때 사용자는 클라이언트(27)에 대해 서비스를 요구한다.

Description

정보 제공 시스템{Information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정보 제공 또는 배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를 들어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에 적합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3은 종래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11)는 무선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네트워크(14)를 통해서 데이타베이스(15)나 센터(16)에 대해 액세스할 수 있게된다. 또한, 공중 전화(12) 역시 공중 네트워크(13)를 통해서 데이타베이스(15)나 센터(16)에 액세스 가능하다. 소정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해 가입자(사용자)가 현재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개 가입자는 휴대 단말기(11)를 이용하여 네트워크(14)를 통해서 데이타베이스(15)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되거나, 공중 전화(12)를 사용하여 공중 네트워크(13)를 통해서 데이타베이스(15)에 액세스 가능하다. 사용자가 데이타베이스(15)를 액세스하여 공중 전화(12)를 통해서 데이타베이스(15)에 대한 요구에 응답하여, 데이타베이스(15)는 상기 요구에 따르는 소정의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공중 네트워크(13)를 통해서 공중 전화(12)에 송신한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1)를 이용하여 소정의 요구에 대해 데이타베이스(15)를 액세스할 때, 데이타베이스(15) 역시 상기 요구에 따르는 소정의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네트워크(14)를 통해서 휴대 단말기(11)로 송신한다. 이 때, 사용자가 현재 이용하는 공중 전화(12)나 휴대 단말기(11) 및 데이타베이스(15) 간의 회선은 데이타베이스(15)가 사용자에게 응답할 때까지 접속 상태에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자기가 필요로 하는 정보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센터(16)에 송신하고, 센터(16)는 필요한 정보를 현재 위치에 송신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한 예로서 택시 승차 시스템에 대한 설명이 하기에 설명된다. 택시를 승차하려는 사용자는 공중 전화(12)나 휴대 단말기(11)를 이용하여 택시 승차를 위해 택시 회사의 센터(16)와 접촉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접촉에 응답하여, 택시 회사의 센터(16)는 상기 회사에 속해있는 택시와 연락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의 거리가 가장 짧은지 아닌지 또는 사용자의 위치가 원거리에 있는지 아닌지를 고려하여 하나의 택시를 선택하고, 사용자에게 택시의 도착 시간을 알려 준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정보 제공 장치의 경우에서,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는 센터(16)의 전화 번호를 알고 있지 못하고, 따라서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과 관련없는 전화번호부 책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센터(16)의 전화 번호를 알아내야 한다. 또한, 센터(16)는 각 사업자에 독립적으로 있게 되므로, 예를 들어, 한 센터(16)가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나 서비스의 제공을 거절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센터(16)와는 다른 센터(도시 안됨)들에게 필요한 정보나 서비스의 제공을 계속하여 요구해야 하고, 사용자에게는 큰 부담이 된다.
또한, 사용자가 센터(16)로부터 원하는 정보의 제공을 요구하는 경우에, 그들간의 통화 상태는 센터(16)가 사용자에게 그 응답을 송신할 때까지 어쩔수 없이 계속되어, 요금이나 수수료가 증가되고 비경제적인 상태가 된다. 또한, 데이타베이스(15)에 대한 액세스료가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 그 액세스료는 비교적 큰 액수가 될 수 있다. 또한, 센터(16)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자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와 같은 모든 경우에 말해야 되고, 그 또한 사용자에게 큰 부담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들을 해소하는 관점에서 개발되었고,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나 서비스를 요구할 때, 요금 감소와 함께 사용자측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신속한 정보나 서비스의제공이 가능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는,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과,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 요구 내용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과, 서버로부터의 요구 정보에 응답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과, 송신 수단 및 수신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는,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 요구 내용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과, 요구 정보의 부가 정보를 기초하여 단말기의 요구의 내용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요구 정보에 응답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구비한다.
먼저 전술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검출 수단은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고 이어서 송신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 요구 내용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정보를 서버에 송신한다. 또한, 수신 수단은 서버로부터의 요구 정보에 응답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한다. 송신 수단 및 수신 수단은 제어 수단의 제어하에서 동작한다.
후에 전술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수신 수단은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위치 정보,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 요구 내용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정보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판정 수단은 요구 정보의 부가 정보를 기초하여 단말기의 요구의 내용을 판정하므로 송신 수단은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요구 정보에 응답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특징과, 이점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따르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2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도 1의 서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4는 도 1 실시예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의 기지국의 커버 에리어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기지국 ID 및 위치 간의 대응 관계를 도시하는 테이블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기초한 택시 승차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기초한 정보 검색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1의 휴대 단말기(21)의 또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0은 도 1의 휴대 단말기(21)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1은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도면.
도 12A 및 12B는 휴대 단말기의 등록된 위치 및 현재 위치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종래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1 : 휴대 단말기 22 : 기지국
23 :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 네트워크
24 : 서버 25 : 서브서버
26 : 데이타베이스 27 : 클라이언트
101 : CPU 102 : ROM
103 : RAM 104 : 인터페이스
105 : 통신 장치 106 : 표시부
107 : 입력부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따르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21)는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이하, PHS : Personal Handy System)에 가입하여 사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기지국 및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 네트워크(23)를 통해서 소정의 전용 케이블 등을 통해 접속된 서버(24)를 액세스한다. 이 서버(24)는 사용자(가입자)로부터 전송된 에이젼트(agent), 즉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기지국(22)의 식별 번호와, 사용자의 가입자 번호와,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정보를 처리하고, 이 처리 결과에 따른 데이타베이스(26) 또는 서브서버(25) 또는 클라이언트(27)(하기에서 기술 됨)에 대해 액세스한다. 서브서버(25)는 서버(24)로부터 전송된 에이젼트를 처리하고, 데이타베이스(26)는 정보를 축적하고, 클라이언트(27)는 서버(24)로부터 소정의 요구 사항이 부가 정보로서 부가되는 서비스요구 에이젼트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 처리를 행한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21)의 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이다. CPU(제어 수단, 검출 수단)(101)는 ROM(10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른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이 ROM(102)은 또한 휴대 단말기(21)의 ID 번호를 기억한다. RAM(103)은 CPU가 각종 처리를 실행할때 필요한 데이타 등을 적당하게 기억한다. 입력부(107)는 CPU(101)에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때 적당히 조작되고, 표시부(106)는 예를 들어 LCD 등으로 구성되고 소정의 문자나, 그래픽 패턴이나 화상을 표시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기록/재생 장치(108)는 자기 디스크, 자기 광학 디스크, IC 카드와 같은 기록 매체에 소정의 데이타를 기록하고 상기와 같은 기록 매체로부터 소정의 데이타를 재생한다. 또한, 통신 장치(전송 수단, 수신 수단)(105)는 기지국(22)으로 데이타를 전송하거나, 기지국(22)을 통해서 공급된 데이타를 수신한다. 인터페이스(104)는 CPU(101)와 통신 장치(105)내지 입력부(107) 사이에 배치되어 인터페이스 처리를 실행한다.
도 3은 서버(24)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CPU(판정 수단, 응답 내용 판정 수단, 요구 수단)(201)는 ROM(20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른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203)은 CPU(20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할 때 필요한 데이타 등을 적당하게 기억한다. 입력부(207)는 소정의 명령을 CPU(201)에 입력시킬 때 적당히 조작되고, 표시부(206)는 예를 들어 CRT나 LCD로 구성되고 소정의 문자나, 그래픽 패턴이나 화상을 표시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기록/재생 장치(208)는 자기 디스크, 자기 광학 디스크, IC 카드와 같은 기록 매체에 소정의 데이타를 기록하고 상기와 같은 기록 매체로부터 소정의 데이타를 재생한다. 통신 장치(전송 수단, 수신 수단, 송신 수단)(205)는 기지국(22)으로 데이타를 전송하거나, 기지국(22)을 통해서 공급된 데이타를 수신한다. 인터페이스(204)는 CPU(201)와 통신 장치(205) 내지 입력부(207) 사이에 배치되어 인터페이스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서버(24)는 기본적으로 도 2의 휴대 단말기(21)와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스케일과, 처리 성능과, 처리 속도는 다르다. 또한, 서브서버(25)와, 클라이언트(27)와, 데이타베이스(26)의 구성은 도 3의 서버(24)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 및 기술은 간결함을 위해 생략한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동작이 설명된다.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회사로부터 정보나 서비스를 수신받고자 할 때,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21)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서버(24)에 대해 액세스한다. 이 때, 첫째로, 단계(S300)에서 휴대 단말기(21)의 통신 장치(105)는 CPU(101)의 제어하에 있게 되고, 회선 접속 요구를 가장 가까운 기지국(22)에 전송하여 휴대 단말기(21) 및 가장 가까운 기지국(22) 간의 무선 링크 채널을 확보한다. 무선 링크 채널을 확보한 후, 단계(S301)에서 기지국(22)은 상기 무선 링크 채널 확립 사실을 나타내는 무선 링크 확립 응답(회선 접속 응답)을 휴대 단말기(21)에 전송하고, 그 결과 단계(S302)(검출 수단)에서 통신 링크의 확립은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 네트워크(23)에 의해 휴대 단말기(21) 및 서버(24) 간의 데이타의 전송과 수신 및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때, CPU(101)는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무선 링크가 확립된 기지국(22)의 기지국 ID 번호(기지국 식별을 위한 식별 번호)를 취득한다.
둘째로, 단계(S303)(전송 수단)에서 휴대 단말기(21)의 통신 장치(105)는 CPU(101)의 제어하에 있게 되고,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 네트워크(23)를 통해서 서비스 요구 에이젼트를 서버(24)에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요구 에이젼트는 무선 링크(단계 S302에서 취득가능)를 확립하는 기지국(22)의 기지국(22) ID 번호와, 사용자의 가입자 번호(단말기(21)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로서 ROM(102)에 기억되어 있음)와, 서비스(입력부(107)를 통해서 입력됨)의 모든 종류별로 요구 내용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로 구성된다. 또한, 모든 종류별로 서비스를 분류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21)의 각종 키가 서비스 종류에 할당되므로 상기 서비스 종류는 키의 동작을 통해 입력되거나 표시부(106)상에 표시된 메뉴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된다.
또한, 단계(S304)(수신 수단)에서 서버(24)의 통신 장치(205)는 휴대 단말기(21)로부터 서비스 요구 에이젼트를 수신한다. 또한, 단계(S305)에서 휴대 단말기(21)의 CPU(101)는 통신 장치(105)를 제어하여 통신 링크를 절단한다. 또한 서버(24)의 통신 장치(205)는 상기 통신 링크 절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절단은 통화료 또는 임대료와 같은, 사용 시간에 해당하는 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306)(판정 수단)에서 서버(24)의 CPU(201)는 통신 장치(205)가 휴대 단말기(21)로부터 수신하는 서비스 요구 에이젼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인식하고, 이어서 단계(S307)(요구 수단)에서 통신 장치(205)는 서비스가능 데이타베이스(26)와, 서브서버(25)와, 클라이언트(27)(또는 다른 장치)에게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기지국 ID 번호와, 가입자 번호와, 부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에이젼트를 전송한다.
서버(24)로부터 상기 에이젼트의 송신선(destination)이 데이타베이스(26)인 경우에, 단계(S308)에서 CPU(201)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에 응답하도록 소정의 처리를 실행시키고, 이어서 단계(S309)에서 통신 장치(205)는 서비스 요구 응답 정보(기지국 ID 번호와, 사용자의 가입자 번호와, 부가 정보 역시 포함)를 포함하는 에이젼트를 서버(24)에 송신한다. 다른 한편으로, 서버(24)로부터의 에이젼트 송신선이 클라이언트인 경우에,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존재하고, 따라서, 단계(S307)에서 에이젼트는 모든 클라이언트들에게 송신된다. 단계(S308)에서, 각 클라이언트들의 CPU(201)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에 응답하도록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 후에, 상기 제어가 단계(S309)로 진행되어 통신 장치(205)는 서비스 요구 응답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젼트를 서버(24)에 송신한다.
각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상기 에이젼트를 수신하면, 서버(응답 내용 판정 수단)(24)는 모든 서비스 요구 응답 정보를 선택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구 조건과 일치하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선택하여 사용자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작성한다. 서버(24)로부터의 에이젼트의 송신선이 서브서버(25)인 경우에, 서브서버(25)는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구 에이젼트를 상기 서브서버(25)에 접속된 다수의 클라이언트(도시 안됨)들에게 송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응답 에이젼트를 수신한 후,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서비스 요구 응답 정보를 선택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구 조건과 일치하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선택하여 응답 에이젼트로서의 선택 결과를 서버(24)에 송신한다.
클라이언트(27) 또는 데이타베이스(26)의 CPU(201)는 사용자로 부터 에이젼트에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 ID 번호를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별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PHS 기지국(22)의 커버 에리어 반경은 약 100m이고, 이것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21)와 함께 무선 링크를 확립하는 기지국(22)을 중심으로 100m의 반경을 갖는 에리어내에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 클라이언트(27) 또는 데이타베이스(26)의 기록/재생 장치에, 예를 들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ID 번호와, 이에 대응하는 경도, 위도,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위치가 미리 기억되므로 소정의 기지국 ID 번호를 갖는 기지국의 위치를 알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필요한 응답 정보가 서버(24)에 모일 때, 상기 제어는 단계(S310)로 진행하고 서버(24)의 CPU(201)에 의해 제어된 통신 장치(205)는 휴대 단말기(21)에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 네트워크(23)에 대해 회선 접속 요구를 한다. 그 후에, 통신 링크가 단계(S311)에서 확립된 상태로 된 후, 단계(S312)(송신 수단, 전송 수단)에서 서비스 응답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젼트는 휴대 단말기(21)로 송신된다. 또한, 단계(S313)(수신 수단)에서 휴대 단말기(21)의 통신 장치(205)는 서버(24)로부터 송신된 에이젼트를 수신하고, 서버(24)의 CPU(201)가 상기 수신을 확인할 때, 단계(S314)에서 서버(24)의 CPU(201)는 통신 링크를 절단하도록 통신 장치(205)에 명령한다. CPU(201)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통신 장치(205)는 통신 링크를 절단한다. 휴대 단말기(21) 역시 통신 링크 절단을 대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만이 소정의 서버(24)를 액세스하여 소정의 서비스 요구를 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자동적으로 인식되므로(특별하게 소정의 입력을 하지 않고), 사용자는 서비스가능 클라이언트(27)나, 서브서버(25)나, 데이타베이스(26)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구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응답 정보 역시 휴대 단말기(21)의 기록/재생 장치(108)에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억된 정보는 적절하게 재생되어 표시부(106)상에 표시되고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응답 정보가 전화 번호인 경우, 그 전화 번호는 원하는 클라이언트나 데이타베이스를 액세스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수신받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통신 링크 절단 상태는 상기 액세스 후에 응답 정보의 회신이 휴대 단말기(21)를 통해서 클라이언트(27)나, 서브서버(25)나, 데이타베이스(26)에 셋업될 때까지 지속되고, 그 동안에 회선 이용료나 액세스 요금을 절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관해 언급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기초한 택시 승차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서 하기에서 설명된다. 도 7에서, 클라이언트(55 내지 57)는 도 1의 실시에의 서버(24)에 연결된다. 클라이언트(55 내지 57)는 택시 회사에 각각 속해있다. 다른 구성은 도 1의 실시예의 구성과 같고, 이에 대한 설명은 간결성을 위해서 생략한다.
무엇보다 먼저, 동작에 있어서, 택시를 승차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21)를 동작시켜서 서버(24)에게 택시 승차 의향을 나타내는 서비스 종류별로 나뉘어진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구 에이젼트(사용자의 가장 가까운 기지국및 가입자 번호 포함)를 송신한다. 이 때, 부가 정보에는 가급적 조기에 택시를 승차하려는 희망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24)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구 에이젼트를 수신할 때, 그것의 CPU(201)는 부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종류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요구받은 서비스가 택시 승차 서비스라는 사실과, 통신 장치(205)로 하여금 서버(24)에 접속되어 있고 택시 승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각 클라이언트(55 내지 57)에게 사용자의 요구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에이젼트를 전송하게 한다는 사실을 인식한다.
클라이언트(55)는 서버(24)로부터 에이젼트를 수신받고서, 기지국 ID 번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있는 곳을 대략 판별하고,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택시들에게 MCA(Multi-Channel Access)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통해서 상기 판단 결과를 연락한다. 택시는 사용자의 희망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대략적인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곳으로 갈 수 있다면, MCA를 통해서 클라이언트(55)와 통신한다. 클라이언트(55)는 사용자가 있는 곳으로 갈 수 있는 택시를 알아내면, 부가 정보로서 클라이언트(55)와의 연락선(전화 번호)과 같은 응답 정보 및 택시의 도착 시간을 포함하는 에이젼트를 서버(24)에 송신한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가 있는 곳에 도달할 수 있는 택시가 없는 경우에, 클라이언트(55)는 그 사실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젼트를 서버(24)에 전송한다. 클라이언트(56 및 57)는 클라이언트(55)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4)는 사용자의 요구와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각각의클라이언트(55 내지 57)로부터 에이젼트의 부가 정보에 포함된 모든 응답 정보를 검색하고,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 네트워크(23)를 통해서 상기 검색 결과를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21)에 송신한다. 상기 응답 정보에 의존하여, 서버(24)로부터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21)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상세한 위치 정보를 PHS 등을 통해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클라이언트와 연락하고, 클라이언트가 지정하는 시각에 택시를 승차한다.
본 실시예는 택시 승차 서비스 뿐만 아니라 다른 서비스에도 응용 가능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른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에, 서비스 종류가 부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요구 에이젼트는 서버(24)에 송신된다. 이 서비스 요구 에이젼트를 수신하면, 서버(24)는 서버 요구 에이젼트의 부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종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서비스 종류를 인식한다. 그 후에, 서버(24)는 상기 에이젼트를 데이타베이스나, 클라이언트나, 서브서버에 송신한다. 상기 처리로, 다양한 서비스 요구들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점이나, 빌딩 등을 검색하기 위해 검색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시스템의 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에서, 상점, 빌딩 등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데이타베이스(71)는 서버(24)에 접속된다. 먼저, 사용자는 가장 가까운 은행을 검색하고, 휴대 단말기(21)의 입력부(107)를 조작하여 가장 가까운 은행을 검색하는 요구에 대한 서비스의 종류를 입력시킨다. 이 때, CPU(101)는 요구 정보로서 서비스 종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서버(24)에 송신한다.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CPU(101)는 기지국(22)의 기지국 ID 번호를 취득하여 휴대 단말기(21)의 식별 번호에 부가적으로 휴대 단말기(21)상의 위치 정보로서 송신한다.
사용자로부터 요구 에이젼트를 수신하면, 서버(24)는 요구 에이젼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21)의 현재 위치를 판별한다. 또한, 서버(24)는 데이타베이스(71)로 하여금 휴대 단말기(21)와 인접해 있는 은행을 검색하게 하기 위하여 요구 에이젼트에 포함된 서비스 종류에 기초하여 서비스의 내용을 판별한다. 응답 정보로서 데이타베이스(71)로부터 가까운 은행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때, 서버(24)는 상기 응답 정보를 포함하는 에이젼트를 휴대 단말기(21)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기(21)는 서버(24)로부터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부(106)로 하여금 응답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가장 가까운 은행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가 표시부(106)상에 응답 정보로서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지도로부터 가장 가까운 은행의 소재 위치를 알 수 있다.
비록 전술한 실시예에서 현재 위치는 기지국(22)의 ID 번호를 기초하여 알게 되도록 설계될 지라도, 현재 위치의 검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무선 전파를 수신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도 9는 휴대 단말기(21)의 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구성에서, GPS 연산 회로(82)는 인터페이스(104)와 접속되어 있고, GPS 안테나(81)를 통해 GPS 전파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를 근거로 휴대 단말기(21)의 현재 위치(위도 및 경도)를 연산한다. CPU(101)는 상기 연산으로 얻어진 위치 정보를 적당하게 서버(24)에 송신한다.
또한,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1)에서, VICS(Vehic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안테나(91)를 구비한 VICS 장치(92)가 인터페이스(104)에 접속된다. 이 VICS 장치(92)는 VICS 안테나(91)를 통해서 도로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비컨(beacon)으로부터 송출된 무선 전파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비록 상기 VICS가 본래 실시간으로 도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일지라도, 각각의 비컨은 그들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기 때문에, VICS는 그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21)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VICS에 의한 위치 검출 역시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GPS에 의한 위치 검출에 부가적으로 가능하다.
도 11은 또다른 위치 검출 방법을 도시한다. 본 예에서, 데이타베이스(28)는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 네트워크(23)에 접속되어 있다. 즉, 휴대 단말기(21)가 이동할지라도,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 네트워크(23)는 소정의 주기로 휴대 단말기(21)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데이타베이스(28)에 등록되는 그 검출 결과에 따라 휴대 단말기(21)의 이동 목적지에 전화 호출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호출 신호를 휴대 단말기(21)로 전송하는 동안에, 데이타베이스(28)에 등록된 정보는 휴대 단말기(21)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도록 검색된다. 상기 호출 신호는 검출된 위치와 가까운 기지국(22)으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21)에 제공된다.
휴대 단말기(21)의 CPU(101)는 현재 위치를 검출할 때, 데이타베이스(28)를 액세스하여 거기에 등록된 위치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21)의 현재 위치로서, 데이타베이스(28)로부터 취득한 위치 정보를 서버(24)에 출력시킨다. 서버(24)는 데이타베이스(28)에 등록된 정보 및 절대 위치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포함하고, 이 테이블을 참조하여, 데이타베이스(28)에 등록된 정보로부터 절대 위치를 구한다.
예를 들면, 도 1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지국들의 커버 에리어의 번호 및 커버 에리어 내에 현재 위치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21)의 ID들이 데이타베이스(28)에 등록되어 있다. 이 때, 이를 테면, ID 번호 "6111"을 갖는 휴대 단말기(21)는 커버 에리어(2)내에 있고, 따라서 ID 번호는 커버 에리어(2)에 등록된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21)가 커버 에리어(1)로 이동하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 ID 번호 "6111"는 커버 에리어(1)에 등록된다. 즉, 데이타베이스(28)에서 휴대 단말기(21)의 ID번호는 휴대 단말기(21)가 그 때 위치하고 있는 영역에서 등록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1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를 나타내는 커버 에리어 및 위치 좌표는 테이블의 형태로 서버(24)에 등록된다. 본 예의 경우에서, 커버 에리어의 범위는 경도 및 위도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ID 번호 "6111"를 갖는 휴대 단말기(21)가 에리어내에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정보를 데이타베이스(28)가 송신할 때,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을 참조하여 서버(24)는 ID 번호 "6111"를 갖는 휴대 단말기(21)가 북위 35도 55분 15초 내지 35도 59분 05초 및 동경도 132도 16분 10초 내지 132도 17분 50초의 범위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판별한다.
비록 전술한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및 서버가 지정 회선을 통해서 서로 연결될지라도,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요구 내용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요구 정보는 단말기로부터 서버에 송신되고, 따라서 단말기의 사용자는 사용자가 응답 정보를 요구하는 당사자를 직접 알지 못해도 응답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의 요구시에 사용자에게 인가되는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 정보에 추가하여, 위치 정보 및 식별 번호가 또한 송신되므로, 사용자는 신속하고 간단하게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장소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회선의 접속이 정보가 단말기에서 서버로 또는 서버에서 단말기로 송신되는 동안에만 확립되므로, 회선 이용료나 액세스 비용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는 요구 내용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요구 정보를 수신하고, 따라서 사용자가 응답 정보를 요구하는 당사자를 알지못해도 상기 시스템은 응답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보 이용에 있어서의 효율이 개선된다.
전술한 것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만 관련된다는 것과, 본 명세서에서의 기재를 목적으로 이용한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의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모든 변형예 및 수정예를 커버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9)

  1.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서버와 접속된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 상기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 요구 내용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과,
    상기 서버로부터의 상기 요구 정보에 응답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 및 상기 수신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GPS에 의해 발생된 무선 전파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이고,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단말기와 접속 관계에 있는 상기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 기지국의 식별 번호를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VICS로부터의 무선 전파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단말기와 접속 관계에 있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기억된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요구 정보를 송신한 후에, 상기 수신 수단이 상기 응답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과의 접속을 일시적으로 해제하고,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응답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다시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7.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서버와 접속된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상기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 요구 내용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과,
    상기 요구 정보의 상기 부가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상기 요구의 내용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 정보에 응답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 다른 장치에 대해 상기 응답 정보의 작성을 요구하는 요구 수단과,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요구 수단의 요구에 응답하는 상기 응답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응답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정보의 내용을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응답 내용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정보의 소정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9960072221A 1995-12-26 1996-12-26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411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338548A JPH08331654A (ja) 1995-03-28 1995-12-26 情報提供システム
JP95-338548 1995-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192A KR970056192A (ko) 1997-07-31
KR100411677B1 true KR100411677B1 (ko) 2004-04-03

Family

ID=4938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2221A KR100411677B1 (ko) 1995-12-26 1996-12-26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7543B1 (ko) * 1997-08-30 2001-10-24 구자홍 부가정보서비스방법및이를이용한부가정보서비스시스템
KR102134586B1 (ko) * 2014-08-28 2020-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비콘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192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8554A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10237439B2 (en) Positional camera and GPS data interchange device
JP3532492B2 (ja) 道路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561065B2 (en) Personal communication and positioning system
US6907255B2 (en) Terminal unit, position display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0466470B1 (ko) 단말장치,위치정보표시방법,위치정보제공장치및위치정보제공방법
JP4274925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サーバならびに携帯端末および情報配信方法
JPH10341487A (ja) 情報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並びに提供媒体
US20060046741A1 (en) Method of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KR20010051652A (ko) 위치에 기초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무선 원격 통신시스템용 장치 및 방법
JPH098917A (ja) 移動通信端末を用いた情報提供方式
US20040225712A1 (en) Server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H08212497A (ja) 移動体用通信装置
JP2003035544A (ja) 地図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EP0779013B1 (en) Method for guiding a user of a mobile station of a cellular radio system as well as a service centre for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001238266A (ja) 情報配信システム
KR100411677B1 (ko) 정보 제공 시스템
JPH0833165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647941B1 (ko) 이동통신망과 차량 네비게이션을 연동한 주차장안내서비스 방법
JP2000213952A (ja) 移動通信におけるナビゲ―ション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09172672A (ja) 簡易型携帯電話システム
JP2002009946A (ja) 顧客管理システム
JP2000324546A (ja) 携帯用データ端末とデータサーバ
JP2003199140A (ja) 携帯通信端末及び位置依存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1041765A (ja) 行先案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