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0842B1 -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0842B1
KR100410842B1 KR10-2001-0033431A KR20010033431A KR100410842B1 KR 100410842 B1 KR100410842 B1 KR 100410842B1 KR 20010033431 A KR20010033431 A KR 20010033431A KR 100410842 B1 KR100410842 B1 KR 100410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tail gate
wire
hold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494A (ko
Inventor
김정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3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08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9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 실내의 후방에 테일 게이트(1)와 소정 간격을 두고 직립 설치되며 그 외측면에 다단의 걸림턱이 형성된 홀더(110); 상기 홀더(110)와 테일 게이트(1) 사이에 밀착 설치되는 선반(120); 상기 테일 게이트(1)의 오픈 시, 상기 선반(120)을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그 양 끝단은 상기 테일 게이트(1)의 내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중간은 상기 선반(12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와이어(130); 상기 선반(120)이 와이어(130)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선반(120)의 저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140); 및 상기 선반(12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반(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와이어(130)에 설치되는 스톱퍼(15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hatch back vehicle}
본 발명은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 게이트의 내측에 설치된 와이어에 선반을 항상 수평으로 현가시키고, 선반을 홀더와 테일 게이트 내면 사이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치 백 자동차는 세단 또는 쿠페 뒷부분에 도어를 설치한 보디 형식으로써 실내공간을 유용하게 사용하고 다용성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합리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a,1b는 종래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 백 자동차의 실내 후방에는 테일 게이트(1)에 선반 고정줄(2)로 고정되는 선반(Covering Shelf: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선반(3)의 하방 사이에는 화물 등이 보관되도록 소정의 적재공간(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반(3)의 상부에는 티슈 박스 등과 같은 잡화물이 놓여지며, 또한 선반(3)이 테일 게이트(1)에 현가되어 적재공간(4)의 상부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적재공간(4)에 보관된 수화물이 자동차의 실내에서 보여지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테일 게이트(1)를 자동차의 상부로 젖혀 올리면 선반(3)이 테일 게이트(1)에 선반 고정줄(2)로 고정되어 있어 선반(3)의 일측이 힌지(5)를 중심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테일 게이트(1)를 따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부로 들어 올려지며, 이에 따라 화물을 적재공간(4)에 용이하게 수납시키거나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미 설명 부호 6은 화물 트림을 보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해치 백 차량의 화물 받침장치는, 테일 게이트를 열 때, 선반 고정줄이 당겨지면서 선반이 회전되면서 기울어지고 이로 인하여 선반에 놓여진 잡화물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종래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는, 선반이 일정한 높이로 한정되어있어서 선반에 잡화물(혹은 소하물)을 올려놓을 경우 운전자의 후방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는, 선반의 힌지 부위를 구성하기 위하여 화물 트림이 커져서 적재공간이 축소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는, 선반이 테일 게이트에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선반을 항상 수평으로 유지하며 선반의 높낮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1b는 종래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2a,2b,2c는 본 발명은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3a,3b는 본 발명의 요부발췌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일 게이트 110 : 홀더
111 : 걸림턱 120 : 선반
130 : 와이어 140,140' : 롤러
150 : 스톱퍼 151 : 관통홀
152 : 이동봉 153 : 인출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 실내의 후방에 테일 게이트와 소정 간격을 두고 직립 설치되며 그 외측면에 다단의 걸림턱이 형성된 홀더; 상기 홀더와 테일 게이트 사이에 밀착 설치되는 선반; 상기 테일 게이트의 오픈 시, 상기 선반을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그 양 끝단은 상기 테일 게이트의 내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중간은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한 쌍의 와이어; 상기 선반이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선반의 저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선반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와이어에 설치되는 스톱퍼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스톱퍼는 그 중간에 횡으로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는관통홀이 형성되고, 그 중간에 상기 관통홀을 지나가는 와이어를 탄력적으로 정지시키는 이동봉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봉의 일측에는 종으로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인출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을 요약 정리하면, 테일 게이트의 내측에 설치된 와이어에 선반을 수평으로 현가시키고, 상기 선반을 홀더와 테일 게이트 내면 사이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2b,2c는 본 발명은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3a,3b는 본 발명의 요부발췌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100)는 차 실내의 후방에 테일 게이트(1)와 소정 간격을 두고 직립 설치되며 그 외측면에 다단의 걸림턱(111)이 형성된 홀더(110); 상기 홀더(110)와 테일 게이트(1) 사이에 밀착 설치되는 선반(120); 상기 테일 게이트(1)의 오픈 시, 상기 선반(120)을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그 양 끝단은 상기 테일 게이트(1)의 내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중간은 상기 선반(12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와이어(130); 상기 선반(120)이 와이어(130)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선반(120)의 저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140); 및 상기 선반(12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반(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와이어(130)에 설치되는 스톱퍼(1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홀더(110)는 차 실내의후방, 즉 리어 시트(S)의 후방에 테일 게이트(1)와 소정 간격을 두고 직립 설치되며 그 외측면에는 다단의 걸림턱(11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11)은 선반(1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선반(120)의 양측단은 걸림턱(111)과 테일 게이트(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한 쌍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30)는 그 양 끝단이 테일 게이트(1)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그 중간은 선반(12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테일 게이트(1)의 오픈 시, 상기 선반(120)은 와이어(130)에 의해서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반(120)이 와이어(130)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선반(120)의 저부 양측에 한 쌍의 롤러(140,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선반(12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반(120)의 하방으로는 와이어(130) 중간에 스톱퍼(150)가 설치된다.
상기 스톱퍼(150)는 그 중간에 횡으로 상기 와이어(130)가 관통되는 관통홀(151)이 형성되고, 그 중간에 상기 관통홀(151)을 지나가는 와이어(130)를 탄력적으로 정지시키는 이동봉(152)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봉(152)의 일측에는 종으로 상기 와이어(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테일 게이트가 닫혀진 상태를 보인 것으로, 선반(120)이 와이어(130)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홀더(110)의 걸림턱(111)과 테일 게이트(1) 내면에 의해서 밀착되어 있다. 또한 스톱퍼(150)가 전방 롤러(140)에 지지되어 있어 선반(120)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1)를 열면 테일 게이트(1)의 내면에 연결된 와이어(130)가 당겨지며 이때 테일 게이트(1)와 함께 와이어(130)도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와이어(130)에 지지된 선반(120)도 상방으로 이동되는 바, 선반(120)의 저부에 설치된 롤러(140,140')가 와이어(130)를 따라 이동하므로 선반(120)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1)를 완전히 열면 스톱퍼(150)가 후방 롤러(140')를 지지하여 선반(120)의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1)를 닫으면 도 2a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도 3a,3b는 본 발명의 요부발췌 단면도로서, 선반(120)의 위치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 스톱퍼(150)의 이동봉(152)을 누르면, 이동봉(152)이 스프링(152a)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하방 이동하며, 이 상태에서 와이어(130)를 인출홀(153) 방향으로 당기며 이와 동시에, 이동봉(152)을 놓으면 이동봉(152)이 상부로 원상 복귀되면서 와이어(130)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이동봉(152)에 의해서 와이어(130)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는 것이다. 반대로, 와이어(130)의 길이를 길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동작 원리로 와이어(130)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테일 게이트(1)의 내측에 설치된 와이어(130)에 선반(120)을 수평으로 현가시키고, 상기 선반(120)을 홀더(110)와 테일 게이트(1)내면 사이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됨으로써, 테일 게이트를 열때에도 선반을 항상 수평으로 유지하여 선반에 놓여진 잡화물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의 걸림턱에 의해서 선반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스톱퍼에 의해서 와이어의 길이가 자유자재로 조절되어 선반에 잡화물을 올려놓더라도 운전자의 후방시야를 가리지 않는다.

Claims (2)

  1. 차 실내의 후방에 테일 게이트(1)와 소정 간격을 두고 직립 설치되며 그 외측면에 다단의 걸림턱(111)이 형성된 홀더(110);
    상기 홀더(110)와 테일 게이트(1) 사이에 밀착 설치되는 선반(120);
    상기 테일 게이트(1)의 오픈 시, 상기 선반(120)을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그 양 끝단은 상기 테일 게이트(1)의 내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중간은 상기 선반(12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와이어(130);
    상기 선반(120)이 와이어(130)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선반(120)의 저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140); 및
    상기 선반(12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반(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와이어(130)에 설치되는 스톱퍼(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150)는 그 중간에 횡으로 상기 와이어(130)가 관통되는 관통홀(151)이 형성되고, 그 중간에 상기 관통홀(151)을 지나가는 와이어(130)를 탄력적으로 정지시키는 이동봉(152)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봉(152)의 일측에는 종으로 상기 와이어(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인출홀(1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
KR10-2001-0033431A 2001-06-14 2001-06-14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 KR100410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431A KR100410842B1 (ko) 2001-06-14 2001-06-14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431A KR100410842B1 (ko) 2001-06-14 2001-06-14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494A KR20020095494A (ko) 2002-12-27
KR100410842B1 true KR100410842B1 (ko) 2003-12-12

Family

ID=2770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431A KR100410842B1 (ko) 2001-06-14 2001-06-14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0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19468A1 (en) * 2022-01-10 2023-07-13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Vehicle and occupant support for a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3554U (ko) * 1988-02-18 1989-08-22
JPH0238246A (ja) * 1988-07-29 1990-02-07 Nippon Steel Corp 簡易梱包コイルの輪送方法
KR970022420U (ko) * 1995-11-25 1997-06-18 해치백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3554U (ko) * 1988-02-18 1989-08-22
JPH0238246A (ja) * 1988-07-29 1990-02-07 Nippon Steel Corp 簡易梱包コイルの輪送方法
KR970022420U (ko) * 1995-11-25 1997-06-18 해치백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494A (ko) 200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065B1 (ko) 탑차의 측면 도어 자동 오픈 및 폐쇄장치
KR100410842B1 (ko) 해치 백 차량의 받침장치
JPS6125571B2 (ko)
KR102468608B1 (ko) 차량용 커버링 쉘프 장치
KR100980696B1 (ko) 화물차의 적재함 게이트 지지 구조
KR101163771B1 (ko) 수평 유지 가능한 자동차의 패키지 트레이 구조
KR100186986B1 (ko) 자동차의 접이식 범퍼
KR20160066247A (ko) 탑차의 측면 도어 오픈 및 폐쇄장치
KR200368332Y1 (ko) 상차용 사다리
JP2001152733A (ja) ドアパネルの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貨物自動車用リアパネル
KR200192419Y1 (ko)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지지 구조
KR0119123Y1 (ko)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
KR200171628Y1 (ko)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지지 구조
KR19990021415U (ko) 트럭 적재함의 후크캐치어셈블리
KR20050045587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 고정장치
KR200140947Y1 (ko) 화물 이동 방지장치가 구비된 버스용 러기지 룸
KR200245321Y1 (ko) 화물실스크린승강장치
KR100488994B1 (ko) 차량용 적재함 가변장치
KR100570189B1 (ko) 자동차의 커버링 셀프 트림
KR19990019139A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고정장치
JP2523107Y2 (ja) 貨物自動車のスライド格納式観音扉に於ける傾斜防止装置
JP2009298180A (ja) 自動車荷室のボード昇降装置
KR100863178B1 (ko) 차량용 러기지 박스
KR20000021275U (ko) 자동차용 셀프
KR100203123B1 (ko) 수직 이동 패키지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